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정재 사(詞)동작의 이론적 토대 마련과 실기방안 연구

        손선숙 한국무용기록학회 2007 무용역사기록학 Vol.12 No.-

        본 논문은 정재에서의 사(詞) 동작을 효율적으로 교육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50여 정재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내용을 추출하는 방법과 실행하는 구조를 정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려사』·『악지』·『악학궤범』·『정재무도홀기』와 의궤의 정재도를 통합 비교하여 선모의 치어와 좌우협무의 창사로 한정하여 수법과 보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정재는 동·서·남·북·전·후·좌·우·내·외 등의 기본구조에 의해 내용들이 중복·반복되고, 일률적으로 진행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선모와 좌우협무의 사 동작은 무원들마다 엄격한 구분이 있었다. 사 동작의 수법에 있어 선모는 우수에서 좌수로 들고, 좌우협무는 외수에서 내수로 들었다. 사 동작의 족법에 있어 선모는 우족에서 좌족으로 들고, 좌우협무는 내족에서 외족으로 들었다. 실행관점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을 기준으로 한 우수와 좌수, 그리고 외수와 내수인가이다. 이에 대해 살펴보았을 때 선모는 자신을 중심으로 한 오른손과 왼손이고, 좌우협무는 무(舞), 혹은 무대 가운데를 중심으로 한 외수에서 내수로 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재 사동작의 수법과 보법은 무원들마다 진행하는 순차가 다름을 알 수 있었고, 선모와 좌우협무가 사 동작을 실행하였을 때 무원들마다 사 동작이 서로 엇갈리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 이러한 사 동작이 정재 공통으로 적용되는 내용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a scheme of how to derive comprehensive contents from approximately fifty jeongjaes and establishing a structural practical program for the purpose of efficiently educating movements represented in jeongjaes. An integrated comparison of euigwe儀軌 jeongdaedos in GoryoSa akji 『高麗史』 「樂志」, AkhakGwebeom 『樂學軌範』, JeongjaeMudoholgi 『呈才舞圖笏記』 led to draw conclusions from an investigation of classified techniques and gaits by confining its scope to seonmo仙母 chieo致語 and symmetrical hyeopmu挾舞 changsa唱詞, as follows: The jeongjae is characterized by showing overlapped contents by the basic structure based on four cardinal points of the compass, vertical and horizontal contexts, and the interior and exterior relations, as well as by progressing uniformly. On the basis of these characteristics, there existed a clear distinction among dancers' movements to meet the requirement for the movements of sa詞 in seonmo and symmetrical hyeopmu. As far as the movements of sa are concerned, seonmo holds up the left hand instead of right one, while symmetrical hyeopmu the exterior foot instead of the interior one. When it comes to foot movements in sa, seonmo raised the left foot instead of the right one, whereas symmetrical hyeopmu the exterior foot instead of the interior one. What is of much significance from the perspective of implementation may be the problems of which hand, the right or the left, and which hand, the interior or the exterior, a dancer has to use and on what standards. A close investigation of this matter indicates that seonmo takes the right or the left hand centering around the posture of the dancer herself, while symmetrical hyeopmu the interior instead the exterior hand centering around the dance herself or on the bassis of the center of the stage. Techniques and gaits in jeongjae sa represent different orders of progression with dancers, and dancers perform incongruous movements when seomo and symmetrical hyeopmu are played at the same time. What is important above all is that these sa movemnts are applied to all jeongjaes in comm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포구락무도(抛毬樂舞圖)와 홀기(笏記)의 연관성(聯關性) 연구(硏究)

        손선숙 한국무용기록학회 2005 무용역사기록학 Vol.8 No.-

        본 연구는 포구락무도의 신빙성 여부를 위해 의궤와 홀기의 정재 내용을 서로 비교·분석한 결과 무도 내용이 문헌을 근거로 제시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무도와 홀기 모두 포구희와 관련된 기록이었고, 서로 연관성이 있는 항목들은 무 배열·무원수·봉화·봉필의 위치·춤동작 등 세부적인 것과 좌우대의 진행에 관한 사항들이다. 특히 춤동작에 있어 농구무는 홀기에서 이해하기 어려웠던 동작을 무도에서 확인하였다. 홀기는 춤과 관련된 모든 전반적인 내용들을 정재용어로 함축하여 기록하고 있어 용어의 연결만으로는 실제의 동작과 진행 등을 자세히 알 수 없다. 반면 무도에서는 사실적 정황들을 구체적으로 그려놓아 단순히 그림으로서의 역할이 아닌 보다 심도 있는 내용을 후세에 알리기 위한 치밀한 계획에 의한 것으로, 홀기와 무도는 서로의 단적인 기록을 상호·보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의궤의 무도는 벽화처럼 단순히 추상적인 내용이 아닌 보다 사실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으로 기록되어 앞으로 정재를 실행하는데 보다 효율적이고 실리적인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무도에 여러 내용을 함께 그려놓은 이유는 포구락에서 중요한 포구희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여러 형태의 춤동작을 다양하게 제시한 것을 알 수 있다. 무도의 실제 동작은 알 수 없겠으나 이런 세세한 부분은 현재 전승되어지고 있는 현행 포구락을 기점으로 다시 비교 검토한다면 그 내용을 유추해 낼 수 있으리라 기대할 수 있겠다. The result of having compared and analysed the contents of jeongjae in euigwe and holgi to clarify the reliability of pogurak mudo, shows that the contents of mudo was suggest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It was found that both mudo and holgi are related to poguhee, and that items related include the formation of dancing, the number of dancers, the locations of bonghwa and bongpil, movements of dancing, their details, progression of the right and the left formations, etc. In particular, when it comes to the movements of dancing, such nonggumu movements as were hard to be understood in holi were identified in mudo. Holgi records by implication all the contents related to dancing with jeongjae terms, and so the practical dance movements and progression cannot be clarified merely with the combination of terms. On the other hand, it seems that the concrete description of realistic circumstances in mudo was based on a carefully thought-out plan to make its depth contents known to posterity beyond the explanation of roles simply with pictures. Holgi and mudo may be said to play a mutually complementary role in their fragmentary records. It was found that the records of mudo in euigwe consist of realistic and concrete contents, not of simply abstract contents as in a fresco, and that they contain in themselves efficient and utilitarian values in performing jeongjae in the future. The reason why many contents were painted in mudo may be ascribed to the intention to suggest a variety of dance movements in order to transmit the contents of important poguhee in pogurak. The practical movements in mudo seem not to be able to be caught clearly but their detailed contents are expected to be analogized if they are carefully compared and reviewed again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pogurak that is now being transmitted.

      • KCI등재후보

        조선초기 죽간자의 기록유형

        손선숙 한국무용사학회 2013 한국무용사학 Vol.0 No.14

        Jukganja(竹竿子) not only indicates a ceremony item used in dangakjungjae but also the dancers who hold it during the performance. When court jungjae is divided into 3 parts of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the jukganja appear only in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 part. Their appearances and roles are limited and their roles are recorded briefly as mujin and mutwae.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types of description for the jukganja that appear in Akhakguebeo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jukganja appear and exit both in the introduction and in the conclusion to call the signals and after the signal, two dancers move along side by side. Second, the position where they call the signals is in the north. In the case of jungjae for which mugu is used, they position themselves either on the both sides of the dancers or to the south of mugu. Third, the position that the jukganja retreat to after they call the signals both in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 is outside hyeopmu. Forth, when the jukganja advance to call the signals and retreat after the signal, they move between the dancers. Fifth, in the conclusion part the jukganja proceed in two steps of mujin. In the first step, they do mujin to make a pause in front of the dancers just before calling the exit signal, and in the second step they advance to actually call it. Sixth, when the jukganja do mujin to call the signal and retreat after that, the dancers do mujin and mutawe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examination on the records on the jukganja in Akhakguebeom,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oceedings of mujin and mutwae according to different versions of jungjae. However, most of them share in common that the jukganja do mujin to call the signal and then retreat in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 part and that they do mujin and mutwae to the north and south. It is found through the study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oceeding between the introduction and conclusion and that the jukganja proceed in five separate steps, mujin(calling the signal) -mutwae -step 1 mujin -step 2 mujin (calling the signal) -mutwae. 본 연구의 목적을 조선 초기 죽간자(竹竿子)의 기록유형을 살피기 위하여『악학궤범』을 중심으로 살폈을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죽간자가 도입부와 종결부에서 구호를 부르기 위해 혹은 구호를 부른 다음 물러날 때에는 두 사람이 나란히 서서 이동하였다. 둘째, 죽간자가 구호를 부르는 위치는 북쪽이었으며, 무구를 사용한 정재에서는 무구의 양옆 혹은 무구의 남쪽이었다. 셋째, 도입부와 종결부 모두 죽간자가 구호를 부르고 물러난 다음 서는 위치는 협무바깥쪽이었다. 넷째, 죽간자가 도입부와 종결부에서 구호를 부르기 위해 혹은 구호를 부른 다음 물러날 때에는 무원들 사이로 이동하였다. 다섯째, 종결부의 죽간자 무진은 2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는데, 무진(1)은 춤을 마친 다음 죽간자가 퇴구호를 부르기 전 무원들 앞에 잠깐 서기 위해 무진하는 것이고, 무진(2)는 죽간자가 실제로 퇴구호를 부르기 위해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여섯째, 죽간자가 구호를 부르기 위해 무진할 때와 구호를 부른 다음 물러날 때 무원들이 무진․무퇴를 동시에 하였다. 이상과 같이 『악학궤범』에 기록된 당악정재 14종과 향악정재인 <봉래의>의 죽간자의 내용을 살폈을 때 몇 가지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정재마다 무진․무퇴의 진행이 상이하였지만 도입부와 종결부에 죽간자가 무진하여 구호를 부르고 무퇴하는 것이 같았고 북쪽과 남쪽으로 무진과 무퇴한 것이 대부분이었고 정재의 공통된 기록이었다. 무엇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입부와 종결부의 진행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죽간자의 전체 진행이 ‘무진(구호) - 무퇴 - 무진(1) - 무진(2: 구호) - 무퇴’등 5단계로 구분하여 이동한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협무[무용수] 6인 구성 정재의 정재도 연구

        손선숙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5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1 No.4

        본 연구는 무용수 6인으로 구성된 정재에 나타난 대형과 춤 구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의궤에 수록된 <고구려무>, <망선문>, <박접무>, <사선무>, <연화무>, <영지무> <첩승무>, <최화무>, <춘광호>, <춘대옥촉>, <향령무> 정재도의 내용을 홀기와 비교 검토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무용수 6인 구성의 정재도는 무용수 구성이 온전히 협무 6인으로 된 것과 작선․집당․보등․집연화로 역할을 구분하여 구성되었다. 이들 정재는 협무로 구성되었지만 무구의 사용으로 인하여 전대(前隊)와 후대(後隊)로 역할이 구분되어 협무와 함께 대형을 이루며 춤추는 것이 기존의 정재와는 진행에 차이를 보인다. 뚜렷한 역할이 주어진 무용수로서 춤 구성의 일원으로 참여하고, 배열 위치 또한 협무와는 구별되어 협무와 함께 대형을 구성하며 추는 새로운 춤 양상이 나타났다. 정재도마다 1가지 대형을 제시하였는데, <고구려무>는 2대 좌우대형, <망선문>․<사선무>․<영지무>․<춘대옥촉>은 전후대형, <박접무>․<첩승무>․<춘광호>는 전후좌우복합대형, <최화무>는 일렬대형, <연화무>는 산작화무대형, <향령무>는 품자대형이다. 협무 6인으로 구성된 정재에 나타난 정재대형은 일렬대형․전후대형․2대 좌우대형․산작화무대형․품자대형․전후좌우복합대형이다. 일렬대형․전후대형․2대 좌우대형은 기존에 사용하던 대형이고, 전후좌우복합대형․산작화무대형․품자대형은 무용수 6인 구성에서 나타난 새로운 대형이다. 정재도를 통해 홀기에 기록된 정재대형과 배열 위치 그리고 북향무․상대․상배하는 춤 구조와 춤사위 형태를 확인하였다. 반면 홀기에 기록되지 않은 내용을 확인하였는데, <춘대옥촉>에서 협무 4인이 보등을 들고 추는 것과 일렬대형에서 북향하여 춤 출 때 팔을 펴든 위치가 대열기준으로 외수(外袖)로 든 것을 <고구려무>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무구[꽃]를 잡은 손이 대형에 따라 다른 것을 확인하였는데, <사선무>는 전대의 협무 2인이 외수로 잡았고, <연화무>는 산작화무대형에서 좌무와 우무가 각각 외수로 잡았다. 그러나 <춘대옥촉>에서는 전대의 3인이 오른손, 후대의 보등 1인이 왼손에 당을 잡아 정재대형에 따라 무구를 잡는 손의 위치가 달라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상대․상배는 무용수와 대열, 그리고 북(北)을 기준으로 하였는데, <박접무>․<첩승무>는 무용수 기준으로 하였고, 북쪽을 기준으로 혹면(或面)․혹배(或背)하는 것은 <춘광호>의 전대 2인과 <고구려무>의 제2대의 좌우무(左右舞)가 남향(南向)한 것을 통해 확인하였다. 대열 중심으로 내향․외향한 것은 <춘광호>에서 확인하였고, 회무(回舞) 또한 외선(外旋)하는 새로운 이동 구조가 만들어 졌는데 <최화무>에서 확인된다. 정재도마다 한 면에 1가지 대형에서 춤추는 내용을 제시하였는데, 의궤에 적게는 1점에서 많게는 12점이 수록되었다. 대부분 무도 내용이 같은 것을 제시하였고, 한 면에 여러 내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재별로 같은 내용을 반복하여 제시하였고 홀기에 문자로 기록된 정재내용의 실제를 확인하게 하고 혹은 기록되지 않은 내용까지 반영하고 있다. A Study on Jeongjaedo of Jeongjae with Six Hyeopmu(Dancers) Son, Seon-Suk* This study compared and reviewed the contents in <Goguryeomu(高句麗舞)>․<Mangseonmun(望仙門))>․<Bakjeopmu(撲蝶舞)>․<Saseonmu(四仙舞)>, <Yeonhwamu(蓮花舞)>․<Yeongjimu(影池舞)>․<Cheopseungmu(疊勝舞)>․<Choehwamu(催花舞)>․<Chungwangho(春光好)>․<Chundaeokchok(春臺玉燭)>, and <Hyangryeongmu(響鈴舞)> that are included in Euigwe[儀軌] to examine the arrangement and the dance composition that Jeongjae(呈才) with 6 dancers;and revealed the following conclusion. Jeongjaedo(呈才圖) with six dancers were distinguished into different roles and divided into the one only with six Hyeopmu(挾舞) and Jakseon(雀扇), Jipdang(執幢), Bodeung(寶燈), and Jipyeonhwa(執蓮花). These Jeongjae(呈才) was composed of Hyeopmu, yet because of the use of Mugu(舞具), dancing with Hyeopmu creating a formation with the roles were divided into Jeondae(前隊) and Hudae(後隊) showed the difference in its progress from the existing Jeongjae. A new dance trend that a dancer given a clear role participating as an element of the dance composition, being distinguished from Hyupmu in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creating a formation and dancing. Each Jeongjaedo presented one formation:2-dae Jwau-daehyeong(二隊左右隊形) in <Goguryeomu>, Jeonhu-daehyeong(前後隊形) in <Mangseonmun>, <Saseonmu>, <Yeongjimu>, and <Chundaeokchok>, Jeonhujwaubokdap-daehyeong(前後左右複合隊形) in <Bakjeonmu>, <Cheopseungmu>, and <Chungwangho>, Illyeol-daehyeong(一列隊形) in <Choehwamu>, Sanjakhwamu-daehyeong(散作花舞隊形) in <Yeonhwamu>, and Pumja-daehyeong(品子隊形) in <Hyangryeongmu>. Jeongjae-daehyeong(呈才隊形) that appeared in Jeongjae composed of six Hyeopmu were Illyeol-daehyeong, Jeonhu-daehyeong, 2-dae Jwau-daehyeong, Sanjakhwamu-daehyeong, Pumja-daehyeong, and Jeonhujwaubokhap-daehyeong. Illyeol-daehyeong, Jeonhu-daehyeong, and 2-dae Jwau-daehyeong were the existing formations and Jeonhujwaubokdap-daehyeong, Sanjakhwamu-daehyeong, and Pumja-daehyeongare the new formations appeared in six-dancer compositions. The Jeongjae-daehyeong,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the dance structure and the dance style formation of the northward dance, Sangdae(相對), and Sangbae(相背) that were recorded in Holgi(笏記) were examined through Jeongjaedo.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that was not recorded in Holgi was examined as well—four hyeopmu holding Bodeung and dancing in <Chundaeokchok> and holding the left hands centered on the lines when dancing northward in the linear formation in <Goguryeomu>. Also, the study revealed that the position of the hand holding Mugu(flower) was different in each formation—the left hands of two Hyeopmu in Jeondae in <Saseonmu> and the Oesu(外袖:outside hands) for Jwamu(左舞) and Umu(右舞) in Sanjakhwamu-daehyeong in <Yeonhwamu>. However, in <Chundaeokchok>, three dancers in Jeondae(前隊) used the right hands and one Bodeung in Hudae(後隊) held Dang(幢) with the left hand, so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the position of the hand holding Mugu for each formation existed. Sangdae and Sangbae centered on the dancers, the lines, and the north, yet <Bakjeopmu> and <Cheopseungmu> centered on the dancers and two dancers in Jeondae in <Chungwangho> centered on the north doing Hokmyeon(或面) and Hokbae(或背) and Jwaumu(左右舞) in the second line in <Goguryeomu> moved Namhyang(southward). It also revealed that the dancers in Naehyang(內向) and Oehyang(外向) in <Chungwangho> centered on the lines and Hoemu(回舞) also created the new moving structure doing Oeseon(外旋) in <Choehwamu>. Each Jeongjaedo presented the dancing content in one type of formation on a page—as few as one and as many as twelve in Euigwe. Mostly the same dance contents were presented and several contents on a page were tried to be presented. The same content was repeated and presented in each Jeongjae, and the reality of the Jeongjae content recorded in letter in Holgi was examined or even the content not recorded was reflected.

      • KCI등재
      • KCI등재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수록된 정재무도(呈才舞圖)의 기록양상(記錄樣相)

        손선숙 한국무용기록학회 2006 무용역사기록학 Vol.11 No.-

        본 연구의 시발점은 홀기의 정재내용 분석 못지 않게 정재무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는데 기인하며, 『악학궤범』 수록된 무도의 내용을 살펴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악학궤범』에는 정재별로 당악정재·향악정재 구분 없이 정재무도를 제시하였는데, '초입배열도'를 비롯하여 '무도'·'무진도'·'시종회무도'·'오방작대도'·'왕모헌도도'·'작대도'·'작대회무도'·'지선무도'·'진무도'·'취풍형무도'·'치화평무도'·'회무격고도'·'회무도' 등이다. 정재마다 다양한 종류의 무도와 함께 여러 명칭을 사용하였지만 무도대형의 형태를 볼 때 일렬대형·좌우대형·전후대형·사방·오방·사우·원[回], 그리고 분산된 대형 등 8가지 유형이었다. 정재마다 여러 종류의 무도를 제시하고, 무도마다 여러 명칭을 사용하였지만 정재대형은 같은데 서로 다른 명칭의 무도명을 사용한 것으로 보아 정재내용에 따라 임의적으로 사용된 것으로서, 고정된 대형의 명칭이 아니라 정재내용에 따른 무도명칭을 사용한 것이다. 『악학궤범』의 무도 내용은 정재대형·이동·위치 및 방향 등으로, 문자로 기록되었고 대형의 형태와 변화과정, 그리고 대열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제시하였다. 정재무도는 여러 의미를 포함하지만 실행관점에 비추어볼 때 정재내용을 정확히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실행에 따른 정재내용의 근거 제시와 홀기의 불완전한 무보의 기능을 완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재무도는 홀기와 기록된 관점은 다르지만 결국 정재내용을 위한 하나의 공통된 기록으로서, 이들은 서로의 내용을 상호·보완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This study was motivated out of the perception that an analysis of the jeongjae (呈才) dance is no less significant than that of the contents of jeongjae in holgi(笏記) The results of an inquiry into the contents of the jeongjae dance inlcuded in 'Akhak Guebeom(樂學軌範)' were shown, as follows: 'Akhak Guebeom' elucidates the jeongjae dance by classified items without distinction of dangak(唐樂) and hyangak(鄕樂), including 'choipbaeyeoldo(初入排 列圖),' 'mudo(舞圖)', 'mujindo(舞進圖)', 'sijonghoimudo(始終回舞圖)', 'obangjakdedo (五方作隊圖)', 'wangmoheondodo(王母獻桃圖)', 'jakdedo(作隊圖)', 'jakdehoimudo (作隊回舞圖)', 'jiseonmudo(地仙舞圖)', 'jinmudo(進舞圖)', 'chuipunghyeongmudo (醉豊亨舞圖)', 'chihwapyeongmudo(致和平舞圖),' 'hoimugyeokgodo(回舞擊鼓圖)', 'hoimudo(回舞圖)', etc. Mudos use many different kinds of mudo and many names but the formation of mudo consisted of eight forms-a straight line, a symmetry, a longitudinal form, a square, a pentagon, a four-corner form, a circle, and a dispersed form. Each of them was named after the contents of their jeongjae, away from its fixed name. The contents of mudos in 'Akhak Guebeom' are described with their jeongjae formation, movement, locations, directions, and so forth, visually manifested formation forms, transitional process, and the location of the formations. Jeongjae mudo has many different meanings to accurately convey its contents especially in the light of its performance, which plays the roles of presenting the source of the contents of jeongjae in performance and of perfecting the imperfect mubo function in holgi. Jeongjae mudo differs from holgi in its viewpoint of record but after all they are all a common record of the contents of jeongjae. It may be said that they have in themselves the reciprocally complementary func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