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 시기 신춘문예 제도와 작문 교육 :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손동호(Son, Dong-Ho)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7 No.-

        『동아일보』의 신춘문예는 신진 작가의 발굴을 내세우며 등장하였다. 이는 독자 참여 제도의 시행 목적이 ‘독자’ 확보에서 ‘작가’ 확보로 변모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아동작품은 ‘작가’ 확보와는 다른 목적에서 시행하였다. 『동아일보』는 신춘문예 시행 첫해부터 문예계, 부인계, 소년계 등으로 독자의 층위를 구분하여 작품을 모집하였다. 이는 여성과 아동이라는 새로운 독자층을 발굴하여 가정란과 아동란을 신설한 매체의 지면혁신 정책과 연계된 작업이자, 이전 시기 독자 참여 제도의 전통 계승에서 비롯된 결과였다. 문화주의를 표방하며 창간한 『동아일보』는 계몽의 차원에서 여성과 아동 독자를 호출하였다. 민족을 개량하여 문명화를 달성하기 위해 아동을 교육함으로써 근대적 주체를 양성하고자 한 것이다. 신문의 잠재적인 독자층을 확보하기 위해서나 문명화를 추진하기 위한 아동 교육의 필요에 의해서나 아동을 대상으로 한 문장 교육은 중요한 과제였다. 작문은 이러한 복합적인 배경에서 선택되어, 신춘문예의 모집부문에 포함될 수 있었다. 신춘문예 작문 부문 당선작은 자연 묘사 및 아동의 일상을 주로 다루었다. 하지만 작문은 단순히 자연을 묘사하거나 사건을 기록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각 상황에서 촉발된 구체적인 감정을 드러냈다. 이를 통해 작문이 조선어 글쓰기를 통한 아동의 정서 함양을 지향했던 사실을 알 수 있다. 식민지 시기 총독부의 교육 정책은 조선어 교육을 폐지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아일보사는 브나로드 운동을 주관하고, 다양한 한글 관련 기획란을 마련하여 언문철자법의 보급에 앞장섰다. 그리고 아동들에게 읽을거리를 제공하는 한편 조선어로 된 작품을 모집, 발표하였다. 결국, 작문은 습작을 통한 조선어 글쓰기의 보급 및 아동 계몽을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아동 계몽의 실질적인 내용은 정과 동정의 함양이었다. 신문의 지면개편에 관여하고 신춘문예를 주관한 이광수는 아동 교육에 관심이 많았다. 그는 근대적 사회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감정 규범으로 정과 동정을 제시하고, 그 실현 수단으로 작문을 활용하였다. 당선작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제도 시행 초기 편집진의 이러한 의도가 신춘문예 시행동안 지속적으로 관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The Spring Literary Contest of “Dong-A Ilbo” appeared with the excavation of young authors. However, works for children were implemented for a purpose different from discovering new authors. “Dong-A Ilbo” recruited works by dividing the layers of readers into literary, ladies, and boys from the beginning of the Spring Literary Contest. It was a work in connection with the media s paper innovation policy that created a family section and a children section by discovering a new readership of women and children. “Dong-A Ilbo”, which advocated culturalism, called women and children in the dimension of enlightenment. It aimed to cultivate a modern subject by educating children to improve the nation and achieve civilization. To secure a potential readership of newspapers, or because of the educational need to promote civilization, sentence education for children was an important task. The composition was conducted in this context. The winning work of the Spring Literary Contest mainly coped with the depiction of nature and the daily life of children. The composition did not stop at simply describing nature or recording events, but revealed specific emotions triggered in each situation.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composition was aimed at cultivating children s emotions through writing in Korean (Joseoneo). The educational policy of the governor-general during the colonial period was to abolish Korean language (Joseoneo) education. In this situation, Dong-A Ilbo took the lead in spreading the Korean word spelling by managing the Vnarod movement and preparing various Hangeul-related planning sections. In addition, while providing reading materials to children, it recruited and published works in Korean (Joseoneo). The composition was attempted at the dimension of teaching sentences for children to create a modern subject. Lee Gwang-su, who hosted the Spring Literary Contest, was very interested in education for children, and was also involved in reshuffling sections of the newspaper. He presented affection and sympathy as a new norm of emotion necessary to form a modern society, and used his writing as a means of realization.

      • KCI등재

        『동아일보』 소재 ‘독자문단(讀者文壇)’ 연구

        손동호(Son, Dong-Ho)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한국민족문화 Vol.53 No.-

        ‘독자문단’은 『동아일보』가 문예물을 전면에 내세운 최초의 독자투고였다. 본고의 목적은 ‘독자문단’의 전개과정을 밝히고, 해당란에 실린 160여 편의 작품을 분석하여 그 의의를 고찰하는 데 있다. 신문이 속간되자마자 해당란에 노자영과 김소월 등 기성문인의 작품을 실은 점으로 미루어 ‘독자문단’은 적극적인 독자 유인책으로 시도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해당란에는 전문작가 외에도 이후 문단에서 활약하게 되는 문인들의 작품이 다수 발표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독자문단’은 근대 문인의 예비적 장소로 볼 수 있다. ‘독자문단’ 소재 작품들은 대부분 슬픔이나 그리움 등 개인의 감정을 주제로 삼았다. 이는 투고자들의 이향체험이 반영된 결과였다. 유학생이나 청년운동가였던 이들은 객지 생활을 하며 느낀 감회에서부터 사회에 대한 불만, 사회문제에 대한 해결책에 이르기까지 자신들의 관심사를 다룸으로써 정체성을 드러냈다. 운문과 산문을 막론하고 ‘독자문단’에 실린 작품들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주제는 개인의 감정이었다. 이렇듯 주제가 한정적이었다는 점은 편집진이 특정 주제를 의도적으로 유도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실어준다. ‘독자문단’은 시행 초기부터 검열을 의식할 수밖에 없었다. 신문사는 문화운동을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검열을 피하면서 신문의 구독률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절충의 결과가 바로 ‘독자문단’이었던 셈이다. ‘Dokja Mundan’ was the first readers’ contribution of literary works that Dong-A Ilbo put up on its front pag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Dokja Mundan’ to analyze some 160 literary works published in the column, and to discuss their meanings. As soon as the publication of the newspaper was resumed, the column carried the works of well-known writers such as No Ja-young and Kim So-wol, and this suggests that ‘Dokja Mundan’ was introduced as an active strategy to attract readers. In addition to the works of professional writers, the column also published the works of writers who appeared later in the literary circle. In this sense, ‘Dokja Mundan’ was a preliminary ground for modern writers. In most of works released through ‘Dokja Mundan’ the motifs were personal emotions such as sorrow and yearning, and this was a consequence of reflecting the contributors’ experiences in leaving home. The writers, most of whom were students away from home or young activists, exposed their identities by dealing with their interests such as their feelings on their lives away from home, their complaints about the society, and solutions for social problems. For both verse and prose, the most common themes among the works carried in ‘Dokja Mundan’ were personal emotions. Such confinement of theme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editorial team might induce the contributors to specific themes intentionally. From its beginning, ‘Dokja Mundan’ had to be conscious of censorship. Although the publisher claimed cultural movement as its cause, it actually tried to raise the subscription rate with avoiding censorship. ‘Dokja Mundan’ was exactly the product of the compromise.

      • KCI등재

        식민지 시기 『조선일보』의 신춘문예 연구

        손동호(Son, Dong-Ho)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7

        『조선일보』는 창간 초기 경영상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독자투고와 현상문예를 꾸준히 시도함으로써 신춘문예 시행을 위한 기반을 다져나갔다. 그 결과 『조선일보』는 1928년부터 1940년 폐간에 이르기까지 한 해도 거르지 않고 신춘문예를 시행할 수 있었다. 조선일보사는 신춘문예를 시행하며 다른 매체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시도를 하기도 하였으며, 끊임 없이 제도를 보완하고 발전시켜 나아갔다. 『조선일보』 신춘문예가 거둔 가장 큰 성과는 김유정의 〈소낙비〉, 김정한의 〈사하촌〉, 박영준의 〈모범경작생〉, 현덕의 〈남생이〉 등 우리 문학사에서 주목할 만한 작가와 작품을 배출한 것이다. 이러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은 『조선일보』가 채택한 세 가지 전략 덕분이었다. 첫째, 경쟁 매체에 비해 상금을 인상하여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신춘문예 후발주자인 『조선일보』는 큰 액수의 상금을 지급하고 추가적으로 인상함으로써 독자들의 투고열을 자극하고 신춘문예 응모를 유도하였다. 둘째, 신춘문예 당선자에게 별도의 발표지면을 제공하여 창작활동을 지원하였다. 자사의 지면뿐만 아니라 자매지인 『조광』까지 활용하여 신인들에게 발표지면을 제공했기 때문에 본격적인 창작에 뜻을 둔 신인들을 유인할 수 었었다. 셋째, 고선 방침을 강화하여 우수한 작가와 작품을 선발하였다. 이전까지의 일등 나열주의에서 벗어나 높은 수준의 당선 기준을 요구했기 때문에 우리 문학사에서 주목할 만한 작가와 작품을 발굴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조선일보』가 시행한 신춘문예의 전개 과정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제도의 기원을 탐색하는 작업만큼 제도의 변화 양상을 추적하는 작업 또한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조선일보』가 다른 매체와 경쟁하며 지속적으로 제도 개선을 진행해 왔음을 증명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논문은 『조선일보』 신춘문예의 성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러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원인을 최초로 분석해 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Chosun Ilbo, a leading Korean daily newspaper, laid the foundation for the Spring Literary Contest by continuously inviting reader contributions and literary contests despite management difficulties during the nascent stages of its establishment. The Chosun Ilbo unfailingly conducted the Spring Literary Contest from 1928 to 1940 and as a media outlet, it made unprecedented efforts to ensure that. the system was constantly improved and developed. The achievements of the Chosun Ilbo’s Spring Literary Contest include remarkable Korean literary works such as Kim Yu-jeong’s “Sudden Shower,” Kim Jeong-han’s “Saha Village,” Park Yeong-jun’s “Model Cultivator,” and Hyeon Deok’s “Namsaengyi,” among others. These achievements can be attributed to three strategies that the Chosun Ilbo adopted. First, it increased the contest’s prize money to secure its competitiveness. Being a latecomer to the Spring Literary Contest, the Chosun Ilbo paid and raised a large amount of prize money to encourage its readers to enter the contest. Second, it provided presentation pages to the winners of the contest to support their creative activities. The company used not only its own pages, but also those of its sister magazine, “Chokwang,” to provide presentation pages for rookie writer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for them to attract rookie writers who were in pursuit of authentic creation. Third, the manuscript selection policy was strengthened to select excellent writers and works. Since a high standard was demanded for selection, which differed from the previous ranking-oriented policy, notable writers were able to break through by applying to the contest. This study diachronically examined the development of the Chosun Ilbo’s Spring Literary Contest. Through this examination, it was confirmed that tracking the changes in the system is as important as exploring the origin of the system. Above al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monstrates that the Chosun Ilbo continuously improved its system while competing with other media.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the first to specifically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Chosun Ilbo’s Spring Literary Contest and explore the causal factors for its various accomplishments.

      • KCI등재

        『만세보』를 통해 본 한말 위생 담론 연구

        손동호(Son, Dong-Ho)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한국민족문화 Vol.49 No.-

        한말, 민족적 위기를 극복하려는 다양한 노력 중의 하나가 개화사상이었다. 『만세보』는 이러한 계몽의식과 근대화에 대한 욕구를 해소해 줄 가시적 성과물로 위생 담론을 적극 활용하였다. 위생은 문명의 구체적인 성과물로 지목되었으며 그 가시적인 시혜성에 힘입어 주된 담론으로 부상할 수 있었다.『만세보』는 비록 1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간행된 매체이지만 당시 위생 담론의 한 양상을 살피는 데 많은 시사점을 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만세보』는 다양한 방법으로 위생 담론을 전개하였다. 논설은 제도 및 정책적인 차원에서 위생의 필요성과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1면 1단 기사는 지식인 독자층을 대상으로 위생에 대한 학술적 접근을 하였다. 반면, 잡보는 대한의원과 사토 박사에 주목하여 총독부의 구체적 성과를 홍보하였으며, 국문독자구락부는 개인차원의 위생 문제를 다루면서 위생에 무지한 당시 민중을 계몽하고자 노력하였다. 『만세보』는 정부에 대해 구체적인 위생 관련 정책 방안을 제안했는데 이로 말미암아 『만세보』가 위생 문제를 시급한 현실 문제로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만세보』가 전개한 위생 담론의 특징은 정부에 의한 위생 관련 정책의 강제 시행 및 강제 규제를 촉구하는 일방향성이다. 제도를 따라야 하는 민중들의 목소리는 배제하고 정부의 입장만 일방적으로 대변하였다. 민중들에 대해서는 위생에 대한 무지를 비판하는 동시에 위생 관련 제도의 시혜성만 강조하였다. 종두법이나 전염병의 치료 등 서양의학의 장점을 소개한 것이나 위생 관련 정책이 국가의 문명 발달에 도움을 준다는 내용들이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러한 위생 관련 담론을 다양한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유포함으로써 위생 제도 시행의 당위성을 다시금 강조하였다. The last period of Korean empire, the enlightenment is one of the efforts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Mansebo includes the discourse on hygiene to satisfy the desires for the spiritual enlightenment and modernization. Hygiene is the significant achievement of civilization and comes to the fore as the main discourse because of the dispensation. Although Mansebo was published for a year, it shows a lot of implications for the hygiene. Mansebo developed the discourse on hygiene through a variety of methods. The necessity and ways of hygiene was proposed in the editorial section. The academic approach for the intellectual reader was included in the first section. On the other hand, the miscellaneous news focused on Daehanuiwon and Dr. Sato. It so happened that the definite outcome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as promoted. In addition, Gungmundokjagurakbu dealt with the problem of individual hygiene to enlighten the unenlightened people about it. The discourse on hygiene in Mansebo was mostly positive and had the format suggesting the detailed policy proposals. The discourse on hygiene in Mansebo has the feature of compulsory execution and regulation in the hygiene policy. The opinions of the people who must comply with the system was ignored and the government’s position was defended in Mansebo. It put emphasis on the dispensation and the ignorance of people about hygiene. There are typical examples: to introduce the western medical science such as the vaccination and treatment of infectious condition and to help the policy about hygiene develop the national civilization. As circulating the discourse on hygiene through a range of ways, the appropriateness of the implementation of hygiene system was stressed.

      • KCI등재

        이중고정자 횡축 12/10 SRM의 설계 및 특성 해석

        손동호(Dong-Ho Son),안진우(Jin-Woo Ahn) 대한전기학회 2018 전기학회논문지 Vol.67 No.6

        This paper aims to design of a double stator axial field 12/10 SRM. Conventional and single stator axial field SRMs were reviewed to apply for automotive cooling fan. The axial field SRM has the advantage of shorter flux path, higher torque per volume and lower iron loss. However, there is axial eccentricity in single stator axial field SRM due to one side excitation. Therefore, a double stator type is designed in this paper to reduce the axial eccentricity. And the trapezoidal pole shape of the stator increases the flow of magnetic flux from stator to rotor and the torque region. The torque and efficiency are compared and tested with experi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