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흰물떼새(Charadrius alexandrinus)의 번식 성공에 대한 환경 요인의 영향

        이동윤 ( Dong-yun Lee ),이주현 ( Ju-hyun Lee ),성하철 ( Ha-cheol S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2

        The nest fate of plovers have been affected from arou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vegetation, sediment grain size and others, because these factors correlate with the camouflage and consistent temperature of nest. The Kentish plover (Charadrius alexandrinus) is known to select nest site where vegetation cover is low to easily detect predators. However, recent studies show that their nest successes positively correlate with vegetation cover rate, because vegetation can hide incubating parents from predato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vegetation cover and nest fate, and between breeding success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and, shell etc.).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early March to late July in 2020 at Saemangeum, specifically (1) Mangyeong estuary, Gunsan, Jellabuk-do; (2) Dongjin estuary, Buan, Jellabuk-do. The study area is reclaimed land with sandy coastal environment, and the size of Mangyeong estuary was about 1,011 ha, Dongjin estuary was about 893 ha. Sedges (family Cyperaceae) were the major vegetation in these locations. We analyzed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breeding success of Kentish plovers. First, we measured five variables in field: nest diameter (cm), nest height (cm), nest slope (°), distance from nest to the nearest vegetation (m), and the height of the nearest vegetation (cm). Then, we obtained the coordinate of each nest with a GPS and measured distance from nest to water resource (m) using satellite map (Kakao map). We also estimated the cover of environmental factors using 1m² quadrat. The quadrat photos were taken by two ways for each nest: 1) centered on the nest within a 1m²; 2) randomly selected two points in 10m distance from a nest. On the analysis of variables in quadrat photo, we measured the 11 variables. First, we measured the cover of nest area (mm²) and the cover of five environmental factors (dry vegetation, vegetation, sand (grain size < 2 mm), shell and other object; mm²) on the quadrat photos of centered on the nest within a 1m². Second, we also measured the cover of five environmental factors in each photo and calculated the average of two photos on the each factor on the quadrat photos of randomly selected two points in 10m distance from a nest. For statistical analysis, we translated variables using “X = log10 (x + 1); X = translated value; x = origin value” before modelling and analyzed using Generalized Linear Model (GLM). The model criteria was Akaike Criteria Information (AIC). Then, we used Mann-Whitney U test to compared variables between successful and failed nests in the best model. All statistical analysis had a significant effect at p < 0.05. We analyzed 285 quadrat photos (95 photos within a 1m² quadrat centered on each nest; 190 photos on the randomly selected points within 10m area from each nest) from 95 nests: 60 nests in Mangyeong (35 successful nests and 25 failed nests); 35 nests in Dongjin (28 successful nests and 7 failed nests). As the results of GLM, the best model was composed not environmental factors, but three nest factors: nest area, nest diameter and nest slope. In this model, nest area and nest diameter were significant (p < 0.05). However, according to Mann-Whitney test, these factors did not differ between successful and failed nests (p > 0.05). Therefore, when researchers studied the effect of nest factors on the breeding success, nest area and nest diameter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On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all factors, which included vegetation and dry vegetation cover, did not affect breeding success. Thus, the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studied to reveal which one affects the breeding success of Kentish plovers.

      • KCI등재

        먹이 밀도와 수심에 따른 황새(Ciconia boyciana)의 섭식 행동에 대한 사례연구

        성하철 ( Ha Cheol Sung ),김정희 ( Jung Hee Kim ),정석환 ( Seo Kwan Cheong ),김수경 ( Su Kyung Kim ),조지연 ( Jee Yeon Jo ),정미라 ( Mi Ra Cheong ),최유성 ( Yu Seong Choi ),박시룡 ( Shi Ryong Park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9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7 No.2

        멸종위기종 황새의 야생 방사를 위한 먹이 서식지 조성 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야생 황새의 먹이 서식지 보호와 보존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북 청원군 미원면 화원리에 있는 산지형 습지 일부에 울타리를 치고 황새 암수의 한쪽 날개의 첫째날개깃 일부를 잘라 방사하여, 6월 20일부터 8월 16일까지 서식지 먹이 밀도와 수심 변화에 따른 서식지 이용률 및 섭식행동 특성을 파악하였다. 황새는 밀도가 높은 서식지에서 오랫동안 머물며 섭식시도와 섭식량을 증가시켰으며 수심에 따라 암컷은 수심이 얕은 서식지에서 그리고 수컷은 중간 깊이의 서식지에서 섭식시간과 섭식량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섭식효율성은 밀도와 수심과 관련없이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단지 암수 간의 섭식효율성이 밀도에 따라 그리고 수심이 다른 서식지에서 섭식행동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반자연적 환경에 방사된 황새가 먹이 밀도에 따라 섭식 지역을 선택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섭식효율성은 개체에 따라 혹은 섭식 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Oriental white stork (Ciconia boyciana) is an endangered species in Korea as well as in the world.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on foraging habitats for releasing storks to the wild, we studied the foraging behavior of the species according to different food densities and water levels. We released two individuals, male and female, after enclosing a study site with a fence and cutting out a part of two or three primary feather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20 June to 16 August 2008 at Whawon-ri, Mewon-myung, Chungcheongbuk-do, South Korea. We investigated habitat patch usage, foraging efficiency, and foraging methods of the feeding individuals in the different food densities and water levels. The storks invested more for foraging time and trials, and they captured more food in a habitat of high food density than others. The female invested more time and captured food most in a habitat of lowest water depth while the male in a habitat of middle water depth. However, foraging efficienc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habitats of food density and water depth, and only differed between male and female by ways of foraging method. From this study we suggest that the storks select foraging habitats and foraging methods under different conditions of food density and water depth.

      • KCI등재

        청원군에 소재한 금개구리(Rana plancyi chosenica) 개체군의 번식동태

        성하철 ( Ha Cheol Sung ),라남용 ( Nam Yong Ra ),정석환 ( Seo Kwan Cheong ),김수경 ( Soo Kyeong Kim ),차상민 ( Sang Min Cha ),박대식 ( Dae Sik Park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9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7 No.1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II급 종인 금개구리(Rana plancyi chosenica)의 번식생태를 연구하기 위하여 충북 청원군 강내면에 위치하는 묵논형 습지에 있는 금개구리 개체군을 2007년 4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총 207일에 걸쳐서, 모음담장과 주머니함정을 설치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금개구리들은 봄철 4월 20일부터 6월 13일 사이에 번식지로 이동하였으며, 가을철 동면지 이동은 9월 21일부터 11월 16일 사이에 일어났다. 서식지 내·외로의 이동은 2007년과 가을 이동과 2008년 봄 이동 시 공히 강수와 높은 양의 상관을 보였지만, 기온, 수온, 상대습도와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금개구리들은 이동 시 주로 논의 언덕이나 묵논과 연결된 이동경로를 다른 경로보다 선호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식지 내·외로의 이동순서와 개체의 신체 요소와는 2007년 봄에는 번식지 내·외로의 이동순서와 개체의 몸길이(snout-vent length)와 양의 상관을 보였으며, 이동순서와 몸무게와는 2008년 봄을 제외한 모든 경우에 양의 상관을 보여, 작은 개체들이 먼저 출현하고 먼저 동면지로 이주하는 경향을 보였다. 금개구리 암컷은 수컷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을철 동면지 이주 시 20 mm SVL 크기 이하의 작은 개체들의 수가 2007년, 2008년 공히 소폭 증가하여, 개체군 내에 성공적인 번식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금개구리 야외 개체군을 보존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o study reproductive dynamics of a Gold-spotted pond frog (Rana chosenica) population located at Gangnae, Cheongwon, Chungbuk, Korea, we monitored the population over 207 days between April 17th 2007 and December 18th 2008 using a drift fence accompanied with 20 pitfall traps. The population was located in an agricultural wetland, compromising three small ponds. Gold-spotted pond frogs immigrated into the wetland between April 16th and June 17th and emigrated from the wetland between September 21st and November 12th. Precipit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migrated frogs in Autumn 2007 and Spring 2008, but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air and water temperatures and relative humidi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s. In general, small frogs first migrated into and from the wetland, but the trend was not strong. Female gold-spotted pond frogs were bigger than males. During the autumn migration, small frogs of which snout-vent length was smaller than 20 mm were found, indicating that successful breeding occurred in the population. Our results could be useful to conserve this endangered species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금개구리(Rana chosenica) 개체군의 생존분석: 개체군의 효과적인 보존과 야생복귀를 위한 제안

        정석환 ( Seok Wan Cheong ),성하철 ( Ha Cheol Sung ),박대식 ( Dae Sik Park ),박시룡 ( Shi Ryong Park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9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7 No.1

        멸종위기종 금개구리(Rana chosenica) 개체군의 존속가능성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보전 대책의 마련과 야생복귀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충북 청원군에 서식하는 개체군을 대상으로 개체군생존분석을 실시하였다. 해당 금개구리의 개체군은 30년간 1,000회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0.113의 낮은 성장률을 가지고 존속해 나갈 것이라 예측이 되었으나 절멸가능성 또한 81.1%로 매우 높아 환경적으로 민감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금개구리개체군의 개체군 성장률과 절멸가능성은 변태율의 변화에 대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금개구리의 야외 개체군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금개구리 유생이 변태할 때까지의 생존율을 높이는 것이 결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항아리곰팡이병이나 개구리바이러스와 같은 질병이 발병할 경우 개체군의 절멸확률이 100%로 예측되었다. 절멸개체군의 야생개체군 복원의 방법으로는 수컷의 비율을 83%, 투여개체들의 나이구조가 정상분포를 보이는 100마리의 개체군을 200마리를 수용할 수 있는 지역에 복귀를 시키고, 4년 후 2년 단위로 10년 후까지 10%씩 보충하는 방법이 가장 안정된 개체군을 복원, 유지하는 방법으로 나타났으며, 이 복원된 개체군의 경우 지속적으로 금개구리의 유생이 변태할 때까지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보호대책이 마련된다면 성장률 0.297, 절멸가능성 0.290을 갖는 안정된 개체군을 30년 후 138마리까지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금개구리 개체군의 보전과 재도입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수립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of a Gold-spotted pond frog (Rana chosenica) population at Cheongwon-gun, Chungbuk, in South Korea was conducted and we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for effective conservation and re-introduction of the species. Simulating a developed model over 1,000 times predicted that the population will exist over 30 years with a relatively low growth rate of 0.113, but with a high probability of extinction as 81.1%. Population growth and extinction probability were the most greatly depended on the rate of successful metamorphosis. In the case of outbreak of amphibian diseases such as Chytridiomycosis and Ranavirus, the population will be easily extinct within 4 years with 100% probability. In a habitat of which carrying capacity is 200, to successfully re-introduce an extinct population, it is initially needed to put 100 individuals of which 83% is males and its age structure is normal-distributed. If we additionally conducts artificial supplementation of 10% individuals every 2 years from 4 years to 10 years after initial reintroduction, the population will become a stable with 0.297 growth rate and 0.290 extinction rate. Our results are the first case of amphibian 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in Korea and could be used to develop effective conservation and re-introduction plans for endangered Gold-spotted pond frog.

      • KCI등재

        한반도 서남해의 특정도서(병풍도, 탄항도, 백야도, 납태기도, 행금도)의 보호조류 서식현황 연구

        김우열 ( Woo Yuel Kim ),성하철 ( Ha Cheol Sung ),빙기창 ( Gi Chang Bing ),최원석 ( Won Suk Choi ),이지용 ( Ji Yong Lee )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보호 조류의 생태적 특징을 고려한 지속적 보전방안의 활용을 목적으로 2012년 5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조류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지역에 속해있는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1호’에 의해 지정된 한반도 서남해 남단 다도해해상 진도군일대의 특정도서(병풍도, 탄항도, 백야도, 납태기도, 행금도)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52종 765개체(최대개체수 기준)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20종의 국내보호조류가 관찰되었다. 또한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IUCN Red List)``의 관심대상종(LC, Least Concern) 이상 등급은 총 49종으로 나타났으며, 위기근접종(NT, Near Threatened) 2종, 취약종(VU, Vulnerable) 1종이 함께 조사되었다. 세계자연보전연맹의 취약종(LC) 초과 등급 3종으로 전체 5.8%를 차지하였다. 또한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국내·외 보호조류는 한국조류목록(한국조류학회, 2009) 중 국내 법정보호종과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전체 보호종 수를 기준으로 국내 멸종위기야생생물 조류는 9.6%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형학과 식물생태학적 측면에서 조류와 서식지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면적이 가장 넓은 병풍도에서 종수와 고도가 가장 높았고 면적이 가장 작은 탄항도에서 종수와 고도가 가장 낮았다. 결과적으로 서식지가 넓을수록 종수와 개체수가 높게 나타났고 서식지가 작을수록 종수가 적게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서식지가 넓을수록 종수와 개체수가 많이 관찰되는 경향을 보였고, 고도와 조류 종수의 비교에서는 최대 고도와 식생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line with the continuous conservation plans for birds protected by law in the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rea, Korea, we surveyed the bird communities of five islands (Byeongpungdo, Tanhangdo, Baekyado, Naptaegido and Haenggeumdo), which are all appointed by the "Special Act on the Preservation of Ecosystem in Island Areas including Dok Island". We conducted the survey once or twice every year from May 2012 to September 2014, each considering birds`` breeding (summer) and migratory (fall) seasons. In total, 768 individual birds and 52 species were observed within the five islands, and 20 species were protected by law in Korea. According to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e) Red List Status, 49 species were classified as least concerned (LC), 2 near threatened (NT) and 1 vulnerable (VU). Thus, 5.8% were recorded above the LC level, and 9.6% were listed on the endangered category I and II.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es richness and their habitat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Byeongpungdo showed the highest species richness and covered the largest area with the highest altitude. On the other hand, Tanhangdo had the smallest area and lowest altitude and showed the lowest species richness. This relationship indicates that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species has a high correlation with size, altitude and the islands ’vegetation structure.

      • KCI등재

        초ㆍ중학교 여학생들의 멸종 위기종 황새 복원과 연계한 생물 다양성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김수경(Su-Kyung Kim),박시룡(Shi-Ryong Park),성하철(Ha-Cheol Sung),최유성(Yu-Seong Choi) 한국환경교육학회 2010 環境 敎育 Vol.23 No.3

        Currently, biodiversity conservation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issues in the 21st century. However, The educational approaches on biodiversity conservation is not actively develop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 on biodiversity conservation related with endangered species conservation for improvi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girl students' knowledge on biodiversity, inspiring the value and importance of biodiversity, and improving the attitude toward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Because the biodiversity loss of wetlands such as rice-fields, rivers, marshes has made the breeding population of Oriental White Stork(Ciconia boyciana) endangered in Korea, this subject was very effective for students to learn the cause and effect of biodiversity loss realistically. The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to 68 local elementary and middle girl students from 2007 to 2009 and consists of three main activities such as feeding on storks in captivity, sampling living organisms in rice-fields, and designing the future stork living village. The results didn't show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knowledge on the biodiversity, but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attitude toward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the number of taxa that students noticed in rice-field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conclusion, this educational program promoted students to concern about and take up a positive attitude on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issue.

      • 제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올빼미의 세력권 추적 연구 - 첫 사례연구 보고 -

        김우열 ( Woo-yuel Kim ),최원석 ( Won-suk Choi ),강태한 ( Te-han Kang ),성하철 ( Ha-cheol S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올빼미(Tawny Owl, Strix aluco)는 전 세계적으로 유라시아대륙, 소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북부, 히말라야에서 중국 동부와 남부, 한국, 대만 등에 널리 분포하며, 지리적으로 11아종으로 구분된다(김선숙 등 2012). 한국에 서식하는 올빼미는 S. a. ma 에 해당하며 중국 북동부와 한국에 분포한다(del Hoyo et al. 1999). 세력권이란 개체 또는 집단이 다른 개체 또는 집단으로부터 먹이자원, 번식 등을 위해 방어하여 점유하는 지역을 말한다(Gill 1995; 강연희 2008). 올빼미는 한국 전역에 분포하지만 흔하지 않은 텃새로, 환경부지정 멸종위기II급 및 천연기념물 제324-1호로 지정된 보호종이다(이우신 등 2014; 박진영 2002). 올빼미는 주로 숲이 발달한 곳에 서식하지만, 유럽에서는 도시환경에도 비교적 잘 적응한 종으로 숲이 조성된 공원, 농장에서도 자주발견된다(del Hoyo et al. 1999; Konig and Weick 2008). 한국에서 올빼미의 기록은 대부분 직접적인 관찰보다는 울음소리로 확인된 경우가 많으며, 산림이 발달한 지역, 특히강원도에서 기록이 가장 많다(김창회 등 2010). 올빼미는 야행성(nocturnal)으로 낮에는 주로 산림에서 휴식을 취하고 야간에 먹이활동을 하기 때문에, 관찰 및 기본적인 번식생태 연구에 어려움이 있다. 이탈리아에 서식하는 올빼미의 경우 작은 공원이나 도시 근교의 지역에서는 3.0/km²정도의 행동권을 형성하고, 개방된 장소나 숲이 우거진 곳에서는 5.0/km² 정도의 행동권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Ranazzi et al. 2000). 그러나 국내에서 수행된 올빼미에 관한 기초적인 번식생태와 행동권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며, 지금까지 휴식처로의 동굴 이용(김선숙 등 2012), 유전자에 의한 올빼미과의 분자계통(류시현 등 2003) 등이 수행되어왔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번식하는 올빼미의 세력권 파악을 통해 멸종위기종인 올빼미의 생태적 특성을 규명하여 올빼미 개체군을 보호하고 보전하며 관리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라 시행하고 있는 제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일환으로 진행했다. 경북일대에서 현지조사와 청문조사를 병행하여 관찰된 올빼미개체를 추적 조사하여 번식하는 둥지를 확인하고 번식하는 올빼미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둥지를 비운틈에 둥지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후 둥지 특성을 고려하여 포충방 등을 이용하여 번식하는 암컷 올빼미를 포획하였다. 포획된 개체의 각 부위별 측정조사를 버니어캘리퍼스와 날깨와 꼬리 측정자를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위치추적기(WT-300: 한국환경생태연구소가 개발한 GPS-Mobile phone based Telemetry)를 올빼미 등에 Backpack 형태로 부착 하였고 행동제약에 관한 최소무게를 고려한 대상개체의 5% 이하(Kenward, 1985)를 초과하지 않았다. 부착된 추적기로 인한 비행 능력 등 행동에 이상이 없음을 현장 추적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올빼미 번식기간 세력권 연구에서 국내 1kg 이하의 중형 야행성 맹금류이며 번식 중인 올빼미를 추적하는데 국내최초로 성공했다. 암컷올빼미는 번식기 동안 둥지 중심으로 4,395㎡의 지역을 이용했으며, 이 지역의 고도는 370~380m였다. 올빼미가 둥지중심으로 이용한 세력권 내부으, 토지유형은 대부분 경지정리가 안된 밭과 혼효림, 단독주거시설, 시설재배지, 초지, 나지가 혼합 산재된 지역이였으며 세력권 주변지역은 대부분 침엽수림과 혼효림, 과수원, 자연초지, 활엽수림, 묘지, 호소의 유형이 있는 지역으로 파악되었다. 암컷이 주로 둥지 주변에서 새끼를 돌보고 수컷이 먹이를 공급하는 행동을 보였으며, 암컷은 번식시기인 육추기간 동안 둥지 주변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세력권을 형성했다. 향후 번식기 암컷에 비해 행동영역이 상대적으로 넓을 것으로 판단되는 수컷의 행동을 조사하는 등 올빼미의 서식지 분포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다.

      • KCI등재

        도시에 서식하는 참새(Passer montanus)의 국내 번식생태 연구

        이주현(Ju-Hyun Lee),남완희(Wan-Hee Nam),성하철(Ha-Cheol Sung) 한국조류학회 2020 한국조류학회지 Vol.27 No.2

        조류 종에 있어서 번식생태의 연구는 해당 종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가 된다. 참새 Passer montanus는 유라시아 대륙 전역에 분포하는 흔한 종으로 인간 거주지 주변, 특히 인공 구조물 및 인공 둥지에 주로 거주한다. 참새는 국내에서 매우 흔한 텃새이지만, 국내에서는 기초 번식생태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참새의 번식시기, 한배산란수, 성장률, 둥지 특성 등을 조사하여 기초번식생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9년 3월부터 8월까지 총 6개월간 광주광역시 북구의 기와건물과 남구의 인공둥지 설치지역 두 곳의 연구지역에서 진행되었으며, 연구기간 동안 총 21개의 둥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참새는 4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 번식하며 한배산란수는 3 – 7개 범위로 평균 4.7 ± 1.1개로 나타났다. 포란기는 10.8 ± 0.48일, 육추기는 16.4 ± 1.05일로 각각 나타났으며, 부화성공률, 이소성공률, 번식성공률은 각각 73.7%, 83.6%, 61.6%로 나타났다. 참새의 둥지는 대부분 마른 풀을 엮어 굴 형태로 만들어졌으며, 산좌에는 깃털, 털, 비닐 등의 재료가 사용되었다. 알의 크기는 장경 18.88±0.86mm, 단경 14.26±0.47mm, 무게 2.07±0.22g, 부피 1962.63±189.82㎣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참새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가 됨과 동시에 도시 환경에 서식하는 소형 참새목 조류의 번식생태 비교에 활용될 수 있다. The Eurasian tree sparrows Passer montanus are small, sexually monomorphic birds that live near human residence. They are a cavity-nesting species that inhabits numerous types of hole, especially in buildings and nestboxes. Although the birds are common residents in the South Korea, their breeding ecology has not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e monitored the breeding ecology of 21 pairs of the tree sparrows in Gwangju city, Korea, in 2019. The breeding period spanned from mid-April to mid-August, and the clutch size was 4.7 ± 1.1, ranging from 3 to 7 eggs. Incubation span was 10.8 ± 0.48 days, and feeding stage lasted for 16.4 ± 1.05 days. Hatching and fledging success were 73.7% and 83.6%, respectively, and reproductive success was 61.6%. Nest cup mostly contained dry grass, with the addition of feathers, hairs, and plastic threads for lining. The size of the eggs was 18.88 ± 0.86mm length, 14.26 ± 0.47mm width, 7 ± 0.22g in weight, and 1962.63 ± 189.82㎣ in volume. Nestling growth followed a logarithmic curve. Our data can be used as a baseline data for future studies on tree sparrows and will be useful in any comparison of breeding ecology of small passerine species inhabiting in urban enviro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