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부 전남지역 탄광근로자의 직업병 유병율에 관한 조사 연구

        손석준,Son, Seok-Jun 대한산업보건협회 1988 산업보건 Vol.2 No.-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occupational disease in coal mine workers in Chonnam area, a cross 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1,097 workers from September to December in 198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evalence of pneumoconiosis including suspected cases was 6.9% and was increased by age and working duration. 2. The prevalence of pneumoconiosis excluding suspected cases was 2.8%. 3. By the kind of job, prevalence of pneumoconiosis including suspected cases was l2.9% in tunnel drivers, 6.3% in coalface workers and 6.0% in other workers. 4. The prevalence of noise induced hearing loss was 5.1% and was increased by age and working duration. 5. The prevalence of noise induced hearing loss was the highest among tunnel drivers(7.3%), but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kind of job. 6. Occupational disease caused by vibration was not found in coal mine workers.

      • KCI등재

        검은머리갈색찌르레기 (가칭) Acridotheres tristis의 국내 관찰 기록

        손석준(Seok-Jun Son),유재평(Jae-Pyoung Yu),김인규(In-Kyu Kim),김정래(Jung-Lea Kim),강정훈(Jung-Hoon Kang) 한국조류학회 2020 한국조류학회지 Vol.27 No.2

        2020년 5월 21일과 11월 12일 전라북도 군산시 고군산군도의 방축도(35°51΄1.20˝N, 126°22΄30.30˝E)에서 검은머리갈색찌르레기(가칭, Acridotheres tristis)를 관찰하였다. 2019년 7월 11일 검은머리갈색찌르레기의 관찰기록이 있으며, 이번 관찰은 촬영한 사진을 근거로 검은머리갈색찌르레기의 공식 기록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The Common Myna (Acridotheres tristis) was observed in the Bangchuk-do island at the Gogunsan Archipelago, South Korea on 21 May and 12 November 2020. There is an observation record of The Common Myna on 11 July 2019. This is the confirmed report of the Common Myna in the South Korea based on photos.

      • KCI등재

        한국 중서부 지역의 논을 이용하는 조류상

        손석준(Seok-Jun Son),최그린(Green Choi),도민석(Min-Seock Do),남형규(Hyung-Kyu Nam) 한국조류학회 2020 한국조류학회지 Vol.27 No.2

        쌀은 과거부터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가장 중요한 작물이며, 벼가 재배되는 논은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로서도 중요한 기능을 가진다. 한국은 전체적으로 논 면적이 넓게 분포하여 다양한 조류가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 논 이용 조류상에 관한 정보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서부 지역의 논에서 관찰된 조류상의 현황을 정리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중서부 지역의 61개 지점의 논에서 휴식 및 취식 중인 조류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총 44과 144종의 조류가 논을 이용하였다. 그 중 오리과가 가장 많았으며(14%), 그 다음으로 도요과, 백로과, 수리과, 멧새과, 할미새과, 까마귀과, 되새과 등의 순이었다. 논 이용 조류 144종 중 도래시기에 따른 논 이용 조류는 벼 재배기에 33%, 비재배기에 40%, 재배기와 비재배기 모두 관찰된 종은 27%이었다. 또한 관찰된 조류 중 멸종위기종은 약 34.9%이며, 천연기념물 조류는 약 41.3%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중서부 지역 논에 도래하는 조류 군집의 정보 및 특성을 파악하여 서식지로서의 기능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논 이용 조류 현황 조사가 필요하고, 나아가 논의 생태적 특성과 구조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Rice is arguably the most important crop in terms of past effects on global land use and rice field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habitats for various bird species. Although South Korea is know to have a wide range of rice fields and used by various bird species, the actual information on avifauna using rice fileds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the avifauna observed in rice fields in the mid-western region of South Korea is summarized and its characteristics are to be grasped. From 2013 to 2018, the survey was conducted on birds resting and feeding in 61 survey sites in the mid-western region, and a total of 44 families and 144 species of birds used the rice fields. Anatidae was the best represented family, followed by Scolopacidae, Ardeidae, Accipitridae, Emberizidae, Motacillidae, Corvidae, Fringillidae. Among the 144 species of birds used in rice fields, birds used in rice fields according to season were 33% during growing season, 40% during non-growing season, and 27% in all season. In addition, about 34.9% of the birds observed were endangered species, and about 41.3% were natural monuments. In this study,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ies in the rice fields in the mid-western region of South Korea were identified and the function as a habitat was confirmed. It is necessary to survey the current status of birds using rice fields in various areas and study the ecological charateristics of rice fields.

      • KCI등재

        칠산도 노랑부리백로 유조의 이소 후 하절기 행동권

        손석준 ( Seok-jun Son ),오정우 ( Jung-woo Oh ),현보라 ( Bo-ra Hyun ),강정훈 ( Jung-hoon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2

        번식지에서 이소하여 분산한 유조의 이동 패턴과 서식지를 파악하는 것은 개체 보전과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노랑부리 백로는 국제적인 보호종으로 필리핀, 말레이시아, 대만 등지에서 월동하며, 중국, 러시아, 우리나라 서해 무인도서에서 번식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8년도와 2019년도에 영광 칠산도에서 번식하여 이소한 노랑부리백로 유조 총 6개체를 대상으로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를 부착하여 이소 후 하절기 동안 이동 경로 및 행동권 분석을 통해 주요 서식지 이용 양상을 파악하였다. 2018년도에 번식한 노랑부리백로 유조 3개체 중 CE1801 개체는 이소 후 북상을 하다가 다시 영광 백수 갯벌 지역으로 회귀하여 서식하였으며, 나머지 CE1802, CE1803 개체는 태안 지역으로 북상하여 서식하였다. 2019년도의 경우 CE1901개체는 CE1801 개체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으며, CE1902 개체는 완도 지역으로 남하하여 서식하였고, CE1903 개체는 신안 지역으로 남하하다가 다시 영광 백수 갯벌 지역으로 회귀하여 핵심 행동권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노랑부리백로 유조는 하절기 동안 안정적인 서식지를 찾기 위해 서해안 갯벌 지역을 중심으로 폭 넓게 이동을 하였다. 향후 노랑부리백로 유조가 이용하는 핵심 서식지에 대해 개발과 출입을 제한하는 등 서식지 보호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Understanding the migration patterns and habitats of juvenile birds during the post-fledging stage is very important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individuals. The Chinese Egret is an internationally protected species. During the wintering season, they inhabit South-East Asia, such as the Philippines, Malaysia, and Taiwan, and breed in China, Russia, and uninhabited islands on the west coast of Korea. IIn this study, we attached a GPS telemetry tracking device to six juvenile Chinese Egrets breeding on Chilsan Archipelago in 2018 and 2019 to identify habitats by analyzing the home range during the post-fledging stage in the summer season. The individual CE1801 moved north and then returned to the Yeonggwang Baeksu tidal flat area, and CE1802 and CE1803 migrated north and inhabited Taean-gun. In 2019, CE1901 showed a similar pattern to CE1801, and CE1902 migrated southward to the Wando-gun area, while CE1903 moved south to the Sinan-gun area then returned to the Yeonggwang Baeksu tidal flat area, showing KDE 50%.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the Chinese Egret moved broadly around the flat tidal area on the west coast to find a stable habitat during the post-fledging stage. Efforts to protect the habitat, such as limiting the development of this area and restricting human access, are necessary.

      • KCI등재

        식품 산업의 새로운 영역; 반려동물 식품 시장

        손석준(Seok Jun Son),배정민(Jung Min Bae),박상준(Sang-Joon Park),이현정(Hyun Jung Lee),이현순(Hyun-Sun Lee) 한국식품과학회 2017 식품과학과 산업 Vol.50 No.4

        A companion animal is a pet which lives and shares emotions with a person. The global pet industry economy has grown in recent times due to increased awareness of companion animals. In Korea, it grew from 800 million US dollars in 2012 to 2 billion US dollars in 2016, about 2.5-fold growth in five years. Within the pet industry, the pet food market occupies the largest market share having a value greater than 70 billion US ollars globally. In China, the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the pet food industry is estimated at about 30%, and the market size is expected to reach 18 billion US dollars by 2020. The companion food market has potential to be the fastest growing and most viable food market in the future and would be a strategic employment avenue within the food industry. This report articulates the necessity for product development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companion animal.

      • KCI등재

        품종과 수확시기 및 발효조건에 따른 매실의 아미그달린 함량에 관한 연구

        손석준(Seok Jun Son),정영재(Young Jae Jeong),김선영(Sun Young Kim),최지해(Ji Hae Choi),김나영(Na Young Kim),이현순(Hyun-Sun Lee),배정민(Jung Min Bae),김선일(Seon-Il Kim),이혜숙(Hye-Suk Lee),신종섭(Jong Sup Shin),한진수(Jin Soo Ha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6

        본 연구는 품종과 수확시기 및 발효조건에 따른 매실의 아미그달린 및 프루나신 함량분석을 통해 매실에 대한 일부 소비자 인식을 전환하고 매실의 적정 가공원료를 선정하는 것에 과학적인 근거를 설정하고자 진행하였다. 전 품종을 기준으로 매실의 아미그달린 함량은 종자가 과육보다 약 12.8배 높게 함유하고 있었으며, 종자와 과육에서 모두 5월 3일에서 5월 19일 사이 아미그달린 함량이 급격히 증가한 이후, 점차 증가폭이 줄어들었다. 일반적인 가식부인 과육 부분의 경우 선암매 품종이 모든 수확시기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는데, 가장 높은 수치인 34.7 mg(100 g 기준)은 기존 연구의 반수치사량(LD50)이 7,500 mg/kg(ICR계 마우스)이라는 것을 고려한다면 매우 낮은 수치였다. 매실의 섭취 방법 중 하나인 매실청을 제조하였을 때는 150일 이후 아미그달린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아미그달린과 프루나신이 점차 감소하는 데에 비해 매실의 성숙 또는 매실청으로 발효할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기산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아미그달린 및 프루나신 분해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추가로 시판 중인 네 종의 과일에 대해 동일하게 분석을 진행한 결과, 자두와 복숭아, 포도에서도 아미그달린이 검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매실에 존재하는 아미그달린은 매실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존재하는 아미그달린은 발효과정으로 충분히 제거할 수 있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도 매실에 대한 독성사례 보고가 없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그 위험성은 매우 미미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매실의 독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전환하고, 매실에 존재하는 다양한 유효물질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기능성 원료로서의 깊이 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ed to improve customer perception of Prunus mume through analysis of amygdalin contents according to changes in variety, harvest time, and fermentation conditions. Five Prunus mume domestic cultivars were harvested at five harvest times. We compared cyanogenic glucosides in four types of fruits on the market. For amygdalin contents in seeds and flesh of Prunus mume by variety and harvest time, seeds contained higher amygdalin contents than flesh with time. As Prunus mume ripened, both amygdalin contents in seed and flesh increased. However, the rate of increase gradually decreased. For prunasin contents in Prunus mume, we determined that the dramatic increase in amygdalin from May 3 to 19 was due to amygdalin synthesis from prunasin. Moreover, in the case of fermented Prunus mume, we observed lower amygdalin content as the sugar ratio and fermentation time increased until around 90 days, followed by a decrease. Furthermore, we analyzed alteration of organic acids in Prunus mume and fermented solution based on analysis of amygdalin content in four other market fruits. Amygdalin was detected at 252.37±2.3, 22.01±0.31, and 8.75±0.14 mg per 100 g in plums, peaches, and grape seeds, respectively. In flesh of plums and peaches, amygdalin contents were detected at 84.14±0.26 and 7.54±0.06 mg per 100 g,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scientific improvements for consumption and breeding l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