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경찰서별 도로교통사고 관리를 위한 품질기능전개(QFD)의 적용
손소영,최홍 한국경영과학회 1998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1
One of the major tasks of a police station is the management of road traffic accidents. Each police station is responsible for keeping Traffic Accident Records (TAR) which can be used as the basis of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of such statistical analyses have been applied to establishing effective traffic plans and safety policies at the macro level. In this paper, we apply QFD in a way that each police station can set and implement specific policies according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Cluster analysis is employed to find accident-prone spots in each local area. Poisson regression is used to identify the area specific factors related to various types of road accidents. Results of such statistical analyses are applied to QFD. Our approa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duce various types of area specific road traffic accidents.
손소영,조용관,최성옥,김영준,Sohn, So-Young,Cho, Yong-Kwan,Choi, Sung-Ok,Kim, Young-Joun 대한인간공학회 2002 大韓人間工學會誌 Vol.21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selection criteria for ROK Airforce pilot training candidates in order to save costs involved in sequential pilot training. We use classification models such Decision Tree, Logistic Regression and Neural Network based on aptitude test results of 288 ROK Air Force applicants in 1994-1996. Different models are compared in terms of classification accuracy, ROC and Lift-value. Neural network is evaluated as the best model for each sequential flight test result while Logistic regression model outperforms the rest of them for discriminating the last flight test result. Therefore we suggest a pilot selection criterion based on this logistic regression. Overall. we find that the factors such as Attention Sharing, Speed Tracking, Machine Comprehension and Instrument Reading Ability having significant effects on the flight results. We expect that the use of our criteria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flight resources.
손소영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3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크로스섹슈얼 경향이 나타난 TV광고 사례 연구로서, 전통적인 여성 품목 광고에 남성의 크로스섹슈얼 경향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광고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가진다. 우리나라는 2000년대 들어 다양한 사회변화와 가치관의 변화, 성 역할 변화 등에 따라 섹슈얼리티가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2004년 ‘메트로섹슈얼’, 2005년 ‘위버섹슈얼’, 2006년 ‘크로스섹슈얼’이 등장하게 되었고, 지금까지 다양한 남성상으로서 대중매체인 광고에 나타나고 있다. 특히 최근 에는 여성의 전유물로 여겨왔던 가전제품에남성의 크로스섹슈얼 경향이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식품, 화장품, 음료 등 다양한 품목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사례를 중심으로 TV광고를 살펴본 결과, 과거 전통적인 여성 품목이었던 밥솥, 김치냉장고, 렌지, 가습기 등에 부드럽고 자상한 모습으로, 여성을 세심하게 배려하는 크로스섹슈얼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식품, 커피, 화장품 광고에서도 꽃미남 이미지의 남성 모델이 기존에 여성들의 역할로 여겨왔던 품목에서 성역할이 교차되어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현상은 점차 남녀 성역할의 경계가 줄어들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성들은 부드럽고 자상하며, 다정하게 여성을 배려해주는 남성상을 원하고 있는 것이며, 반면 남성은 내재된 여성성을 외모, 패션뿐만 아니라 가치관의 변화와 함께 실생활에서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반영한 것이다.
인쇄광고의 시각적 아이디어 발상법을 통해 본 사례분석 연구
손소영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2
This study is based on Case Analysis Reviewed Through Visual Idea Conception of Printed Advertisement, which makes students have difficulty in being reminded of visual idea as well as the visualizing process of expression, furthermore, aims at seeking the idea Conception available by approaching it more easily from the beginning stage of idea expression. Through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we have looked into a variety of advertising idea, as a result of it, coming to know that there have been shown a lot of idea conceptions from the linguistic association. Out of them, referring to the preceding research based on ‘CVT(Creative Visual Thinking) System', the creative & visual idea conception through Morton Garchick (1999)'s expansion & combination of Associative thinking, we've tried to analyze it by re-arranging as three staged idea processes(Associative stage·→Combination stage·→Visualizing stage) & five processes.The analysis target has been made focusing on the students' works out of awarded printed ads of Korea Public Advertisement Contest, which have translated & analyzed the stage process of visual idea conceptions through 'CVT System' Idea Conception. As a result of such analysis, the public advertisement has been evident in theme & concept, made it easy to departmentalize the theme. We've been able to prepare the words & sentences associated according to each departmentalized theme, being reminded of visual & linguistic idea by way of the combination of word to word, word to sentence at random. The more obvious the theme and concept are, the wider the expansion of associated idea becomes, the simpler the combination process of idea does, furthermore, by combining the words & sentences as well as considering the visual type, color and atmosphere, we are able to approach them more clearly when visualizing in our head. Likewise, if the theme & concept of advertisement are obvious, the idea conception by association & combination will be easily approachable & available one for the students. Therefore, 'CVT System' is referred to as being suggested as a method of drawing any idea in stages by approaching more easily in the course of the visual associated process of idea from students. However, the expression sense for the purpose of the creative visual combination & condensation in the idea thinking & visual expression through association & combination shall be supported by each student's effort. 본 연구는 인쇄광고의 시각적 아이디어 발상법을 통해 본 사례분석 연구로서, 광고수업에서 학생들이 시각적 아이디어 발상과 시각화 표현과정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어, 아이디어 발상 단계부터 보다 쉽게 접근해 활용할 수 있는 발상법을 모색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다양한 광고 아이디어 발상법을 살펴보았고, 언어적 연상에 의한 아이디어 발상법이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Morton Garchick(1999)의 연상사고의 확장과 결합을 통한 창의적 시각적발상법인 ‘CVT(Creative Visual Thinking)시스템’ 발상법을 토대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3단계(연상단계·→결합단계→시각화단계)의 발상과정과 5단계 프로세스로 재정리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대한민국 공익광고공모전 인쇄광고 수상작중 학생작품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CVT시스템’ 발상법을 통해 시각적 아이디어 발상과정의 단계를 해석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익광고는 주제와 컨셉이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어 주제를 세분화 하는데 용이하였다. 각 각의 세분화된 주제에 따라 연상되는 단어·문장을 목록으로 작성하고, 임의로 연결하여 단어와 단어의 결합, 단어와 문장의 결합을 통해 시각적· 언어적 아이디어를 연상할 수 있었다. 주제와 컨셉이 명확할수록 연상사고의 확장의 폭이 더 넓어질 수 있고, 아이디어의 결합 과정도 단순해 질 수 있으며, 단어·문장을 결합해 비주얼의 형태, 색상, 분위기 등을 고려해 머릿 속으로 시각화할 때 더 명확하게 접근해 나갈 수 있다. 이와 같이 광고의 주제와 컨셉이 명확하다면 연상과 결합에 의한 발상법은 학생들에게 보다 쉽게 접근해 활용할 수 있는 발상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CVT 발상법’은 광고수업에서 학생들이 시각적 아이디어 발상과정에서 보다 쉽게 접근해 단계적으로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다. 다만 연상과 결합을 통한 아이디어 발상과 시각화 표현에서 창의적인 비주얼의 결합과 압축을 위한 표현 감각은 학생들의 개인적인 노력도 함께 뒷받침 되어야 할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