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주후풍가」 해석의 문제점 - 이시의 「조주후풍가」와 광해 혼정기의 안동사림(1) -

        성기옥 진단학회 2010 진단학보 Vol.- No.110

        The theme of how we should understand and accept the Korean poems of the past has been one of the present writer’s major research concerns for the past more than ten years. Jojuhupung-ga, a song of advice for sailing before the wind, has been chosen simply as an example for case study in a series of such an effort to approach the aforementioned research topics. My core concern in this paper is not about an aesthetically outstanding work but about an unnotable work of common people. Unlike those of present times, most Korean poets of the past were rather amateur than professional: that is, they were not socially recognized professional poets but just ordinary individuals engaging in the usual everyday activities. How should we evaluate this un-noteworthy work in terms of literature, if it does have something that causes us to ruminate over the sincerity of life, even though its composition might be rather awkward or unsophisticated when seen from linguistic or aesthetic angles?This paper, analyzing Jojuhupung-ga as a sample case, can be considered a preliminary research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aforementioned question and seeking its solution; it examines various problems that might arise in understanding texts and interpreting the work. The main results of the present discussion boil down to the following:1. Jojuhupung-ga, invoking an allegorical technique, is a didactic song that tells the author’s younger brothers, who were ingratiating themselves with the Daebuk-pa (Big North Faction) during the ruling of Gwanghae (15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to conduct properly in accordance with rationality. Beneath its surface, however, there lie the author’s worry about the imminent downfall of his family, due to his younger brothers ambitions for success, and his ardent wish for the survival of his family as well.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poem, therefore, would require u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problem of imminent reality than that of didacticism. 2. The vitality of Jojuhupung-ga goes together with the campaign for regaining the impaired reputation that intends to rehabilitate the Ocheon Family of the Yeongcheon Lee Clan, whose downfall was caused by the author’s younger brothers. Accordingly, the interpretation of the poem has passed through two phases, in line with the realistic needs of the author's offspring: (1) the phase of emphasizing the ethical, ideological character of the poem, and (2) the phase of emphasizing its ideated didactic character. The history of its interpretations has been, in its wake, that of rigid ones that are far from its true character of the original poem intended by its author. 과거의 우리 시를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해야 할 것인가의 문제는 지난 십수년여 동안 필자가 고심해왔던 연구의 중심 화두이다. 「조주후풍가」 역시 일련의 이런 관심사에 접근하기 위한 한 사례로서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여기서 필자의 주된 관심은 미적 차원의 ‘탁월한 작품’이 아니라 생활인 차원의 ‘평범한 작품’에 대한 것이다. 현대와 달리 과거의 우리 시인들은 사회적으로 공인된 전문적 시인이 아니라 비전문적 시인, 곧 생활인 시인들이 거의 대부분이었다. 언어적, 혹은 미적 조형에는 어눌하고 서툰 이들 시인의 평범한 작품에도 삶의 진정성을 되돌아보게 하는 그 무엇이 있다면, 이를 우리는 ‘문학적으로’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 이 논문은 「조주후풍가」를 대상으로 하여 이런 문제를 고민하며 그 해결을 모색하는 데 필요한 선행적 연구로서, 텍스트에 대한 바른 이해와 작품 해석상의 문제점을 검토한 것이다. 논의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주후풍가」는 알레고리 수법을 원용하여 광해 혼정기 대북파에 부회한 아우들에게 순리에 따라 처신하도록 타이르는 교훈적 노래이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동생들의 출세욕이 몰고 올 시인 자신과 가문의 파멸을 우려하는, 생존을 위한 현실적 절박성이 더 짙게 깔려 있다. 따라서 작품에 대한 이해는 교훈성 이전의 이 현실적 절박성 문제에 더 주목하여 접근해야 할 것이다. 2. 「조주후풍가」의 생명력은 이시의 아우들로 인해 파멸에 이른 영천이씨 오천가문을 다시 일으키려는 후손들의 명예회복 운동과 궤를 같이 한다. 따라서 그 해석 또한 후손들의 현실적 필요에 따라 (1) 작품의 윤리적․이념적 성격이 강화되는 단계, (2) 관념화된 교훈성이 강화되는 단계라는 두 번의 국면 변화를 겪는다. 「조주후풍가」 해석의 역사는 곧 경직된 해석의 역사로서 작품의 참모습과 거리가 먼 역정을 밟아왔다.

      • KCI등재

        「조주후풍가」 창작의 역사적 상황과 작품 이해의 방향 - 이시의 「조주후풍가」와 광해 혼정기의 안동사림(2) -

        성기옥 진단학회 2011 진단학보 Vol.- No.112

        This is a sequel to my paper ‘Problems in the Interpretation of Lee Shi’s Jojuhupung-ga,’ which appeared in Chin-Tan Society 110 (December, 2010).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search for a desirable direc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unnotable work by nonprofessional poets, on the basis of my preceding paper that has raised some problems in understanding such work while observing the text analysis and interpretation history of Jojuhupung-ga. In accordance with such purpose, the paper places more weight on reconstructing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production of the work than on analyzing it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This is because we intend to view the work as the poet’s psychological trace where the joys and sorrows of life he experienced in specific historical environments were projected in language, rather than as some image of life reconstructed in language. Seen from such a point of view, while Jojuhupung-ga is patently a didactic song warning the poet’s (Li Shi’s) younger brothers of their unreasonable greed for power, it is at the same time a song in which we can detect his anguished psychological vacillations concealed behind his voices. It is a portrait of an intellectual who suffered a chaos of value systems, living through such a time of severe turbulence as Gwanghae’s Political Turmoil Period. 이 글은 震檀學報 제110호(2011. 12)에 발표한 “「조주후풍가」 해석의 문제점”의 후속 논문이다. 「조주후풍가」의 텍스트 분석과 해석의 역사를 검토하면서 작품 이해의 문제점을 제기한 선행논문을토대로 하여, 비전문적 시인의 평범한 작품에 대한 바람직한 작품 이해의 방향을 모색하려는 것이 이글의 목적이다. 따라서 이 시도는 텍스트의 심미적 분석 작업보다 작품이 생성된 역사적 상황의 복원 작업에 훨씬더 큰 비중을 두었다. 작품을 언어로 재구성된 삶의 형상물로 보기보다, 구체적 역사 속에서 겪는 삶의 애환들이 언어로 투영된 시인의 정신적 흔적으로 보고자 했기 때문이다. 이런 작업 과정을 거쳐서 본 「조주후풍가」는 아우들의 지나친 권력욕을 타이르는 교훈적 노래이면서, 동시에 그 목소리 뒤에 숨겨진 작가 이시의 고뇌 어린 정신적 흔들림을 엿볼 수 있는 노래이다. 그것은 광해 혼정기라는 격랑의 시대를 살면서 가치관의 혼란을 겪는 한 지식인의 초상이기도 하다.

      • KCI등재후보

        ≪文心雕龍≫의 전고운용 특징 고찰

        성기옥 대한중국학회 2010 중국학 Vol.35 No.-

        典故是在詩文中引用的故事和由來歷出處的詞語。用典能够借古明今,以便更簡潔, 更形象, 更充分地表情達意。劉勰≪文心雕龍≫運用了大量的典故。書典故的運用, 爲表達內容服務, 增强了理論闡述的形象與說服力。典故采用多種技巧和方法, 顯現了騈儷文語言的精美, 華美, 典雅。≪文心雕龍≫中的用典, 或照錄原文, 或改以用之, 或剪裁融化, 或重新造句, 或用整句, 或用詞語, 都經過劉勰理性思維的縝密過濾和修辭硏究的慘淡用心。全書的用典, 形式多樣, 異彩紛呈。旣携帶着原典本身的精思巧義, 更顯出作者再創作的妙見卓識。旣保留了原典語言的叡智和哲理, 又凹顯出騈文語言的華美典雅。這種仰山鑄銅, 煮海爲鹽的創造功夫, 這些巧妙用典形成的佳構透句, 充分顯示了劉勰創作騈文的高超技巧和用典自如的傑出才華。典故是包含豊富思想內涵的歷史遺産, 也是溝通古今人心文心的精神橋梁。運用典故寄託着作者的願望和感情。劉勰在<序志>篇中深情地慨歎, “文果載心, 余心有寄。” 他是寄心于≪文心雕龍≫的。他在闡述“爲文之用心”的過程中, 也把自己的人生追求表達得明確而充分。從用典中可以淸楚地了解到他的思想, 抱負和心境, 用典展示了劉勰的文化心態和人生追求。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