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성경선,김진선 한국예술치료학회 2017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2010년 2월부터 2017년 1월까지 국내 학술지 및 석․박사 연구물을 메타분석을 통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국내 에서 실시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등학생에게 영향을 많이 미치는 변인들 중 이미 여러 메타분석을 통해 효과가 있음이 입증된 자아개념 및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변인을 제외하고 종속 변인으로 정서 영역(정서지 능, 스트레스, 공격성, 분노, 우울ㆍ불안, 행복감)의 효과 크기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정서 영역에서 우울ㆍ불안에 대해 지역아동센터 아동과 아동복지시설 아동을 대상으로 혼합학년 또는 고학년(4∼6학년)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의 효과 크 기가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LMT 평가도구에서 효과 크기가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 회기 수는 10∼12회가 유의하며, 10명 이하로 구성된 집단에서 프로그램이 유의함을 확인되었다. 반면 주당 회기 수, 회기 당 시간, 처치 기간에 따른 효과에 대해서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searches - theses, dissertations, and articles published in Korea - from February 2016 to January 2017 on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through a meta-analysis. Among the variables that have impa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ize of affective domain(emotional intelligence, stress, aggression, anger, depression/anxiety, and euphoria) was investigated as a dependent variable while the self-esteem and sociality - the variables that were already proven to have significant impact through various meta-analyses - were excluded. As a result, group art therapy programs for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enters and mixed-grade/upper-grade(Grade 4-6) students at child welfare institutions had significant impact on depression/anxiety within the affective domain. Also, effect size of LMT evaluative tool was significant. For the number of the lessons for a program, 10-12 was significant for programs with 10 or less students. However, the numbers of lessons per week, duration of a lesson, period of a program were found nonsignificant.

      • KCI등재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한 초등 장애학생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분석

        성경선 ( Sung Kyung Sun ),방명애 ( Bang Myong Ye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하여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초등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34편의 일반적 특성(연구대상, 연구설계, 종속변인, 독립변인, 중재효과)을 분석하고, CEC(2014)와 Horner(2005)가 사용한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하여 질적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34편의 총 연구대상 수는 모두 74명이었으며, 남학생(64.9%)이 여학생(24.3%)보다 많았다. 장애영역은 지적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연구가 23편(67.6%)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구설계는 중다간헐기초선 설계가 14편(41.2%)으로 가장 많았다. 종속변인은 수업참여가 14편(41.2%)이고, 문제행동이 12편(35.3%)이었다. 독립변인은 긍정적 행동지원이 8편(23.5%)으로 가장 많았다. 34편 연구에서 모두 중재효과가 있었으며, 유지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24편(70.6%)이었고, 일반화 효과를 검증한 연구가 8편(25.0%)이었다. 둘째,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하여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관련 단일대상 연구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통합교육이 실시되는 연구 환경, 중재자의 자격 및 배경정보, 종속변인에 대한 조작적 정의, 중재 충실도, 기초선, 내적 타당도, 사회적 타당도에 대한 질적 지표가 낮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에 대한 논의와 연구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ingle subject design studies on integr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 Thirty four single subject studies published from 2005 to 2016 were analyzed using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 developed by Horner et al.(2005) and CEC (2014).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widely selected subjects of the studies wer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ultiple probe designs were the most widely used. The most widely selected dependent variables were academic engagement and problem behavior. The most widely selected independent variable was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the interventions of all studies were effective for improving dependent variables. Out of 34 studies generalization effects were tested only by eighth studies, while maintenance effects were tested by twenty five studies. Second, the quality indicators of intervention settings, background informations and qualifications of experimenters, operant definitions of the dependent variables fidelity of intervention, baselines, and internal validity were not fully fulfilled.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폐성 장애학생의 개인변인에 따른 생각의 원리와 사회불안 분석

        성경선(Sung, Kyungsun),방명애(Bang Myongye)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성 장애학생의 개인변인에 따른 생각의 원리와 사회불안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이 자폐성 장애학생이고 생각의 원리와 사회불안에 대한 자료수집이 교사평정에 의해 실시되었다. 자폐성 장애학생을 교육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특수교사 단체의 SNS 등 정보공유를 통해 지원자표집하였다. 전자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630부 중 1부를 제외하고 629부의 설문결과에 대해 두 독립표본 t 검증 및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의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폐성 장애학생의 성별에 따른 생각의 원리의 차이는 없었으나 학교급별, 자폐성 장애의 정도, 동반 장애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폐성 장애학생의 성별에 따른 사회불안의 차이는 없었으나 학교급별, 자폐성 장애의 정도, 동반장애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자폐성 장애학생의 생각의 원리와 사회불안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자폐성 장애학생의 생각의 원리와 사회불안은 학교급별, 자폐성 장애의 정도, 동반장애에 따라 집단간 차이가 있고, 생각의 원리와 사회불안 간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theory of mind competence and social anxiety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629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experiences of teaching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data on the theory of mind competence and social anxiety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collected through an electronic questionnair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s and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implemented for analyzing the data. Results: First, the theory of mind competence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varies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Second, the social anxiety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varies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heory of mind competence and social anxiety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Conclusion: The Thoery of mind and social anxiety in students with ASD differ among groups according to gender, school level, level of ASD, and accompanying disability.

      • KCI등재

        학교차원의 사회적 통합 프로그램이 장애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및 비장애중학생과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지선,방명애,성경선 한국특수교육학회 2016 특수교육학연구 Vol.5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chool wide social inclusion program on the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perception of nondisabl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 research design was a pre and post test single group design. The subjects were 19 students with disabilities, 626 nondisabled students, and 17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an integrated middle school. Two dependent sample t-tests were applied for analyzing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 school wide social inclusion program had positive impact on the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2) A school wide social inclusion program had positive impact on the perception of nondisabled students on inclusive education; and (3) A school wide social inclusion program had positive impact on the perception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on inclusive education.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차원의 사회적 통합 프로그램이 장애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및 비장애중학생과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었다. 연구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장애중학생 19명, 비장애중학생 626명, 일반교사 17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두 종속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교차원의 사회적 통합 프로그램이 장애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었다; (2) 학교차원의 사회적 통합 프로그램이 비장애중학생의 통합교육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었다; (3) 학교차원의 사회적 통합 프로그램이중학교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효과적인학교차원의 사회적 통합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와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해제언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편찬 및 질 관리에 관한 특수교육 전문가의 인식 조사

        한경임,최진혁,박재국,한경화,신수정,김일수,김대용,송은숙,성경선 한국특수교육학회 2021 특수교육학연구 Vol.5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about the compilation and quality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text-book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600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00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text-books. As a resul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used text-books by an average degre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both the type and number of text-books. by an average degree but the participants who assis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text-books recognized that they were under production. All participants of this stud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for digital special education text-books. In relation to the cost of compilation and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who had developed special education text-books recognized the increased cost of development regarding the illustrations within the text-books. These results will have an effect on the developmental policy regarding the compilation and quality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편찬 및 질 관리에 대한 특수교육교사와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개발에 참여 경험이 있는 특수교육 전문가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교육교사 600명, 특수교육 교과용 도서 개발 경험이 있는 특수교육 전문가 100명이었다. 주요 설문 영역은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개발 종 수 및 책 수의 개선 방향과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질 관리를 위한 행·재정적 지원 방안에 대한 것이었다. 연구결과 특수교육교사의 교과용도서 활용은 보통 정도로 활용하며, 교과서보다 지도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교과용도서 개발 종 수와 책 수에 대한 특수교육교사와 교과용도서 개발 경험이 있는 특수교육 전문가의 의견은 달랐다. 특수교육 교사는 현행 교과용도서의 종 수와 책 수를 ‘보통’이라고 인식하는 반면에 교과용도서 개발 참여자는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디지털 교과서의 경우 특수교육교사와 개발 참여자 모두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과용도서 개발 경험 참여자의 편찬과 개발비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삽화료 개선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편찬 및 질 관리를 위한 정책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