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oodgrab을 이용한 단목집재와 가선집재방식에 의한 전목집재의 경제적 효율성 비교분석

        설아라 ( Ara Seol ),한희 ( Hee Han ),정윤구 ( Yoonkoo Jung ),정혜진 ( Hyejean Chung ),정주상 ( Joosang Chung ) 한국임학회 2016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5 No.2

        본 연구는 국내 벌채현장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Woodgrab에 의한 단목집재작업이 생산성 및 수익성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방식인가에 대한 검토를 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Woodgrab 목재수확방법의 생산성 및 수익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Swing yarder와 Tower yarder에 의한 전목집재작업을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낙엽송 임분에 대한 작업기종별 조재지침을 적용하여 각 기종별 수확작업과정에 따른 작업비용과 등급별 원목매각 순수익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Woodgrab을 이용한 단목집재작업은 Swing yarder 혹은 Tower yarder에 의한 전목집재작업에 비해 생산성이나 생산단가 측면에서 유리한 반면 원목생산의 수익성 측면에서는 오히려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Woodgrab에 의한 목재생산작업을 하는 경우 생산비가 절감되는 대신 시장가격이 낮은 펄프, 보드류 혹은 톱밥 등의 원료재로 사용되는 단목을 주로 생산할 수 밖에 없는 것에 기인한 것이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Woodgrab short-wood logging method, most widely used logging method in Korea, is more favorable than other logging methods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For the comparative purposes, whole-tree logging methods with cable yarding system using a swing yarder and a tower yarder were evaluated. The productivity and the profitability of the logging operations by the machine types on a L. kaempferi stand were estimated by simulating logging processes based on bucking pattern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 Woodgrab short-wood logging system showed the most favorable results in terms of skidding productivity and operating cost. On the contrary, the system was the least profitable among the three logging methods. Main reason is that while the system may be beneficial in terms of operation productivity, it is restricted to produce only short logs mainly for low quality raw materials such as pulp, bolts, etc. which are sold at cheap prices.

      • KCI등재

        산촌의 인구이동 추이와 특성

        장주연 ( Chuyoun Chang ),설아라 ( Ara Seol ),박소희 ( So-hee Park ) 한국산림경제학회 2022 산림경제연구 Vol.29 No.2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우리나라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산촌 지역의 인구감소율이 비산촌 지역의 인구감소율보다 커 국가균형발전을 위해서는 산촌의 인구감소 대응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촌의 인구이동 추이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에서 제공하는 2015년∼2021년까지의 국내인구이동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산촌으로 유입되거나 산촌에서 유출된 데이터를 추출하고 산촌의 인구이동량을 산출하였다. 최근 7년, 산촌으로 유입된 총 인구는 113만명이고, 산촌에서 유출된 총 인구는 109만명으로 4만 3천명의 순유입이 일어났다. 시도별로는 인천, 경기, 강원, 대구·경북에서 순유입이 많이 발생하였고, 연령별로는 40대∼60대에서 순유입이 일어났다. 특히 60대 이상은 다른 연령대보다 ‘자연환경’으로 인해 산촌에 이주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지역적으로는 농촌보다는 도시에서 산촌으로 인구유입이 많이 일어났다. 순유입이 많이 일어나는 산촌 읍면의 경우 순유출이 많이 일어나는 산촌 읍면보다 대도시와의 거리가 가까운 특성을 가졌다. In Korea, the trend of population decline continues due to the low fertility and aging population. In particular, since the rate of population decline in mountainous areas is greater than that in non-mountainous regions,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respond to population decline in mountainous areas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d the population movement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mountainous areas. In this study, the amount of population movement in mountainous areas was estimated by extracting data flowing into or out of mountainous areas using the domestic population migration statistics data from 2015 to 2021 provided by the Micro Data Integrated Service. The total population that flowed into mountainous areas over the past 7 years was 1.13 million, and the total population that flowed out of mountainous areas was 1.09 million. A net influx occurred in mountainous areas. By province, Incheon, Gyeonggi, Gangwon, and Daegu and Gyeongbuk had the most net inflows. By age, the net inflow occurred in those in their 40s and 60s.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those in their 60s or older who said they had moved to the mountainous areas due to the ‘natural environment’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age groups. By region, more people migrated from urban areas to mountainous areas than from agricultural areas. In the case of mountainous areas where a lot of net inflow occurs, the distance from the big city is closer than that of mountainous areas where a lot of net outflow occurs.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산림 휴양 활동의 변화 요인

        장주연 ( Chuyoun Chang ),박소희 ( So-hee Park ),설아라 ( Ara Seol ) 한국산림과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4

        코로나19 발생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등 제재로 인해 일상과 여가생활이 변화되면서 산림 휴양 활동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국내 산림 휴양 활동의 참여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파악하고 그 변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표본 추출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상호작용항을 포함하는 이항 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코로나19에 따른 산림 휴양 활동 참여의 변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이후 산림 휴양 활동으로서 녹지공간 방문, 숲 야외활동, 산촌 여행에의 참여가 모두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세 유형의 산림 휴양 활동에서 20대보다 40∼60대의 참여가 더 크게 감소하여 코로나19 이후 산림 휴양 활동 변화에서 연령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이 높을수록 코로나19 이후 숲 야외활동 참여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수도권 거주자들은 비수도권 거주자보다 산촌 여행 참여가 덜 감소하였다. 이것으로 볼 때 코로나19 이후 산림 정책은 2030세대의 새로운 산림 휴양 수요에 대응하고 안전한 야외 활동의 공간으로서의 산림과 산촌의 기능을 확대시키기 위한 정보의 제공과 공간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ocial distancing affected daily life and leisure activities, including forest recreational activities. This study identified changes in people’s participation in forest recreational activities and factors affecting their participation. It collected data from 1,000 samples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analyzed it using a binary logit model with interaction terms. It was observed that there were decreases in the participation in visits to urban parks and green areas, outdoor activities in forests and mountains, and trips to mountain villages after the COVID-19 outbreak. People in their 40s, 50s, and 60s were more likely to decrease their participation in all kinds of forest recreational activities than those in their 20s. Moreover, higher household income earners were more likely to decrease their involvement in outdoor activities in forests and mountains. With respect to the place of residence, the resi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less likely to decrease their participation in trips to mountain villages than those outside this area.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online forest recreation information services and forest management are needed to meet the demands of forest recreation for young generations and diversify the function of forests and rural areas as a safe leisurely space.

      • KCI등재

        ◇ 4분과 : 동적계획법 적용에 의한 삼나무 임분의 간벌시업체계 분석

        한희 ( Hee Han ),권기범 ( Ki Beom Kwon ),정혜진 ( Hye Jean Chung ),설아라 ( Ara Seol ),정주상 ( Joo Sang Chung ) 한국임학회 2015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4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국립산림과학원 한남시험림의 삼나무조림지에서 목재 및 탄소 경영을 위한 최적의 간벌 시업체계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 Paderes and Brodie에 의해 개발된 PATH 알고리즘을 의사결정 지원체계로 그리고 임분생장예측을 위해 권기범 등이 개발한 임분생장모델을 적용하였다. 이 임분생장모델은 개체목간의 거리에 대한 고려가 없이 임목의 고사나 간벌과 같은 임분밀도 조절 요인에 의한 생장효과를 예측할 수있다. 분석 결과 순현재가를 극대화하기 위한 목재생산경영은 탄소흡수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탄소경영에 비해 간벌의 횟수는 적었지만 간벌강도가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나타났다. 탄소경영의 경우 목재생산경영에 비해 탄소흡수량이 약 6% 증가한데 비해 순수익은 약 3.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탄소경영이나 목재생산경영을 위한 집약적 경영은 무간벌 시업조건을 전제로 하는 ‘무간벌 대조구’의 경우에 비해 약 60% 정도의 탄소흡수 및 순수익 증진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ptimal thinning regimes for timber or carbon managements in Cryptomeria japonica stands of Hannam Experimental Fores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In solving the problem, PATH algorithm, developed by Paderes and Brodie, was used as the decision-making tool and the individual-tree/distance-free stand growth simulator for the species, developed by Kwon et al., was used to predict the stand growth associated with density control by thinning regimes and mort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timber management for maximum net present value (NPV) needs less number of but higher intensity thinnings than the carbon management for maximum carbon absorption does. In case of carbon management, the amount of carbon absorption is bigger than that of timber management by about 6% but NPV is reduced by about 3.2%. On the other hand, intensive forest managements with thinning regimes promotes net income and carbon absorption by about 60% compared with those of the do-nothing o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