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은행 규모와 수익성

        성지민 ( Jimin Sung ),박창균 ( Chang Gyun Park ) 한국금융정보학회 2016 금융정보연구 Vol.5 No.2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지난 10여년의 기간 동안 진행된 은행의 규모증가가 수익성 개선에 기여하였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점검하였다. 분석 결과 자산규모 확대가 수익성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는데 이는 은행 규모와 수익성 간의 관계에 대한 일련의 선행 연구의 결론과도 대체로 부합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측면에서 동일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유사한 결론에 도달한 다수의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먼저 기존 연구에서 은행의 수익성 지표로 사용되던 자산수익률이 은행의 대표적인 산출물인 자산의 이질성(heterogeniety)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당기순이익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눈 위험가중자산수익률을 대체적인 지표로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규모 확대가 수익성 개선에 기여하는 경로로 비용 효율성 제고와 시장 지배력 강화가 있음을 지적하고 두 경로의 영향을 차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실증분석 전략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the increase in bank size has contributed to improvement of profitability since 2001. The conclusion has been drawn as the increase in bank size does not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profitability, rather it could possibly cause negative effect on profitability. This also corresponds with a series of preceded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nk size and the profit, in general. However, this paper is distinctive from many precede researches on two perspectives. First of all, we suggests to use return on risk weighted capital, which is net income divided by risk weighted capital, as a proper measure of banks` profitability since ROA which has been traditionally used as a measure of profitability does not properly reflect heterogeneity of asset. Secondly, we point out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ways, that increase in bank size affects on profitability, which are cost efficiency and market. Then we suggest the empirical analysis strategy on identifying the effects of those two on profitability discriminatorily.

      • KCI등재

        은행산업에서의 경쟁과 위험추구

        성지민(Sung, Jimin),박창균(Park, Chang Gy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

        본 논문은 은행산업의 경쟁정도가 개별은행의 위험추구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 다. 기존 연구에서 위험추구 성향을 나타내는 지표로 주로 사용하였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위험을 사후적으로 반영하는 지 표라는 점에서 한계점을 지니고 있는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험을 사전적으로 측정하는 자산위험도를 새로운 위험추구의 지표로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은행의 경쟁정도와 위험추구 성향 간에는 음의 관계가 존재함 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고정이하여신비율을 위험추구의 지표로 사용하여 동일한 분석을 수행한 경우에는 정반대의 결과 가 나타나는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위험추구의 지표로 어떤 변수를 선택하는지에 따라 은행산업의 경쟁도와 위험추구의 관계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인데 이는 논리적으로 어떠한 지표가 은행의 위험추구 성향을 더 잘 나타낼 수 있는 것인가를 살펴봄으로써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자산위험도는 위험추구성향이라는 개념에 논리적으로 더욱 잘 부합하며 또한 위험추구성향 외의 요인에 의한 영향을 덜 받을 것이라는 측면에서 더 적절한 지표인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level of competition in the banking industry affects the risk-seeking tendency of individual banks. In earlier studies, the NPL ratio was used as an indicator of the risk-seeking tendency, but this ratio has limits because it is an ex post indicator of the risk. Therefore, the asset risk was chosen as a new indicator of the risk-seeking tendency, which is an ex ante measure of the risk,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competition of the banking industry and the risk-seeking tendency. Interestingly, opposite results were obtained when the NPL ratio was applied as an indicator of risk-seeking tendency. Theref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competition in the banking industry and the risk-seeking tendency depends on the indicator of the risk-seeking tendency. This means choosing the appropriate indicator is the key component leading to precise results. The asset risk is more 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risk-seeking tendency than the NPL ratio, and it is a more appropriate indicator considering that the asset risk is a relatively less affected indicator other than risk-seeking tendencies.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 상황에서 성인 지적장애인을 돌보는 부모의 서비스 욕구

        김민아 ( Kim Min Ah ),황신영 ( Hwang Shinyeong ),정상미 ( Jung Sangmi ),성지민 ( Sung Jimi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가족복지학 Vol.67 No.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의 대유행은 지역사회 돌봄 공백을 가져와 성인 지적장애인과 주된 돌봄 제공자인 부모의 삶에 영향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지역 사회 복지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상황에서 성인 지적장애인을 돌보는 부모의 서비스 욕구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성인 지적장애인의 주 돌봄 제공자인 부모 19명을 대상으로 비대면과 대면의 혼합방식을 이용하여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1)코로나19로 가중된 돌봄 제공자의 돌봄 부담 완화, (2)코로나19 유행기간에도 이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복지서비스 제공, (3)코로나19 유행기간의 서비스 공백으로 인한 어려움 완화의 3가지 대주제 내에서 10개의 서비스 욕구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사회적 재난 발생 시 성인 지적장애인의 일상이 유지되고 돌봄 제공자의 돌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서비스 욕구를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 내 필요한 서비스 개발 및 실행에 대한 필요성과 근거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코로나19에 대응하면서 동시에 성인 지적장애인 돌봄 제공자의 욕구가 반영된 지역사회 서비스가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y are affected by the absence of community car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explored the service needs of the parents with an adult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uring the COVID-19 outbreak when community services were restricted.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9 main caregivers of an adult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iving in the community via phone or in person. The result of analysis yielded 10 subthemes related to service needs within three main themes: (a) reducing the care burden of caregivers caused by COVID-19, (b) providing available community services in diverse format during COVID-19, and (c) alleviating difficulties caused by service absence due to COVID-19.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and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community care servic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uring the pandemic by identifying the service needs of parents to ensur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aintain their daily life in the community and reduce the burden on their caregivers. This study can inform the development of a community support system that reflect the needs of caregivers of adul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response to COVID-1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