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문학치료 임상연구의 현황과 전망

        성정희 ( Seong Jeong-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문학치료연구 Vol.10 No.-

        본고는 문학치료학의 토대를 견고히 하고, 문학의 치료적 기능에 대한 실제적 확증으로 현재까지 문학치료 임상연구의 현황과 그에 대한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문학치료 임상연구에 대한 현황을 이론적 성립에 기초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서사 개념 도입 전후 단계 : 이 시기에는 아직 구체적인 문학치료 이론이 성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고전문학 작품에 대한 문학치료적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연구경향을 보였다. 그 후 2003년을 기점으로 `서사(敍事, epic)`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때의 임상연구의 특징은 진단시약으로 사용할 고전작품에 대한 분석을 한 후 작품 감상을 통한 반응을 살펴 어떤 양상을 보이고 있는 지 검토하는 수준이었다. ② 자기서사, 작품서사 생성 단계 : 이 시기에는 자기서사와 작품서사라는 개념이 확립되었고, 비로소 임상연구가 활기를 띤 시점이다. 이때의 임상연구 경향은 작품서사를 통해 자기서사를 진단하는 지점까지 이루어졌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대다수가 문학작품 감상을 통한 독후감(감상문)쓰기를 활용하였다. 그 가운데 반복적인 글쓰기를 통해 치료의 과정으로의 진입을 시도한 경우도 있었으나, 실질적인 치료의 과정으로 이루어지지는 못했다. ③ 기초서사영역 구분 단계 : 이 시기에는 문학치료 이론이 정교해졌고, 임상연구의 방법도 다양해진 시기이다. 특히 서사의 다기성을 바탕으로 자녀서사, 남녀서사, 부부서사, 부모서사영역의 구분을 통해 이전에 비해 자기서사를 좀 더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진단해 낼 수 있었다. 이는 환자의 자기서사가 네 가지 기초서사영역 중에서 어떠한 서사영역에 해당되는 지 파악하여 그와 관련된 작품서사를 손쉽게 찾을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기존의 진단방식에서 한 걸음 진보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소설창작과 영화창작, 시창작분야가 개발되었는데, 이 중 영화창작은 영상을 통한 치료방법으로 수동적인 글쓰기 방법에서 보다 활동적이고 적극적인 방법으로 변화되었음을 보여준다. 영화창작은 특히 글쓰기를 싫어하는 아동을 비롯해서 청소년들과 대학생에 이르기까지 젊은 층에게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더불어 이 시기부터 구체적인 증상(우울증 등)에 대한 임상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④ 자기서사진단도구 실행 단계 : 이 시기에는 자기서사진단도구 개발과 그에 따른 시험적인 실행을 바탕으로 자기서사진단의 편리성을 도모했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비록 프로그램 실행의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실제 임상에서 다른 검사 도구(MMPI, 살아온 이야기 등)를 의존하기도 하고, 결과의 오차 등 많은 시행착오가 발생했지만 이를 바탕으로 계속적인 수정보안의 단계를 거쳐 실제 대중에게 보급될 날을 손꼽아 기다리는 중이다. This manuscript proceeded with its debate with the purpose of solidifying the foundation of literary therapy while examining the current condition of clinical study of literary therapy so far and its future prospective through practical evidence on the therapeutic function of literature. ① Phase Before and After the Epic Conception Introduction: Since a specific theory of literary therapy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in this period, study trends showed a tendency to seek therapeutic possibilities of literature regarding the classics. Afterwards, as the conception of `epic` is introduced with 2003 as its starting point, a study was started based on it. The specialty of the clinical study at that time was the level of examining what kind of aspects they showed reviewing response through literary appreciation after analyzing the classics which will be used as a diagnostic agent. ② Creation Phase of Epic of Self and Epic of Literary Work: The conceptions of `epic of self` and `epic of literary work` were formed in this period while clinical studies were also finally animated at this time. The trend of clinical study at this time was established even up to the point of diagnosing the epic of self through the epic of literary work. As the method for this, most utilized the writing of book reviews (descriptions of impressions) through literary appreciation. Amidst this, even though there were cases of trying to enter into the therapy process through repetitive writings, it could not be achieved as a substantial therapeutic process. ③ Fundamental Epic Realm Distinguishing Phase: This is the period when the literary therapeutic theory became elaborated, and methods of clinical study made various. Especially, based on the divergence of the epic and compared to previous attempts, the epic of self was able to be diagnosed more specifically and minutely through the distinction of the realms of the son and daughter epics, man and woman epics, husband and wife epics, and father and mother epics. It could be said that there was an improvement of one step ahead from the previous diagnostic way in that it understands which epic realm the patients` epic of self is located among the four fundamental epic realms, and it becomes easy finding epics of literary works related to it. Additionally, fictional, scenario, and poetry writing areas were developed; while among these, scenario writing is a therapeutic method through images which shows that writing methods have changed from a passive to a more dynamic and active one. Scenario writing is well received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especially from children who do not like to write to youths and college students. On top of this, clinical studies on specific symptoms (depression and more) were fully activated starting from this period. ④ The Epic of Self Test Execution Phase: This period could be said to have significant meaning in contriving the convenience of the epic of self test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epic of the self test and the following trial execution. Even though since it was the beginning stage of executing the program, it depended on other test tools(MMPI, life story, etc.) in actual clinical circumstances, and many trial and errors were generated such as the aberration of results; we are looking forward to the day when actual distribution to the public will be possible based on this through constant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phases.

      • KCI등재

        영화 <동경이야기>와 효행설화의 비교를 통해 본 노부모의 부양문제와 그 해결 방안 모색

        성정희 ( Seong Jeong-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문학치료연구 Vol.32 No.-

        이 논문은 고령화 사회의 문제 가운데 저출산으로 인한 생산인구감소와 핵가족과 1인 가족의 증대라는 사회구조 속에서 그 심각성이 더욱 부각되는 노부모의 부양문제에 주목하여 영화 <동경이야기>와 효행설화와의 서사 비교를 통해 노부모의 부양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우선 영화 <동경이야기>의 서사를 분석하여 작품 속에서 노부모의 부양문제를 어떠한 방식으로 전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동일한 서사구조와 의미를 지니고 있는 세 편의 설화를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작품에 등장하는 자녀들 모두 노부모를 부양함에 있어서 물질적인 부분에만 집중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한편으로 자본주의 사회에서 볼 수 있는 병폐가 가족관계에 드리워진 것으로,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에서도 이미 물신성과 상품화가 진전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3장에서는 효행설화를 통해 노부모의 부양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영화 <동경이야기>와 효행설화와의 비교를 통해 노부모의 부양문제와 관련하여 자녀로서 어떠한 태도를 보이는 것이 건강한 해결 방안인지를 모색해보았다. 노부모의 부양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모와 자녀의 관계에 존재하는 `효`를 빼놓을 수 없는 바, 자녀로서 부모에게 어떻게 하는 것이 진정한 효인지 정서적인 측면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이상을 바탕으로 노부모의 부양문제는 자녀가 부모를 부양하는데 기꺼이 하는 마음가짐, 즉 효의 핵심이자 본질인 부모를 공경하는 태도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더불어 전통적인 것과 현대적인 것의 조화와 균형 그리고 그것을 통한 상생이 바로 노부모의 부양문제를 해결하는 지름길임을 밝혔다. This paper is to study the elderly support issue and solution way in film < Tokyo Story > compared with filial story. Modern society is rapidly becoming an aging society. Therefore, supporting senior citizens has become a social issue. Supporting senior citizens isn`t just individual matter, but it is social problem which everyone has to make an effort. In chapter 2, the elderly support issue in film < Tokyo Story > is analyzed compared with three folktales. After analyzing, it is found that the children from each literary work have the tendency to care about only material matters. In chapter 3, the solution way for the elderly support issue is studied. Focusing on emotional support, true `filial duty` is discussed.

      • 영화 <디 아워스>에 나타난 인물 변용과 댈러웨이 부인의 우울증 해소 과정

        성정희(Seong, Jeong-hee)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2010 영화와문학치료 Vol.4 No.-

        본 논문은 스티븐 달드리 감독의 영화 <디 아워스(The Hours)>와 마이클 커닝햄의 원작 소설 세월(The Hours)의 차이점을 바탕으로 소설과는 달리 영화에서 보여 지는 독특한 서사적 특징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영화 <디 아워스> 속 여주인공의 내면 문제는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해결되는 지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영화 <디 아워스>는 원작 소설과는 달리 교차편집(交叉編輯)이라는 영화 기법을 바탕으로 각기 다른 시대와 장소에 살고 있는 세 명의 여주인공(버지니아, 로라, 클라리사)의 서사를 인물 변용을 통해 드러난 또 한 명(댈러웨이 부인)의 서사로 재구성 하여 우울증이 해결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동시에 등장인물의 자기서사가 가르기와 밀치기의 단계에서 되찾기와 감싸기의 단계로 변화되었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새로운 서사 주체에 대한 서사의 재구성은 누군가의 죽음이 하나의 의미 없는 죽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뒤에 올 사람들을 위한 또 다른 새로운 삶의 희망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 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a film directed by Steven daldeuri <The Hours(The Hours)> and Michael Cunningham"s novel, Time(The Hours) novel based on the difference in the film, unlike what is seen is a unique narrative feature, meaning that any To analyze whether the carry. Based on this film <The Hours> What is the problem in the inside of the heroine how to solve it and looked at the magazine noted. Film <The Hours> The cross-cutting(交叉) technique in combination with a movie called a place to live in different times and three heroines(Virginia, Laura, Clarissa), another of a different narrative one(Dalloway) to reconstruct the epic of the problem is resolved through a change of consciousness and shows that both prior to and restore from dividing and pushing step to step recovering and protection that showed changes. In addition, the reconstruction of the epic meaning of someone"s death is not an end in death, but people come back for another new life of hope to convey the message that would show symbolically through the epic can be.

      • KCI등재후보

        우울증에 대한 문학치료학적 접근과 서사지도

        성정희 ( Seong Jeong-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0 문학치료연구 Vol.14 No.-

        본 논문은 우울증에 대한 문학치료학적 접근을 통해 우울증에 대한 서사적 이해를 도모하고, 우울증과 관련성을 보이는 작품서사를 바탕으로 주변의 서사지도(敍事地圖)를 구축하여 문학치료학적인 방식으로 우울증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와 치료방안을 제시하고자 시작되었다. 우울증의 문학치료를 위한 서사지도를 구축하기 위해서 우선 우울증과 관련성을 보이는 작품서사를 선정하였다. 이때 우울증과 관련성을 보이는 작품서사는 작품서사의 주체가 우울증 성향을 지닌 사람의 자기서사와 일치해야 할 것이다. 우울증 성향을 지닌 사람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부정적인 상황이나 사건에 대한 해결능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있고, 현재는 물론 미래에 대해 상당히 비관적이어서 무기력한 행동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설화에 상당수 전해지고 있는 계모이야기에서 우울증 성향을 지닌 사람의 자기서사를 엿볼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계모이야기의 대표 격이라고 할 수 있는 <콩쥐와 팥쥐>를 우울증과 관련성을 보이는 작품서사의 첫 번째 축으로 삼았다. 그리고 <콩쥐와 팥쥐>의 주변 서사로는 <손 없는 색시>, <겨울나물 구해 준 도령>, <글잘하는 황처자>를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네 가지 작품서사는 모두 계모가 등장하여 서사의 주체를 모함하거나 괴롭히지만 그에 대한 서사 주체의 반응양상은 다르다. 네 가지 작품서사를 바탕으로 구성된 서사지도는 우울증에 성향을 지닌 사람의 자기서사를 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지점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maintains epic interests about depression through literary therapeutics register access about the depression, and is shown relativity with the depression surrounding narration be to present comprehension and treatment plan being more deeply about the depression by method that is literary therapeutics register constructing epic map begin. Chose work narration which is shown relativity with the depression first to construct epic map for literary therapeutics of depression. This time, the epic of literary work which is shown relativity with the depression may have to coincide with person`s the epic of self which subject the epic of literary work has depression habit. Contradictory circumstance or solution ability about the event that a person who have depression habit is imposed from outside was fallen remarkably, and because is fairly pessimistic about present as well as future, enervated action aspect is seen. Therefore, judged that can look furtively the epic of self a person who have depression habit in suitableness number stepmother talk that is conveying in chronicle. In this paper, made < Kongjwi and Patjwi > that can speak that is representative standing of stepmother story first axis of the epic of literary work which is shown relativity with the depression. And < unmarried woman who is no hand > to < Kongjwi and Patjwi > relationship surrounding epic, presented < bachelor who get winter herbs >, < sulfur virgin who is good at learning > step by step. Four the epic of literary work intrigue or afflicts subject of epic because total stepmother appears but reaction aspect of epic subject is different. With four the epic of literary work consisted epic map may ready point that can change the epic of self a person who have habit in the depression to more positive direction.

      • KCI등재후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우울증에 대한 서사적 이해와 문학치료 방안

        성정희(Seong Jeong Hee),박재인(Park Jai In)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2010 통일인문학 Vol.49 No.-

        본 연구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우울증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학치료적 접근을 시도한 논의이다. 2장에서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이 겪는 우울증의 증상과 원인에 대해 그들이 맺는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살피는 작업을 하였고, 3장에서는 그에 대한 문학치료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우울증의 원인은 한국생활 부적응과 원만하지 못한 부부관계에서 비롯된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에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는 한국의 문화와 정서를 익히는 데에 적합한 텍스트인 설화를 활용한다는 점,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인간문제를 중심으로 작품을 살핀다는점에서 효과적인 활동이라 할 수 있다. 게다가 자기서사진단도구와 같은 구체적인 문학치료 활동은 한국어 교육에 효율적이기도 하기 때문에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적합한 활동이 될 수 있다. 게다가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문학치료학에서 제시했던 부부관계를 다룬 작품 중 〈곰나루〉, 〈구렁덩덩신선비〉, 〈호랑이 눈썹〉에 특별히 주목하면서, 이 작품들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우울증에서 벗어나는 데에 치료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하였다. 본 연구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우울증의 근원을 해결하는 데에 목적을 둔 논의로, 그들의 심리적 문제에 대한 진단과 치료가 가능한 프로그램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olve depress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in a Literary Therapeutic way.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e catched the symptom and the leading cause of their depression with human relations as its point. Their depression can be caused by maladjustment of unfamiliar surroundings and awkward marriage. Second, we suggested a Literary Therapeutic alternative about it. The literary therapy with Korean Tale will be effective for them. We especially expect that tales like 〈A Bear Wife〉, 〈A Snake Husband〉, 〈Tiger's Eyebrows〉 will be effective for them. Because the epic of this tales is similar to life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 집단 따돌림 현상에 대한 문학치료학적 접근

        성정희(Seong, Jeong-Hee)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2011 영화와문학치료 Vol.6 No.-

        본 논문은 영화 <인형의 집으로 오세요>를 바탕으로 집단 따돌림 현상에 대한 문제 상황과 그에 대한 해결지점을 모색하고자 문학치료학의 근간인 인간관계에 주목하여 작품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따돌림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을 객관화시켜 바라 보기위해 영화 <인형의 집으로 오세요>에 등장하는 던과 브랜든을 중심으로 따돌림 가·피해학생이 심리적으로 어떤 상태에 처해 있으며, 어떤 문제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서 개인의 내적인 요인은 물론 가정과 학교 및 사회 환경적 요인까지 다양하게 접근하여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힘의 논리에 의해 따돌림 가해하생과 따돌림 피해학생이라는 서열관계로 맺어진 던과 브랜든이 어느 순간 서로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상응관계로 변화하게 되는 지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서열관계였던 브랜든과 던이 상응관계로 변화될 수 있게 된 계기는 그들 모두 가정과 학교에서 결핍과 좌절을 경험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따돌림이라는 문제 상황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은 타인을 공감하고 이해와 소통의 지점으로 나아가는 데 있다는 것을 밝혔다. This paper, based on the film <Welcome to the Doll-House> School Bullying problem solving situations and their appropriate point to raise attention to the human relationship which is the basis of the literature Therapeutics, looked at the work. In Chapter 2, students applied in the center of the problem of bullying phenomenon bullying students objectifying damage by looking for the psychological film Come to the doll"s house that appeared in Dawn and Brandon bullying victim students in any state about the internal factors of the individual as well as the danger, and have any problems on your home, school,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 variety of approaches to analysis. In Section 3, by the logic of power, bullying and applied hasaeng Bullied student relationship between the sequences bound by Dunn and Brandon equivalent relationships to understand and sympathize with each other to change to the point where at any moment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sequence relationship was Brandon Dunn instruments can be transformed into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deficiency and was frustrated at home and at school they all could know that. Finally, the only solution to bullying is a problem that can escape from the situation, said that the ability to empathize with others, and the road to the point of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 영화 <씨 인사이드>에 나타난 죽음에 대한 두려움의 극복과정

        성정희(Seong, Jeong-Hee)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2009 영화와문학치료 Vol.1 No.-

        본 연구에서는 영화 <씨 인사이드>에 나타난 두려움에 대해 고찰해 보고 영화 속 주인공이 두려움을 어떻게 극복해 가는지 살펴보았다. 영화 <씨 인사이드>의 주인공 라몬 삼페드로는 사랑에 대한 상실로 인한 두려움과 집단 사회의 억압으로부터 비롯된 개인적 두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는 종합적으로 라몬의 삶에 대한 무가치함과 직결되어 삶에 의지를 포기하고 끊임없이 안락사를 소송하는 행동방식을 보이게 된다. 주변의 상황이 라몬으로 하여금 더욱 삶을 지속할 수 있도록 이는 실질적으로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한 태도로 보기는 힘들다. 그러나 라몬이 훌리아라는 퇴행성 질병을 앓고 있는 변호사를 만나게 되면서 인간관계 회복을 통해 삶에 대한 의미를 찾고 비로소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게 된다. 즉 라몬은 훌리아와의 사랑을 통해 자신의 삶도 누군가를 위해 도움을 줄 수 있고, 그로 인해 가치를 지닐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면서 삶에 대한 의미를 찾게 된 것이다. 물론 둘 사이의 관계가 지속되진 못했지만 라몬은 훌리아를 통해 평안을 얻고 자신의 진정한 자유를 찾기 위해 죽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considers the fear shown in the movie <Mar Andentro> and examines how the main character of the movie overcomes the fear. The main character, Ramon Sampedro, in the movie <Mar Andentro> has the personal fear originated from the suppression of the society as well as the fear from the loss of love. This get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orthlessness of life Ramon feels, and he eventually gives up his will to live; thereby, he comes to show behavior of restless suing for euthanasia. Although the surrounding circumstances support him to sustain his life further,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he actually overcomes his fear for death. However, when Ramon meets a lawyer named Julia having degenerative disease, he comes to find true meaning of life through the recovery of human relations and finally gets over the fear against death. In other words, Ramon gets to know the meaning of life from the love with Julia as he realizes his life can be a help to somebody else and be valuable through i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annot last long unfortunately. However, Ramon finds peace through Julia and is not afraid of death any more to find his true freedom.

      • 영화 <렛미인>에 나타난 관계의 진정성에 대한 고찰

        성정희(Seong, Jeong-hee)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2010 영화와문학치료 Vol.3 No.-

        영화 <렛미인>의 주인공 오스칼과 같이 학창시절 왕따의 경험을 겪었거나 가족과 주변 사람들로부터 소외를 당해 홀로 고립된 삶을 사는 사람들이 넘친다. 이러한 사람들은 대부분 관계에 대한 심각한 두려움과 공포심을 지니고 있으며, 타인에 대해 쉽게 마음을 열지 못하고 점점 더 깊은 고독의 늪으로 침체하는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영화 속 주인공 오스칼도 상당히 많은 위험성을 지닌 인물이었지만 이엘리와의 관계를 통해 인격적으로 성숙 할 수 있었고 고립이라는 심각한 문제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다. 요즘처럼 교환의 원리에 입각하여 관계에 있어서도 지극히 계산적이고 피상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아예 세상과 소통하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영화 <렛미인>에 나타난 관계의 진정성이 시사하는 바는 크다고 하겠다. 세상으로부터의 고립과 소통의 경계는 매우 근접하다. 따라서 어디로 방향을 정하느냐에 따라 인생의 행로는 너무도 확연히 달라진다. 영화 <렛미인>을 통해 진정성이 존재하도록 자신의 삶은 물론 인간관계를 재배치하여, 세상 혹은 타인과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는 건강한 서사가 채워지길 희망한다. People who went through experience of school day loner with movie <let the right one in> relationship master Oseukal or live isolated life alone encountering estrangement from family and surrounding people overflow. The these are entertaining serious fear and fear about most relation, and is having danger that get stagnant to swamp of solitude that is deeper without opening mind easily about another person gradually. Movie inside master Oseukal was person who have same danger, but could escape from such problem through relation with Ielri. When authenticity was secured in relation, the relation is more strong and is that can go forward for continuance. Therefore, I will tell world and people who do not even try that have mutual understanding that it is big movie that do this suggestion <let the right one in> more as see while calculative and only superficial relation that Jinjeongseong disappears like nowadays overflows. Hope that narration which authenticity through movie <let the right one in> can relocate relation with life so that may exist and go and come often border with world or another person freely fastens.

      • KCI등재

        <문전본풀이>를 통해 본 가족의 문제와 그 해결 방안

        성정희 ( Jeong Hee Seong ) 겨레어문학회 2010 겨레어문학 Vol.45 No.-

        본 논문은 제주도 무속신화 <문전본풀이>를 통해 가족의 문제와 그 해결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예나 지금이나 가족 내의 사회적 역할과 개인적 욕망 간의 갈등은 끊임없이 문제시 되어 왔던 것 같다. 가족 내의 무거운 책임감은 때로는 내면의 욕망을 자극하는 요인이며, 결국 그것이 가족을 해체하고 붕괴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가족구성원이 되면 스스로 개인적 욕망을 절제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물론 지나치게 책임만을 강요할 수도 없으며, 그렇다고 인간의 삶에서 욕망을 완전히 배제할 수도 없다. 따라서 책임과 욕망의 중재를 통해 가족 간의 문제를 해결하며, 가족 구성원이 서로가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존재로 자리매김 해야만 건강한 가족 관계가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야 말로 삼차원의 세계와는 다른 무의식의 세계에서만 가능한 대칭의 원리가 적용된 것이라 하겠다. 제주도 무속신화 <문전본풀이>를 통해서 살펴봤듯이 욕망에 치중된 가족구성원을 제자리로 돌아오게 하는 힘은 바로 또 다른 가족구성원에게 있다는 것이다. 하나의 가족이 된 이상 가족구성원은 남이 아닌 또 다른 나이며, 나를 성숙시키고 발전시키는 원동력이다. 사랑과 증오의 대상이 비대칭적인 것이 아닌 대칭적인 것으로 취급되어 두 대상을 하나로 포괄하는 것, 다시 말해 ``가족``이라는 것을 통해 서로 하나가 된 이상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조절하는 것. 이것이 바로 신화적 사고이며, 대칭성의 논리라고 하겠다. 그리고 이러한 사고야 말로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 필요한 기본적인 삶의 태도일 것이다. In this paper, Jeju Island Myth <Munjon-Bonpuri(문전본풀이)> and through the family`s problem was to find the solution. Now and in the family and social roles and the conflict between personal desires seems to have been questioned constantly. Heavy responsibility in the family is sometimes a factor that stimulates the inner desire and eventually dismantle its family and with serve as the cause of the collapse. So when a family member with their own personal desires need to be able to control themselves. May impose too much responsibility not only of course, but at the desire in human life cannot be totally excluded. Thus, through the mediation of responsibility and desire to solve problems between family members and family members help each other as being a healthy family relationships have become will be maintained. And is not that different from the world of three-dimensional world of the unconscious is possible only applied the principle of symmetry would say that. Jeju Island Myth <Munjon-Bonpuri> through focus have seen as a desire to return power to place a family member that is that an other family member. More than one family member to the family rather than the other nayimyeo others, is the driving force to develop and mature me. The subject of love and hate, rather than asymmetrical, symmetrical been considered one of the two objects that span. In other words, ``family`` that it is more than the other one was to go forward in a positive direction will control. This mythical thought, and I`ll say the logic of symmetry. And indeed this incident, we now live in its attitude to life is a basic n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