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체미(滯美) 한인 여성의 성 착취 목적 인신매매와 밀입국에 대한 조사방법 연구

        성용은(Sung, Yong-Eun),정육상(Jung, Yook-Sang) 한국민간경비학회 2013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내 한인 여성의 성 착취 목적 인신매매와 밀입국에 대한 조사방법에 대해서 연구하는 것이다. 즉, 이 연구에서는 미국 내 인신매매의 실태와 한인 여성의 성 착취 목적 인신매매와 밀입국의 현황과 특성에 대해서 논의하고, 특히 현장 조사내용의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분석하여 개선된 조사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 첫째, 현지에서의 철저한 사전조사를 통해서 전체적인 연구방향의 설정과 실제적인 연구조사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조사 실행방법(전략 및 표본선정)으로는 우선, 미국 내 한인단체 및 기관과 접촉을 통해서 성매매 업종에 종사하는 업주 및 한인 여성, 그리고 성 구매 남성을 접촉하기 위해 노력을 해야 한다. 또한 한국 성매매 여성의 유형 별로(즉, 콜걸과 에스코트 서비스, 마사지 업소, 그리고 술집 접대업소) 표본을 선정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원활한 심층면접을 위해서 조사대상자들이 편안한 마음으로 조사면접에 응할 수 있는 면접방식(예, 비공식 대화형식 면접 또는 정형화된 설문지 면접)을 채택해야 한다. 또한 면접비를 지불하여 피조사자의 신뢰성 있는 답변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가능하다면 성매매 업소를 직접 방문하여 참여관찰의 방법도 병행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한인 여성의 인신매매가 발생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인신매매 과정에 관여한 피해자나 가해자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극대화할 수 있는 지역을 고려하여 미국 내 한인 지역사회가 잘 발달되어 있는 지역에서 조사가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한계와 제안된 조사방법을 통해서 기대되는 연구결과의 학문적ㆍ형사정책적 시사점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mpirical research methods for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The current study discusses the condition of the human trafficking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condition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With the result of field research study, especially, this study analyzes the limitation of the prior empirical research and explores the sophisticated empirical research method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1) pre-field research; in order to establish some directions for research and to set up the strategies for the empirical research; 2) Methods for the conducting the research (strategies and sampling): efforts need to contact a well-known Korean community organization and/or agencies which may introduce an informants who help the researcher to find the research subjects such as Korean women sex worker, owner of a sex trade, and Korean male who buy a sex; sampling by the types of Korean Women sex worker (i.e., call-girls, massage parlors, and salon); the interview should involves the informal conversational interview and/or the formal questionnaire interview, and this make the interview more comfortable for building up a rapport; paying an interview fees (i.e., the give and take methods) can plays a critical ro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ir answer; the researcher also should try to visit inside the business location and observe the operation of the business; 3) the research site should be considered the areas where are well established Korean communities in order to maximize the frequencies for contacting the victims and offenders (trafficker and associates) of human trafficking. Lastly, the study concludes with this study limitation and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for the study on the human trafficking and the criminal justice policy after conducting the empirical research methods which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 KCI등재

        여성의 경찰활동 인식과 성범죄두려움 관계 분석

        성용은(Sung Yong Eun) 한국범죄심리학회 2005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 No.1

          범죄두려움이란 범죄에 대한 불안감, 공포심으로, 이는 사회성원들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중요한 사항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범죄두려움의 중요성에 주목을 하여 범죄의 두려움 중에서도 여성을 대상으로 발생되는 여성의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과 성범죄두려움의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여성의 성범죄두려움 특성을 분석하고, 둘째, 여성의 성범죄두려움과 성적괴롭힘을 포함한 성범죄피해경험의 관계와 그 영향, 마지막으로 경찰활동에 대한 여성의 인식이 성범죄두려움과 어떠한 관계가 있고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사실의 발견을 위한 양적인 연구방법으로서 현실 분석적이며, 기술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서울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여성 20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BR>  이 연구의 분석결과 여성의 성범죄두려움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상황에 따라서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여성의 성범죄두려움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포함되지 않았던 성적괴롭힘(언어적, 시각적, 신체적)을 성범죄피해 경험에 포함시키고 그 피해기간을 이제까지 살아오면서 경험한 모든 성범죄피해 경험으로 알아본 결과, 여성이 성범죄피해를 많이 경험할수록 성범죄두려움은 증가하게 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은 성범죄두려움과 관계가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연구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여성 20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것이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pecial character of women"s fear of sexual offense and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and to prove whether it can be proper and practical for analysis the special character of fear of sexual offense and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by women. And this study handle the fact of women"s experience of sexual offense which contain the sexual harassment to the women, and it is very frequently occurred in women"s routine activity area.<BR>  It makes the following hypotheses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viewing the model of fear of crime will make it easy to underst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The model of fear of crime is divided into the victimization perspective and social control perspective.<BR>  Analysis work is based on SPSS 12.0 program. The frequency analyses ware obtained in order to find general character of the repliers for feasible grade of questionnair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obtained to find confidence. In order to prove effects of the adjusting variable in process of women"s fear of sexual offense and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regression analysis to prove effects of the assumption analysis, correlation-analysis to find any connecting of assumptions between the fear of sexual offense 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were performed accordingly, and correlation-analysis to find any connecting of assumptions between women"s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were performed accordingly. And reliability test and ANOVA analysis for statistical experimental design was carried out.<BR>  In summarizing results of this study, the fear of sexual offense should be considered and it should be influenced by women"s experience of sexual offense that through the all her life. And the concerns on the fear of sexual offense should be influenced by women"s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 KCI등재

        미국 내 한국 여성의 성 착취 목적의 인신매매와 밀입국: 뉴욕시와 뉴저지 지역 사례 연구

        성용은(Sung, Yong Eun) 한국범죄심리학회 2016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내 한국 여성의 성 착취 목적의 인신매매와 밀입국에 대한 실증 조사연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다. 이 연구조사를 위해서 미국내 한인 성매매 여성, 성 구매 남성, 여성인권 NGO 직원 및 현지 경찰, 학계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뉴욕시와 뉴저지 지역에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첫째, 일반 성매매 여성의 평균 연령(32.4세)은 인신매매 관련 피해여성의 평균 연령(36.6세)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80% 이상의 여성이 전문대학교 이상을 졸업하고, 70% 이상이 한국 국적을 소지하고 있었다. 둘째, 성매매 여성의 일부는 한국에서의 빚을 갚기 위해 입국비용까지도 빚을 내어 미국으로 입국한 경우도 있었으며, 학생신분의 비자(F-1)를 발급받아서 유흥업소에 종사 하면서 성매매를 하는 경우도 많았다. 셋째, 대체로 친구나 지인에 의한 네트워크와 인터넷 성매매 구인사이트에 의해 성매매 유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성매매 여성은 하루 약 10-11시간 일을 하며, 열악한 업무환경에 처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미국 비자면제프로그램이 시행된 이후 한국 여성의 미국 성산업 유입이 더욱 용이해지고 있었다. 마지 막으로 미국 내 한인 여성의 성 착취 목적의 인신매매 감소를 위한 정책적 제언과 이 연구의 한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and to provide a policy implic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using methods of interview investigation with Korean prostitute, Korean Men who payed sex, staffs of Women Rights NGO and police officers, and academia professionals in New York City Metropolitan and New Jersey. The findings show that: 1) the average age of prostitute was 31.4 years old and the average age of sexual exploitation of Women was 36.6 years old; over 80% of prostitute finished a college level education; over 70% of prostitute have a Korean citizen; 2) some prostitute came to the United States for paying their debt; the numbers of prostitute hold a student visa (F-1) status in order to work in the Sex Industry in the United States; 3) majority of prostitute was recruited by friends and/or acquaintance and by online advertising for recruiting the sex worker; 4) the average duty hours of prostitute was 10-11 hours and they was under a poor work environment; 5) Visa Waiver Program have facilitated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Lastly, the study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human traffick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smuggling of Korean Women in the United States and a discussion of limitations of the current research.

      • KCI등재

        여성 폭력범죄의 심리와 특성 분석

        성용은(Sung Yong Eun) 한국범죄심리학회 2006 한국범죄심리연구 Vol.2 No.1

          범죄두려움이란 범죄에 대한 불안감, 공포심으로, 이는 사회성원들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중요한 사항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범죄두려움의 중요성에 주목을 하여 범죄의 두려움 중에서도 여성을 대상으로 발생되는 여성의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과 성범죄두려움의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여성의 성범죄두려움 특성을 분석하고, 둘째, 여성의 성범죄두려움과 성적괴롭힘을 포함한 성범죄피해경험의 관계와 그 영향, 마지막으로 경찰활동에 대한 여성의 인식이 성범죄두려움과 어떠한 관계가 있고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사실의 발견을 위한 양적인 연구방법으로서 현실 분석적이며, 기술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서울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여성 20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BR>  이 연구의 분석결과 여성의 성범죄두려움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상황에 따라서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여성의 성범죄두려움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포함되지 않았던 성적괴롭힘(언어적, 시각적, 신체적)을 성범죄피해 경험에 포함시키고 그 피해기간을 이제까지 살아오면서 경험한 모든 성범죄피해 경험으로 알아본 결과, 여성이 성범죄피해를 많이 경험할수록 성범죄두려움은 증가하게 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경찰활동에 대한 인식은 성범죄두려움과 관계가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연구는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여성 20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것이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pecial character of women"s fear of sexual offense and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and to prove whether it can be proper and practical for analysis the special character of fear of sexual offense and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by women. And this study handle the fact of women"s experience of sexual offense which contain the sexual harassment to the women, and it is very frequently occurred in women"s routine activity area.<BR>  It makes the following hypotheses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viewing the model of fear of crime will make it easy to underst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The model of fear of crime is divided into the victimization perspective and social control perspective.<BR>  Analysis work is based on SPSS 12.0 program. The frequency analyses ware obtained in order to find general character of the repliers for feasible grade of questionnair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obtained to find confidence. In order to prove effects of the adjusting variable in process of women"s fear of sexual offense and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regression analysis to prove effects of the assumption analysis, correlation-analysis to find any connecting of assumptions between the fear of sexual offense 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were performed accordingly, and correlation-analysis to find any connecting of assumptions between women"s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and the fear of sexual offense were performed accordingly. And reliability test and ANOVA analysis for statistical experimental design was carried out.<BR>  In summarizing results of this study, the fear of sexual offense should be considered and it should be influenced by women"s experience of sexual offense that through the all her life. And the concerns on the fear of sexual offense should be influenced by women"s cognition of police operation.

      • 검도 내 스포츠 성폭력 사례분석 및 시사점

        성용은(Sung, Yong-Eun) 대한검도학회 2022 대한검도학회지 Vol.3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검도 내 스포츠 성폭력의 특성을 살펴보고 스포츠 성폭력 사례 분석을 통해서 시사점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관련 학술연구 및 연구보고서, 통계자료 분석을 통한 문헌연구방법과 검도 내 스포츠 성폭력의 사례분석방법으로 수행되었다. 2010년 이후 언론을 통해서 보도된 검도 내 스포츠 성폭력 사건 7건을 대상으로 범행주체 및 피해자, 범행사실 및 죄명, 형량을 소개했다. 분석결과, 첫째, 검도지도자의 지위는 선수의 성적, 진학, 취업, 시합 출전기회의 부여, 국가대표 선정 등에 큰 권한을 행사하기 때문에 스포츠 성폭력은 어느 수준에서든 발생이 가능하다. 둘째, 피해자는 성적 자기결정권을 행사하기 어렵다. 셋째, 합숙훈련을 하는 경우 상습적인 성폭력 발생과 지도자의 선수에 대한 권한이 더 극대화된다. 넷째, 체육시설 환경 내에서 성폭력의 노출과 훈련지도 및 훈육 등 이유로 불필요한 신체접촉이 일어난다. 다섯째, 아동이나 학생을 대상으로 반복적인 그루밍을 동반한 성폭력은 피해자에게 더 심각하다. 시사점으로는 첫째, 스포츠 성폭력 위반규정의 명확화 및 징계적용의 현실화, 둘째, 실질적인 성폭력 예방 교육과 및 적극적인 홍보, 셋째, 대한검도회 내 성폭력전담기구의 설치를 제안했다. 끝으로 이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ports sexual violence (SV) in Kumdo and to suggest implications through case analysis of sports sexual violen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a literature research method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ed academic research, research reports, and statistical data, and as a method for analyzing cases of sports sexual violence in Kumdo. In the 7 cases of sports sexual violence in Kumdo that have been reported through the media since 2010, the criminal and victim(s), the crime scene, the name of the crime, and the sentence were introduc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because the status of a kumdo manager/coach exercises great powers on a player’s grades, higher education, employment, the provision of competition opportunities, and selection of the national team, sexual violence (SV) in sports can occur at any level. Second, it is difficult for victims to exercise their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Third, in the case of camp training, the occurrence of habitual sexual violence and the manager/coach’s authority over the players are further maximized. Fourth, unnecessary physical contact occurs due to exposure to sexual violence (SV) and training guidance and discipline in the environment of sports facilities. Fifth, sexual violence (SV) accompanied by repeated grooming against children or students is more serious for victims. As implications, first, clarification of sports sexual violence (SV) violation regulations and realization of disciplinary application; second, practical sexua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nd active public relations; and third, establishment of an organization/institution exclusively for sexual violence (SV) within the Korean Kumdo Association (KKA) were propos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 청소년의 성비행 대책 연구

        성용은 ( Yong Eun Sung ),조현빈 ( Hyun Bin Cho ) 한국경찰학회 2010 한국경찰학회보 Vol.12 No.2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성비행 대한 원인, 실태분석, 그리고 방지대책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청소년 성비행을 방지를 위해서는 첫째, 청소년들에게 유해한 불법·유해업소와 사이버 유해환경을 차단하여 사회·환경의 부정적 영향 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한다. 둘째, 가정의 정상적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서 가정의 기능적 결손 및 청소년의 가출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청소년에 대한 교육기능을 강화시켜 나가야 한다. 청소년들이 성에 대해서 올바른 지식과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성관련 교육 및 상담 기능을 강화시키고 성폭력 관련 예방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성비행 청소년에 대한 부모와 학교의 낙인과 이로 인해서 부정적인 자아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가정에서 부모와 학교 관계자, 급우들의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seeks countermeasures for prevention of adolescent sexual deviance in South Korea. The researcher examines the causes, actual conditions, and countermeasures of juvenile sexual devianc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o prevent juvenile sexual deviance: First,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an effort to minimize harmfu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illegal bars, houses of prostitution, and the cyber-environment, in order to reduce the side-effects of negative societal surroundings. Second, family functioning must be strengthened which can improve relationships and prevent juveniles from leaving home. Third,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education of juveniles with sound sexual knowledge and counseling for sexual problems. Lastly, all numbers of the community, including parents, school faculties, and peers should make a sustained effort not to stigmatized a juvenile who committed sexual deviance, in order to prevent a negative self-image.

      • 경찰무도로서 경찰공무원의 검도수련 활성화 방안

        성용은(Sung, Yong-Eun) 대한검도학회 2021 대한검도학회지 Vol.3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경찰무도로서 검도수련의 중요성, 유용성과 함께 경찰조직 내 검도수련의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연구수행을 위해서 관련 연구결과 및 연구보고서, 통계자료 분석을 통한 문헌연구방법과 함께 제한적이지만 현직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경찰무도 교육훈련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연구방법과 지방경찰청 교육훈련 담당자와 면담을 통한 질적연구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경찰공무원과 지방경찰청 교육훈련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조사대상 경찰공무원은 정기적으로 체포술 위주의 무도훈련을 하고 있지만, 무도훈련에 대해 전반적으로 불만 등 비우호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많은 업무량으로 인해 무도훈련 참여가 힘들거나 무도훈련의 체계성도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방경찰청 교육담당자의 면담결과, 치안현장에서 평소 경찰공무원의 무도훈련은 중요하지만 제대로 된 교육훈련이 시행되기에는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검도수련의 유용성 홍보를 통한 정책적·제도적 지원 확대, 둘째, 경찰교육기관 내 검도과목의 독립적 운영 및 비중 확보, 셋째, 경찰공무원의 근무환경의 개선을 통한 검도수련의 관심과 참여 증대, 넷째, 경찰의 내근 및 외근부서 별로 업무에 따른 검도 수련 시간의 분배, 다섯째, 경찰검도시범단(가칭)의 설치 및 운영을 통한 소속 경찰공무원들의 자긍심 고취와 지역주민의 자치경찰에 대한 신뢰 증진을 제언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의 학술적·정책적 시사점과 함께 이 연구의 한계, 그리고 향후 관련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to revitalize kumdo training within the police organization along with the importance and usefulness of kumdo training as a police martial art. In order to conduct the research, it is limited, along with a literature research method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ed research results, research reports, and statistical data, but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through a survey on police martial arts education and training for police officers, and an interview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local police department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survey with police officers and the interview with those in charge of education and training at the local police agency, the police officers regularly engage in martial arts training centered on arresting techniques, but generally have unfavorable attitudes such as dissatisfaction with the martial arts training.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martial arts training was difficult or perceived that the systemicity of martial arts training was insufficie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 interview with the education officer of the local police agency, it was pointed out that although the usual martial arts training of police officers is important in the field of police work, it is insufficient for proper education and training to be implemented. Results of the study: First, expansion of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 by promoting the usefulness of kumdo training; second, independent operation and weight of kumdo subjects within polic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ird, increase of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kumdo training through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of police officers; fourth, distribution of kumdo training time according to duties by internal and external police departments; and fifth,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olice kumdo demonstration team (tentative name) to inspire self-esteem of police officers and enhance local residents’ trust in autonomous police has been suggested. Finally, along with the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lated research a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한국 여성의 폭행 및 성폭행 범죄두려움 연구

        성용은(Yong-Eun Sung),노기윤(Kee-Yoon Noh) 한국범죄심리학회 2015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여성의 폭행 및 성폭행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 정책적 시사점을도출하기 위한것이다. 이를위해서2010년11월 약한달동안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실증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 과, 여성이 경찰활동의 확실성을 높게 인식하는 여성일수록 폭행두려움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찰활동의 가시성이 높을수록 폭행두려움을 더 많이 느끼는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이 일상생활에서 성적괴롭힘을 많이 경험할수록 성폭행 두려움을 더 많이 느끼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성폭행 피해경험 또한 성폭행 두려움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다. 특히 다른 변수를 통제했을 때, 성적괴롭힘 변인만이 성폭행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한국 여성의 폭 행 및 성폭행 두려움 감소를 위한 제언과 이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factors of South Korean women’s fear of violent and sexual crime and draw the policy implications. The current study conducted a survey of women residing in Seoul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employing a random sampling. The findings indicated that women who perceived that the police would certainly catch offenders were less likely to have fear of violent crime than those did not and that those who perceived that the police were often seen were more likely to have fear of violent crime than those who did not. The findings, furthermore, indicated that women who have been sexually harassed were more likely to have fear of sexual crime than those who have not, and sexual victimization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of their fear of sexual crime. Sexual harassment was the only variable that influenced their fear of sexual crime when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The policy implications to understand and ultimately to reduce South Korean women’s fear of violent and sexual crime and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research were discussed at the last part of this study.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범죄두려움 연구

        성용은(Sung, Yong Eun),윤병훈(Youn, Byoung Hoon)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연구 Vol.2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의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 실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2013년 1월 약 한달 동안 경기도 안산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실증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성별과 연령은 북한이탈주민의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북한이탈주민이 비공식적 사회통제의 인식 정도가 높을수록 범죄두려움을 더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의 물리적ㆍ사회적 무질서의 인식 정도가 높을수록 범죄두려움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유대의 정도가 높을수록 범죄두려움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범죄두려움 감소를 위한 정책적 제언과 이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factors of North Korean Refugees’s fear of crime and draw the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empirical findings. The current study conducted a survey of 200 North Korea Reguguess who live in Ansan City employing a convenience sampling and analyzed a survey of 154 North Korea Reguguess. The findings of logistic regressio analysis indicated that gender and age factor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of North Korea Reguguess’s fear of crime. The findings, furthermore, indicated that North Korean Refugees who have perceived the informal social control were less likely to have fear of crime than those did not, and that those who have perceived pysical and social disorider in community were more likely to have fear of crime than those did not. In addition, the findings showed that North Korean Refugees who have perceived the community cohension were less likely to have fear of crime than thos did not. The policy implications to understand and ultimately to reduce North Korean Refugees’s fear of crime and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research were discussed at the last part of this study.

      • 청소년 가출의 유형별 특성과 심리 연구

        성용은(Sung, Yong Eun) 한국범죄심리학회 2008 한국범죄심리연구 Vol.4 No.2

        최근 청소년 가출은 점차 조기화 되고 있고, 상습적․장기적 가출이 보편화되고 있어 과거보다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이 연구는 대학생의 청소년 시절의 가출 경험에 대해서 가출의 유형에 따라 구분해서 유형별 특성과 심리에 대해서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결과 첫째, 전체 조사대상자 218명 중 51명(23.4%)이 가출경험이 있었으며, 무가출자가 유가출자보다는 가출에 대해서 더 부정적으로 인식을 하고 있었다. 둘째, 가출당시 중학교 때(49.0%), 1회 가출(56.9%), 가출친구는 1-2명(35.3%)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추구형이 많았다. 비행 및 범죄로 가출비를 충당하는 경우는 추구형이 가장 많았다. 셋째, 가출시 비행 및 범죄문제에 대한 경험은 가출 유형에 관계없이 음주(60.8%) 및 흡연(51.0%)이 가장 많았고, 추방형에서는 성폭행의 경우도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출 후의 심리 조사결과, 추구형 가출의 경우 타 유형보다 가출 이후 해방감을 많이 느끼지 못하지만, 탈출형이나 추방형 가출의 경우에는 가출 이후에도 심리적 해방감과 편안한 느낌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만성적이고 장기적인 가출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dolescent runaway has become a more serious problem, because the runaway age is getting younger, and habitual, long-term runaway is becoming more comm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by types: "escape from", "deported from", "seek after", and the mentality of juvenile runaway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urvey data which collected on 214 college students out of a total of 240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respondents who had not run away expressed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runaways. And 51(23.4%) of respondents had run away when they were young. The majority of these respondents had runaway when they were middle school students(49.0%), had run away only once(56.9%), and had one or two runaway peers(35.3%). The seek-after type of runaway was most likely to meet living expense by delinquency and crime.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misdeeds during that time were drinking(60.8%) and smoking(51.0%). One seek after-type runaway, however, reported committing sexual assault. Lastly, the result of psychological analysis after the runaway shows that the seek after-type juveniles were unable to feel at ease during the time they were away. However, the escape from-type and deported from-type runaway juveniles could feel at ease, and felt a sense of freedom. Because of this, these two types of adolescents could be chronic runaway juveni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