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신라해적

        성해준 ( Sung Hae Jun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8 퇴계학논총 Vol.32 No.-

        7세기 중반 한반도의 약소국이었던 신라가 당나라의 힘을 빌려 한반도를 통일하였지만, 그 후 내부분열로 인한 민심의 악화와 정치적 불안으로 생활의 곤경에 직면한 백성들이 살길을 찾아 국경을 넘는 경우가 있었다. 그 중에서도 倭에서의 교역을 빙자한 약탈행위는 일본의 신라에 대한 인식을 더욱 나쁘게 하였다. 흔히 일본 역사에서 말하는 신라 도적인 新羅寇는 통일 신라와 신라멸망 이후 후삼국시대의 정치적 사회적 혼란기에 한반도 남부출신 유민이나 도래인 도적에 의한 약탈행위를 말한다. 일본측 사료에는 많은 피해를 준 신라유민이나 도적들의 해적행위 가운데 조직적인 집단도 많아 신라지역의 강력한 호족세력이 관여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측 사료에는 일본 도서연안에서 도적행위를 한 신라구에 관한 기록은 거의 없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신라인의 일본연안에서 저지른 도적행위를 일본측이 기록한 신라해적 문헌 및 동아시아 해적관을 중심으로 하여 신라유민의 실체를 고찰하였다. In the mid 7th century, Shilla that had been relatively less powerful succeeded in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help of the T’ang nation. But since then, Shilla was internally divided to worsen the public sentiment, break down political stability and fall lives of the public into plight. As a consequence, some people of the country crossed national borders for their livelihood. In particular, they used to commit looting under the mask of trade with Japan. This made Japan think even worse of Shilla. According to Japanese history, there were Shilla pirates, usually dubbed as Shillagu, who looted Japan as they refuged or came over from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r to Japan amid political and social turbulences in the periods of Unified Shilla and post-Three Kingdom Nations following the collapse of the unified country. Japanese historical records put that many Shilla refugees or thefts who damaged a lot by piracy were organized group members, so it is presumed that they were involved with local powerful clans of Shilla. By the way, there’s few Korean historical records about Shillagu that pirated the coast of Japanese isla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at Shilla pirates were by examining how they pirated Japanese coastal areas and by reviewing Japanese literature on Shilla pirates and the then East Asian view of piracy.

      • KCI등재

        동아시아 『육유연의(六諭衍義)』의 발생과 특징 -명청대(明淸代)의 정치상황과 향약 및 육유연의-

        성해준 ( Sung Hae-ju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19 퇴계학논총 Vol.34 No.-

        ‘六諭’는 중국 明代에 탄생하였으나 淸代에 이르러서 민중교화의 덕목으로 수용된 후, 朝鮮의 ‘鄕約’에도 수용된 흔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명대의 洪武帝에 의해 반포된 후 청대에 들어와서는 ‘육유’에 해설서를 붙인 『六諭衍義』가 되어 정치사회에 수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琉球의 文人인 程順則에 의해 유구에도 전파된 후, 다시 유구에서 사츠마(薩摩)를 거쳐 일본 본토의 藩校나 寺子屋 등의 교육기관에서 교재로 사용되는 등 서민층을 중심으로 왕성하게 수용되어 일본의 봉건제 유지존속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한편 중국과 일본에서는 『육유연의』에 대한 연구가 많이 축척된 반면 한국에서의 연구는 중국과 일본에 비해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특히 동아시아에서 ‘육유’는 공통적으로 향약과 관련되어있고, 당시의 유학자들이 관여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향약과 접목된후, 향촌질서 유지와 상호부조의 역할을 담당한 ‘육유’ 및 『육유연의』를 明淸代의 정치상황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Rikiyu’ was born in Ming Dynasty, but was accepted as a virtue of folklore in the mid-century Qing Dynasty. In particular, he entered Cheongdae after being distributed by Ming Dynasty, became 『Rikiyuengi』, a guidebook attached to ‘Rikiyu’, was housed in the political community, then served in China or China. In particular, China's ‘Rikiyu’ was already accepted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n spread to Ryukyu by Teijyunsoku and then sent to Sathumatsu as a teaching material in the Japanese mainland. At the same time, many studies have been scaled up in China and Japan. On the other hand,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Korea's 『Rikiyuengi』 study is few compared to China and Japan. In particular, the ‘Rikiyu’ of East Asia is commonly associated with Hyangyak and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that scholars of the time are involved in. Therefore, in this study, after grafting with Hyangyak in China, the period background, movement and settlement of ‘Rikiyu’ and 『Rikiuengi』, which played a role in maintaining the Hyangchon order and supporting each other, were considered.

      • KCI등재

        和의 眞意와 현대 사회에 만연한 不和 考

        성해준 ( Sung Hae-ju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3 퇴계학논총 Vol.41 No.-

        우리 사회는 지나온 분단의 역사가 만들어낸 깊은 이념의 골로 사회집단 간 갈등의 파고가 높다. 이는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대립과 충돌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민주사회가 되면서 권리 의식이 높아지는 등의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그러나 개인이나 집단이 지나친 자기주장과 강한 권리 요구에 몰입하면서 극단적인 반목과 대립으로 사회구성원들 간에 상처를 주는 갈등 사회의 모습을 露呈한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和의 의미와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和의 역사성과 전통성을 검토하였다. ‘和’라는 글자는 이미 발생 초기부터 함께 밥을 지어 먹으며 사이좋게 지낸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동양의 사상을 대표하는 논어, 예기, 중용, 주역, 명심보감 등의 서적에는 相生과 會通으로서 和가 무수히 강조되고 있다. 고대의 제천행사인 고구려의 東盟· 부여의 迎鼓· 濊의 舞天· 삼한의 5월제[播種] · 10월제[收穫] 등도 다양한 의미가 함의되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모든 사람이 어우러져서 마시고 노래하며 춤추는 공동체의 화목이다. 풍류도 역시 儒佛仙 三敎의 화합이라는 대승적 和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이 고대 한반도의 和 사상은 일본열도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자연재해가 많은 일본열도에서 和를 매우 다양하게 言表하면서 강조하고 있다는 점은 현대의 우리 인류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즉, 인류는 홀로 존재하기가 어려우므로 고대부터 和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Our society is a deep ideological goal created by the history of division that has passed, and there is a high wave of conflict between social groups. Its representative terms are red and pro-Japanese group, which refer to the left, and right. This is acting as a background for confrontation and conflict in various area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 addition, there have been positive changes such as increasing awareness of rights in a democratic society, but the reality is that individuals or groups are immersed in excessive self-assertion and unilateral rights demands, hurting each other with extreme antagonism and confrontation. In particular, inter-Korean relations as well as the current Cold War era, polarization and inequality that do not guarantee the safety of the people, have created the most fundamental culture of distrust and dissatisfaction that undermines the stability of society. Therefore, starting with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harmony and discord, the meaning and countermeasures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harmony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ing Japan and the Korean Peninsula, and finally, the meaning of discord prevalent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과거와 현대의 `효(孝)` 고찰

        성해준 ( Sung Hae-jun ),한탁철 ( Han Tak-cheol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7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3 No.1

        흔히 부모와 자식과의 관계를 천륜이라고 하는데, 전통사회에서 효는 자식의 부모에 대한 경애를 기초로 성립하는 도덕이다· 그러므로 자식은 자신을 낳아 길러 준 부모의 은혜에 감사하며 순수한 그 노고에 보답하고자 물질적·정신적으로 정성을 다해 봉양하는 것이다· 그래서 효자는 부모를 섬김에 있어 슬하에 있을 때는 공경을, 봉양함에 있어서는 즐거움을, 병이 났을 때는 근심을, 돌아갔을 때는 슬픔을, 제사지낼 때는 엄숙함을 다하여야 한다는 생전의 정성봉양과 사후의 제사봉양이 강조된다· 사후에는 초혼(招魂)을 의미하는 제사를 통해 후손을 만나기 위해 현세로 돌아올 수 있는데, 그 제사를 행하는 주체가 아들이기 때문에 결혼하여 아들을 낳는 것이 중요했다· 왜냐하면 조상과 후손은 모두 유한한 존재로 죽지만 아들의 제사를 통해 조상의 죽음은 망각이 아니라 기억의 공간에서 후손과 연결된다고 간주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효를 통하여 죽지 않고 영생 한다는 이론적 근거가 되게 된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효의 의미와 변화를 중심으로 `효와 불효`·`효와 충의 관계` 나아가 유가의 효 확산으로 공자·맹자·퇴계의 효와 동아시아의 권선서를 대표하는 『명심보감』를 비롯한 고전의 예화에서 보이는 효의 특징을 고찰했다· 또 이 전통적 효를 바탕으로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당면한 인생의 고독과 노고를 감싸줄 수 있는 책임성 있는 부모봉양과 가족부양의 모범을 보여야 하는 진정한 효의 의미는 어떤 것인가와 `효`와 `충`의 장단점을 통한 바람직한 효충의 관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조선 향약의 육유(六諭) 수용과 변용

        성해준 ( Sung Hae-ju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1 퇴계학논총 Vol.37 No.-

        동아시아 ‘육유’는 중국 明代에 탄생하였으나 청대 중기에 민중 교화의 덕목으로 수용된 후 『육유연의』가 되어 유구국의 程順則에 의해 당시 유구 사회와 일본에 전해져 일본의 봉건제도 유지 존속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이 『육유연의』는 일본에 널리 전파되어 선풍적인 인기를 끈 후 식민지 시대에 조선에도 전파 · 수용되었다. 그러나 한국에서의 ‘육유’ 혹은 『육유연의』의 조선 수용에 관한 연구는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즉 이미 1500년대의 조선 향약에 ‘육유’가 접목되고, 근대 식민지 시대에 일본으로부터 유입된 『육유연의』의 판본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육유’가 일본식민지 시대의 황민화 교육에 사용되었음에도 현재 한국 학계에서 ‘육유’에 대한 인식은 거의 없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중국 · 유구 · 일본 · 조선’으로 이동한 『육유연의』의 동아시아 각국에서의 수용과 변용 중에서도 일본과 중국에 비해 선행연구가 거의 없는 조선 향약의 ‘육유’ 도입과 수용, 유학자들의 ‘육유’ 인식과 보급 등을 중심으로 조선에서의 ‘육유’ 및 『육유연의』의 수용 및 변용에 관해 고찰하였다. The East Asian “Yukyu” was born in the Ming Dynasty of China, but after being accepted as a virtue of folk culture in the mid Qing Dynasty, it was introduced to Japan by the Yugugu Stat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Japan's feudal system. In particular, this yukyuyeon was widely introduced to Japan and became popular and was also introduced and accepted to Jose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However, research on the acceptance of “Yukyu” or Yukyuyeon in Korea has yet to be activated. In other words, there is little awareness of “meat oil” in Korean academia, even though “meat oil” was incorporated into Joseon's incense in the 1500s, and there was a version of “meat oil” introduced from Japan during the modern colonial era. Therefore, this paper considered the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Yuk Yu-yeon, who moved to China, Yugu, Japan, and Joseon, introducing and accepting the “Yuk Yu-yeon” in Joseon, which has little prior research compared to Japan and China.

      • KCI등재
      • KCI등재

        『명심보감』 서문의 불교사상 고찰

        성해준 ( Hae Jun Sung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2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8 No.1

        Myongsimbogam is closely connected with Taoism and Confucianism, and it includes philosophy and political belief. For this reason, it was used by Seodang that taught ordinary people and by scholars who took the Gwageo(科擧, the highest-level state examination to recruit ranking officials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test. The Myongsimbogam was read by not only scholars, but also ordinary people to great effect in the Confucianism cultural area, such as China, Korea, Japan and Vietnam. Furthermore, Western missionaries were impressed, so in 1592 it became the first Oriental publication translated into Spanish, German and French. It helped Western people to understand the thought of the Orient. Myongsimbogam originated with a publisher that solicited contributions for religious purposes in Fanrifun in 1393. It is a book which is made for suggesting virtue, and it is made up of about 20 books. This kind of Myongsimbogam spread to China, Chosun, Japan, Vietnam, Spain, France and Germany. The third countries of East Asia. Each accommodated Myongsimbogam in independent ways, and a lot of literature and Confucianist and Buddhist monks accomodated it. We can achieve fulfillment by learning this book. Also we`ll have the will to try to make life`s journey a success by contributing to human history. For this reason, we can imagine the effect of Myongsimbogam by thinking of the process of how it spread to China, Korea, Japan and Western society. Therefore, the practical use for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Myongsimbogam is to help humanity to find solutions for making a peaceful word. That`s why we need to keep doing such an in-depth study of the book. Nowadays, many countries research Myongsimbogam, but the problem is most of countries are researching only their county, not other countries. In this case, we should keep research with international point of view. Specifically, Korean scholars didn`t mention the truths that the politicans of China, Korea and Japan pay attention to Myongsimbogam and that Myongsimbogam was the first Oriental publication that was translated in Western countries. Myongsimbogam and Buddhism tries to explain buddhist thought of Myongsimbogam by researching the original text of Myongsimbogam, which was published in 1454. In conclusion, the head, first and second part try to classify the data needed in this report by studying basic considerations and thoughts in Myongsimbogam. The third and fourth part attempt to explain the ideaological importance of Myongsimbogam, and its effect on local culture by looking at feature of distribution, t specifically in China, Korea and Japan. Finally, this report tries to find solutions to how we can make a peaceful world in the 21st century by studying Myongsimbogam synthetically.

      • KCI등재

        대마도(對馬島)와 한반도(韓半島)와의 관계 - 특히 부산(釜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성해준 ( Sung¸ Hae-ju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6 No.-

        지리적인 위치가 일본 본토보다 부산과 가까운 대마도는 오랫동안 한일 양국문화가 중첩된 무대로 좋은 의미든 나쁜 의미든지 간에 한일 양국문화를 이어주는 교량적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대마도는 원래 산악지대로 토지가 협소하고 척박하여 식량을 밖에서 구해야 생활을 유지하므로 고려 시대 말기부터 한반도로부터 쌀을 지원받았지만, 그 땅에 기근이 들 때는 해적이 한반도 도서 연안을 침범하여 약탈하므로 한반도에서는 군사를 일으켜 정벌하기도 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대마도로부터 해적 행위를 하지 않겠다는 서약을 받고, 경상도 관할로 편입하여 島主에게 관직을 하사하고 일정량의 식량을 지급하기도 하였다. 또 조선의 通信使가 대마도를 거쳐 에도(江戶)로 향할 때는 대마도민들이 극진하게 맞이하며 길 안내의 선두에 나서기도 하였다. 지금은 2019년 말 일본발 무역 규제조치 이후 일시적으로 왕래가 주춤하고 있지만, 1990년 이후에 줄곧 매년 수십만 명이 넘는 한국인 관광객이 대마도를 방문하였다. 그 관광객 중에서는 단연 부산 사람들이 가장 많았다. 현재 대마도는 지리적 · 심리적으로 부산에서 가장 가까운 우호의 섬으로 일본 관광객에게도 소원한 곳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는 매우 인상적인 현상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대마도의 역사적 소속 및 유래와 지형, 한반도와의 관계와 교류의 역사를 고찰하였다. Thushima, whose geographical location, along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facts, is closer to Busan than the mainland of Japan, has long served as a bridge between Korea and Japan, which connects the culture of Korea and Japan, both in good and bad terms. However, Thushima was originally provided with rice from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because the land was small and barren in the mountainous areas, but when the land was famine, pirates invaded and looted the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led to a military crackdown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Joseon Dynasty, he was given a pledge not to engage in piracy, and was incorporated into the jurisdiction of Gyeongsang-do to give a certain amount of food to Governor of Tsushima Island. In addition, when Joseon's mission to Edo via Thushima, Thushima residents were also at the forefront of the road guidance by treating the carrier with utmost care. Now, traffic is temporarily slowing down due to trade regulations and the Korona incident from Japan at the end of 2019, but since 1990, more than hundreds of thousands of Korean tourists have visited Thushima every year. Among the Korean tourists, Busan has the largest number of people. Therefore,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historical affiliation and origin of Thushima and the history of its relations and exchanges with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조선의 『맹자』수용과 연구상황

        성해준 ( Hae Jun Sung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6 퇴계학논총 Vol.27 No.-

        우리나라의 『맹자』사상 인식과 실효적인 수용은 일부 혁신적인 정치사상가가 주목한 고려시대 후기부터이다. 그 후 조선시대에는 『孟子』가본격적으로 수용되어 정치와 사회전반에 적용되었다. 특히 주자학 수용과 함께 『』맹자..도 유가사상 학습을 위한 필수교재가 되었다. 退溪의 『孟子釋義』을 시작으로 李瀷의 聖人의 의지를 이해하려고 하면 반드시 『맹자』로부터 시작하여야 한다는 주장은 『맹자』가 보다 널리 읽혀져 重用된 예이기도 하다. 또 君師, 즉 君主이면서 儒學의 師表가 되고자 『맹자』를 읽고 세심하게 메모하면서 재독한 조선시대후기의 국왕이었던 정조의 『맹자』 읽기와 그 이해는 특별하였다. 따라서 亞聖으로 기린 『맹자』는 조선의 모든 文廟에 位牌가 모셔져 중국.일본에 비해 정치적으로 배척되는 일 없이 聖人으로 추앙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점을 감안하여 조선시대의 『맹자』 수용과 현재까지의 연구 상황 및 그 연구사를 중심으로 한국의 『맹자』연구 현황을 고찰하였다. Our country’s recognition and acceptation of Mencius starts after it used for basic teaching materials of Confucianism during the Koryo Dynasty. After that the Mencius gets into society and Politics in Joseon Dynasty. Especially Mencius became a compulsory teaching materials for studying Confucian ideology with acceptation of the doctrines of Chu-tzu. The Mencius starts widely used because of the assertion that Mencius helps understand other thoughts such as Toegye and Yi IK. Also Jeongjo of Joseon read Mencius with the greatest care、 That’s why Mencius came into wide use. In this report researches about circumstance of Korea’s Mencius study focusing on acceptation and research of Joseon Dynasty’s Menci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