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어날 일은 일어난다: 영화 <테넷>의 반복, 앎 그리고 사후성

        손성우(Son, Seong Woo)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89

        영화 <테넷>(the Tenet(2020)>은 자신의 정체성과 욕망에 대해 무지한 주도자가 자신이 누구인지를 각성하고 욕망에 눈을 뜨게 되는 무지에서 앎으로의 욕망의 연대기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화 속의 반복과 앎 그리고 사후성을 통해 텍스트를 독해하려고 했다. 주도자는 테넷으로부터 호명되어 작전을 수행하는데 그는 처음에는 타자인 테넷의 욕망을 욕망하는 소외된 주체다. 테넷의 지령을 전달하는 프리야는 주도자의 무지를 이용하는 미래에 대해 안다고 생각하는 자이다. 그럼에도 주도자에 의해 죽음을 맞을 것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 사토르 역시 안다고 생각하는 자에서 죽을 뻔했다가 살아 돌아온 캣에 의해 죽음을 맞는 무지한 인물이 된다. 닐은 주도자에 대해 너무나도 잘 아는 인물이며 나아가 자신이 죽을 것임을 앎에도 불구하고 행동하는 인물이다. 주도자는 무지한 자에서 자신이 테넷의 창시자라는 사실을 사후적으로 아는 자가 된다. 인버전은 등장인물들이 욕망하는 바를 성취하기 위해 반복을 통해 극을 이끌어나가는 무대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인버전을 통한 반복 속에서 등장인물들의 인식과 욕망의 포지션이 변화한다. 주도자는 자신을 3번이나 구해준 미지의 인물이 닐이라는 사실을 각성한 뒤에야 비로소 자신이 사후적으로 테넷의 창시자라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 The movie Tenet(2020) is chronicle of desire from the ignorance to knowing as the Protagonist who is ignorant about his identity and desire realizes who he is and is awakened of desire. This study is intended to interpret texts through repetition, afterwardsness in the movie. The Protagonist is interpellated by Tenet to execute operation. At first, he is the subject of alienation that longs for the desire of Tenet, who is the other. Priya who delivers commands of Tenet is the one who thinks he knows the future when the ignorance of the Protagonist is used. Nevertheless, he does not know that he would be killed by the Protagonist. Sator is an ignorance character who faces death by Kat who comes back alive after almost being dead by a person who think he knows. Neil is a character that knows the Protagonist very well, and he acts even though he knows he would die. The Protagonist, who was an ignorant person at first, comes to know that he is the progenitor afterward. Inversion is a stage setting that leads the drama for characters to accomplish their desire through repetition. In addition, the recognition of characters and the position of desire are changed in the repetition through inversion. The Protagonist doesn’t recognize he is the progenitor of Tenet until he realizes that the unknown person who saved him three times is Neil.

      • KCI등재

        라캉의 욕망, 응시, 환상 개념으로 접근한 애니메이션 <코쿠리쿠 언덕에서>에 관한 고찰

        손성우 ( Seong Woo Son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3 아시아영화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미야자키 고로(Goro Miyazaki)의 애니메이션 <코쿠리쿠 언덕에서(From Kokuriko Hill)>(2011)를 연구대상으로 삼고 기호학과 라캉(Lacan) 및 지젝(Zizek)의 정신분석학 개념 등을 통해 내포하는 의미를 규명해보려고 한 것이다. 이 작품에서 두 가지 환상적 응시가 각각 ‘깃발’과 ‘사진’을 통해서 우미의 욕망을 자극하거나 억제한다. 첫 번째는 우미의 깃발 올리기로 이는 아버지(대타자)의 응시를 겨냥하며 이를 열망하는 그녀의 환상과 연관된다. 두 번째는 사진 속 세 인물들이 지닌 수수께끼 같은 응시에 대한 착각-환상이다. 우미와 슌의 아버지가 같으며 그들이 친남매라고 말하는 듯한 환상적 응시가 그들을 불편하게 만든다. 우미는 아버지(대타자)의 응시라는 환영으로부터 벗어나야 비로소 자신의 욕망을 따르는 사랑을 이룰 수 있다. 우미가 ``환상 가로 지르기``를 통해 아버지(대타자)의 욕망에 의해 빼앗긴 자신의 욕망을 되찾는 과정이 정신분석학적 진실로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작품은 과거와 현재, 미래라는 개인사를 통해 전후 일본사회가 나아갈 바를 은유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The research is intended to have the animation <From Kokuriko Hill> (2011) by Goro Miyazaki as a subject and investigate the contained meaning through psychological analysis concept of Zizek and Lacan and semiology. Two fantastical gazes, through ``a flag`` and ``a picture``, stimulate or curb the desire within Umi. First is raising the flag by Umi and this is aimed for gaze of the father (the big Other) and make connection to her fantasy that she desire desperately. Second is the illusion fantasy on mysterious gaze of three people in the picture. Fantastic gaze that suggests Umi and Shun has same father and they are siblings make them uncomfortable. Umi has to break out from the illusion of gaze of the father (the big Other) in order to conquer love that fulfills her own desire. It was psychological fact that the process of Umi recovering own desire that was taken by father`s(the big Other) desire through ``traversing the fantasy``. In conclusion, it seemed that this work is expressing the direction of Japanese society metaphorically through a personal history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위험사회와 실재의 윤리

        손성우(Seong Woo Son),서상호(Sang Ho Seo) 한국언론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2 No.2

        본 연구는 위험에 대한 사회적 방어기제를 다룬 영화〈빌리지〉(The Village, 2004)와〈마이너리티 리포트〉(Minority Report, 2002)의 텍스트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위험사회이론과 실재의 윤리가 공유하는 함의와 차이점을 파악하려고 했다. 두 텍스트의 시간과 공간 유형, 위험에 대한 역설적 방어구조, 위험이 사회에 일으키는 균열과 봉합 등을 상상계(the Imaginary), 상징계(the Symbolic), 실재(the Real)의 측면과 기타 라캉 이론 및 개념 등을 활용해 분석했다. 그리고 영화 텍스트에서 발견되는 위험에 대한 방어 및 관리 유형을 위험사회이론 개념을 통해 읽어 내려고 했다. 이 영화들에서 두드러진 위험의 문제는 ‘억압된 것의 회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이는 ‘위험사회’의 위험 개념과 연관되는 측면이 있었다. 즉, 귀환하는 위험이란 계산 불가능한 일종의 실재적인 것이며 그 존재 여부를 알 수 없지만 통제해야 한다는 역설적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두 영화에서 위험에 대한 예방적 통제는 도리어 역설적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통제는 공동체를 폐쇄적 상징계의 원칙에 철저히 종속시켜 억압할 뿐 아니라 긍정적 변화를 차단하는 새로운 위험으로 작용한다. 그런데 위험이 내포하는 바는 실재적인 것으로서 상징계를 뒤흔들어 놓지만 한편으로 새로운 변혁의 길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위험사회이론이 사회의 근본적 변화를 꾀하지 않는다는 점에서〈빌리지〉와 가깝다면, 실재의 윤리는 보다 급진적이라는 점에서〈마이너리티 리포트〉와 유사하다는 차이를 보인다. This study apprehends the significant meaning and the difference, which are shared risk society theory and ethics of the Real by Lacan-Zizek in comm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wo films; The Village(2004), which is dealing with the matter of social defense mechanism about risk, and Minority Report(2002). Time and space materiality of two film texts, paradoxical defense structure on Risk, cracks and sutures occured by Risk are analyzed by using Lacanian theories such as 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Also types of management and defense about risk, which can be discovered in the movie texts, are explained through risk society theory. The most remarkable problem of risk can be summarized as ‘return of the repressed’. It is also related to concept of ‘Risk’ of ‘Risk society’. Risk are real and immeasurable. The results are paradoxical in that it is sought to be controlled without knowing whether it actually exists or not. Preventive control over risk in the two films, on the contrary to our expectation, results in a paradoxical outcome. Therefore, control subjugates community to the principle of the Symbolic and serves as a new risk that restrain positive changes. While unsettling the Symbolic by connoting the property of the ‘real’, risk points to an innovative path forward. The subject should act upon the ethics of the Real which is not subordinated to the Symbolic. As a result, ‘the theory of risk society’ is similar to The Village because they both never consider drastic reform of the society. And ‘ethics of the Real’ has a strong resemblance to Minority Report because it is more radical.

      • KCI등재

        영화 〈아바타〉와 지각의 문제에 대하여

        손성우(Son Seong Woo) 한국영화학회 2010 영화연구 Vol.0 No.44

        With brand new image technology, computer graphics and watching method, the movie, 'Avatar (2009)' became the talk of the town even after several months after its release. From its theme to how the movie is experienced and perceived, Avatar centers on an ambiguous concept of the 'body', and this paper will attempt to study and discuss focusing on this aspect. In the narrative structure of Avatar, the main protagonist's subject of desire is the personal issue of 'leg recovery' and this coincides with the desire of humanity in resources. Put blunt, to Jake Sully, the main protagonist, the story revolves around his journey in which, from his deficient or injured body, his soul-emotion is transferred into another where he finds his existence gratified. While the 'body' serves as the target of his desire which motivates Jake to act, by sacrificing this desire for a new body for the sake of the Navi people, in the end, he is reborn as avatar itself. (In other words, he acquires a new body.) This is basically what is at the heart of Avatar's story. In addition,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of the body is divided into monism and dualism. The body seen through the view that mind and body are one, as opposed to the view that mind and body are antagonistic of each other, is referred as a 'phenomenological body'. According to E. Husserl, the body is naturally inherent and therefore non-transferable, forming the view that it is one's own. One's own body is not the target of the world but the target that is formed within the consciousness. Furthermore, we encounter the world with the point of contact of the body. M. Merleau-Ponty, who was influenced by Husserl, thought that the main agent holding the body is an agent of experience that is thought and perceived as an existence opened through the world. To him, the body is the main agent of perception as well as a tunnel connected to the world and that it holds significance in how we come in contact with the world through the body. Such phenomenological or post modem view related to the body can be found in the movie script and the way it is watched. Furthermore, the avatars in the movie serve as a sort of a medium for negotiating between humans and the Navi; it exists as a new medium that transcends the human bodily limits. The avatar exists as a 'gap' between these two races, humans and the Navi. In other words, the avatar is a 'seat of vector' between the two races.

      • KCI등재
      • KCI등재

        영화 〈버닝〉: 주체의 욕망이 상연되는 팬터마임-환상의 무대, 그리고 트라우마

        손성우(Son, Seong Woo) 한국영화학회 2018 영화연구 Vol.0 No.77

        영화 〈버닝〉은 타자의 욕망을 욕망하는 종수가 타자인 해미의 눈으로 만들어낸 환상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라캉에 의하면 사랑과 욕망은 주체의 환상이 만들어낸 것으로 내 눈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타자의 눈이 만들어낸 것이다. 타자에 의한 욕망을 종수가 욕망했고, 타자를 통해서 형성된 환상이 종수가 어린시절, 집을 떠난 어머니와 사라진 해미를 동일시했다. 뿐만 아니라 가출한 어머니의 옷을 태우게 한 아버지와 방화가 은밀한 취미인 벤을 종수는 동일시했다. 그 결과는 벤에 대한 종수의 살인과 방화라는 파국에 이른다. 영화 마지막의 종수가 자신을 옷을 벗어 태우는 방화 장면은 어릴 적 어머니 옷을 태운 트라우마의 반복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타자의 욕망이 상연되는 환상의 무대를 보여주는 욕망과 트라우마, 그리고 추적의 드라마이다. 그런데 이창동 감독 작품세계의 전체 맥락에서 봤을 때, 〈버닝〉은 개인의 고통과 갈등을 그린 것을 넘어 우리 사회를 은유하는 작품으로 읽혀진다. 즉 압축적 근대화와 신자유주의의 침입은 우리사회에 쉽게 치유되지 않는 트라우마와 비극을 남겼으며 〈버닝〉에서 반복강박과 타자에 대한 욕망의 모습 등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사회적 맥락에서 〈버닝〉은 오늘날 현실에 새겨진 뿌리 깊은 트라우마뿐 아니라 사회계층 간의 봉합할 수 없는 간극과 차이 또한 암시한다. 나아가 자신만의 장소가 없는 삶에 배고픈 자들의 뿌리 뽑힌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Movie <Burning> is a story about fantasy that Jongsoo, who desires Other’s desire, created through a view of Haemi. According to Lacan, love and desire are invented by fantasy of subject, made by Other’s eyes which took his own eyes. Jongsoo desires Other’s desire. Also his fantasy, made by Others, identifies Haemi with his mother who left home when he was young. Besides, he identifies Ben, whose secret hobby is arson, with his father who made him to burn clothes of mom who ran away. As a result, it ends to murder and arson of Jongsoo taking aim with Ben. Ending scene, which Jongsoo takes all his clothes off and burns them all, can be regarded as a repetition of his trauma which reminds him of memory that he burned his mother’s clothes. This movie can be regarded as a drama of desire, trauma and chase, showing the fantastic stage presented the stage of fantasy. However, in the context of the whole world of films of Lee Chang-Dong, 〈Burning〉 is regarded as a metaphor of our society beyond representing personal torture and conflicts. In other words, invasion of compressed modernization and neoliberalism left irreparable trauma and tragedy in society. In 〈Burning〉, it is embodied as a repetition compulsion and a desire to Other. In social context, 〈Burning〉 implies deep-rooted trauma in reality as well as unrecoverable gap between social classes. Furthermore, it reveals that rooted out features of hungry people without refuge.

      • KCI등재

        영화 〈인셉션〉에 나타난 타자의 욕망과 소외, 애도에 대하여

        손성우(Seong-Woo S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3

        본 연구는 영화 〈인셉션〉의 텍스트 분석에 초점을 맞춰서 서사구조 및 행위자들의 관계 등을 분석하고 등장인물들이 욕망하는 바를 찾아내고자 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주요등장인물인 피셔 주니어와 도미닉 코브, 멜을 분석해보면 주체 자신의 욕망이 타자의 욕망에 의해 소외되거나 주체가 트라우마에 빠져있거나 애도하지 못함을 통해 욕망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런 타자의 욕망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만의 욕망을 되찾는‘분리’의 과정이 영화에서 얘기하는‘인셉션’과 상통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인셉션의 대상인 로버트 피셔 주니어와 인셉션을 행하는 인물인 도미닉 코브는 애도를 통해 죽은 자에 대한 상징적 죽음을 완수해낸다(그 이전의 코브의 경우 부인 멜을 애도하지 못함으로써 그녀는 꿈속에서 계속 귀환해서 인셉션 작업과정을 방해한다. 또 피셔 주니어의 경우 아버지 피셔의 욕망의 그림자 안에 갇혀 아버지처럼 되려 하지만 되지 못하는 불만족한 상태에 처해 있었다). 결국 이 둘은 사랑하는 대상에 대한 상징적 죽음선언과 아울러 타자의 욕망이라는 그림자로부터 벗어나 자신만의 욕망을 찾아내게 된다. This study, focused on analysis of texts, identifies what the main characters desire and how they are entangled with each other by analyzing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relationship of actants in movie 〈Inception〉. And followings are results of the study. By analyzing three main characters; Robert Fischer Jr., Dominick Cobb, and Mal, it can be found that desire is not working properly due to the alienation of the subject’s own desire from the Other’s desire, the trauma of the subject, and the disability for mourning. Also, a process of a seperation which retrieves one’s own desire from Other’s desire has something in common with‘Inception’ in the movie. Robert Fischer Jr., the target of inception, and Dominick Cobb, the central character who carries out inception, share a commonality as they both complete symbolic deaths for the dead through mourning(Since Cobb was in capable of mourning her, his wife, Mal constantly returns to his dreams interrupts the working process of Inception. Besides, Fischer Jr. was not satisfied with himself because he could not be able to meet his desire to achieve just as his father did). In the end, those two people declare symbolic death on the object of love, and find out their own desires aside from shades of Other’s desire.

      • KCI등재

        라캉 정신분석학을 활용한 영화 <도가니>의 담론 형성 및 사회적 실천에 대한 분석

        손성우(Seong-Woo S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4

        본 연구는 영화 <도가니>가 미디어 담론을 형성하고 법과 제도를 정비하는 사회적 실천들을 추동시킨 점에 주목하였다. 우선 영화 텍스트 <도가니>의 영상의 동일시 기제를 파악하고, 이로부터 파생한 미디어 담론들을 분석하였다. 이어 영화와 담론으로부터 법, 제도 개선에 이르는 일련의 사회 현상을‘도가니 현상’으로 명명하고. 이에 대해서는 라캉(Lacan)의 정신분석학 개념 및 이론을 적용해 심층적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했다. 분석결과 영화 <도가니>는 관객으로 하여금 법, 제도 개정에 이르는 실천 행위를 이끌어내는 동일시 기제를 내포하고 있었다. 이로부터 생성된 담론은 이항 대립적 가치적용을 통해 법과 제도의 개선을 촉구하고 있었다. 그리고 우리 사회의‘도가니 현상’은 관객으로 하여금 사회적 환상을 통해 영화가 부여한 과제를 욕망하게 하는 의미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새로운 법, 제도는 주체를 도외시한 형식적 규범의 틀이기에, 또 다른 소외와 무지를 낳는 이데올로기로 작용하고 있었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fact that movie 〈Silenced〉formed media discourses and promoted social practices that organized law and institution. First, it understood the identification mechanism of the image of movie text 〈Silenced〉, and analyzed the media discourses that were derived from it. Next, the paper named a series of social phenomenon, which were the revision of the law and institution from the movie and discourses, as a ‘Silenced Phenomenon,’ and sought to draw an in-depth implication by applying Lacan’s psychoanalysis concept and theory on this. The analysis result demonstrated that movie 〈Silenced〉connoted an identification mechanism that drove the audience to carry out the practice behavior of the revision of the law and institution. The discourses created from this were urging for the revision of the law and institu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dichotomous value. In addition, the ‘Silenced Phenomenon’ of our society had a meaning that it made the audience desire the task given by the movie through a social illusion. However, since a new law and institution were the frame of a formal standard that disregards the subject, they were acting as an ideology that caused another alienation and ignorance.

      • KCI등재후보

        영화 프레임 속 동결된 호흡, 사진에 대하여: 존재, 부재 그리고 유령으로서의 영화 속 사진에 관한 고찰

        손성우 ( Son Seong-woo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6 아시아영화연구 Vol.9 No.1

        영화 속에 등장하는 사진이라는 기호를 ``존재, 부재, 존재의 유령적 출현``이라는 세 측면에서 파악하는 게 본 연구의 목적이다. 첫째 ``존재 증명으로서의 사진``은 < 괴물(The Host, 2006) >에서 주체를 호명하는 이데올로기적인 특성과 연관된다. < 마이너리티 리포트(Minority report, 2002) >에서는 사진을 포함한 이미지가 존재 증명과 아울러 상상계(the Imaginary)적 기만의 속성을 지닌다. < 폴링다운(Falling Down, 1993) >에서는 이미지의 과장으로, < 올드보이(Oldboy, 2003) >에서는 존재 증명과 폭로의 기제로 사진이 등장한다. 두 번째 ``부재로서의 사진`` 으로 < 8월의 크리스마스(Christmas In August, 1998) >는 응시(gaze)로서의 사진을 보여준다. < 로드 투 퍼디션(Road to Perdition, 2002) >에서 사진은 라캉(Lacan)이 얘기하는 두 번째 죽음, 즉 상징적 죽음(symbolic death)을 의미한다. < 모든 것이 밝혀졌다(Everything Is Illuminated, 2005) >에서 사진은 의미 찾기 및 트라우마와 맞닿아 있다. 또 < 살인에 관한 짧은 필름(A short film about killing, 1988) >은 죽음의 이미지로 사진을 활용한다. < 빌리지(The Village, 2004) >에서는 사진이 부재하는 타자를 환기시킨다. 그리고 < 메멘토(Memento, 2000) >의 사진은 주인공 기억의 부재, 주체(subject) 자신의 욕망(desire)이 부재함을 나타낸다. 세 번째 ``유령으로서의 사진``은 실재와의 섬광 같은 만남을 가리킨다. < 이반의 어린 시절(My Name Is Ivan, 1962) >, < 스모크(Smoke, 1995) >를 분석한 결과 실재(the Real), 상상계(the Imaginary), 상징계(the Symbolic)의 경계중심에 대상a로서의 사진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 빈집(3-Iron, 2004) >에서는 유령되기와 사진을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이상을 요약하자면 사진은 존재 증명의 도구로서, 상상적 대상으로서, 부재를 가리키는 지표로서, 실재로서 우리와 관계 맺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hoto, the sign in the movie, from the three perspectives of the ``ghostly appearance of existence, absence, and existence.`` First, the ``photo as the existence proof`` is associated with an ide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interpellation of subject in movie < The Host >(2002). In < Minority Report >(2002), the image that includes the photo has the attributes of existence proof as well as the Imaginary deceit, while photo appears as an exaggeration of image in < Falling Down >(1993), and an instrument of existence proof and disclosure in <Old Boy>(2003). Second, for ``photo as absence``, < Christmas in August >(1998) shows photo as a gaze, whereas photo means the second death Lacan says, i.e. a symbolic death, in < Road to Perdition >(2002). In addition, photo is adjacent to finding meaning and trauma in < Everything Is Illuminated >(2005), and is used as an image of death in < A short Film about killing >(1988). Meanwhile, photo awakens the ``Big Other`` who is absent in < The Village >(2004), and photo represents the absence of the main character`s memory and the absence of the subject`s desire in < Memento >(2000). Third, ``photo as a ghost`` indicates a spark-like meeting with the Real. The analysis result of < My Name is Ivan >(1962) and < Smoke >(1995) shows that photo is in the center of the boundary of the Real, the Imaginary, and the Symbolic as an object (Objet petit a). Finally, photo was examined by associated with becoming a ghost in < 3-Iron >(2004). In summary, photo develops a relationship with us as a tool for existence proof, Imaginary subject, index of absence, and the Re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