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횡류형 수차 적용을 위한 새로운 공기주입법 제안

        손성우(Sung-Woo Son),최영도(Young-Do Choi),김일수(Ill-Soo Kim),신병록(Byeong-Rog Shin),김영준(Young-Jun Kim),이영호(Young-Ho Lee) 대한기계학회 201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0 No.4

        본 연구에서는 횡류형 수차 챔버에서의 공기층 효과와 수차의 내부 흐름에 대하여 연구하고, 새로운 공기주입법을 제안한다. 새로운 공기주입법을 통한 수차의 출력을 측정하는 실증시험을 실시하였다. CFD 해석에서는 이상 유동모델(two-phase flow model)을 이용한 비정상상태의 공기층 효과를 구현한 계산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공기주입효과는 수차의 성능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수차러너를 통과하는 곳에 위치한 공기층은 러너축에서의 충격손실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런너에서의 재순환흐름을 억제한다. 성능향상을 위한 챔버 벽의 공기 흡입구의 위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물과 공기의 유량의 비율은 수차의 성능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ir layer in the turbine chamber on the performance and internal flow of the cross-flow turbine, but also to suggest a newly developed air supply method. Field test is performed in order to measure the output power of the turbine by a new air supply method. CFD analysis on the performance and internal flow of the turbine is conducted by an unsteady state calculation using a two-phase flow model in order to embody the air layer effect on the turbine performance effectively. The result shows that air layer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turbine is considerable. The air layer located in the turbine runner passage plays the role of preventing a shock loss at the runner axis and suppressing a recirculation flow in the runner. The location of air suction hole on the chamber wall is very important factor fo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Moreover, the ratio between air from suction pipe and water from turbine inlet is also significant factor of the turbine performance.

      • 식민지근대화라는 환상과 공산주의라는 증상

        손성우(Son, Seong Woo)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1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Vol.2021 No.11

        식민지근대화론자들의 주장은 전(前) 근대사회와의 단절 및 기원으로서의 근대를 얘기한다. 또 그들은 일제강점기 초기근대는 1960년대 국가-재벌 연계의 근대화 프로젝트의 싹이자 연속성을 이룬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해 정신분석학적 입장에서 논박을 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은 식민지근대화론에 내포된 사회적 환상(social fantasy)과 증상(symptom)을 규명함으로써 한국의 근대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며 식민지근대화론자들의 근대에 관한 욕망을 파악하고자하는 것이다. 먼저 초기근대화와 1960년대 근대화의 연속성은 주체의‘타자의 욕망에 대한 욕망의 연속성’이란 점에서 성립 가능할 뿐이다. 이런 소외된 욕망이 초기 근대의 식민 상황을 대변하며 1960년대 근대화 역시 과거와의 단절이라는 점에서 초기 근대와 유사하다. 그럼에도 이를 연속적인 것으로 볼 수 없는 게 사회적 맥락과 환경(한국전쟁과 열강들의 개입, 국가의 분단, 각종 사회지각변동 등)이 변화했기 때문이다. 또 두 근대(초기 근대와 60년대 근대)를 연속성을 가진 것으로 보는 것은 보편적일 수 있는 현상에 지나치게 역사적 해석을 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재생산하려는 것을 이미 주어진 것처럼 전제를 하는 서사(narrative)일 뿐이다. 반면 역사(history)는 단순한 서사이상으로 급진적이고 단절적이다. 식민지근대화론의 두 근대의 연속성은 서사일 뿐 역사라고 할 수 없다. 역사의 단절은 한국전쟁을 통해서 이전 전근대적 전통사회와의 단절 및 남북분단, 사회구조변동 등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 식민지근대화론자들은 식민지근대화를 근대의 기원으로 보는 한편 반공주의 사상을 고집한다. 이는 환상으로서의 근대와 이에 대한 증상으로서의 공산주의라는 상호함축적인 정신분석학적 관계를 드러낸다. 식민지근대화론자들에게 낙인찍히고 박멸되어야할 대상이 공산주의자가 된 것은 역으로 그들이 칭송하는 1960년대 근대화 작업이 환상에 기초했음을 보여준다. The argument of colonial modernization theorists talks about the severance with pre-modern society and modernity as the origin. They also argue that the early modernity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brings a sprout and continuity of modernization project in the connection between state and conglomerates of the 1960s. This study aims to refute it in the position of psychoanalys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modernity of Korea by examining the social fantasy and symptom implied in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and also to understand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ists’ desire for modernity. First, the early modernization and the continuity of modernization in the 1960s could be validated only in the aspect of subjects’‘continuity of desire related to others’ desire’. This alienated desire represents the colonial situation of the early modernity, and the modernization of the 1960 is also the severance with the past, which is similar to the early modernity. Nevertheless, this cannot be viewed as something continuous because the social context and environment(The Korean War, world powers’ interference, national division, all sorts of social upheavals, and etc.) have been changed. Also, viewing those two modernities(early modernity and modernity of the 1960s) as something with continuity could be excessively applying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to the universal phenomenon. This is just the narrative that premises something that aims to reproduce as something already given. On the other hand, the history is radical and severed more than simple narrative. The continuity of those two modernities in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is not the history, but just the narrative because the severance of history was shown as severance with pre-modern traditional society, national division, and change in social structure through the Korean War. Also,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ists view the colonial modernization as the origin of modernity, and also insist the anti-communist ideology. This reveals the mutually-implicative psychoanalytic relation between modernity as fantasy and communism as its symptom. The communists were stigmatized by colonial modernization theorists as the objects that should be eradicated, which reversely shows that the modernization work of the 1960s they praised was on the basis of fantasy.

      • KCI등재

        경쟁 리얼리티 TV프로그램의 리얼리티 창출 기제와 그 의미에 관한 연구

        손성우(Seong-Woo Son),김동규(Dong-Gyu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2 언론과 사회 Vol.20 No.4

        본 논문은 대표적인 경쟁 리얼리티 TV프로그램인 〈나는 가수다〉 시즌1과 〈수퍼스타 K〉 시즌3 프로그램에 내재된 리얼리티 창출기제의 유형과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라캉과 지젝 등의 정신분석학적 개념들을 준거 틀로 삼아 프로그램 시청자/참가와 출연자들 간의 동일시의 문제, 그들이 각각 차지하는 역할과 인정의 기제, 욕망과 판타지 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 프로그램에는 동일시 메커니즘을 통한 출연자-시청자 각각의 역할 맡기와 인정받기-인정하기라는 주체의 위치와 욕망이 발견되었으며 또 이와 연관되는 대타자의 욕망이라는 전제가 내재하고 있었다. 즉 두 프로그램은 주체의 욕망을 대타자의 욕망, 동일시의 욕망을 통해 구현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었다. 〈수퍼스타 K〉는 참여자와 대타자 간에는 상징적 동일시를, 시청자들은 심사위원과 마찬가지로 참여자를 평가할 자로서의 상징적 동일시와 참여자에 대한 상상적 동일시를 이루고 있었다. 반면 〈나는 가수다〉는 프로가수와 대타자간에는 상징적 동일시를, 시청자는 청중 평가단에게 상상적 동일시를 한다는 점에서 구별되었다. 그러나 프로가수들의 경연 프로그램인 〈나는 가수다〉와 오디션 프로그램인 〈수퍼스타 K〉 모두 프로가수의 사회적 권위상실과 무관하지 않으며 이는 나아가 그들에게 상징적 효력을 부여하는 대타자의 몰락을 함축한다. 대타자의 권위가 사라졌다는 사실은 우리들이 전통적인 의미의 주체가 아닌 선택의 주체가 됨을 의미한다. 이는 곧 두 프로그램이 리얼리티를 기반으로 한 시청자/청중평가단에 의한 선택의 프로그램이라는 사실과 연관된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psychoanalytical mechanism pattern and feature in ‘I’m a singer’ season 1 and ‘Superstar K season 3 which are the most representative reality competition programs in Korea, and tried to find out the common ground and difference between the two. For this, Lacan’s theory and concept were applied to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dentification between the viewers/participants and cast members of program and role of each of them and acknowledgment mechanism, desire, fantasy and so on. As the results, the place and the desire of the subject which were taking a role and achieving recognition-recognizing of between each of cast members-viewers through the equation mechanism were discovered, and the desire of the Other which is the premise involved with this was in these two programs. These two programs have the common ground of realizing the desire of subject through the desire of the other and desire of identification. And symbolic identification existed in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the Other, the viewers had symbolic identification as and appraiser of participants like the judge, and imaginary identification to participants in ‘Superstar K3. On the other hand, in ‘I’m a singer’, symbolic identification existed in between the professional singer and The Other, the viewers had imaginary identification to the audience evaluation group. ‘I’m a singer’ is different in these points from ‘Superstar K3. These two programs, ‘I’m a singer’ which is a competition program of professional singers and ‘Superstar K3 which is a audition program, have to do with the loss of social authority of professional singers, furthermore, it implies fall of The Other which grants symbolic effect to them. The fact that the authority of The Other is lost means that we have became the subject in selection not traditional subject, and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se two programs is the one of choice by the viewers/audience evaluation group based on reality.

      • KCI등재

        영화 〈조커〉의 세 무대: 서사적 아이러니와 실재적 웃음의 관계를 중심으로

        손성우(Son, Seong Woo) 한국영화학회 2020 영화연구 Vol.- No.83

        본 연구는 영화 <조커>를 무대, 서사, 도구와 기제, 배우라는 연극적 관점에서 보고, 이에 대해 정신분석학적 해석을 내려 본 것이다. 서사를 보면 무대는 세 가지로 진전되는 형식을 취한다. 첫째 무대는 아서 플랙의 가정이라는 무대이며, 이는 부재하는 아버지 토마스 웨인을 중심으로 구성된 페니 플랙의 망상적 서사가 지배하는 무대이다. 아서 플랙은 이 무대 서사가 망상과 허위로 구성된 것을 안 이후에 어머니 페니 플랙을 살해한다. 첫 번째 무대는 뒤늦게 알게 된 충격적 사실에 의해 ‘뒤집힌 무대’라 볼 수 있다. 이어 아서 플랙이 진입하게 되는 무대는 머레이 프랭클린 쇼 무대인데 여기에서 아서 플랙은 머레이 프랭클린 쇼 무대 질서를 살인행위를 통해 전복시킨다. 이는 ‘뒤집은 무대’라 할 수 있다. 그 다음 세 번째 무대는 고담 시의 폭동이라는, 두 번째 무대가 확장된 무질서가 지배하는 무대다. 이런 세 무대로의 이행과 서사에는 권총과 (아서플랙-조커의) 웃음, 미디어라는 도구/기제가 개입한다. 이 작품에서 아서플랙-조커의 권총과 웃음은 상징계를 파열시키는 실재적인 것인 반면 일반적인 의미의 웃음은 상징계적인 것으로 작용한다. 상징계적인 것과 실재적인 것 그리고 아서 플랙의 생각과 현실은 서로 어긋나며, 아서 플랙과 살인광대의 표상도 일치될 수 없다. 상징계에 소속된 존재는 아이러니(irony)의 대상(이는 조롱받고 무시당하는 ‘아서 플랙’에 해당한다)이지만, 아이러니스트(ironist)는 초월적 대상이 되는데 그것이 바로 ‘조커’다. This study views the film 〈Joker〉 in the theatrical perspective of stage, narrative, tool & mechanism, and actor, and then makes a psychoanalytical interpretation of it. In its narrative, the stage is developing into three types. As the stage called Arthur Fleck’s assumption, this first stage is dominated by Penny Fleck’s delusional narrative composed focusing on his absent father, Thomas Wayne. After realizing that the narrative of this stage is composed of delusion and falsehood, Arthur murders his mother Penny. The first stage could be viewed as the ‘overturned stage’ by the shocking truth realized belatedly. And then, Arthur enters the Murray Franklin’s show stage. Here, Arthur overturns the order of the stage through murder. The third stage is dominated by disorder, which has been expanded from the second stage of riots in Gotham City. In the fulfillment and narratives of these three stages, a pistol and (Arthur-Joker’s) laughter, and media intervene as the tool/mechanism. In this work, Arthur-Joker’s pistol and laughter are the Real that bursts the Symbolic while the laughter in general meanings works as the Symbolic. The Symbolic, the Real, and Arthur’s thinking and reality are dislocated to each other, and the symbols of Murder clown and Arthur cannot be accorded with each other. Even though a being that belongs to the Symbolic is an object(‘Arthur’ who is ridiculed and disregarded) of irony, an ironist becomes a transcendental object that is ‘Joker’.

      • KCI등재

        기획논문: 독일이상주의와 자유의 문제 : 셸링의 자유개념과 악의 가능성

        손성우 ( Sung Woo So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人文論叢 Vol.71 No.2

        셸링이 1809년에 발표한 「인간자유의 본질에 관한 철학적 탐구」는 자신의 동일철학에 대한 비판 중 그의 이론은 범신론에 불과하고, 따라서 인간의 자유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내용에 대한 반박을 싣고 있다. 이를 위해 그는 자연과 정신이 신 안에서 통일되는 하나의 체계를 제시하면서도 체계와 자유가 양립 불가능하다는 일반적인 선입견과는 달리 오히려 이 체계로부터 자유의 가능성이 도출된다는 것을 밝히고자 했다. 이때 그가 제시하는 신은 세계로부터 초월해 있는 신이 아닌, 자연 속에서 자신을 계시하는 인격으로서의 신이고, 그가 밝히는 자유는 생생하고 실재적인 개념으로서의 자유이다. 그리고 이 자유는 단지 선한 행위를 할 수 있는 능력일 뿐 아니라 악을 선택하여 행할 수 있는 능력까지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셸링의 체계에 있어서 악은 지금까지의 전통처럼 선의 결여라는 소극적인 개념이 아니라 자유의 가능성에 구조적으로 필요한 적극적인 개념으로 이해된다. 악은 인간의 자유를 위해서 오히려 필요한 것이며, 인간 또한 근원적으로 선과 악에로의 가능성을 모두 지니고 있는 존재로 설명된다. 인간은 이렇게 선과 악에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비록 전지전능한 신의 피조물로서 자연의 일부임에도 불구하고 자유로운 존재가 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셸링에게 있어서 고유한 자유의 개념, 즉 악에 대한 가능성으로 드러난 자유의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또한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셸링이 밝히는 체계의 구조를 우선 규명하고 이로부터 자유가 도출되는 과정을 쫓아갈 것이다. 이를 밝히고 나면, 악에 대해 적극적으로 규명하고 있는 셸링의 이론이 윤리학에서 지금까지 간과하고 있던 인간의 악한 행위에 대한 본질적이고 체계적인 설명을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는 점을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인간의 도덕적 행위에 대한 책임이 인간 자신에게가 아니라 체계 자체에게 위임되고 마는 셸링 이론의 한계도 지적될 것이다. Schellings Abhandlung, Philosophische Untersuchungen uber das Wesender menschlichen Freiheit und die damit zusammenhangenden Gegenstande(1809), richtet gegen die Kritik, seine Identitatsphilosophie sei bloß einPantheismus, der keinen Platz fur menschliche Freiheit anbiete. Er versuchtnun hier ein System zu begrunden, in welchem Geist und Natur in Gottvereinbart sind. In diesem System ist auch die Freiheit der Menschen begrundet,weshalb das System und die Freiheit nicht unkompatible sein sollen. Schelling deutet Freihiet als das Vermogen, das nicht nur das Gute zu begehrenund tun, sondern auch das Bose. Damit erreicht Schellings Theorieihren eigentumlichen Hohepunkt in der Philosophiegeschichte, die bisherdas Problem des Bosen vernachlaßgt hat. Das Bose ist nun als ein positiverBegriff sogar notwendig fur die Moglichkeit der Freiheit. Dank dieserZwiefaltigkeit sowohl zum Guten, als auch zum Bosen eigentlich ist derMensch frei, obwohl er als ein Geschopf vom Gott im ganzen System notwendigverbunden ist. Die hier vorliegende Arbeit mochte untersuchen, wie der Freiheitsbegriffbei Schelling als Moglichkeit zum Bosen bestimmt wird, und ob dieseBestimmung gerechtfertigt werden kann. Zu diesem Zweck muss zuerst dasin Freiheitsschrift erlauterte System analysiert und rekonstruiert werden. Erstdanach wird es sichtbar, ob und wie Schellings Philosophie eine uberzeugendeErklarung uber die Freiheit und das Bose anbiete. Zugleich aber wird esdeutlich, dass in Schellings Theorie die Verantwortlichkeit des Menschen,die den eigentlichen Kern der Moral bildet, nicht beim Menschen selbst,sondern im System zu suchen ist.

      • KCI등재후보

        도착적 근대, 물신으로서의 제22회 아시아 영화제

        손성우 ( Son Seong-woo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7 아시아영화연구 Vol.10 No.1

        본 논문은 신문 및 잡지 기사, 국가기록원 기록물 등을 바탕으로 1976년에 개최된 제22회 아시아 영화제가 가지는 의미구성 방식, 중심이 되는 기제, 내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시아 영화제에 관한 기사들은 근대적인 것과 전근대적인 것이라는 프레임을 통해서 당시 영화제를 바라보고 있었다. 그리고 아시아 영화제가 국내 영화산업의 침체성을 타개할 도약의 기회이자 우리 영화를 인정받을 수 있는 무대로 파악하고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영화제를 통해서 한국 사회의 발전과 근대성을 인정받고자 하는 욕망이 투영된다. 또한 아시아 영화제는 타자의 응시를 겨냥한 스펙터클로서 전근대성을 극복한 근대라는 물신적 환상이라는 함의를 담고 있다. 제22회 아시아 영화제는 영화제 개최를 통해서 국가의 발전을 외부에 전시하고, 영화제 시상을 통해서 한국영화의 발전을 보여주는 한편, 70년대 영화시장 침체를 탈피하고자 하는 복합적인 목적을 가진다. 이 행사가 개최된 부산은 국가의 근대성 전시를 위한 하나의 모델로 활용되었다. 결론적으로 제22회 아시아 영화제는 타자의 응시를 겨냥하여 전근대적인 한국 사회 내부는 비가시화하고, 근대적인 모습을 외부로 전시하고자 하였다. Based on news and magazine articles, National Archives Records, etc,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out a way of construction of meaning, the center of mechanism and what it involves through the 22th Asian Film Festival which was held in 1976. It can be found out that articles on the Asian Film Festival view it through two frames; modern one and pre-modern one. Also, the Asian Film Festival can be regarded as a chance to way out the doldrums of domestic movie industies and as a springboard of domestic movies to be recognized. In other words, through the Asian Film Festival, there were desires for to be acknowledged modernity and developments of Korean society. In addition, the Asia Film Festival can be considered as a spectacle aimed at a gaze of Other, and contains the implication of a fetish fantasy which means modernity overcomes pre-modernity. As a result, the 22th Asian Film Festival revealed the growth of nation on the outside. Also, through awarding, it showed developments of Korean movies. Besides, a purpose to break from the doldrums of Korean movie industries in 1970's had exposed through this Asian Film Festival. It can be recognized that locality of Busan has been applied as a model for a purpose of putting its modernity on display. In conclusion, the outside can be considered as a modern Film Festival which exhibited modernity, although the inside of Korean society aimed a gaze of Other can be seemed pre-moder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