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동차 조립 작업 시 작업방향 및 작업자세의 변화에 따른 최대작업빈도에 관한 연구

        손경일,김철홍,배순덕 대한인간공학회 2007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

        A laboratory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rking posture and orientation in Automobile Assembly Tasks. Ten healthy mal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as subjects in the experiment. Each subject performed 16 experimental sessions with combination of 4 working postures, 4 working orientations. To examine the effect of various working conditions of workload, EMG analysis was performed on 5 different muscles in the neck, shoulders, spine and leg area. Also RPE Scale was taken as response variable. Also one of the main objectives of the experiment was to determine the maximum acceptable frequency(MAF) for a bolt assembly task at various working postures and orientations. The result showed that both working posture and orient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maximum acceptable frequency(MAF). The MAF was more affected by working posture than that of working orientation.

      • Study on Pathogenic Free-Living Amoebae by Ultrastructural cytochemistry

        Im, Kyoung-il,Chung, Ki-Sup,Yun, Duk-Jin,Soh, Chin-Thack INSTITUTE OF TROPIC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1980 YONSEI REPORTS ON TROPICAL MEDICINE Vol.11 No.1

        자유생활 아메바의 병원성을 식별하기 위하여 형태학적 소견, 실험동물에의 감염능, 면역반응 조직배양 세포에 대한 아메바의 세포 병변효과(cytopathic effect), 생화학적 방법으로 phytoagglutinin 인 concanavailn A에 의한 응집반응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미세구조적 세포화학(ultrastructural cytochemistry) 방법을 도입하여 자유생활 아메바의 병원성과 미세구조와의 관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CGV 배지 또는 CGVS 배지(Willaert 및 Le Ray, 1973)를 사용하여 배양된 병원성 및 비병원성 자유생활 아메바를 대조군과 실험군의 2군으로 나눈 다음 실험군은 다시 concanavalin A처리군, horseradish peroxidase, type II (Sigma) 처리군 및 concanavalin A-horseradish peroxidase 처리군의 3군으로 나누어 이들 아메바의 미세구조를 전자현미경을 통하여 비교 관찰하여 병원성과의 관계를 관찰하였다. 1. Concanavalin A 로 처리하였을 때 병원성인 Acanthamoeba Species인 YM-4와 Acanthamoeba lenticulata에서 세포막의 전자밀도가 약간 증가되여 있었으나 병원성인 Naegleris fowleri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2. Horseradish peroxidase 로 처리하였을 때 병원성 및 비병원성 자유생활 아메바 모두에서 mitochondria와 lysosome의 전자밀도가 현저히 증가되는 반면 세포막등의 미세구조는 별 변화가 없었다. 3. Concanavalin A와 horseradish peroxidase로 동시에 처리하였을 때 병원성 아메바인 Acanthamoeba lenticulata, Acanthamoeba sp., YM-4 및 Naegleris fowleri에서 세포막의 전자밀도가 현저히 증가된 반면 비병원성 아메바인 Acanthamoeba royreba에서는 세포막의 전자밀도에 변화가 없었다. Mitochondria와 lysosome의 전자밀도는 모든 아메바에서 peroxidase 처리군과 동일하였으며, 기타 미세구조는 대조군이나, concanavalin A 처리군 또는 peroxidase 처리군과 비교하여 뚜렷한 변화는 없었다. 이상과 같이 자유생활 아메바를 concanavalin A와 horseradish peroxidase로 처리하여 전자현미경을 통한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던 바 병원성 유무에 따라 그 미세구조 특히 세포막에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Agglutinability of Free-Living Amoebae with Phytoagglutinin in Consideration with Their Pathogenicity

        Soh, Chin-Thack,Kim, Chang-Kyu,Choi, Heung-Jae,Im, Kyung-Il INSTITUTE OF TROPIC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1980 YONSEI REPORTS ON TROPICAL MEDICINE Vol.11 No.1

        자연환경에서 분리 배양하여 실험동물 마우스에 감염시켜 병원성을 관찰한 자유생활 아메바와 이미 병원성이 확인된 자유생활 아메바를 사용하여 Concanalvain A에 의한 응집반응을 봄으로써 그 반응과 아메바의 병원성과의 관계를 관찰하였다. 자유생활 아메바는 CGV 배지 또는 CGVS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였고 백색마우스 비강에 자유생활 아메바 영양형을 떨어뜨려 감염시킴으로 그 병원성을 관찰하였다. 자유생활아메바 영양형은 0.01M 인산완충액(pH 7.0∼7.2)을 함유한 0.9%(w/v) 식염수로 세척하고 그 부유액을 일정농도의 Concanavalin A와 혼합하여 일정시간 방치하였다가 현미경으로 응집여부를 관찰하였고 또한 응집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660nm에서 transmit-tance의 증가율을 측정함으로 응집율의 변동을 관찰하였다. 붕어 아가미에서 분리한 병원성인 Acanthamoeba sp. 인 YM-4 영양형은 Concanavalin A 25 ㎍/ml 이상 용액에서 응집반응이 잘 일어났다. 장기간 계대배양하여 병원성이 약화된 Acanthamoeba culbertsoni영양형은 Concanavalin A 25㎍/ml 이상 용액에서 응집반응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마우스에 감염시켜 병원성이 확인된 Acanthamoeba lenticulata는 Concanavalin A 25㎍/ml이상 용액에서 응집반응이 일어남을 관찰하였고 비병원성인 Acanthamoeba royreba는 Concanavalin A 100㎍/ml용액에서, Acanthamoeba hatchotti는 Concanavalin A 25㎍/ml이상 용액에서, Acanthamoeba triangularis는 Concanavalin A 100㎍/ml용액에서 응집반응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장기간 계대배양하여 병원성이 약화된 Naegleria fowleri 영양형은 Concanavalin A 100㎍/ml 용액에서도 응집반응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마우스에 감염시킨 다음 뇌조직에서 분리한 병원성이 증강된 Naegleria fowleri 영양형을 사용하였을 때도 응집반응이 일어나지 않았다. Acanthamoeba sp. 인 YM-4 영양형을 사용하여 Spectrophotometer로 응집반응을 관찰한 바 영양형 수가 많을수록 응집반응이 잘 일어났으며 30℃에서 반응 45∼60분후 응집반응이 최고치에 달하였다. 또한 Concanavalin A 농도 100㎍/ml에서 1∼10㎍/ml에 비해 응집반응이 잘 일어났으며 200㎍/ml에서는 더욱 현저하였다. 이상 자유생활아메바의 Concanavalin A에 의한 응집반응을 관찰하였던 바 Naegleria sp. 에서는 병원성과 관계가 있으나, Acanthamoeba sp. 에서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 Fate of Free-Living Amoebas in Various Conditions

        Soh, Chin-Thack,Ahn, Min,In, Kyung-Il,Yun, Duk-Jin INSTITUTE OF TROPIC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1980 YONSEI REPORTS ON TROPICAL MEDICINE Vol.11 No.1

        자연환경속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을 일으키는 자유생활 아메바 즉 Acanthamoeba culbertsoni, Naegleris fowleri등이 마우스의 비강이 아닌 구강으로 들어왔을 경우 뇌이행이 가능한지 또는 자유생활 아메바가 구강에서 소화관으로 들어가는 경우 생존할 수 있는지, 만약 생존한다면 뇌이행을 할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자유생활 아메바가 숙주에 들어오기전 체외환경(조미료, 하수, 수도물, 농약)에서의 저항성 또는 생존 가능성을 파악하여 그들의 운명을 연구할 목적으로 실험에 착수하였다. Acanthamoeba culbertsoni와 Naegleris fowleri의 배양은 CGVS 배지 또는 CGV 배지를 이용하였다. 마우스 소화관 내용물에서 자유생활 아메바 검출을 위하여 agar plate 배양방법을 사용하였다. 1. Naegleria fowleri 및 Acanthamoeba culbertsoni 영양형을 마우스 구강에 떨어뜨려 감염시키고 12∼15일후 뇌조직을 조사한바 10마리중 2마리에서 자유생활 아메바를 검출할 수 있었다. 비강으로 감염시킨 마우스에서는 5마리 모두에서 자유생활 아메바가 비강에서 뇌조직으로 이행함을 알 수 있었다. 2. 자유생활 아메바 영양형을 마우스는 구강에 감염시켜 소화관중 위, 소장, 직장의 내용물을 배양하였으나 자유생활 아메바를 검출할 수 없었다. 3. 소화액의 성분인 mucin, pepsin, glucose, trysin 함유 배지에서 Acanthamoeba culbertsoni 영양형이 분열 증식하였으나 HCl과 pepsin 함유배지에서는 모두 사멸하였다. 4. Naegleria fowleri 영양형은 소금, 간장, 마늘, 식초, 고추등 조미료가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 96시간후까지 생존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하수와 수도물에 Naegleria fowleri 영양형을 혼합하여 실온에 방치하였더니 75시간후까지 생존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6. 농약 Kasugamin, 2, 4-D, Bla-s, Hosbel의 실용농도에서 자유생활 아메바 Acanthamoeba culbertsoni 영양형은 생존해 있음을 관찰하였으나 Diazinon 과 Cartap의 실용농도에서는 사멸되었다.

      • KCI등재

        도시부 자율주행셔틀 실증을 위한 운행설계영역 분석 : 안양시를 중심으로

        김형주,경일,김재환,웅비 한국ITS학회 2020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9 No.2

        현재 진행되고 있는 자율주행 관련 기술 발전은 실제 도로를 사용한 자율주행 테스트 시 다양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특히 자율주행자동차법 시행으로 실제 도로에 서의 자율주행 실증은 증가할 것이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국내 도로환경에 적합한 운행설 계영역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심부 자율주행셔틀 실증을 위한 운행설 계영역을 정의하고, 안양시 도심부도로를 중심으로 자율주행 운행 가능여부 등의 운행설계영 역 평가를 실시한다. 본 연구의 자율주행 운행설계영역은 국내의 도로환경과 안전을 우선적으 로 고려하였으며, 기하구조적 요인, 운영적 요인, 환경적 요인을 포함한다. 분석결과 노드기준 에서는 노드유형 및 신호-통신 여부를 통해서 30개 노드에서 자율주행셔틀 실증이 가능한 것 으로 분석되었다. 링크기준에서는 오전첨두(8-9시) 42개, 비첨두(12-13시) 39개, 그리고 오후첨 두(18-19시) 40개 방향별 링크구간에서 자율주행 제한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자 율주행 실증테스트가 이루어지는 도심부도로에서 사전 안전성 평가의 수범사례로 활용될 가치가 있다. The ongoing development of autonomous driving-related technology may cause different kinds of accidents while testing new changes. As a result, more information on ODD suitable for the domestic road environment will be necessary to prevent safety accidents. Besides, implementation of the Autonomous Vehicle Act will increase autonomous driving demonstrations on roads currently in use. This study describes an ODD for demonstrating an autonomous driving shuttle in downtown areas. It addresses a possible scenario of autonomous driving around a downtown road in Anyang. Geometric, oper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considered while maintaining a domestic road environment and safety. Autonomous driving shuttles are demonstrated in 30 nodes, each identified by node type and signal-communication. Link criteria are an autonomous driving restriction in 42 morning peak (8-9am) hours, 39 non-peak (12-13pm) hours, and 40 afternoon peak (18-19pm) hours. In the future, conclusions may be considered for preliminary safety assessments of roads where autonomous driving tests are performed.

      • KCI등재

        미래 모빌리티 체계 변화 예측 및 서비스 방향 연구

        권영민,김형주,경일,김재환,웅비 한국ITS학회 2020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9 No.3

        The manufacturing-oriented mobility system is being reorganized around the future mobility system represented by electrification, sharing, and autonomy, driven by the social deman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hanges in future mobility systems are expected to accelerate thanks to advances in IT technology.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t survey (N=23) to predict the direction of changes in the future mobility system. Through the survey, ‘mobility sharing’ was selected as a key factor in the future mobility system among four future mobility. In addition, ‘safety’ was selected as the most important service factors in future mobility system among eight future mobility service factors.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to design policies and service directions of preparation for the future mobility system. 제조업 중심의 기존 모빌리티 시스템은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시대적·사회적 요구에 힘입어 전기화·공유화·자율화로 대변되는 미래 모빌리티 시스템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으며, IT 기술 발전에 힘입어 교통수단 혁신의 변화는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 모빌리티 체계 변화에 대한 방향성을 예측하고자 미래 모빌리티 전문가들(N=23)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공유모빌리티, 자율주행자동차, 전기자동차, 통합교통서비스 등 4가지 미래 모빌리티 수단 및 서비스에 대한 영향력 및 변화정도를 측정한 후 이를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공유모빌리티가 미래모빌리티 시스템의 핵심요인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방향성 탐색을위해 8가지 서비스 요인(안전성, 친환경성, 심미성, 편의성, 정시성, 접근성, 수요응답성, 개인이동성)에 대한 AHP(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안전성’ 요인이미래 모빌리티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미래 모빌리티체계 변화에 대응하는 정책 및 서비스 방향을 설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국내 모 주물사업장의 근골격계질환에 관한 연구

        김철홍,백승렬,권영준,문명국,손경일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4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학술대회 Vol.2004 No.춘계

        A research project was conducted to study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MSDs) at a die-casting plant in Korea. The project was consisted of 4 main parts; education on the topics of MSDs for all workers, symptom survey, medical check-up, investigation of MSD risk factors. The result of symptom survey showed that 89.5% of the respondents complained pains on at least one part of the body. After cross-sectional analysis of various information and risk factors based upon NIOSH criteria, 83.3% of respondents were considered as active health surveillance level 1, and 16% of the respondents were considered as active health surveillance level 2 those are at high risk of having MSDs based upon a criteria developed by Institute of Labor Science at University of Incheon. Also the result of medical examination by a industrial medicine MD showed that 41workers(44.1%) out of 93 workers examined were considered as MSD patient group at moderate level, and 10 workers(10.8%) were considered as MSD patient group at relatively high level that require certain level of medical treatment and ergonomics interventions for their workplace. The analysis of the work environment using various ergonomic investigation techniques revealed that repeated awakard postures(50%) and highly repatitive task(37.5%) were two most contributing risk factors for the on-set of MSD at this work site followed by handling of heavy object(8.3%), and vibration(4.2%).

      • KCI등재후보

        국내 지하철 정비 사업장의 근골격계질환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김철홍,권영준,백승렬,손경일,Kim, Cheol-Hong,Gwon, Yeong-Jun,Baek, Seung-Ryeol,Son, Gyeong-Il 대한인간공학회 2004 大韓人間工學會誌 Vol.23 No.3

        A research project was conducted to study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MSDs) at subway train repair plant in Korea. The project was consisted of 4 main parts; education on the topics of MSDs for all workers, symptom survey, medical check-up, investigation of MSD risk factors. The result of symptom survey showed that 95.2% of the respondents complained pains on at least one part of the body. After cross-sectional analysis of various information and risk factors, 86.8% of respondents were considered as active health surveillance level 1 that require continuous monitoring on their symptoms and working conditions. And 57.1% of the respondents were considered as active health surveillance level 2 that needed medical check-ups for proper medical treatment. The analysis of occupational risk factors revealed that handling of heavy object (46.15%) and repeated awkward postures (46.15%) were two most contributing risk factors for the on-set of MSD at this work site followed by static strain (7.7%), and vibration and impact (3.8%). Medical examination was performed by an industrial medicine MD on 156 workers those considered as active health surveillance level 2. The result showed that 35 workers (20.7%) were considered as MSD patient group at severe level, and 68.6 workers (68.6%) were considered as moderate group and 18 workers (10.6%) were considered minor or normal group those have no sympt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