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의 바우하우스 초기 수용 -1938년 뉴욕근대미술관 바우하우스 전 "Bauhaus 1919-1928"을 중심으로

        손영경 ( Young Kyung S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6 No.-

        본 논문은 1919년 독일 바이마르에서 시작된 조형예술교육기관 바우하우스의 미국 초기 수용과 관련하여 1938년 뉴욕근대미술관(Museum of Modern Art, New York)의 첫 번째 바우하우스 전시를 중심으로 그 양상과 영향을 검토한다. 1933년 폐교 이후 바우하우스의 많은 교사진들은 미국으로 이주하여 바우하우스의 원칙들을 새롭게 전개시켰으며, 바우하우스의 미국 수용의 결정적 형태가 되었던 이 전시를 통해 미국 이주 이후 바우하우스의 개념들은 어떻게 수용되고 가시화되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미국을 통해 확산된 바우하우스의 영향력의 성격을 밝히고자 한다. 먼저 예비적 고찰로 바우하우스 수용의 토대가 된 미국의 사회적ㆍ문화적상황들을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과 미국이 직면한 서로 다른 사회적 조건 속에서 양국의 예술 관계자들은 다양한 영역에서 20세기 예술에 대한 이념과 현장들을 공유하였다. 1929년 설립된 모마의 초대관장이었던 바는 이러한 흐름을 주도한 인물로서 그는 당대의 유럽미술 현장들을 충분히 인지하고 이것을 미국의 문화예술계를 제도적·내용적으로 강화시키는 동력으로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교류의 토대 위에 1920년대 초부터 주로 건축에서의 성과를 통해 미국에 소개되어왔던 바우하우스는 ‘국제양식(International Style)’이라는 기능주의 개념을 통해 미국 모더니즘 제도권과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미국의 바우하우스 수용은 1930년대 초반 모마의 형식주의 전시들과 조응하며 전개되었고, 1938년 ‘바우하우스 1919-1928’ (Bauhaus 1919-1928) 전 역시 이것의 연장선에서 그 성과와 한계를 평가받아왔다. 이 전시는 교육기관으로서의 바우하우스의 근본적인 이념을 보여주고자 하였으며 이는 기능주의로 정의되어왔던 양식적 수용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들과 맞물려 이전까지의 제도적 수용의 맥락과는 차별화된 양상들을 띄게 된다. 본 전시를 분석함에 있어 바와 그로피우스의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이 완결된 바우하우스 양식으로서의 성과를 배제하고 그때까지 주변적인 것으로 분류되었던 바우하우스의 초기 실험적이고 경험적인 교육의 직접적인 재현을 통해 이 역사적인 교육기관의 실천적인 이념을 되살리는 현장을 분석하였다. 이는 바우하우스가 영속적인 교의가 아닌 사회적 현상의 유동성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삶의 세계 속에서 현실성을 확보한다는 그들의 활동의 원칙에서 기인하는 것이었다. 양차대전 사이 미국에 있어 바우하우스의 역할 수행에 대한 구체적인 정체성 확립이 요구되던 이 시기, 모더니즘 맥락 안에서의 형식주의 미학 아래 의식적으로 은폐되었던 설립 초기의 개념을 되살려 바우하우스를 재정의한 것은, 바우하우스가 문화적 경직으로 고착되지 않고 동시대의 사회변화에 대응하는 혁신의 방식과 문제 해결의 방법론으로서 그 의미를 부여받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에 바우하우스는 모더니즘이 가진 예술과 비예술의 이원론적 세계관을 넘어 개개의 사물의 우주적 통합의 개념으로 확장된 새로운 예술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예술의 위계와 분야를 초월하여 총체적 삶의 현장으로 자신들의 활동을 이끌어내는 바우하우스의 원칙과 개념은 오늘날 바우하우스의 현재적 의미에 대해 하나의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여겨진다. The Bauhaus was an arts education institution founded in 1919 in the city of Weimar. After its dissolution in 1933, many of its faculty members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where they established a new Bauhaus movement. In 1938,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MoMA) held its first Bauhaus exhibition, which marked the American acceptance of the Bauhaus. This paper examines the early American acceptance of the Bauhau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first Bauhaus exhibition by MoMA in 1938. We look at how the Bauhaus principles were accepted and visualized in the United States post-emigration, and hope to shed a light on the influence of the Bauhaus movement that spread through the U.S. First, we examine the cultural and social landscape of the United States in 1920s-1930s, which eventually paved the way for acceptance of the Bauhaus movement. After the First World War, artists in Europe and the U.S., despite their differing social contexts, shared their ideas and ideologies in diverse fields of 20th-century art. The exchange was led by Alfred H. Barr, Jr., who was also the founding director of MoMA. He was well aware of the artistic scene in Europe, and used the exchange efforts as a momentum to spur the development of American arts and culture, as well as their system. The Bauhaus, which had been introduced to the U.S. mainly through its architectural achievements from the early 1920s, was also part of these exchange efforts. With its functionalist concept of “International Style”, the Bauhaus movement form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American modernist movement. The American acceptance of the Bauhaus movement was paved by the formalist programs by MoMA in the early 1930s. The ‘Bauhaus 1919-1928’ exhibition was an extension of these programs, and while it saw some achievements, it also showed limitations. The exhibition attempted to convey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Bauhaus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which was in line with the Bauhaus`` previous attempts to overcome its initial acceptance as a ‘formalist movement’. The result was a whole new presentation of the Bauhaus, quite different from its initial recognition as asystematic approach to art. This paper analyzes the ‘Bauhaus 1919-1928’ exhibition with a focus on the achievements of Alfred H. Barr, Jr. and Walter Gropius. Barr and Gropius were responsible for stripping away the achievements of the completed Bauhaus principles. Instead, they resurrected first hand, the elements that had been rendered as peripheral; that is, the early experimental spirit of Bauhaus, and its practice-based training. By reviewing their work, we analyze the scene where the ideologies of this historical institution, rooted in practicality, were revived. This will show that the existence of the Bauhaus is grounded in its acting principles: the Bauhaus doctrine is not permanent, instead it founds its identity within the real world by maintaining close links with the changing social conditions. During the inter-war period, there was a call for the Bauhaus to clarify its identity and role in the U.S. Its founding principles which had beenintentionally concealed in the context of modernism and in the aesthetics of formalism was resurrected, and as a result, the Bauhaus was re-defined. This shows that Bauhaus did not become fossilized as a cultural ideology but instead was accepted as a solution and an innovative method, and a response to the social changes of the contemporary era. And as a result, the Bauhaus suggested a new possibility for a new art, which transcends the dualistic world of, or the artistic and non-artistic philosophies of modernism. It presented a whole new expanded sphere of art, which integrates the individual subjects under a universal definition. The Bauhaus is rooted in real-life experiences, transcending the divisions and the hierarchy of art. Such concept and principle of Bauhaus provides an insight to the modern definition of Bauhaus today.

      • KCI등재

        모홀리-나기의 총체성(totality) 개념 연구: 바우하우스의 교육목적과 미국적 실천을 중심으로

        손영경 ( Young-kyung S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8 No.-

        본 연구의 목적은 모홀리-나기의 독일 바우하우스와 미국 이주 후 시카고에서의 교육 활동의 양상과 변화를 그의 ‘총체성(totality)’ 개념에 주목하여 고찰해보고, 이를 통해 바우하우스 교육의 사회적 실천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고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Ⅱ장에서는 독일 바우하우스 설립 시기의 교육 이념의 형성과 맥락을 살펴본다. 전후 독일의 붕괴된 사회질서를 재건할 정신적, 물질적 토대로서의 조형예술을 위한 교육기관으로 출발한 바우하우스는 창조적 예술과 사회적 생산의 이중적 경계 위에 전개되었다. 이념과 현실, 예술과 기술의 분열과 대립 속에서 모홀리-나기는 이를 통해 역동적 전체를 향해가는 분석과 통합의 변증법을 교육의 방법론으로 설정하였다. 그가 조형교육의 목적으로 설정한 ‘전인(whole man)’이라는 개념은 바우하우스의 이원론적 세계를 인간의 생물학적 경험의 범주로 전환시킴으로써 예술을 유기적으로 인간과 현실에 연결시키려는 시도들과 맞물리는 것이었다. Ⅲ장에서는 모홀리-나기가 미국이 부여한 바우하우스의 기능적 가능성을 부정하고 ‘총체성(totality)’이라는 운동의 법칙을 통해 새로운 변증법적 종합으로 나아가는 지점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모홀리-나기의 교육 이념이 미국이라는 새로운 예술 생산의 조건 안에서 어떻게 재구성되고 실행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1919년 그로피우스가 바우하우스의 설립이념으로 ‘총체예술(Gesamtkunstwerk)’을 언급했을 때 이는 시대적 요청과 충돌하는 예술의 고립을 극복한 근대적 예술행위의 표상이었다. 그러나 1930년대 후반 미국의 자본주의 생산양식은 산업생산품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는 근대 디자인 양식으로서 바우하우스의 성과를 재편하였다. 모홀리-나기는 독일 바우하우스가 설정하였던 예술적 과제를 상속하며 삶의 창조성과 유리된 채 산업생산의 단선적 언어로 제한된 당대 디자인의 상황을 비판적으로 성찰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그는 인간의 삶을 중심에 둔 광범위한 지적 탐사로서 예술교육의 형질변화를 촉구하는 방법론으로 ‘총체성’의 개념에 이르고 있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논리는 조형예술의 사회경제적 영향력을 분명히 강화시켰다. 그러나 모홀리-나기는 이러한 영향력을 삶의 다른 모든 측면 즉 과학, 철학, 도시, 경제, 정치로 확장시킴으로써 미국 조형교육에 있어 개인적 성취와 공공의 진보를 모두 수행하는 종합적 실천의 기반을 제시하였다. 이렇듯 자신이 위치한 역사의 전환점에서 인간의 삶에 조응하는 유기적 교육의 통합으로 그 사회적실천을 성취해내는 바우하우스의 가능성을 본고는 모흘리-나기의 총체성을 통해 논증하고자 한다. This paper follows the shifting phases of Laszlo Moholy-Nagy``s teaching career at the Bauhaus in Germany and then in Chicago after his emigration to the U.S. During this process, we focus on Moholy-Nagi``s visions of totality to reveal the significance of the social praxis of the Bauhaus teachings. The paper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in chapter Ⅱ, we review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the Bauhaus’ teaching principles during the school``s founding stages. The Bauhaus initially started out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formative arts, and as a physical and spiritual foundation on which Germany could rebuild its collapsed social order after the war. When the school first opened its doors, it did so on an ambivalence of creative art and social production. Because this was a time when ideology and reality, and art and technology was divided and torn between conflict, when Moholy-Nagy came to set his teaching methodology, he decided on a dialectical way of thinking towards a dynamic whole, through analysis and integration. His vision of the ‘whole man’ - which he set as his purpose in formative art education . also coincides with the attempts at that time to connect art with the human reality through an organic network - that is, by associating the theological world of the Bauhaus with a physical human experience. In Chapter Ⅲ, we examine the phase where Moholy-Nagy negates the functional possibilities of the Bauhaus opened up by the U.S., and instead heads toward a new dialectic integration by adopting the principles of a movement called totality. Here we put the focus on how Moholy-Nagy``s teaching ideologies were restructured and practised under a novel condition for his artistic production called the U.S. When Walter Gropius mentioned the Gesamtkunstwerk as the founding principle of the Bauhaus, this was a symbol of the modern artistic praxis that had overcome isolation which occurs when art fails to meet the demands of its time. However, the capitalist manufacturing of the late-1930s U.S. reduced the Bauhaus’ achievements as a modern style of design that merely contributed to qualitative improvements in manufactured goods. Moholy-Nagy, who had inherited the artistic responsibilities of the Bauhaus and left behind with the creativity of life, criticized the designs at that time as being restricted by the simple language of industrial manufacture. Thus he arrived the concept of totality, a far-ranging intelligent exploration with the human life at the centre, as his proposed methodology to advocate for changes in form of artistic education. Without a doubt, the capitalist theories of the market economy had reinforced the socioeconomic influence of the formative arts. However, Moholy-Nagy went a step further and expanded their influence to all areas of life, including science, philosophy, urban issues, economy, and politics. In other words, he proposed a platform for a more comprehensive praxis that serves to both personal achievement and public advancement. As such, by examining Moholy-Nagy``s vision of totality, we discuss the dynamism of the Bauhaus to achieve social praxis through an integration of an organic education with the human condition at the turning point of history.

      • KCI등재

        바우하우스 조형교육의 사회적 함의 : 독일에서 미국 수용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손영경(Son Young ky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독일 본진에서 미국 수용의 시기까지 바우하우스 조형교육의 성립과 변화 과 정을 살펴봄으로써 그 재해석의 가능성을 묻는 데에 있다. 즉 변화하는 사회적 맥락 안에서 바우 하우스 조형교육은 무엇을 유지하고 무엇을 변화시켰는지를 밝히는 일을 통해 이 교육과정의 현재 적 유효성과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다. 이에 본고는 독일 시기와 미국 시기로 나누어 그 예비과정(Vorkurs)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먼저 예비과정의 성립과 이를 둘러싼 내부 교사진들의 갈등을 다룬 Ⅱ장에서는 이 교육과정이 개 인의 창조성의 발견에서 객관적 세계와의 연결로 변화하는 구조에 주목한다. 이는 이 시기 독일의 사회적 요구 그리고 각 교사진들의 교육이념과 연동되어 기존의 아카데미즘을 극복하고 새로운 근 대적 교육체계를 구축하기에 이른다. 이후 바우하우스 교사진들의 미국 이주 이후의 활동과 성과 를 다루는 Ⅲ장에서는 기초과정(Preliminary Course)이라는 명칭으로 미국 교육제도에 수용된 바우 하우스 교육의 현장을 다룬다. 새로운 기술, 새로운 자본의 사회적 요구 안에서 바우하우스의 조형 교육은 그 제도적 변화를 받아들이되 교육의 원칙은 유지시켰다. 변화된 제도는 미국의 대학구조 안에서 제작과 생산의 실험실습 과정이 조형의 조사연구과정으로 변화된 것이고 유지된 것은 물질 과 형태에 대한 탐구는 예술실행의 근간이라는 신념이었다. 이와 같이 미국 종합대학의 학문적 조사 연구의 방법론으로 재구성된 바우하우스의 기초과정은 단순한 개인의 지적 실험의 문제만이 아닌 동시대의 의식과 가치를 시각언어로 형성하게 만드는 교육훈련이었다. 즉 각 사회적 현장 안에서 형성되는 제도와 환경 같은 물질적 조건들을 재료와 도구라는 예술의 근본적인 물질적 조건들로 관계짓는 방식들에 대한 교육론으로 기능하게 된 것이 다. 그리고 독일 본진과 미국적 수용현장들을 가로지르는 이와 같은 바우하우스 조형교육의 원칙 은 예술의 사회적 실천을 논함에 있어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지점이다. 때문에 우리 시대의 조형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 바우하우스의 이와 같은 수용과 이식의 역사를 이해하는 일은 과연 우리가 새롭게 설정할 예술교육의 방법론은 무엇이고 근본적으 로 유지되어야 교육철학은 무엇인지를 다시 묻는 일에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할 일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reinterpretation of the Bauhaus formative education from the German Institution to the US ‘. In other words, in the changing social context, Bauhaus’ s formative education tried to reveal the present validity and meaning of this curriculum through identifying what kept and changed what.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nges of Vorkurs in Germany and USA. In chapter Ⅱ, which deals with the formation of the preliminary process and the conflicts among the internal teachers, we focus 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curriculum changes from the discovery of individual creativity to the connection with the objective world. The Bauhaus Education with the social demands of Germany at this time and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each teacher to overcome the old academism and establish a new modern education system. In chapter Ⅲ, which deals with the activities and achievements of Bauhaus teachers since the US relocation, it deals with the field of Bauhaus education which is accepted in the American education system under the title of Preliminary Course. Within the social demands of new technology and new capital, Bauhaus’ s plastic education has accepted the institutional change but maintained the principle of education. The changed system was changed from the laboratory practice of production and production to the process of research and study of form in the American university structure, and it was the belief that the exploration of material and form was the basis of art practice. The Preliminary Course of Bauhaus reconstructed as a methodology of academic resea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as not only a matter of individual intellectual experiment but also education and training that made contemporary consciousness and value in visual language. In other words, it has become a teaching theory about the ways in which material conditions such as institutions and environments formed in each social field are related to the fundamental material conditions of art, namely, materials and tools. And the principle of Bauhaus formative education that crosses the German mainland and the American receptions is a point that must be considered in discussing the social practice of art. In this regard,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Bauhaus’ acceptance and transplantation in establishing a new direction for formative education in our time. What is the methodology of art education that we will set new, and it must be maintained fundamentally, it will be an indicator of what educational philosophy is.

      • KCI등재

        1930년대 `국제양식(International style)`의 미국적 변용

        손영경 ( Young-kyung S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9 No.-

        본 연구는 1930년대 미국의 유럽 근대조형운동 수용의 현장을 국제양식(International Style)의 성립과 그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미국의 근대 프로젝트로서 모더니즘의 역할에 대해 논의한다. 유럽 대륙이 공유하였던 통일적 조형의지로서 근대건축운동(Modern Architecture Movement)과 미국 미술 제도를 통해 성립된 국제양식이라는 새로운 건축의 형식은 그 의미작용의 방식에서 분명한 차이점을 갖는다. 민족과 국가를 초월한 세계 인식으로서의 조형이라는 이데올로기에 기반한 `국제건축`은, 1925년 그로피우스가 바우하우스 총서 제1권으로 발간한 『국제건축 Internationale Architektur』에서 구체화된 개념이었다. 그리고 7년 후인 1932년, 미국의 미술사가 히치콕과 모마의 큐레이터 존슨은 비교 방법론적으로 1920년대 이러한 건축양식의 명확한 정의를 확립하고 이를 국제양식(International Style)이라 명명하였다. 전자는 시대적 위기에 대응하는 반응으로 후자는 근대예술의 제도화라는 목적 아래 형성된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두 개의 현상은 조형 활동이라는 것이 근대 사회에 있어서 부여받은 역할이나 근대 건축이 공동체의 이념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묻고 있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였다. 이러한 이해를 전제로 본고는 당대 미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새로운 예술형식이 수용되고 전이되는 과정에 주목한다. 모마를 중심으로 한 문화수용주체들은 모더니즘의 형식과 개념을 수용함에 있어 유럽 모더니스트들이 가지고 있었던 원칙과 실천 사이의 경계를 극복하고 그것을 일상의 미학으로 전환시켰다. 동시에 그들은 제도가 만들어낸 하나의 양식을 국유화 즉, 미국화(americanization)함으로써 예술을 일종의 집단적 소유로 되돌려 미국 중산계급이라는 공동체의 가치로 연결시켰다. 그리고 이러한 전략 속에서 국제양식은 예술의 제한적인 특권을 넘어 인간의 주변 환경을 형성하는 조형적 사물들의 거대한 네트워크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통상적으로 언급되어온 문화정치의 내셔널리즘이라는 고정된 틀을 넘어 인간생활에 실천적으로 개입하는 예술의 가능성으로서 국제양식을 재 독해한다. 아마도 이것은 모더니즘에 대한 입체적 시각을 제안하려는 시도이자 근대사회를 형성시킨 예술의 원동력에 대해 다시 질문하는 작업일 것이다. This paper reviews the succession of the modern European sculpture movement in the 1930s U.S., with a focu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rnational Style and its influence. In this process, we discuss the role of modernism in the American Modern Project.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in terms of significance, between Modern Architecture ― a unified kunstwollen that was present in all of the European continent ― and the International Style, a new form of architecture established by the American art system. `International Architecture,` founded on the ideology of a unified world picture of sculpture transcending nation and race, was a concept that was developed from International Architecture, the first volume of the Bauhaus books by Walter Gropius. As for `International Style`, the term was coined seven years later in 1932, by Henry-Russell Hitchcock, the American architectural historian, and Philip Johnson, the curator at the Museum of Modern Art (MoMA) in New York, who set a clear definition of the 1920s architectural style using comparative method. In other words, the former had developed as a response to the crisis at the time, whereas the latter had formed under the purpose of systemizing modern art. But despite their differing starts, the two phenomenons had a commonality in that they both questioned the given role of the sculpture movement in the modern society, and the direction they should be heading for a unified ideology on modern sculpture. These facts being given, we focus on how these new artistic forms were accepted and spread, in the context of the American society and culture at the time. The main agents of culture, centered around MoMA, accepted the form and the concept of modernism by overcoming the borders of principality and practicality that the European modernists had, thus transforming it to practical aesthetics. At the same time, they nationalized ― or “americanized” ― this form born out of a system, and by doing so, returned the ownership of art to the en masse and extended it to the communal value called the American middle-class. And under this strategy, International Style overcame the limited privileges of art, and formed a colossal network of figurative objects that make up the human surrounding. This paper re-interprets International Style as a form of art wither potential to overcome its common reference to a fixed frame of nationalism in cultural politics. It instead interprets it as having a potential to intercept into the practicality of the human life. This may be viewed as an attempt to suggest a multi-dimensional view on modernism, or a re-questioning of the energy that formed the modern society.

      • EasyMiner : 데이터마이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최재웅(Jae-Woong Choi),류정우(Joung-Woo Ryu),김종수(Jong-Su Kim),차진호(Jin-Ho Cha),손영경(Young-Kyung Son),도영아(Young-a Do),김산성(San-Sung Kim),이진숙(Jin-Suk Lee),김명원(Myung-Wo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Ⅱ

        정보기술의 발전은 기업들로 하여금 많은 양의 데이터를 기업내부에 축적할 수 있도록 하였지만, 축적된 데이터로부터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가의 여부는 별개의 문제이다. 즉, 최근 기업들은 최선의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정보 또는 지식을 축적된 데이터로부터 가공해 낼 수 있는가의 여부에 중요한 관심사를 가지고 있다. 데이터마이닝은 바로 이와 같은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새로운 정보기술의 활용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쉽게 데이터마이닝을 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데이터마이닝 솔루션인 EasyMiner를 설계하였다. EasyMiner는 데이터베이스에 독립적으로 접근하여, 제공되는 마이닝 기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공되는 마이닝 기법으로는 분류, 군집화, 연관규칙 그리고 기초통계를 지원하고 있으며 또한 기법들에 의해 생성된 지식들을 사용자에게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 각 기법의 결과에 대한 가시화를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마이닝 솔루션인 EasyMiner 설계 및 구현에 관하여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