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교육과정(學校敎育課程) 편성운영(編成運營)에 있어서의 학교장(學校長)의 의사결정(意思決定)에 관한 연구(硏究)

        손민호 ( Shon Min-ho ),황익중 ( Hwang Ik-j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4 교육문화연구 Vol.10 No.-

        The 7th Curriculum of Korea is introduced to expand school autonomy in organizing and managing their own curriculum and level-appropriate education that takes into account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students. An attempt to diversify school curriculum which gives local autonomy at Metropolitan and Provincial level to some extent was tried in the 6th Curriculum. This trend is more strengthened in the 7th Curriculum to school level. The 7th Curriculum opens up the era of school-based curriculum management, and here after the school effectiveness greatly depends on the managerial ability of the school principals in curriculum practice. This study, which focuses on the principals decision making related to curriculum development and management, consists of a theoretical discussion, a survey and an interview constructed on the discu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appropriate decision making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management which enhances the school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of logics and surrounding factors were done to find out which factors have real influence on the principals' decision making.

      • 역량중심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 역량 개념을 중심으로

        손민호(Shon Min Ho)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1 韓國敎育論壇 Vol.10 No.1

        연구는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담론이 기존의 학교교육에 대해 제시하는 시사점이 무엇인지 따져봄으로써 그 실현 가능성과 한계가 무엇인지 타진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담론이 제기되는 배경에 관해 정리해보고 오늘날 학교교육을 둘러싼 다차원적인 사회적 요구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특히 오늘날 역량을 바라보는 관점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이해하기 위해 전통적인 교육 내용으로서의 지식을 생산하고 공유하는 사회적 조건은 어떻게 달라졌으며 그에 따라 지식을 바라보는 관점에 어떤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지 논의하였다. 나아가 역량을 이해하는 보다 총체적인 관점에 관해 논의함으로써 학교교육에서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In recent time in the Western world and our country, there has been much emphasis on competence in education, while the complexity of the nature of competence raises a number of issues that call for further elaboration and clarification. So called, the transformation into the post-industrial societ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knowledge as one of main resources of skilled labour and increasement of interest, and has activated the discourse of competence in educational spheres. Much debate and controversy have been generated by the introduction of competence-based qualifications with a consequent proliferation of literature to draw on. This study demonstrates how the discourses of competence based curriculum would be diverse, and repostulate a holistic view of competence in order to comprehend the performicity of knowledge required in the modern society. This study, in order to appropriately understand the complex and performative nature of competence, suggests that we need to consider the rational nature of experience and practice, the practical nature of competence and its inseparability from context. It leads us not to fall in the functionalism of rationality, reduction to individualistic virtue which is deprived of its social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in reconsidering performicity of knowledge in school curriculum, and th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competence discourse, in design of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 KCI등재

        호주의 교육과정 개정정책에 대한 일 고찰-뉴사우스웨일즈주의 교육과정 개정방식을 중심으로-

        손민호(Shon Min-ho) 한국비교교육학회 2004 比較敎育硏究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revision policy in the state of NSW, Australia. It reformulates the future directions with which attempts to change the current policy of curriculum revision procedure should be oriented. It seeks for answers to the needs of the change of the current system of curriculum development in Korea, in which curriculum experts and schoolteachers have problematized the current policy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that redesigns all over subject areas in a simultaneous way. The specific questions that this study has treated for the purpose at hand, are as follows: firstly, the nature of the institute which is charge of the policy of the curriculum revision; secondly, the main procedure of curriculum revision; thirdly, the cycle and extent of curriculum revision. This study discusses about such topics, with taking the extent of subject matter contents that each development procedure produces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ase of curriculum revisions conducted in the state of NSW, Australia.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oreign case,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with which the current policy of curriculum revision needs to be reconsidered, as follows. First, it is desirable to set aside a way of a 'periodical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which the national curriculum tracks a regular cycle for its revision. Second, it should be desirable to set aside a way of an 'overall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which the curriculum revision is implemented in all the school, levels, and subject matters.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titute an institutional system in which the whole procedure of curriculum development could be open to the public. 한 국가나 지방 정부의 교육과정 개정방식을 둘러싼 제반 정책은 국가나 지방정부 수준의 교육과정이 해당 공동체 내에서 갖는 기능이나 역할뿐만 아니라 그 교육과정과 관련된 총체적인 문화적 풍토를 반영한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는 현행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의 개정방식이 비판적 담론의 대상으로 떠오르기 시작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문화적 풍토 안에서 자연스럽게 정착화된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정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독특하게 찾아볼 수 있는 현상이기도 하다. 이에 국가나 주수준의 교육과정 개정방식 관련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고 비교해 봄으로써 향후 그러한 비판적 담론에서 핵심적으로 혹은 본질적으로 다루어 나가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의도의 일환으로 호주 뉴사우스웨일즈주의 교육과정 개정방식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정방식의 특징을 교육과정 개정의 일정, 각각의 개정과정의 절차와 그에 따른 개정내용의 범위, 그리고 개정담당기관의 성격과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 운영의 실천적 논리에 대한 재검토

        손민호(Shon Min Ho),박제윤(Park Je Yu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9 韓國敎育論壇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된 지배적인 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기술 합리주의적 논리에 대비되는 현장적 관점을 통해 학교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에 관련된 실천적 논리에 관해 살펴보았다. 학교수준 교육과정 계획의 과정에서 실천적 논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을 어떻게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는지를 정리해보고, 이러한 관점에 터하여 학교 교육과정의 계획과 운영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특징에 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몇 학교 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학교현장의 입장에서는 국가기준은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여러 요구중 하나일 뿐이며, 학교는 학교 나름의 실천적 논리와 교육과정 운영방식의 관행에 의해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ㆍ운영하고 있음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은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성이 우리 현실에서 보다 확고하게 정착되도록 하기 위해서 필요한 객관적 조건들이 무엇인지를 검토하는 데 있지 않고, 기존의 조건을 전제로 하고 이러한 조건 안에서 현행 학교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된 담론들에 내포되어 있는 제약들을 검토하는 데 있다. This study observed the existing conditions and restrictions in connection with the school-based curriculum autonomy on a point of view from school scenes. The nation level expects that schools are administered as it needs to. However, the national standards are one of the diverse needs on school curriculum operation when searched through the basis of data analysis, and it could be confirmed that schools have organized and operated the school curriculum by the practical logic on their own way. In other words schools would manage the practice operated from the past, rather than accommodating the strictly compulsory cases suggested by the nation, metropolitan and province level. In their way, schools would develop strategies and good organizational reasons to deal with instructions on curriculum standards. Through those analyses what kinds of effort are needed for the practical logic to be operate properly in the administering the school-based curriculum is presented.

      • KCI등재

        구성원들의 실천지에 관한 이해로서의 민속방법론 활용 탐색

        손민호 ( Min Ho Shon ),문성숙 ( Sung Sook Moo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실천지에 대한 연구 관심이 최근 들어 더욱 확산되어 왔다고 보고 실천지를 어떻게 경험적으로 연구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민속방법론이 구성원들의 방법, 즉 실천지에 대한 질적연구라는 점에 착안해서, 실천지를 탐구하기 위해서 어떤 방법론적 전제가 다루어질 수 있는지 그리고 실제 분석 사례는 어떻게 전개될 수 있는지 정리해 보았다. 실천지에 대한 질적 탐구를 위해 필요한 방법론적인 논의가 무엇인지 정리해보고, 실천지가 어떻게 맥락 지시성과 성찰성이라는 속성에 의해 접근가능한지 살펴보았다. 나아가 실천지에 대한 질적 연구가 교육 연구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에 대해 타진해보았다. This study introduces ethnomethodology(EM studies) as analytic programmes of memers` knowledge-in-use(method), and seeks to investigate members methods and competencies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complex activities. EM studies are an approach that observing what is going on in the social world is something anyone can do, and indeed it is something that members do as a matter of course, and then it seeks to explain how this is possible. This study explains how indexicality and reflextivity as the essential nature of members` method are taken as an important strategy of analysis. EM Studies view the conception of social activities as methodically accomplished, and meanings as achieved in the methods. This study explores a possibility of EM studies that understand and describe the situated nature of educational setting and learning experiences, by understanding occasioned characters of our activities and experiences, re-specifying interaction as co-ordination of each other`s actions. It leads to clarify the practical dimension of our knowledge-in-use. In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s about a possibility in how qualitative inquiry of members` methods leads the educational studies to bring interests of practical knowledge in education into view.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진로교육은 언제 역량교육이 되는가?

        조현영 ( Hyun-young Cho ),손민호 ( Min-ho Sho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7 교육과정연구 Vol.35 No.1

        최근 역량 개념을 중심으로 참여형 교육과정 구현의 일환으로 자유학기제가 실시됨에 따라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진로교육은 최근 교육과정에서 독립된 교과와 영역을 확보하고 이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확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방향과 실효성에 대한 문제 제기는 여전한 실정이다. 현재 진로교육에 접근하는 관점으로는 크게 심리적인 생애발달, 인적자원개발, 평생학습을 들 수 있다. 본고에서는 심리학과 기능주의적으로 편향된 접근이 역량의 참된 의미뿐만 아니라 학교 교육과정에서 진로교육의 지위 또한 사소화시킨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삶을 위한 학습` `삶으로서의 학습`으로서의 평생학습 이념에 터해 진로교육의 의미와 목적에 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진로교육의 목적은 학습자들에게 자신의 삶의 이야기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구성해가는 배움의 경험을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전환을 위하여 진로 역량으로서 `나다움(Identity)`이라는 개념을 제안하고 이에 터하여 진로교육 교육과정에서 반영해야 할 핵심 준거가 무엇인지 탐색해보았다. 아울러 교육과정학의 본연의 목적은 삶과 학습의 이력, 즉 쿠레레의 이해와 설계 전문성에 있는 만큼 진로교육 영역에서 교육과정 전문성의 역할이 재고 되어야 한다는 점에 관해 강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ion and meaning of career education in schools in terms of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Recent agenda of competence based curriculum opens a venue to lead to career education in schools. The mainstreams in career education has been influenced by human resource development,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life development systematically takes for granted life management experience and social aspects of competence. This study extends the definition of career education into more broad meaning of competence for life management, which is originated from the perspective of life-long learning. This study suggests the criteria with which selects contents in career education in the purpose of competence for identification. Following theory of communities of practice, competence that career education purposes to develop should include social dimensions which the current psychologically treated career education neglects. I suggest three distinct modes of identification that position our learning for being competent, which should be reflected as big ideas in career education curriculum. The realm of career education has been traditionally separated from curriculum studies. This tendency comes from the presumption that career education is not relevant to identity formation. Considering broadly curriculum studies, the currere process has not only written us into curriculum studies, but also compelled us to participate in the constitution and transformation of ourselves.

      • KCI등재

        대안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대안적 범주 탐색

        윤기종(Yun Ki jong),손민호(Shon Min ho) 한독교육학회 2006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대안학교가 운영하고 있는 교육과정, 특히 교육과정 운영의 형식성에 주안점을 두고 ‘대안성’의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안교육을 표방하고 있는 현행 학교들이 교육과정 내지는 그 운영에 있어서의 형식성을 탈피하고자 하는 취지에 대체로 합의하고 있다는 전제 하에, 형식적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대안적 범주가 무엇인지 탐색해보고, 이렇게 설정된 대안적 범주에 비추어 실제 운영 사례들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의 형식성을 출석에 의한 이 수제, 학교 밖 경험학습에 대한 인정, 교과 재구성의 정도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현재 대안학교들이 내세우는 대안이라는 이념에 걸맞게 그 실천이 운영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과 한계의 범위에 관해 타진해 볼 수 있는 의미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의 대상은 제도권에 편입되어 학력을 인정받고 있는 대안 고등학교로 제한해서 보기로 한다. This study proposes to bring into view the idea that we need to revisit in the perspective of the alternativeness which alternative schools have addressed, if alternative schools have given efforts to get out of the formal character of institutionalization which one could find in a public school curriculum. This problematic requires one to reconceptualize the curriculum as an institutional apparatus. The formal character of curriculum can be found in the institutionalized fonn of school organization - structure, sequence, completion, e.g., professional role of teacher, classroom attendance, grade by age, the accreditation of experiential learning outside classrooms. Revisiting alternative schools by examining the institutional character of school curriculum shows one of perspectives with which one could analyze the alternativeness which alternative schools address.

      • KCI등재

        호주의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 연구: 남호주 Norwood High School의 교과목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조현영 ( Hyun-young Cho ),손민호 ( Min-ho Sho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8 교육과정연구 Vol.36 No.1

        이 연구에서는 남호주 일반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고교 학점제 운영에 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학점제 운영과 관련해서 주목할만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학점제 운영의 취지에 맞도록 선택과목뿐만 아니라 필수과목은 교과군으로 제시하여 학생의 여건이나 수준별로 선택을 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수 과목 수는 필수교과군은 최소화하여 학기당 5-6과목 이하로 하여 진로맞춤형 소교과 심층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학점제 운영은 이수기준의 설정과 적용 그리고 선택과목간 평가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전제로 하는 만큼 성취기준에 따른 절대평가로 운영하며, 이를 위해 평가 조정을 위한 노력과 이를 뒷바침하는 시스템이 발달되어 있다. 진로에 따른 선택과목의 운영인 만큼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진로의 설계와 성찰 그리고 진로 심화과정을 다루는 진로교과로 개인학습프로그램(PLP)과 개인연구를 편성하여 이수하도록 하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점제 교육과정 운영 연구에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era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focusing on the cases of curriculum organization in general high schools in South Australia. In addition to the elective courses, the required courses are also presented in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credit system operation so that students can choose according to the career and level of the students. The required number of courses is also minimized so that lessons can be taken in 5-6 courses per semester, enabling in-depth study of small-sized customized courses. The credit system operation is operated by the absolut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standard, assuming the validity of the objective criteria for the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mpletion criteria, and the evaluation between the elective courses. Efforts and systems to support this have been developed. It is a career course that deals with career design and reflection and career deepening according to the career and aptitude of the student as it is the operation of the elective course according to the career. The characteristic of this curriculum operation is that it is only possible to operate the selective intensive curriculum which plans, explores, and accomplishes itself in the deepened learning ability for entering colle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uture study of the credit system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