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통합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하나의 대안

        손명철 한국 지리·환경 교육학회 199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7 No.1

        While there has been efforts to integrat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he past 20 years, the geography, history, and civics fields are still remaining in parallel without any rel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discussions of integration in each field critically, and proposes an alternative after reviewing the problems with respect to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problems recognized are: 1) dissimilarity between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2) difficulty in achieving study efficiencies for students; 3) difficulties felt by teachers who had specialities in either geography, history, or civics. I propose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se problems by reorganizing social studies education into geography and history subjects in a long term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First, social studies as a subject does not reflect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needs in the Korea. Different from the needs of social studies in the newly independent US, European countries with long history comprise civics in geography and history subjects. Even the US has civics, geography and history in separate core subjects recently. Second, the term "social studies" could be better to be substituted by civics since social studies are frequently used referring to the field and subject. In this regard, civics take advantages arising from the term itself for general audiences. Finally, full and patial integration would be another to be examined for 7th, 8th centered on geography, 9th on history, and 10th on civics. Strands·oriented integration could be the possibility such as time·continuity·change, space·place, culture, resources, natural and social systems, and skills including exploration·participation·communication.

      • KCI등재

        학습자 주도적인 탐구형 세계지리 교과서 모형 탐색- 영국의 고등학교 <World Geography: Case Studies>를 사례로 -

        손명철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1 No.3

        This study aims to seek for a model of self-directed, inquiry world geography textbook by analyzing the English high school textbook, World Geography: Case Studies. The English World Geography gives body to self-directed, inquiry textbook model through 4 strategies. First, each chapter has a student’ role and his major tasks. Second, every learning activities are developed as a scenario. Third, students can learn scientific research method through Key Question 1, 2, 3. Finally, students can study as geographers by studying lots of Resources that reflect a characteristics of geography or geographic structure of knowledge. Therefore, the English World Geography gives a lot of implication to Korean world geography textbook. 최근 한국 사회에서 교과서는 정부의 중요한 교육정책의 대상으로 등장하고 있다. 따분하고 지루한 교과서로는 더 이상 학습효율을 높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창의적인 인재양성이라는 국가적 교육목표를 달성하는데도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영국의 고등학교 세계지리 교과서를 사례로 학습자 주도적인 탐구형 교과서 모형을 탐색해 보았다. 학습자 주도적인 탐구형 교과서란 학생이 수업의 주체가 되어 스스로 지식을 탐구하고 생산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교과서를 말한다. 영국의 교과서는 각 장마다 학습자의 역할과 수행해야 할 주요 과제를 명시하고, 학습 활동을 일관된 시나리오 형식으로 전개하며, 핵심질문을 통해 단계적인 과학적 탐구절차를 익히게 할 뿐만 아니라 지리학의 학문적 성격을 보여주는 자료와 활동을 통해 학습자 주도적인 탐구형 교과서 상을 구현하고 있다. 이는 한국의 교과서 논의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라우텐자흐의 한국 지역 구분 원리와 그것이 지리교육에 주는 시사점 - 그의 저서 『KOREA』(1945)를 중심으로 -

        손명철 국토지리학회 2009 국토지리학회지 Vol.43 No.4

        German geographer, H. Lautensach traveled through Korea from March to November 1933, and identified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ninsular as a ‘transitional area’. To study Korean peninsular he tri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gions that composed to a total continuum. Especially he tried to regionalize Korea with respect to totalizing features and centralizing features, and this have an important suggestion for studying regional geography and geographic education. But some ctiticize that he considered more natural factors than human factors such as history, culture, customs etc, and so that his method of regionalization is not dynamic but static. 독일의 지리학자 라우텐자흐는 1933년 약 10개월 동안 한반도 곳곳을 답사한 후 한국의 지리적 특성을 ‘점이지역’으로 규정하였다. 그는 한반도 지역을 연구함에 있어서, 우선 총체적인 연속체(continuum)를 상정하고 이를 구성하는 각 지역들 사이의 차이를 구명하려 한다. 특히 총체적 특성과 중심적 특성을 균형있게 고려하여 한반도에 대한 지역구분을 시도한 것은 오늘날의 한국 지리연구에 뿐만 아니라 지리교육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라우텐자흐의 지역구분은 자연적 측면에 비해 역사, 문화, 풍습 등 인문적 측면이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지역의 모습을 충분히 담아내지 못하는 정태적인 방식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

      • KCI등재

        제주학 연구에서 지리 분야의 연구 성과와 과제- 해방 이후를 중심으로 -

        손명철 국토지리학회 2018 국토지리학회지 Vol.52 No.3

        In a quantitative respect, the geographical research on Jeju Island has increased steadily since 1945, and recently it has changed in a qualitative and structural respect. Some geographers have studied Jeju Island for the first time from 1960s. Especially from 2000s many geographers have investigated very various themes. Also they have researched Jeju Island integratedly and in a social relevant respect. But the geographical research on Jeju Island has a number of task: to expand a base of geographical research in Jeju Island, to invigorate regional geography of Jeju Island, and to support a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or consilience. 해방 이후 제주도에 대한 지리학 분야의 연구는 양적으로 꾸준히 증가해왔으며, 최근에는 급속한 양적 성장과 함께질적, 구조적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일제 식민지의 유산을 벗어나 한국의 지리학자에 의한 제주도 연구는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특히 2000년대 이후에는 연구 주제가 매우 다양해졌을 뿐만 아니라, 자연지리와 인문지리를 융합한 연구들이 다수 등장하고 사회적 응용성과 적실성을 강화한 연구들이 발표됨으로써 질적, 구조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여준다. 그러나 아직 다른 분야에 비해 지리학 분야의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며, 제주도내에 지리학 연구 기반의 확충과 연구인력풀의 확대, 지역지리 연구의 활성화, 학제적·통섭적 연구의 강화 등 몇 가지 과제도 안고 있다.

      • 전자상거래관련 조세문제 연구

        손명철,김인영 한국컴퓨터산업학회 2002 컴퓨터産業敎育學會論文誌 Vol.3 No.3

        전자상거래는 거래당사자의 신원확인의 어려움, 거래의 암호화, 원격조정, 변환장치의 사용 등으로 조세행정상의 문제를 야기 시킨다. 전자상거래 관련 조세문제 해결의 핵심적 과제는 인터넷을 통한 거래사실, 거래내용 및 당사자의 확인이라고 볼 수 있으며 나아가서 과세당국은 납세의무자의 포착, 과세표준 파악 및 불성실신고자 색출 둥을 위해 과세자료를 적기에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과세당국은 지불결제기관의 협조를 바탕으로 결제과정에 개입하여 세금을 원천징수함으로서 전자상거래와 관련된 과세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전자상거래 사업자의 거주지국이 보유하는 사업자의 신원 및 등록정보, 매출처별 거래내용에 관한 정보를 소비자의 거주지국 과세당국에 제공하여 국제간에 공동으로 과세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과세의 실효성 확보에 유리할 것이므로 특히 부가가치세의 징수를 위한 국제적 협조 메카니즘을 개발하는 것이 전자상거래에 대한 과세에 있어서 큰 관건이다. Electronic commerce creates serious problems for tax administration because of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identification of traders, coding of trade activities and so on. The core issue with respect to resolving tax-related problems in electronic commerce is first, the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transactions through internet and their contents as well as traders. Secondly, it is the ability of tax authorities to secure effectively such data and information as identifying taxpayers, taxable amount and tax evasion on time. The tax authorities are studying the way to resolve tax evasion associated with electronic commerce by using payment system. Above of all,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a systematic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collecting value added taxes for electronic commerce.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ax system, the authorities of different nations should make joint efforts to collect taxes by exchanging such information as identification and registration of business as well as details of transactions among nation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 지역지리연구의 새로운 접근법과 중등지역지리 단원학습

        손명철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1999 백록논총 Vol.1 No.-

        This paper examines how the learning of regional geography unit in secondary school can be enhanced by incorporating discussions in new regional geography which has been widely acknowledged as new enhancement in geography since the mid 1980s. New regional geography emphasizes place uniqueness rather than general rules or theories in explanation. Methodologically, it relies on precise description of places based on theoretical concepts and history. It is an attempt to recognize and interpret the space more in depth which was not satisfactory in previous geographic research. In this regard, four stands are disistinguishable emphasizing place uniqueness; time-geographic approach evolving from the structuration theory;spatial division of labor approach; to re-interpret place with respect to the world systems theory; and emphasizing human agency in post-structural era. All these are new are attempts to understand place uniqueness in itself and in relation with wider contexts. Region or place in the learning of regional geography unit in secondary school needs to incorporate these discussions in which region or place can have new meanings, constantly changing and newly forming interaction with outer influences rather than being in a state of equibrium and thus requiring multi-layered and structural approach for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regional change. It allows more interesting teaching and learning when practiced in secondary school

      • KCI등재

        한국 지역지리학의 개념 정립과 발전 방향 모색

        손명철 한국지역지리학회 201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3 No.4

        이 논문은 과연 ‘지역지리는 단순한 사실 나열에 불과한가?’라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국내・외 지역지리 연구 동향과 주요 성과를 살펴보면서 한국의 지역지리학 개념을 재정립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통지역지리(gazetteer)와지역지리, 그리고 신지역지리의 연구목적과 방법론을 비교해볼 때, 지리학이 발달한 구미 여러 나라와는 달리 한국은 지역지리 연구 단계가 거의 공백으로 남아 있다. 한국의 지역지리학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지리에 대한 긍정적 인식으로의 전환과 더불어, 대학과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지역지리의 위상을 강화하는 등의 제도와 관례의 변화가 필요하며, 지리학 관련 학회특히 한국지역지리학회의 활발한 연구와 저변확대를 위한 주도적인 역할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concept of regional geography and to seek a way for regional geography development in South Korea. In South Korea, regional geography is considered as ‘missing link’. To develop regional geography, we need to change the way we understand it and change the institution & custom. Finally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should perform a role to invigorate regional geography in South Korea.

      •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지리 과목 지역지리 단원에 대한 비판적 검토 -2015 개정 교육과정과 3종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손명철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8 No.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gional geography unit in the Korea Geography subject of high school, based on 2015 National Curriculum and 3 Textbooks for Korea Geography.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nowledge domain is dominant, but value & attitude domain is nothing. Second, the unit includes only the research outcomes of ‘regional geography’ phase, not ‘new regional geography’ phase. In next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Korea Geography, value & attitude domain is needed to increase more than now, and ‘new regional geography’ phase is needed to include much more. 본 연구는 현행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지역지리 단원을 분석하여,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 영역 간 어느 정도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가, 그리고 지리학계의 최근 지역지리 연구 성과를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할 때, 과목의 성격과 목표, 교수‧ 학습 및 평가 부분에서는 지식,기능, 가치‧ 태도 영역 간 균형을 명시적으로 강조하고 있으나 성취기준은 지식 영역이 압도적이며 가치‧ 태도 영역은 전혀 제시되지 않고 있다. 3종 교과서 지역지리 단원에 제시된 학습활동에서는 지식 영역과 기능 영역이 거의 절반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가치‧ 태도 영역은 전무하다. 최근 지역지리 연구 성과의 반영 여부와 관련해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 모두 1970~80년대에 논의되었던 지역지리 성과를 반영하고 있을 뿐 이후의 신지역지리 논의와 연구 성과는 거의 수용하고 있지 않다. 향후 한국지리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지식과 기능 영역뿐만 아니라 가치‧ 태도 영역의 학습활동을 강화하고, 전통지역지리와 지역지리 연구 성과와 함께 최근 논의되고 있는 신지역지리 연구 성과도 포함할 필요가 있다.

      • 제7차 중학교 사회 1 교과서 <북부지방의 생활> 내용 분석

        손명철,라영숙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2003 백록논총 Vol.5 No.2

        본 연구에서는 현행 중학교 사회1 교과서 <IV. 북부 지방의 생활>단원의 서술 관점과단원 구성, 학습 목표, 학습 자료를 분석하여, 6종 교과서간의 차이점과 개선점을 살펴보았으며, 6차와 7차 교과서의 서술 관점과 학습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북부 지방의 생활> 단원의 바람직한 내용 서술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