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상권 활성화 방안 : 대전광역시 일반근린형을 중심으로
소미경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도심 상권은 그 지역을 지탱하는 원동력이었으며 도시의 발달과 함께 도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주거지역과 밀집된 골목상권 및 전통시장은 서민경제의 한 축을 담당했으며 기초적인 도시경제활동을 영위하기 위한 공간이다. 이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발전되었으며 오늘날에는 그 지역의 역사와 정서를 갖춘 대표적인 공간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교통수단의 발달과 신시가지 및 대형 할인점, SSM의 등장은 지역의 소규모 상권을 쇠퇴시켰으며 인구의 유출로 인한 도시의 쇠퇴와 건축물 및 기반시설의 노후화로 인해 상권은 슬럼화가 진행되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2017년 도시재생 뉴딜사업 발표를 통해 쇠퇴한 지역을 살리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소규모 상업 및 주거지역에 대한 재생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 선진 사례분석에 기초하여 대전광역시 도시재생 뉴딜사업 지역 중 일반근린형을 대상으로 상권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하되 일반근린형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지에 한정하며, 각 사업지의 골목상권, 전통시장 등의 상업기능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물리, 경제,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의 도시재생 상권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권 활성화를 위해 상업 건축물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며 상업 건축물 정비시 지역 랜드마크를 활용한 리모델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상권과 연계할 공원, 문화시설 등 기반시설 확충을 통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고 사람 중심의 계획을 통해 커뮤니티 공간을 형성하여 상인과 방문객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해야 한다. 둘째, 상권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창업 지원, 청년 기업육성 등의 일자리 창출방안과 아이디어 발굴을 통해 플랫폼 사업, 자체브랜드(PB) 개발 등의 지역특화 전략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소득의 재분배를 통한 투자를 통해 지속적인 도시재생사업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정부의 정책 지원사업과 함께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 의식이 중요하다. 앞서 분석한 사례를 보면 쇠퇴한 상권 기능을 다시 회복하기까지 상인들의 많은 노력이 요구되었으므로 상인들의 능동적 참여와 의식개선으로 상권 활성화를 이루어야 한다. 셋째, 상권 유지를 위한 상인들의 거버넌스 구축 및 역량 강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인 간의 협의회를 구성하여 이해집단 간의 갈등을 조정하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통해 경영 능력, 서비스 질 향상 등을 위한 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상인협의회 자체에서 진행할 수 없는 상황에 대비하여 재생센터, 기업, 연구소의 협업을 통한 상권 활성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도시가 지속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유지되기 위해서는 상인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지역 내 지속적 투자로 자생할 수 있도록 지역특화 전략을 함께 연구해야 한다. 넷째,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문화적 자산을 바탕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운영하고 이에 따른 재생방안을 수립하여 상권 활성화를 유도해야 한다. 또한 언론, SNS, 인터넷 등을 활용한 지역의 인지도를 높이는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소극적인 정부 및 지자체의 정책은 지역특성을 잃게 하므로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역고유의 역사와 문화자원을 활용한 재생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재생사업 지구내 상권 활성화를 위해서는 편중된 계획은 재원 분배의 형평성에 어긋나며 지속적인 도시재생사업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성공적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물리,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측면을 고려한 사업 진행이 이루어져야 한다.
관광 마케팅커뮤니케이션이 독일 관광지 이미지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미경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9 국내석사
유럽 관광지는 각 나라, 주, 도시 별로 국내에서 활발히 관광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 중 한국 시장에 대해 오랜 관심을 가져온 독일은 독일관광청, 바이에른주 관광청에 이어 하이델베르크 시 관광청을 2016년에 개소하였다. 앞으로도 해외 관광지는 지역 별 무한 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이 예상되며 관광목적지로써의 타 지역과의 차별화된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 관광지 이미지를 강화하여 관광객의 방문을 유치해야할 것이다. 하지만 해외 관광지의 관광 마케팅커뮤니케이션 관련 선행연구는 드문 상태로, 경쟁전략 연구의 필요성에서 관광 마케팅커뮤니케이션 개념을 바탕으로 관광지의 이미지와 방문의도와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에 효율적인 마케팅커뮤니케이션 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구성요소(관광지 구전, 홍보, 광고, 이미지, 방문의도) 간 영향관계를 밝히고 이를 통해 독일 관광지 이미지 강화 방향과 방문의도 고취를 위한 기초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20세 이상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2019년 4월 29일부터 5월 11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총 297부로, 사회과학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도, 기술통계,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관광 마케팅커뮤니케이션의 구성요소 중 관광지 구전과 광고가 관광지 이미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관광지 이미지는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실도 밝혀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은 첫째, 관광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이론을 해외 관광지 이미지 관련 연구에 적용한 점이다. 둘째, 치열한 해외 관광지 경쟁 환경 속에서 관광객들의 관광지 이미지와 방문의도를 높일 수 있는 선행 요인들을 제시한 것이다. 이와 함께 실무적 시사점은 첫째, 관광객의 독일 관광지 이미지와 방문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관광지 구전에 대한 마케팅커뮤니케이션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대고객 최접점 활동인 관광지 홍보 활동의 재고가 필요하다는 점, 관광지 광고의 노출 대상과 선정 매체 전략 수립이 요구되는 점과 넷째, 선호되는 이미지 부문의 강화와 다섯째, 재방문의도 창출에 대한 적극적 마케팅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제시한다. European tourist destinations are actively engaged in tourism marketing communication in Korea by country, state and city. Germany, which has long drawn interest in the Korean market, opened the Heidelberg City Tourism Bureau in 2016 following the German Tourism Administration and the Bavarian Tourism Authority. In the future, overseas tourist destinations are expected to see more regional competition, and with a differentiated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y with other regions as a tourist destination, they will have to enhance their image to attract tourists. However, pre-research on tourism marketing communication in overseas tourist sites is rare, and based on the concept of tourism marketing communication in the need for competitive strategy research, the government sough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of tourist sites and their visitation intent. In response, the Commission intend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tourism, promotion, advertisement, image, and intention of visiting) that could contribute to efficient marketing communication activities and to present basic information for enhancing the image of German tourist attractions and for promoting visits. Data collection for analysis was conducted from 29 April to 11 May 2019 on adult men and women over the age of 20. A total of 297 volumes of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social science statistics program, SPSS 22.0. Frequency, technical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were performed for the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components of tourism marketing communication, the tourist attractions' oral and advertis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ourist site's image, and also revealed that the tourist imag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urpose of the visit. Based on this,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the application of tourism marketing communication theory to research on image of overseas tourist sites. Second, it has presented leading factors that can enhance tourists' image as a tourist destination and their willingness to visit amid a fierce overseas tourism competition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first, strengthening marketing communication on the tourist sphere, which has the greatest impact on tourists' image as a German tourist destination and their willingness to visit. Second,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for reconsideration of tourist promotion activities that are the best point of contact for visitors, the need for exposure of tourist advertisem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es for selection media, and fourth, the need for active marketing on the strengthening of the preferred image sector and the creation of revis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