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80년대 간행 「東經大全」 판본 연구

        손계영 한국서지학회 2022 서지학연구 Vol.91 No.-

        Donggyeongdaejeon has been published a total of six editions earlier than the new metal movable type printing book of 1907. In the meantime, the researchers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recognized that all six editions of the 1880s were woodblock printings without any disagreement. They have been conducting research for a long time under the premise of woodblock printing. For this reason, the 1907 edition was naturally named ‘the first movable type printing book’. Recently, a new opinion emerged that the editions published in the 1880s were wooden movable type printing books, and the need for a bibliographical study of Donggyeongdaejeon emerged in the study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refore, in this paper, the analysi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dition of Donggyeongdaejeon published in the 1880s were examined.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records describing the publication process of Donggyeongdaejeon, it was attempted to confirm the scope of use of terms. 「동경대전」은 1907년 신연활자본(新鉛活字本)보다 이른 시기에 간행된 판본으로 모두 6종이 공개되어 있다. 그동안 동학 연구자들은 다른 이견 없이 1907년 신연활자본 이전의 1880년대본 6종 모두 목판본이라고 인식하였고, 목판본이라는 전제하에 오랫동안 연구를 진행해 왔다. 때문에 자연스럽게 1907년본을 ‘최초의 활자본’이라고 명명하였다. 최근 1880년대에 간행된 판본들이 목활자본이라는 새로운 견해가 나옴으로 인해 동학 연구에 있어 「동경대전」의 서지학적․판본학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명확한 근거 제시와 과학적 분석을 토대로 판본 연구가 속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1880년대 간행된 「동경대전」 판본의 분석과 특징을 살펴보았고, 「동경대전」 간행과정을 기술한 문헌기록과 간행 용어를 분석하여 용어들의 사용 범위와 사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여말선초 금속활자를 통해 본 證道歌字 字形의 특징

        손계영 한국서지학회 2015 서지학연구 Vol.63 No.-

        As recent studies on the newly discovered movable metal type officially announced that the type had been cast during the Goryeo period and used in the original version of the block-printed copy of Nammyeongcheon hwasangsong jeungdoga (南明泉和尙頌證道歌; Song of Enlightenment Recited by Ven. Nanming Faquan), it has been named as “Jeungdoga type” within the academic circle. The examination of the shape of Jeungdoga type disclosed the variant forms of characters as well as significant features of dots and strokes which are devoid of movable metal types in the Joseon period. Thus, this article claims that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important criteria to identify and distinguish Jeungdoga type. Among Jeungdoga type, the 88 grooved-form types were proved to be cast in the 13th century. Focusing on those types, this study selected the same characters from the five movable metal types created in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periods and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features of the each character. The object to be examined here are the movable metal types cast during the Goryeo period, such as Jeungdoga type and Heungdeoksa type with which Jikji were printed and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such as Gyemi type, Gyeongja type and Gabin type. After the selection and comparison of the 88 characters from these 5 movable metal types, this study present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Jeungdoga type. Through this study, it was able to reconfirm the newly discovered movable metal type as the original type of the reprinted Nammyeongcheon hwasangsong jeungdoga and at the same time this study suggested the available identification criteria for the Jeungdoga type printed copies. 최근 새로이 발견된 금속활자가 『南明泉和尙頌證道歌』 번각본의 저본 활자임과 해당 활자가 고려시대의 것임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고, 학계에서는 해당 활자를 ‘證道歌字’라 명명하고 있다. 증도가자 활자의 字形을 살펴보면 조선시대 금속활자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 형태의 이체자 및 글자 點․劃의 특이 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데 본고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증도가자를 확인하고 감별할 수 있는 중요 기준이 될 수 있기에 증도가자 자형에 주목하였다. 증도가자 활자 가운데 13세기 주조된 것으로 밝혀진 둥근홈형 활자 88자를 중심으로 여말선초 금속활자에서 동일한 글자를 뽑아 이들의 자형을 비교․분석하였다. 고려시대 금속활자로는 증도가자, 『직지심체요절』을 인출한 興德寺字를 대상으로 하였고, 조선초기의 금속활자로는 금속활자가 보급확대되기 이전에 개발․개량되었던 癸未字․庚子字․甲寅字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상 5종의 금속활자의 88자를 비교하여 증도가자 자형의 고유한 특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새로 발견된 금속활자가 번각본 『남명천화상송증도가』의 저본 활자임을 재삼 확인하였고, 제시한 증도가자 자형의 고유한 특징들은 차후 증도가자 인본을 감별하는 주요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조선시대 별급別給 분재의 사유와 변화 양상

        손계영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9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concept and reason of the special bestowal through 126 special gift writs stored in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and analyzed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onor, donee and witness of the special bestowals by period. It reads as follows: ⑴The concept of “byeol-geub (別給)” implies ‘to bestow specially’ rather than ‘to bestow separately’. Thus this enabled special bestowals to be made to two or more donees at the same time, and it could also be possible to use the expression ‘pyeonggyun byeol-geub (平均別給, equal bestowal) in the special gift writs. ⑵The reasons of the special bestowal were largely divided into four such as ①ritual succession and serving parents, ②celebration, ③concern and consolation, and ④others. Among them, the largest number of the reason were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s and the appointment of government official. And then it was appeared in the order expressing donor’s affection and favor for donee; ritual succession and patrilineal succession; being the eldest son or grand son; celebrating the birth of child especially a son and marriage, and so on. ⑶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onors, there were more cases of women than men. Women donors accounted for 50 to 80 percent of the 16th and 17th centuries, but by the 18th century, they had significantly decreased to 10 to 20 percent. In the case of donees, there were various cases of sons, daughters-in-law, daughters, sons-in-law, grandchildren, great-grandchildren, nephew, younger brother, children of secondary consorts, and consorts. However half of the cases were bestowal for sons and grandsons. ⑷Looking at the changes in witnesses involved in writing special gift writ, the average witness count in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was 3.85; by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here was less than one witness on average and even more than half of the cases donor wrote the writ without witnesses or clerks. By the 18th century, the principle of inheritance by equal distribution changed to the preferential inheritance for the eldest son and discriminatory inheritance for daughter, which appeared to have increased the authority of donors in special bestowal. This resulted in a sharp decrease in the number of witnesses and legal effect on the document itself, even if the donors, without witnesses or clerks, produced the inheritance documents by their own hands. 이 논문은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별급문기別給文記 126건을 대상으로 별급의 의미와 개념, 별급사유 등을 살펴보았으며, 시기별 별급의 재주 수취인 증인의 변화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별급別給’의 용어는 재주財主가 수취인에게 ‘따로 별도로 준다’는 의미보다는 ‘각별히 준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때문에 2명 이상의 수취인을 대상으로 동시에 별급이 이루어지는것이 가능했으며, 별급문기에서 ‘평균별급平均別給’ 등의 표현을 사용하는 것도가능할 수 있었다. (2)별급의 사유는 크게 봉사奉祀와 시봉侍奉, 경사에 대한 축하, 우환에 대한 위로, 기타 등으로 구분하였다. 그 가운데 과거급제 관직제수로 별급한 사례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은애하는 마음을 나타내기 위한 표정表情, 장자 장손의 봉사奉祀승중承重, 자녀 손자녀의 경사에 대한 축하와 우환에 대한위로로 별급한 사례가 그 뒤를 이었다. 이밖에도 재주를 극진히 시봉侍奉한 것에 대한 보상, 서얼과 첩에 대한 배려 등 다양한 사유로 별급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3)재주의 특징을 살펴보면 재주가 여성인 사례가 남성인 사례보다 많았다. 시기별로는 여성 재주가 16~17세기에 50~80%를 차지한 반면, 18세기에는 10~20%로 현저히 줄어들었다. 수취인의 경우에는 아들, 며느리, 딸, 사위, 손자녀, 증손자, 조카, 동생, 서얼자, 첩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아들과 손자에게 별급하는 사례가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였다. 수취인의 변화는 17세기 후반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며느리와 손자며느리에게 별급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4)별급문기에서 증인의 변화를 살펴보면, 16세기 전반의 평균증인수는 4명에 가까웠으나, 18세기 후반이 되면 평균 증인수가 1명도 되지 않으며 심지어 증인證人필집筆執 없이 재주가 자필自筆로 작성한 사례가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는 18세기가 되면 균분상속의 원칙이 장남 우대와 딸에 대한 차등분재로 변화해 갔던 사회적 인식과 분위기가 재주의 별급에 대한 권한을 더욱 높였던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증인수가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증인 필집 없이 재주가 직접 자필하여 분재기를 작성하더라도 문서 자체로 법적 효력을 가질 수 있었다.

      • KCI등재

        조선시대에 사용된 詩箋紙의 시대적 특징

        손계영 한국서지학회 2007 서지학연구 Vol.36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ssify various ornamental notepapers largely used in the Joseon Period, according to their physical features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by period. Those ornamental notepapers classified into four types generally exhibit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1) Full-patterned ornamental notepapers(全面紋型) had appeared before the 15th century, but still used in the early 1600s. This type of notepapers, only rarely found in these days, were typical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On the entire surface of a paper, patterns such as hills and streams or people were placed, and the outlines and colors of lines were not much clear. 2) Bamboo-patterned ornamental notepapers(竹冊紋型) had appeared since the early to mid-1500s. The basic patterns of this type of notepapers look like connected bamboo pieces, and many of them have various other patterns and short phrases with the pattern of bamboo pieces on the right side of a paper. They were used for almost 150 years till the mid- and late 17th century.3) Right-side-patterned ornamental notepapers(始面紋型) were known to be used in the mid-1600s, but most popular since the late 1600s through the late 1700s. This type of notepapers have rather simple patterns or phrases without the pattern of bamboo pieces on the right side of a paper.4) Small-letter-type ornamental papers(短札紋型) became popular in the 1800s. They were normally as small as two postcards, and their size, much smaller than those of papers as earlier used, became standardized. This type of papers were naturally used until the early 1900s. 본고는 조선시대에 사용되었던 다양한 시전지를 형태별로 분류하여 그 시대적 특징을 파악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조선시대의 시전지는 각 시기에 따라 대체로 다음과 같은 네 유형의 특징이 발견되었다.1) 全面紋型 詩箋紙는 1400년대 이전부터 사용하던 형태로 17세기 초반까지 나타나는 시전지이다. 이 유형의 시전지는 현재까지 그리 많은 양이 전해지는 것은 아니지만 15-16세기에 볼 수 있는 전형적인 유형이다. 산수나 인물 등의 문양을 종이의 전면에 배치한 형태인데, 선의 윤곽 및 색깔은 그다지 선명하지 않다.2) 1500년대 초중반부터 보이는 竹冊紋型 시전지는 竹片을 연결한 듯한 竹冊문양이 기본적인 형태이고, 대부분 죽책문양과 함께 우측에 다양한 형태의 문양과 짧은 문구를 같이 배치한 경우가 상당히 많다. 죽책문형 시전지는 1500년대 초중반부터 1600년대 중·후반까지 150여 년간 사용되었다.3) 始面紋型 시전지는 1600년대 중반부터 사용한 용례가 보이고 있으나 1600년대 후반부터 1700년대 후반 사이에 집중적으로 유행하던 시전지이다. 죽책문형 시전지의 문양에서 죽책문양이 사라진 형태로, 종이의 우측에 문양 또는 문구만 있는 다소 간략한 구성이다.4) 1800년대로 넘어가면 短札紋型 시전지가 크게 유행하였다. 종이의 크기가 평균 엽서 2장 정도의 크기로, 이전에 비해 획기적으로 작아지고 종이크기가 규격화되는 현상을 보인다. 이 유형은 1900년대 전반까지도 자연스럽게 사용되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성호사설(星湖僿說)』의 형성 배경과 인용서목 분석

        손계영,Son, Ke-Yo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8 No.1

        본 연구는 성호 이익의 대표적인 저술인 "성호사설"에 인용된 문헌 443종을 추출하여 인용문헌의 규모 및 문헌의 성격, 중국본의 비중, 최신본의 비중, 주제별 비중 등을 분석하였다. "성호사설" 인용문헌 443종을 살펴본 결과, 고려 조선본이 전체 23.3%, 중국본이 76.7%를 차지하였고, 중국본의 편찬시기를 살펴본 결과, 송대 이전 편찬본이 70% 이상을 차지한 반면, 명 청대 문헌은 22.7%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용문헌의 주제별 비중을 살펴보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주제영역은 역사서류(歷史書類), 시문집류(詩文集類), 유교경전류(儒敎經典類), 소설필기류(小說筆記類)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성호 이익은 이외에도 잡가류, 유가류, 지리류, 제도규정류, 서화음악류, 자전류, 전기류, 백과사전류 등 다양한 주제에 관심을 가졌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composition background of Miscellaneous Explanations of Seongho(湖僿說), the representative work of Yi Ik(李瀷, pen name is Seongho 星湖, 1681-1763), then selected the 443 cited references in the book, and analyzed the features of them such as the scales and characteristics of reference, the proportion of Chinese books, the ratio of latest editions and the relative importance by subjects. After examining the ratio of Goryeo-Joseon and Chinese books among 443 references in Miscellaneous Explanations of Seongho,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23.3% of Goryeo-Joseon books and 76.7% of Chinese books cited. The investigation on the editorial period of the referred Chinese books showed that 70% and more were books of the Song and pre-Song period, whereas 22.7% were books of the Ming-Qing period. The analyzation of the proportions of the reference by subject showed that the subject fields with highest percentage appeared in the order of historical books, poetry and prose collections, Confucian classics, and novels and essays. And besides these subjects, he had been interested in various subjects: Miscellaneous Schools, Confucian School, geography, regulation of systems, painting and music, dictionary, biography, encyclopedia, and so on.

      • 조선시대 古文書에 사용된 종이 분석

        손계영 한국기록관리학회 2005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5 No.1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고문서에 사용된 종이를 분석하여 그 특징을 고찰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현존하는 종이실물의 분석을 통하여 조선시대 고문서에 사용된 종이의 상태와 변화를 실질적으로 관찰해 보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문중에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 1,504건으로, 그 종류는 17종 23항이다. 분석방법으로는 종이의 발형태(발초·발끈의 형태), 밀도, 섬유종류를 분석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우선 발의 형태는 발초수와 발끈폭으로 나누어 관찰하였는데, 3㎝내의 발초수는 크게 10개 내외의 경우와 17개 내외의 경우로 나누어진다. 17개 내외의 경우는 조선초기의 책지에서 보이는 발초수와 유사하나, 10개 내외의 경우는 그 사례가 드물다. 10개 내외의 발초수를 갖춘 것은 1933년 Dard Hunter의 조사에 보이는 억새발인 것으로 파악된다. 발초수를 시기적으로 살펴보면, 조선전기에 비해 중기부터 말기로 갈수록 발초가 더욱 촘촘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발끈폭은 상당히 불규칙적으로 나타나며, 이외에도 다양한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끈과 발끈 사이에 짧은 발끈이 있는 경우, 발끈이 이중으로 나타나는 경우, 발끈폭이 좁게 나타나는 경우 등이 그것이다. 발끈폭은 조선후기로 갈수록 좁아지는 현상을 보이는데, 특히 1800년대 이후에 확연히 좁아짐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밀도를 살펴보면, 문서종류마다 나타나는 평균밀도가 『度支準折』에 기록된 종이 종류와 무관하지 않다. 종이 종류의 항목이 같은 문서는 서로 유사한 평균밀도를 보이며 초주지, 상품도련지, 하품도련지, 저주지의 순으로 밀도가 점점 낮아진다. 이외에도 같은 종류 문서의 밀도를 분석해 보면 당시에 문서를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를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서지에 사용된 식물섬유의 종류를 살펴보았다. 『탁지준절』에서 구분한 상품도련지, 하품도련지, 초주지, 저주지를 사용한 각 문서지의 섬유를 관찰한 결과, 모두 같은 형태의 닥섬유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문서지 제조에 사용된 종이가 식물섬유의 차이에 의해서 구분되었던 것이 아니라, 제작·가공방법 등의 차이로 구분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문서의 작성목적에 따라 종이의 종류를 다르게 사용하고, 시기에 따라서도 종이의 특징이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를 통해서 冊紙와 文書紙의 비교를 할 수 있고, 중국의 고대 종이와 조선시대 종이의 비교도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당시의 종이 종류와 문서종류별·시대별 변화과정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믿는다.

      • KCI등재

        19세기 말 지방관의 업무와 기록물에 관한 연구 - 吳宖黙(1834~1906)의 『咸安郡叢瑣錄』을 중심으로 -

        손계영 한국서지학회 2018 서지학연구 Vol.74 No.-

        This paper examined the administrative works and related records of Oh Hoengmuk, a local governor in the late nineteenth-century Joseon, through Records of Every Little Detail about Haman-gun (Haman-gun chongswaerok, 咸安郡叢瑣錄) which is his private and public journal. This paper attempted to insist that his records were the most important tool in public politics and local governance, and so that he displayed strong control over the local people. The summary of what was discussed in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in evaluating Oh’s works against magistrate’s seven duties (守令七事), it was revealed that his work was carried out based on records. Seco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produced by Oh to govern the post were investigated. Third, this paper dealt with the spaces and the means used by Haman Government Office to examine the records and inspected the archiving methods used by the local government agencies. 19세기 말 함안지역 지방관 오횡묵의 사적 일기이자 공적 일지인 『함안군총쇄록』을 통해 오횡묵의 업무와 관련 기록물에 대해 살펴보았다. 오횡묵의 대민정치와 지역통치에 있어 기록물이 가장 중요한 수단이었으며, 기록물을 통해 강력한 통치력을 발휘하였음을 말하고자 하였다. 이 글에서 다루었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령칠사를 중심으로 함안군수 오횡묵의 업무를 다루었으며, 그 과정에서 기록물에 근거하여 업무가 수행되었음을 밝혔다. 둘째, 오횡묵이 임지를 통치하기 위해 생산한 기록물의 종류과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 함안관아에서 기록물을 조사하였던 공간과 방식에 대해 다루었으며, 지방관아 기록물 보존을 위한 방편에 대해 다루었다.

      • SCOPUSKCI등재

        원형탈모증 병변내 주사 치료에서 완충 리도카인 - 트리암시놀론 용액의 주사통증의 감소와 치료효과

        손계영,김홍용,김한욱,임철완 ( Ge Yeong Son,Hong Tong Kim,Han Uk Kim,Chull Wan Ihm ) 대한피부과학회 1997 대한피부과학회지 Vol.35 No.1

        Background: Intralesional injection of corticosteroids has widely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alopecia areata. The pair produced during the repeated multiple injection procedures is an actual therapeutic obstacle in both adult and child patients. Buffering of the local anesthetics is known to reduce the pain. Objective : The purpos;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egree of pain reduction and hair regrowing effect by the use of buffered lidocain-triamcinolone acetonide suspension(BLT) compared with nonbuffered lidocairi triamcinolone acetonide suspension(LT) in the intralesional injection of alopecia areata. Methods : We evaluat d the degree of pain reduction by the use of BLT compared with LT in the intralesional injection in 40 cases of alopecia areata. The pain was ineasured by patients verbal pain score from zerc to ten and simultaneously observed if there were be any differences in hair regrowing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1. Remarkable reduction of the pain du~ring the inject,ion was noted by the buffering agent and the pain was further reduced by the vertical insertion of the needle. The pain score of BLT was 1.5 by vertically inserted injections and 2.4 by ~30 degree angle injections while the pain score of LT was 4.4 by the vertical and 5.6 by t.he 30 degree, Z. The mean time for appearance of regrowing hairs was 3.6 weeks in the BLT area and 4.0 weeks in the LT area. The use of BLT area showed a statistically faster response than the LT area. Conclusion : The use ot BLT is recommended not only by it,s remarkable effect on pain reduction but also by its sigriificantly accelerated hair regrowing effect in the trea~tment of alopecia areata. (Kor J Dermatoi 1997;35(1): 41-48)

      • KCI등재

        1784년 경주 용산서원의 崔震立 實紀 간행과정과 간행비용 분석

        손계영 한국서지학회 2019 서지학연구 Vol.80 No.-

        The typical cases of old historical manuscripts showing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wood block printing are Gan․yeok․yil․gi(刊役日記) and Gan․yeok․so․yong․ha․gi(刊役所用下記). This study focused on Gan․yeok․so․yong․ha․gi, which recorded expenditures spent on the publishing of wood printing blocks.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and expenditure of biography publishing by analyzing Gan․yeok․so․yong․ha․gi, which was written when Choi jinlib’s(崔震立, 1568∼1636) biography was published in Yongsan-seowon(龍山書院), Gyeongju(慶州) in 1784.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Gan․yeok․so․yong․ha․gi, which was the account book kept on the process of publishing the wood block printing biography, the amount of money spent on biography publishing, the situation conjectured from the details of the expenditure, goods and materials required in the publishing work, incomes and expenses related to the publishing, etc. 이 논문은 조선시대 목판본 간행과정을 알 수 있는 「刊役日記」, 「刊役所用下記」 등의 자료에 주목하여 간행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1784년 경주 용산서원에서의 崔震立(1568∼1636) 실기 중간본 간행 시 작성된 간행비 지출장부인 「刊役所用下記」를 대상으로 하였다. 「간역소용하기」를 분석하여 목판본 간행이 있었던 실제 장소와 공간, 간행단계와 과정, 간행비용 등에 대해 다루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간행장소는 용산서원과 멀지 않은 천룡사 서암에서 진행되었다. 간행과정은 원고 필사와 수정이 있었던 서사 단계, 실제 판각이 이루어진 판각 단계, 책판을 인출하는 단계로 구분되었다. 간행비의 대부분은 문중계와 용산서원 소유의 토지를 방매하여 마련하였고, 지출된 비용의 80%는 참여인력의 인건비, 쌀과 식재료비 등으로 지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