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육환경과 연어치어 성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성기백,김주경,Seong, Ki-Baik,Kim, Ju-Kyung 한국해양학회 2007 바다 Vol.12 No.2

        사육지별 치어의 수용마리수는 $1,003{\sim}1,865$천마리로 큰 차이를 나타냈고, 가랑이체장은 $3.20{\sim}3.78cm$, 체중은 $0.34{\sim}0.49g$의 크기를 나타냈다. 일일 평균 사육 수온은 사육 중반기인 1월에서 3월까지의 수온은 사육 초반기와 후반기에 비해 $2{\sim}3^{\circ}C$ 정도 낮아 성장에 부적합한 수온을 보였다. pH는 2월 초순에서 중순은 $6.0{\sim}6.3$, 2월 하순은 6.5, 3월은 $6.5{\sim}7.0$을 나타냈다. 시간대별 용존산소의 변화는 오전 6시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8{\sim}18$시 사이에 최저값을 보였다. 18시 이후에는 급격히 증가하였고, 21시에서 06시까지는 최대값을 보였다. 시간대별 연어치어의 폐사율을 보면, 용존산소가 높은 야간보다 급격히 하강하는 오전 및 주간에 폐사율이 5배 이상 높았다. 연어치어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으로는 1일 치어 1마리당 사료공급량, 사육지의 배수구 용존산소 및 사육수온이 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Early growth of chum salmon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rearing pond condition. The number of fingerling showed big differences by rearing pond $1,003,000{\sim}1,865,000$. The fork length of fingerlings ranged from $3.20{\sim}3.78cm$ and body weight ranged $0.34{\sim}0.49g$. Daily temperature of rearing water in January to March was $6{\sim}8^{\circ}C$, which is inadequate for salmon growth. pH was $6.0{\sim}6.3$ in early and mid February, 6.5 in late February and $6.5{\sim}7.0$ in March.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was lowest from 8 a.m. to 6 p.m. and increased after 6 p.m. The maximum value was seen from 9 p.m. to 6 a.m. The mortality of fingerlings was 5 times higher in the daytime than at night because of dissolved oxygen. Growth of fingerlings was affected by daily ration, concentration of dissolved oxygen and rearing temperature.

      • KCI등재후보

        연어(Oncorhynchus keta)의 밀양강 분포 및 소상 한계선 파악

        홍동현,성기백,고의정,정은송,조현빈,주기재,Hong, Donghyun,Seong, Ki Baik,Ko, Eui-Jeong,Jung, Eunsong,Jo, Hyunbin,Joo, Gea-Jae 한국하천호수학회 2020 생태와 환경 Vol.53 No.4

        본 연구는 낙동강지류인 밀양강에 소상한 연어를 대상으로 소상, 산란 분포를 최초로 파악하고 소상 한계선을 확인하였다. 2020년 10월 25일부터 11월 28일까지 확인된 개체들 중, 사체는 전장을 측정하고 암-수 구별을 하였다. 조사 결과 총 40개체의 연어를 발견하였으며 이 중 사체는 25마리, 살아있는 개체는 15마리였다. 대부분 산란장으로 판단되는 지점 인근 수변부에서 살아있는 개체와 사체가 발견되었다. 연어의 소상 한계선 파악의 경우 연어가 소상할 수 없는 형태의 보가 등장할 때까지 상류방향으로 이동하여 확인하였으며, 밀양강 본류의 경우 예림교 기준 상류 13 km, 지천인 단장천의 경우 밀양강 합류부에서부터 12 km까지 연어의 소상이 가능할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어가 소상하기 위한 보의 철거 및 어도설치와 같은 하천연결성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연어의 치어생존률을 높이기 위한 산란장 및 미소서식처 자연성 확보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a distribution and migration boundary lines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in the Milyang River. We measured the total length of dead chum salmons. As a results, 40 chum salmons were found during the study period, 25 dead salmons and 15 alive individuals. The ratio of female was 64%. We verified the migration boundary lines of chum salmons based on a sighting survey until detecting a structure that chum salmons are not able to migrate upstream. We discovered that chum salmons were not able to migrate up to 13 km in a mainstream of the Milyang River and up to 12 km in the Danjang stream (a tributary of the Milayang River) from upstream of the Yerim Bridge. Therefore, our results indicate that Milyang River should improve a river connectivity by demolishing weirs that disturb chum salmon's migration or installing appropriate fishways. Also, effective legislations are needed to retain naturality in spawning ground and micro-habitats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parrs and smolts.

      • KCI등재

        연어 방류사업의 역사와 현황

        이채성,성기백,이철호,Lee, Hae-Sung,Seong, Ki-Baik,Lee, Cheul-Ho 한국해양학회 2007 바다 Vol.12 No.2

        The chum salmon enhancement program in Korea started at Gowon in Hamgyeong nam-do in 1913 and the program has been more active since Yeongdong Inland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was established at Yangyang in 1984. The major activities were the release of chum salmon fingerlings and the catch of adult chum salmon for artificial fertilization. The range of return rate to Korean waters was in $0.72{\sim}1.57%$ during 1990s, but it has declined seriously since 2000. To overcome the low return rate and enhance chum salmon resources in Korean waters, we must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mass mortality of chum salmon during their early life in rivers and coastal areas in conjuction with the fluctuation of return rates and climate. In addition, comprehensive and effective habitat protection and restoration policies will be needed. 우리나라의 방류사업은 1913년의 함경남도 고원에서 최초로 시작하여 1969년 이후 한미기술 협력에 따라 부화장이 설립되고 정부의 연어 자원조성을 위한 계속된 투자로 1980년대 초부터 서서히 소상량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1999년에는 2,000만 마리까지 방류함으로써 명실상부하게 우리나라에서 자원조성에 가장 성공한 사례로 꼽히게 되었다. 방류지역은 처음에는 인공부화장이 위치한 지역을 중심으로 방류하였으나, 생산량 증가에 따라 강원도 고성군 명파천에서부터 경상남도 밀양강까지 방류하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전방 DMZ, 전라남도 섬진강 및 북강원도에도 방류함으로서 방류지역을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다. 회귀율은 1973년에 0.06%에서 1990년부터 바다연어를 포획하면서 1.57%의 회귀율을 보인 후 계속 1%이상을 유지하였다. 그 이후 1999년에 0.72%로 다소 떨어진 후 2000년에는 바다의 환경변화로 인하여 0.10%로 회귀율이 급격하게 감소하여 최근까지 0.22%의 회귀율을 보이고 있다. 연어 자원증강을 위해서는 건강한 치어 생산은 물론 바다연어 및 미성숙 친어의 축양시설 개발, 방류하천의 중간 육성장 개발, 치어 및 친어의 회유로 구명 등 적극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정부에서는 방류사업에 보다 많은 관심과 예산을 투입하여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서해연안 실뱀장어의 먹이 습성

        김정배,이원찬,김대중,성기백,최희구,최우정,황학빈,홍석진,김형철,박성은,심정희,강창근,Kim, Jeong Bae,Lee, Won-Chan,Kim, Dae-Jung,Seong, Ki Baik,Choi, Hee-Gu,Choi, Woo-Jeung,Hwang, Hak Bin,Hong, Sokjin,Kim, Hyung Chul,Park, Sung-Eun,Shim, 한국해양학회 2013 바다 Vol.18 No.4

        실뱀장어는 산란장인 마리아나해구에서 산란 및 부화과정을 거쳐, 뱀장어 자어인 렙토세팔루스 단계에서 북적도 해류와 쿠로시오 해류를 따라 회유하면서 변태과정을 거치게 된다. 변태된 실뱀장어는 동중국해를 지나 우리나라 연안으로 올라오는데 실뱀장어의 먹이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 실뱀장어 먹이원은 안정동위원소 비값을 측정하여 수서 생태계에 존재하는 먹이망에 의한 단계별 증가율을 해석함으로써 가능하다. 2012년 4월에 채집된 자연산 실뱀장어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를 측정하여 먹이원을 밝히기 위하여 실뱀장어 ${\delta}^{13}C$과 ${\delta}^{15}N$를 분석하고 서해안 및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가용 가능한 입자유기물질에 대한 값들을 분석, 비교하였다.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채집된 실뱀장어의 ${\delta}^{13}C$값은 $-20.7{\pm}0.1$‰, ${\delta}^{15}N$값은 $5.0{\pm}0.2$‰로 나타났다. 실뱀장어의 가용 먹이원으로 추정되는 입자유기물질 중 서해안의 ${\delta}^{13}C$값은 $-24.0{\pm}0.3$‰이고, ${\delta}^{15}N$값은 $2.8{\pm}0.4$‰이었고, 동중국해 북부해역의 ${\delta}^{13}C$값은 $-24.5{\pm}0.5$‰이고, ${\delta}^{15}N$값은 $0.8{\pm}0.3$‰이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영양단계에 따른 동위원소 분별 비값 증가율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나타난 서해안과 동중국해의 POM과 서해안에서 채집된 실뱀장어의 ${\delta}^{13}C$과 ${\delta}^{15}N$값의 차이는 서해안과 동중국해의 입자유기물질이 자연산 실뱀장어의 먹이원으로써 이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연안에서 채집되는 실뱀장어는 뱀장어 자어인 렙토세팔루스에서 변태과정을 거친 이후에는 먹이를 섭이하지 않고 회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ass eels (Anguilla japonica) are caught in the west coast of Korea on their migratory route from the breeding grounds in the Mariana Trench along the North Equatorial Current and the Kuroshio Current. To identify the food source of natural glass eels, we analyzed the stable C and N isotopes of glass eels caught in April 2012 and investigated possible food sources in the survey area.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the stable C and N isotopes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we extended the surveying area to the northern parts of East China Sea as well as the west coast of Korea. The stable C and N isotope ratios of the glass eels caught in the west coast were found to be $-20.7{\pm}0.1$‰ and $5.0{\pm}0.2$‰, respectively. The stable C and N isotope ratios of the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the west coast of Korea, in which the glass eels are assumed to eat the particulate organic matter as food source, were estimated to be $-24.0{\pm}0.3$‰ and $2.8{\pm}0.4$‰, respectively. Similar data were obtained from the northern part of the East China Sea, $-24.5{\pm}0.5$‰ and $0.8{\pm}0.3$‰. The stable isotope ratios showed values differing from the stepwise increasing rates up the food web in natural aquatic ecosystem, showing that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the west coast of Korea and East China Sea was not served as the glass eels food source.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glass eels caught in the west coast might not assimilate nutrition from the marine environment during long migration.

      • KCI등재
      • KCI등재

        연어, Oncorhynchus keta 전기자어의 난황흡수 및 초기성장

        장창익 ( Chang Ik Zhang ),손명호 ( Myoung Ho Sohn ),성기백 ( Ki Baik Seong ),박인석 ( In Seok Park ) 한국수산학회 199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8 No.5

        연어, Oncorhynchus keta 전기자어의 부화 직후부터 부상기 이전까지의 난황흡수과정 및 체성장의 형태가 조사되었다. 한국 동해안 남대천에서 채포된 암수 친어로부터 채취한 알과 정자를 사용하여 인공수정을 시켰다. 사육수온은 13℃로 조절되었다. 부화 직후와 부화 후 12일부터 부화 후 33일까지 3일 간격으로 매회 40마리의 난황자어가 임의로 표본되었다. 부화 직후 난황자어의 평균 전장 및 평균 전중은 각각 1.97cm, 1.85g이었으며 난황흡수는 부화 후 33일에 거의 이루어졌다. 전장, 전중 및 체세포 중량의 성장곡선은 Gompertz의 성장모텔에 잘 적합되었다. 그러나 난황장, 난황중, 난황고 및 난황부피는 난황흡수가 완전히 이루어지기까지 선형의 감소경향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전장과 전중 혹은 전중과 난황중 등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상대성장도 역시 조사되었다. The process of yolk absorption and the growth pattern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alevin were studied. Matured males and females of chum salmon were sampled from the Namdaechun River in the east coast of Korea, and then an artificial fertiliza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ir eggs and sperms. Fertilized eggs were incubated in controlled water temperature of 13℃ and samples of 40 alevins were randomly taken at just hatching and at every three days between 12 days after hatching and yolk absorption. The means of total length and total weight of hatched alevins were respectively 1.97cm and 1.85g, and the yolk absorption took about 33 days after hatching, based on the morphological measurement. Growth curves of total length, total weight and somatic weight were fitted well with the Gompertz growth model. However, the shrinking in yolk-sac length, yolk-sac weight, yolk-sac height and yolk-sac volume revealed a linear phenomenon until the absorption of yolk was completed. The relative growth of chum salmon alevin,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length and total weight, or between total weight and yolk-sac weight, was also studied.

      • KCI등재

        순치 기간에 따른 육봉형 산천어(Oncorhynchus masou masou )의 해수 적응능력

        김병기 ( Pyong Kih Kim ),김재원 ( Jae Won Kim ),박정환 ( Jeong Hwan Park ),성기백 ( Ki Baik Seong ),김현주 ( Hyeon Ju Kim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201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4 No.6

        The seawater adaptability of land-locked masu salmon Oncorhynchus masou masou via acclimation was examined for aquaculture purposes. The survival, blood chemistry, and histological changes of masu salmon (150 g) were measured after 7-, 15-, and 30-day acclimation periods. After a total of 60 days in seawater cultures that incorporated the various acclimation periods, survival was 83.5, 87.2, and 91.0% for the 7-, 15-, and 30-day periods, respectively; thus, survival increased with longer periods of acclimation. Feeding efficiencies were 32.1, 52.0, and 40.6% for the 7-, 15-, and 30-day periods, and specific growth rates were 0.14, 0.26, and 0.23%, respectively. Generally, masu salmon appeared to exhibit better growth performance after an acclimation period of 15 days. Cortisol concentrations [mean ± SD] for 7, 15, and 30 days of acclimation were 21.0 ± 6.5, 17.8 ± 4.8, and 21.2 ± 5.4 μg/dl, with the lowest values occurring with 15 days of acclimation. Osmolarities were 359.2 ± 26.1, 350.4 ± 29.2, and 354.6 ± 29.3 mOsm/kg, and glucose concentrations were 60.7 ± 20.7, 72.9 ± 17.3, and 76.6 ± 14.1 mg/dl for the 7-, 15-, and 30-day acclimation periods, respectively (P < 0.05). The histological study revealed that both gills and both kidneys of the masu salmon exhibited middle- to end-stage and middle-stage lesions in the 7- and 15-day groups, respectively, whereas these organs only had early-stage lesions in the 30-day group in the final experiment. Therefore, the seawater acclimation of masu salmon should involve more than 30 days in seawater.

      • KCI등재

        극동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성비와 성장에 미치는 수온 및 estradiol-17β의 효과

        김대중(Dae-Jung Kim),이남실(Nam-Sil Lee),김신권(Shin-Kown Kim),이배익(Bae-Ik Lee),성기백(Ki-Baik Seong),김경길(Kyung-Kil Kim) 한국생명과학회 2013 생명과학회지 Vol.23 No.12

        본 연구에서는 양식산 극동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 에서 고비율로 암컷 친어를 확보할 목적으로 실뱀장어(평균 전장: 6.5 cm)를 estradiol-17β (E2) 투여구와 일반사료(E2-free) 투여구로 나누어 사육수온 별(20, 24 및 28℃) 조건에서 4개월간 사육하여 성비조사와 성장변화를 실시하였다. 조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수온 영역에서는 E2-free 실험구에서는 암컷 비율의 변화가 없었으나, E2 경구투여에 의한 자성화율은 높은 수온(28℃)에서 소폭 증가하였다. 특히, 수온 24℃ 실험구에서 E2 경구투여 개체가 E2-free 개체보다 성장곡선이 낮게 나타났으며, 혈중 E2 농도는 E2 투여를 종결한 후(178일)에도 여전히 유의적으로 높게 존재하였다. 따라서 E2 투여에 의한 자성화유도 효과는 높았지만, 장기간 투여시 성장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극동산 뱀장어에서 사육조건 중 수온에 의한 암컷으로의 성분화 효과는 확인 할 수 없었으며, 다른 환경인자(사육 밀도, 염분 등)의 관련성도 이후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that water temperature and the administration of estradiol-17ß (E2) had on the sex ratio and growth of the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Glass eels (total length≒6.5 cm) were differentiated into an E2 group and an E2-free group and then they were reared for about four months at three water temperature levels of 20℃, 24℃, and 28℃. The results showed that the young eels survived normally at the rearing water temperature of ≥24℃, and grew to a mean size of 20 cm (total length). In the E2-free group, temperature was not found to increase the sex ratio (feminizing rates); however, the sex ratio of the E2-administrated group was found to be a little higher at a high temperature (28℃). The growth of the E2 group was lower than the growth of the E2-free group at 24℃ and the E2 concentration levels in the plasma at 24℃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fter the end of the E2 administration period (178 days). Therefore, we thought that long-term administration of E2 must be considered to be the reason for growth decline in spite of the prominent sex ratio effect. Our results indicate that temperature was not related to an increase in the feminizing rate (sex ratio) in the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rearing density, salinity, etc.) that have the possibility of inducing ovarian differentiation must be investiga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