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측은지정(惻隱之情)"론(論)에 대(對)한 미학적해석(美學的解析)

        성진숙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9 No.-

        측은지정은 성선설의 기반이 되는 유가의 핵심개념 중의 하나이다. 유가의 다양한 개념들 중에서도 측은지정은 감정과 선이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윤리학과 미학적 所與를 동시에 갖추고 있는 독특한 개념이다. 본고는 측은지정이 유가의 의지규정원리로서 본성의 지위를 확보하고있는 점에 주목한다. 그리고 측은지정이 성선설과 결합하여 새로운 정신적 事象을 현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가의 정체성을 반영하는 상징적 개념으로 간주한다. `측은하게 여긴다`는 것은 어떤 `마음 상태에 대한` 지칭으로 일반적감정 중 하나일 뿐이다. 이러한 측은지정이 `본성`으로 이해되었다는 것은 그것을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는 타당성과 정당화의 과정이 개입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의도를 갖고 구성된 메시지로 이해되는 것이다. 그런 맥락을 염두에 두고 본고는, "하나의 `측은히 여기는 마음`이 변용되고, 가치와 개념이 가미되어, 본성으로 이해될 수 있는 타당성은 어디에있는가", "어떻게 본성(자연, 천)으로 승격되고 정당화 되었는가", "또 측은지정에 본성의 지위를 부여하여 얻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 과정에서 美가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살펴보려는 것이다. 측은지정에서 본성을 이끌어내는 것은 그 타당성 여부를 떠나 의미하는 바가 크다. 바로 `善의 주관화`를 통하여 자율성을 유발하려 했다는 의미 때문이다. 이 善의 주관화가 가능했던 이유는 맹자가 보편타당한자율성을 확립하기 위해 감정의 적절한 포착과 응용 그리고 정당화라는미적 작업을 동시에 전개한 때문이라고 이해된다. 惻隱之情は性善說の基盤になる儒家の核心槪念の一つである. 儒家の多 樣な槪念の中でも惻隱之情は感情と善が直接的に結合され, 倫理學と美學 的な所與を同時に持っている獨?特な槪念である. 本考というのは惻隱之情 が儒家の意志規定原理として, 本性の地位を確保している点から注目でき る. そして, 惻隱之情が性善說と結合して新しい精神的事象を顯出してい る所から儒家の整體性を反映する象徵的槪念として見ることができる. `惻隱に思う`-あわれむ氣持ちは, 心の狀態に對する指稱として, 一般的 感情の中の一つに過ぎない. このような`惻隱之情`が本性そちえ理解さ れていることは, それを適切に設明する妥當性と正當化の過程が介入され ていることを意味する. 卽ち, 意圖を持って構成されているメッセ一ジとして理解されるのである. そのような脈略から本考を, `一つのあわれむ 氣持ちが變容され, 價値と槪念が加味され, 本性として理解できる妥當性 はどこにあるか`, `どのように本性(自然, 天)として昇格され, 正當化され るか`, `また, 惻隱之情が本性の地位を與えて得ようとするのは何か`, `そ の過程の中で美がどのように作用されるか`として明かそうとしている. 惻隱之情で本性を引き出すのは, その妥當性の可否より意味が大きい. それは`善の主觀化`を通して自律性を誘發しようとする意味があるから である. この`善の主觀化`が可能な理由は, 孟子が普遍妥當な自律性を確 立するため, 感情を適切な補足と應用, そして正當化という美的作業を同 時に展開したためであると理解できる.

      • KCI등재

        美 개념 유형에 따른 유가미학 해석방법에 대한 고찰 - 기존 유가미학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

        성진숙 동양철학연구회 2010 東洋哲學硏究 Vol.64 No.-

        본고는 유가적 내용의 텍스트를 미학적으로 해석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연구 성과들이 어떠한 “미 개념”에 의해 해석을 전개하였는지 정리해 보았다. 1980~90년대 이후 동양미학계에 “기존 유가미학 연구 성과들이 전제하고 있는 미 개념 유형” 중 빈도 높게 적용된 세 가지 유형만 뽑아 보았다. 그 세 가지를 추려보면 심미적 감성론⋅경계론⋅상징론이다, 먼저 동양적 미 개념으로는 경계론을 검토하고, 서양적 미 개념으로는 심미적 감성론과 상징론을 검토하였다. 첫째, 경계론은 동양미학이 서양미학과는 체제나 형식상 차이가 있기 때문에, 동양 특유의 틀로 해석해야한다는 의미에서 제기된 방법이다. 경지⋅意境 등을 의미하며 동양의 관조적 성격을 드러내는 특유의 사유방식이자 심미적 개념의 유형이다. 둘째 심미적 감성론은 대부분의 유가미학 연구 성과들이 전제하고 있는 유형이다. 18C 미학자들에 의해 미 개념이 주관의 감성으로 개념화되어, 쾌불쾌의 감정과 숭고감정으로 해명되었는데, 동양에서는 더욱 다양한 함의(意蘊)로 전개되었다. 셋째 상징론은 20C 해석학의 유형으로, 상징 언어(혹은 문화현상)로 구성된 텍스트에 은폐되어있는 의미구조를 추론해내는 방식이다. 기존의 연구성과들이 이 세 가지 개념유형을 유가의 존재론⋅인성론⋅수양론⋅문화예술현상 등의 영역에 적용하여 해석하고 있음에 주목하고, 각각의 미 개념에 전승되는 의미와 특성⋅연구현황 등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후보

        문장 연결 과제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복문 습득 양상

        성진숙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6 한국어문화교육 Vol.9 No.2

        【벼리】문장은 완결된 내용으로 표현하는 최소의 언어형식이다. 이 문장의 확대를 통해 학습자들은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기술하여 하나의 글을 완성해 간다. 문장의 확대는 복문과 관계가 있다. 본고에서는 문장 연결 과제를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의 복문 습득 양 상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3주 동안 초․중․고급 단계 외국 인 학습자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접속문의 경우 대조와 이유가 모든 급에서, 나열은 초급과 고급에서 70%이상의 정답률로 습득을 하였으며 그 외 접속문은 완전 하게 습득을 못하였다. 내포문의 경우 관형절이 모든 급에서 80%이상 의 높은 정답률로 습득을 하였고 명사절은 초급이 47%로 습득이 아 직 진행 중이었으며 중급과 고급은 정답률에 차이가 있지만 습득이 이루어졌다. 혼합문의 경우 세 문장, 네 문장 연결하기 모두 정답률이 70%이하로 습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상에서 단순한 두 문장 연결의 접속문과 내포문에서 습득이 이루어졌더라도 문장 길이가 길어져 통사적으로 좀 더 복잡한 복문구조가 되면 문장 연결의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 sentence is the minimum qualification of language structure. Expanding sentences help learners organize their thoughts and complete their writing. Complex sentences are created by expanding and combining basic sentences. So, I investigated the complex sentences acquired-process through combining sentences with foreign learners. This experiment – which lasted for 3 weeks – was conducted with 45 learners who were categorized into 3 levels of language proficiency (basic, intermediate, and advanc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sentences that have a conjunctive particle, learners from all levels could acquire and identify the “compare and cause” conjunctive sentences. Learners in the basic and advanced levels scored over 70% in acquiring “enumerate” conjunctive sentences. The same learners couldn't learn the other conjunctive sentences completely. As for the embedded sentences, Adnominal Clauses was acquired over 80% of the time in all levels. Noun Clauses was going to be acquired at a rate of 45% in the basic level and was acquired in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bu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In the complex sentences, combining three or foursentences created a barrier for all learners to acquire over 70% of correct answers. In conclusion, we could know that more complex sentence can decrease the accuracy of combining sentence.

      • KCI등재

        과학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 분석: 확산적 사고, 과학 지식, 내ㆍ외적 동기, 성격 특성 및 가정 환경

        성진숙 한국열린교육학회 2003 열린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에 대한 통합적 접근에 기초하여, 창의성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관계가 있는것으로 알려진 인지적ㆍ정의적ㆍ환경적 요소들이 과학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어느 정도 설명해주며, 그 상대적 중요성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초등학교 6학년 아동 138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사고력 도형 검사, 과학 지식 검사, 내ㆍ외적 동기 검사, 창의성 정의적 성향 검사, 창의적인 가정 환경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과학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동들에게 3개의 창의적 과학 문제를 제시하였으며, 아동들이 산출해 낸 해결책은 Besemer의 창의적인 산물 평가 척도와 Amabile의 합의에 의한 사정 기법으로 평가하였다. 아동의 과학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제 변수의 상대적 기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표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CPSS로 평가한 경우에는 제 변수 중 과학지식만 과학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유의미하게 예측해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CAT로 평가한 경우에는 인지적 변수인 과학지식, 정의적 변수인 외적 동기 그리고 환경적 변수인 가정 환경이 과학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유의미하게 예측해주는 것으로 나타나 인지적ㆍ정의적ㆍ환경적 요소들의 수렴으로서 창의성을 개념화하는 통합적 접근을 지지해 주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과학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은 인지적 요소 중 과학 지식인 것으로 나타나 제 요소 중 과학 지식의 상대적 중요성이 검증되었다.

      • KCI등재

        교사 소진과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소진 간 관계에서자아탄력성의 다층 매개효과

        성진숙,최현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5 No.1

        본 연구는 교사 소진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아탄력성의 다층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84개 학급으로부터 자료(교사 84명과 학생 1,825명)를 수집하여 다층 구조방정식모형(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 소진이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은 낮아지며, 학업소진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교사 소진의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소진에 대한 경로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소진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 함의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multilevel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 burnout,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burnou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N=840 and their students(N=1,825).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high level of teacher burnout was connected to low level of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high level of students' academic burnout. In addition, students' ego resilience mediated the path from teacher burnout to students' school adjustment/academic burnout.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enhance students' school adjustment and to reduce students' academic burnout.

      • KCI등재

        중국철학 : 미(美) 개념 유형에 따른 유가미학 해석방법에 대한 고찰 -기존 유가미학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성진숙 동양철학연구회 2010 東洋哲學硏究 Vol.64 No.-

        본고는 유가적 내용의 텍스트를 미학적으로 해석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연구 성과들이 어떠한 "미 개념"에 의해 해석을 전개하였는지 정리해 보았다. 1980~90년대 이후 동양미학계에 "기존 유가미학 연구 성과들이 전제하고 있는 미 개념 유형" 중 빈도 높게 적용된 세 가지 유형만 뽑아 보았다. 그 세 가지를 추려보면 심미적 감성론·경계론·상징론이다, 먼저 동양적 미 개념으로는 경계론을 검토하고, 서양적 미 개념으로는 심미적 감성론과 상징론을 검토하였다. 첫째, 경계론은 동양미학이 서양미학과는 체제나 형식상 차이가 있기 때문에, 동양 특유의 틀로 해석해야한다는 의미에서 제기된 방법이다. 경지·意境 등을 의미하며 동양의 관조적 성격을 드러내는 특유의 사유방식이자 심미적 개념의 유형이다. 둘째 심미적 감성론은 대부분의 유가미학 연구 성과들이 전제하고 있는 유형이다. 18C 미학자들에 의해 미 개념이 주관의 감성으로 개념화되어, 쾌불쾌의 감정과 숭고감정으로 해명되었는데, 동양에서는 더욱 다양한 함의(意蘊)로 전개되었다. 셋째 상징론은 20C 해석학의 유형으로, 상징 언어(혹은 문화현상)로 구성된 텍스트에 은폐되어있는 의미구조를 추론해내는 방식이다. 기존의 연구성과들이 이 세 가지 개념유형을 유가의 존재론·인성론·수양론·문화예술현상 등의 영역에 적용하여 해석하고 있음에 주목하고, 각각의 미 개념에 전승되는 의미와 특성·연구현황 등을 고찰하였다. この考察では儒家的內容の課題を美學的に解析することに置いて、又は文化現象の中で儒家的本質を美學的に導出することに置いて、旣存の硏究成果がどのような「美の槪念」により解析を展開してきたのかを整理してみた。1980∼90年代以後、東洋美學系の「旣存の儒家美學硏究の成果が前提する美の槪念類型」の中で特に頻度の高い三つの類型を選び出してみた。その三つは、審美的感性論·境界論·象徵論である。まず、東洋の美の槪念として境界論を檢討し、西洋的の美の槪念としては審美的感性論と象徵論を檢討した。一つ、境界論は、東洋美學と西洋美學は體制や形式上の差があるため解析上において西洋美學とは同一の方法論を取ることはできないという論理で、東洋の特有の화で解析すべきであるという意味で提起された方法である。境地·意境などを意味し、東洋の觀照的性格を現す特有の思惟方式であり、審美的槪念の類型である。二つ、審美的感性論は殆どの儒家美學の硏究成果で前提されている類型である。18世紀の美學者達により美の槪念が主觀の感性として槪念化され、快·不快の感情と崇高感情で解明されたが、東洋ではより多樣性が含まれ展開された。三つ、象徵論は20世紀解析學の類型であり、象徵言語(或は文化現象)で構成されているテキストに隱蔽された意味構造を推論していく方式である。旣存の硏究成果がこの三つの槪念類型を儒家の存在論·人性論·修養論·文化芸術現象などの領域に適用し解析していることに注目し、各、美の槪念に전承されている意味と特製·硏究現況などを考察した。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