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객관적 및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성혜연,이성규(Sungkyu Lee),나지훈(Jihun Na)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1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9 No.-

        본 연구는 노인의 객관적 건강상태와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자살생각과 자살생각에 영향을미치는 요인들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제13차 한국의료패널조사자료를 활용하여, 55세 이상 6,283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객관적 건강상태와 주관적 건강상태에따라 4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AS 9.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4개 집단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된 요인은 불안과 우울의 경험으로 나타났다. 또한, 객관적건강상태와 주관적 건강상태가 모두 나쁜 노인의 경우 낮은 연령, 남성, 낮은 학력이 자살생각에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건강상태와 무관하게 객관적 건강상태가 나쁜 노인들의경우에는 스트레스 수준이 이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기반하여, 본 연구는 노인의 객관적 건강상태와 주관적 건강상태의 특성을 고려한 노인 자살예방의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의 객관적 건강상태와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자살생각과 자살생각에 영향을미치는 요인들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제13차 한국의료패널조사자료를 활용하여, 55세 이상 6,283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객관적 건강상태와 주관적 건강상태에따라 4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AS 9.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4개 집단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된 요인은 불안과 우울의 경험으로 나타났다. 또한, 객관적건강상태와 주관적 건강상태가 모두 나쁜 노인의 경우 낮은 연령, 남성, 낮은 학력이 자살생각에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건강상태와 무관하게 객관적 건강상태가 나쁜 노인들의경우에는 스트레스 수준이 이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기반하여, 본 연구는 노인의 객관적 건강상태와 주관적 건강상태의 특성을 고려한 노인 자살예방의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살예방 실무자의 외상후 성장 유형과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성혜연,이성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2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7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예방 실무자의 외상후 성장 유형을 분석하고, 그 유형에 따른 관련요인들을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자살예방센터, 병원, 정신건강복지센터 등의 정신건강 실천현장에서 자살예방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간호사, 정신과의사, 심리사 319명을 포함하였으며, 자료는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되었다. 자살예방 실무자의 외상후 성장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유형에 따른 자살예방 실무자의 외상후 성장과 관련이 있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결과, 자살예방 실무자의 외상후 성장은 성장수준에 따라 전(前)성장형, 성장 도입형, 성장 도약형, 성장 성숙형의 네 가지 외상후 성장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성장 성숙형을 준거집단으로 하여, 전(前)성장형 집단의 외상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업군, 의도적 반추, 사회적지지로 나타났다. 또한, 성장 도입형 집단의 경우, 연령, 직업군, 의도적 반추와 사회적지지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반면, 성장 도약형 집단의 경우, 연령, 외상후 스트레스, 사회적지지가 외상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살예방 실무자의 클라이언트 자살관련 외상의 극복과 외상후 성장의 촉진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서울시정신보건 기관 현황 추이분석을 위한 조사연구

        성혜연,장세연,최지애,손지훈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17 정신건강연구집 Vol.7 No.-

        • 연구목적 : 본 조사연구는 서울시의 정신보건 예산, 시설현황, 인력등의 인프라 및 등록 대상자 현황에 대한 추이를 분석해 서울 시의 정신보건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활용 및 서울시정신보건 인프라 현황에 대한 주요지표를 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 행됨. • 연구방법 : 본 조사연구는 서울시비 지원 약 170개 정신보건기관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2017년 3월 수행됨. 6개영역 28 개 세부항목으로 구성된 조사표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일부 데이터는 서울시정신보건정보관리시스템을 통해 수집됨. (※본 조 사는 조사시행연의 전년에 대한 현황을 조사한 것이며, 분석항목일부에 대한 결과를 본 연구집에 수록함) • 연구결과 : 서울시의 정신보건예산은 2015년 대비 2016년 6.7% 증가, 정신보건기관수는 2015년 대비 2016년 1.2.% 증가 함. 서울시 정신보건기관 인력은 2015년 대비 2016년 2.3% 증가하였으며 2015년 대비 2016년 전문요원의 수는 2% 증가 함. 등록 대상자 현황에 있어서는 2015년 대비 2016년 25.6% 감소했고 2016년 기준 등록대상자의 정신건강 문제유형의 경우 정신병적 장애(F20-29) 45%, 기분장애(F30-39)34%, 소아청소년기 행태 및 정서장애(F90-98) 11%로 나타남. 또한 등록대상자의 자살사망은 2015년 31명에서 2016년 18명으로 42%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결론 : 서울시의 정신보건 예산, 인력, 기관은 매년 양적 팽창을 하고 있으나 그 증가세는 감소하고 있는 추세임. 본 조사결과를 토 대로 한 후속 연구를 통해 수요대비 인프라 공급에 대한 적정량에 대한 추계와 이에 기반한 서울시정신보건정책 수립이 필요함. • Objective : This survey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mental health infrastructure (budget, facilities, personnel, etc.) and registration target status for the purpose of: 1) providing basic reference, which can be utilized in establishi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mental health policies; and 2) developing key indicators of mental health infrastructure status. • Methods : This survey study was done on around 170 mental health centers suppor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 April 2016 and March 2017 through a questionnaire composed of 28 detailed items in 6 fields and some data collected from Mental Health Information System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This study conducted year-on-year comparison of mental health center status in 2016 and 2017 and contains analysis results of some part of questionnaire items) • Results : In 2016,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mental health budget rose 6.7%, mental health center figures increased 1.2%, mental health center employee figures grew 2.3%, and mental health specialist figures increased 2%, whereas registration target figures decreased 25.6% and suicide death committed by registration targets declined 42% from 31 cases to 18 cases. As for mental health problem type of registration targets, psychotic disorder (F20-29) accounted for 45%, mood disorder (F30-39) 34%, and behavioral and emotional disorder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90-98) 11% as of 2016.

      • KCI등재

        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혜연,전준희,이성규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74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workers, especially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private contracting-out and public health center. Study sample were recruited from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in Seoul and Kyunggi area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s. The final sample of 246 was analyzed. Major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n operating system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workers in private contracting-out centers was higher than that of workers in public health centers. Second, among private contracting-out center workers, job retention, wage, and quality of service provided were found as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age and wage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public health center workers. Based upon these results, social welfar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worker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봄에 있어, 민간위탁형과 보건소직영형의 운영형태에 따른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서울, 경기소재 정신건강복지센터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을통해 수집된 246부의 자료를 최종분석 하였는데,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영형태는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요인으로써, 민간위탁형 종사자의 조직몰입 수준이보건소직영형 종사자의 조직몰입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간위탁형 종사자의 근속기간, 임금수준, 기관에 대한 서비스 질 인식수준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보건소직영형 종사자의 나이와 임금수준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중환자 가족의 환경적 스트레스와 불안에 관한 연구

        성혜연,김경희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간호과학연구소 2003 중앙간호논문집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ation of intensive care unit environmental stressor and anxiety of the family of intensive care units pati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01 family members of ICU patients selected from C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y. 1, 2002 and Aug. 31, 2002.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STAI) developed by Spielberger and the Intensive Care Unit Environmental Stressor Scale(ICUESS), a Likert type questionnaire designed to measure the stressfulness of commonly occurring items in the ICU environ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 1. In the category of ICU environmental stressor, the highest mean rating perceived by patients was isolation, followed by immobilization, orientation, sensory deprivation, depersonalization and sleep deprivation. Items with the highest mean ratings were : (1) Hearing patient's heart monitor alarm go off, (2) Not having treatments explained to the patient (3) Patient being in pain, (4) Only seeing patient for a few minutes visiting hours, (5) Hearing other patients cry out (6) Having tubes in patient's body, (7) Patient not being able to sleep, (8) Being eagar to meet patient. The average trait-anxiety score for the family of the ICU patient was 40.31, state-anxiety 35.14. 2. In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CU environmental stressor scale and the trait-anxiet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r=0.431, p=0.000), the state-anxiety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r=0.332, r=0.001). 3. In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ICU environmental stressor scale there was a no significant correlation. In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several characteristics and the anxiety, age(F=2.730, p=0.034), religion(F=2.759,P=0.046), the educational degree(F=5.574, p=0.001), relationship to the patient(F=2.794, p=0.030),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ICU patient's family experience stress in new environment and state of ICU, and the higher the ICU environmental stressor scale the higher the anxiety degree. Therefore, nurses should be aware that the care they provide may not always be aimed at the needs that patient's family considers most important. Although nurses are unable to understand the accurante needs of patient's family with thought and imagination, they can find may to reduce the stressful environment and provide therapeutic environment.

      • KCI등재

        정신건강복지센터 원조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국내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성혜연,이성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9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7 No.4

        Using journal articles and theses published in the period of 1995-201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literature on helping professionals who work at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To do this, the present study utilized the methods of systematic review, PICOS suggested by Cochran Collaboration, and collected the final sample of 42 literature based upon relevant keyword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pproximately 1.8 studies per year on helping professionals at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in the study period, and since 2005, the number of studies has consistently increased. Secon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studies was higher than that of qualitative studies (88.1% vs. 9.5%). Third, in terms of research topic, the highest proportion wa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35.7%).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esent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on helping professionals who work at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본 연구는 1995년부터 2018년까지 출판된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정신건강복지센터 원조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필요한 후속연구를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고찰 방식에 따라, Cochran Collaboration이 제시한 PICOS에 기반하여 연구문제를 도출하고, 이에 따라 설정된 연구대상의 선정과 배제기준을 적용하여 최종 42개의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건강복지센터 원조전문가 대상 연구는 1995년부터 2018년까지 연평균 1.8편의 연구가 출판되었으며, 2005년 이후 지속적으로 양적증가를 보여주고 있는 추세이다. 둘째, 연구방법에 있어 양적 연구방법의 비율이 질적 연구방법의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88.1% vs. 9.5%). 셋째, 연구주제에 있어 조직 유효성을 주제로 한 연구가 35.7%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정신건강복지센터 원조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후속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신질환 피치료감호자의 임상적 개입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성혜연,이성규 아시아교정포럼 2022 교정담론 Vol.16 No.1

        본 연구는 정신질환 피치료감호자의 임상적 개입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2010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연구논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위한 연 구문헌 선정은 Campbell Collaboration이 제시한 PICOS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15편의 연구문헌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15편 의 연구문헌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 문헌고찰의 주요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정신질환 피치료감호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적 개 입에 관한 연구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1.5편의 연구 가 시행되었으며, 특히 2015년 이후 치료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둘째, 총 15편의 연구 중 14편(93.3%) 의 연구가 양적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질적연구방법을 활용 한 연구는 1편(6.7%)에 불과했다. 셋째,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재범관련 특정영향요인에 관한 연구(26.7%)와 치료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26.7%)가 전체 연구의 53.4%를 차지하였 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질환 피치료감호자를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치료적 개입을 위한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n the topic of clinical interventions for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by using the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20. This study utilized PICOS methods suggested by Campbell Collaboration to select the literature, and the final sample of 15 studies were chosen. The main findings of the systematic review with 15 studies were as follows. First, approximately 1.6 studies were published on the topic of clinical interventions for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and in particular, research on effectiveness of therapeutic programs has conducted since 2015. Second, 14 out of 15 studies(93.3%) us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hile one study(ㅇ6.7%)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ird, in terms of research theme, more than a half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topic of specific factors related to recidivism( 26.7%) and effectiveness of therapeutic programs(26.7%). Based up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on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offenders with mental illness.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성범죄 재범 연구동향 분석

        성혜연 한국교정복지학회 2022 교정복지연구 Vol.- No.79

        본 연구는 최근 20여 년 간 시행된 성범죄 재범관련 국내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성범죄 재범방지를 위한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성범죄 재범 관련 139개 논문에 대한 출판경향을 분석하였으며, 논문에 제시된 국문키워드를 추출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첫째, 연구영역별 출판경향을 분석한 결과 11개 영역에서 성범죄 재범관련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법학 43.9%, 행정학 23.0%, 심리과학 17.9%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139개 논문에 출현한 키워드의 출현빈도를 분석한 결과, ‘성범죄’, ‘재범방지’, ‘성범죄재범’, ‘전자감시제도’, ‘재범위험성’, ‘아동성범죄’, ‘성충동약물치료’, ‘성범죄자신상공개’의 순서로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주요 키워드 간 연결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성범죄’, ‘재범방지’, ‘전자감시제도’, ‘성범죄재범’, ‘성충동약물치료’, ‘재범위험성’, ‘아동성범죄’의 순서로 연결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주요 키워드에 대한 CONCOR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성범죄 재범 연구는 9개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주요군집은, ‘전자감시제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성범죄의 재범 방지를 위한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