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설병문,박상혁,박종복,김상표,Seol, Byung Moon,Park, Sang Hyeok,Park, Jong Bok,Kim, Sang Pyo 한국벤처창업학회 2014 벤처창업연구 Vol.9 No.3
Recently in the field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the government's quantitative diffusion being deployed. University and other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stitutions that provide education services and establish purpose and methods. It means that they supply appropriate curriculum and educational program, schedule etc. Education systems should established to meet the target progress. Definitely the defini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raining is required for the direction of the various studies point. This research discusses the thing that might be overlooked in terms of parts suppliers. Grounded theory study was performed. We want to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 to help understanding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olicy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s provid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are expected.
근거이론접근법에 기반한 농식품분야 창업교육현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설병문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3
This study analyzes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henomena for agri-food entrepreneurs whose main business is the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sale of processed products, using the qualitative study Strauss & Corbin(1998)'s evidence theory approach. From the entrepreneur's point of view, I would like to summarize the phenomena that appear in education, and to prepare a theoretical basis for explaining the phenomena.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emphasized to cultivate the ability to develop and provide products tailored to customers. The necessity of education leads to an increase in demand according to the situational awareness of the founders, and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agri-food sector is a clear trend. Inevitably, the need for various discussions on systematic and effecti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raised. For the study,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preliminary or entrepreneur who have experienc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agri-food sector. As a research method, I use Strauss & Corbin(1998)'s approach and analyze qualitative data using QSR's NVIVO 12 program.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contextual and systematic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agri-food sector ha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and strengthening sales. There is a need for follow-up management of trainees.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start-ups is based on training professional manpower through education and linking regions with cities. Strengthening sales is based on product planning and market development. This study explores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agri-food sector, which has not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e past. Exploratory analysis on the experiences of the founders of agri-food sector as education demanders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of start-up education. 농식품분야 창업환경을 보면 국내외 시장상황과 소비자 트렌드의 변화가 심화되는 추세이다. 창업자는 농산물 재배, 가공과 판매, 농식품 제조 전 과정에 걸쳐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며, 높은 수준의 기업가정신이 절실한 상황이다. 창업자는 창업준비부터 매출확대까지 시장과 고객요구에 대응할 역량을 갖추어야 하며, 교육을 통한 역량강화의 기회들이 필요하다. 이런 환경은 창업자의 교육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으며, 농식품분야에서 창업교육의 양적 증가현상도 보인다. 그러나 교육기회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한편으로 농업전문기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온 전통적 농업교육에서의 창업교육은 생산중심의 기술교육에 치중되어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창업교육에서 기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농업창업인의 소득증대를 위해서는 고객관점의 상품개발과 판매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농창업인의 입장에서 농식품 창업교육 현상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여 이 분야에서 창업자가 필요로 하는 교육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농창업분야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교육수요자인 농창업자의 입장에서 분석한다. 분석은 농업기술원, 농업기술센터, 대학 등의 창업교육기관에서 농식품분야의 창업교육을 경험한 예비 및 기창업자를 대상으로 하며, 교육생의 교육동기, 교육내용, 강사, 교육방법, 사후관리 등의 현상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한다. 분석은 질적연구를 위하여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진행한다. 분석을 위한 개방코딩은 질적 데이터 분석툴인 QSR社의 NVIVO 12 프로그램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농식품분야 창업교육의 중심현상으로 교육정보증가 현상, 초기관리역량교육, 사업화교육이 도출되었다. 농창업교육에서 교육정보 획득노력과 교육기관의 교육정보 제공노력이 증가하여 교육정보측면에서 개선현상이 보인다. 초기관리역량교육은 스마트워킹, 기본역량, 관련 제도 교육을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초기관리 관련 교육이 역량 강화로 연계되는 현상이 보인다. 이와 함께 사업화 성공에 필요한 실무 역량인 비즈니스모델, 고객, 재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교육생의 협업강화, 관계구축, 학습지향, 적극적 태도가 중심현상과 작용하여 매출증대, 경쟁력 강화 등의 교육성과로 이어진다고 교육생들이 인식하고 있다. 농창업자의 경쟁력 강화와 매출강화를 위하여 전문인력 양성, 기업가정신 강화, 상품기획역량, 시장확대역량 분야의 교육 강화요구 현상이 분석에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식품분야 창업교육을 수요자 관점에서 분석하여 교육 설계에서 운영방식, 교육내용, 교육행정에 관한 개선 논의와 함께 농창업자의 생존력 강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교육설계 과정에서 정책기관과 교육기관이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제시하며, 창업농을 위한 지원정책 시행과정에서 중요성 높아진 창업교육설계의 참고자료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근거이론 접근법을 이용한 축산업분야 기술이전현상에 관한 탐색연구: 후방연관산업을 중심으로
설병문,박종복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 벤처창업연구 Vol.11 No.1
The competition between countries became internationalized in the market. However, a situation in which globalization is concerned is important to domestic corporates. Corporate strategy to survive in the domestic market are also juggling the limit of survival.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at this point has important implications now. The same applies to the national level. Public-to-private technology transfer has been more important, in order to overcome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s. Although various studies have been made to promote technology transfer, in the livestock sector rarely attempted. Taking into account that few previous research and theory development has been achieved, the paper explored the technology transfer phenomenon in the sector employ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by Strauss & Corbin(1998). Corporates that licensed in technologies through the Foundation of Agri. Tech. Commercialization & Transfer, were targeted as informants or interviewees. Finally, eight informants were selected sequentially utilizing theoretical sampling technique to the saturation point. As the result of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of the interview data using NVivo10 by QSR International, 77 concepts, 20 sub-categories, and 7 categories were derived while paradigm model was established. Through selective coding, 'the factors affecting technology transfer in livestock sector' was identified as core category. The story line about the core category was developed based on four main categories.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concepts, categor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can be an important basis for further research. 시장 내에서 국가 간으로 경쟁이 국제화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기업이 국제화를 도모할 수 있을까 염려되는 상황이다. 국내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기업전략 역시 생존의 한계선을 넘나들고 있다. 이 시점에서 기술이전 및 사업화는 기업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국가 차원에서도 동일하다. 국가 간의 경쟁이 치열한 분야일수록 기술이전 및 사업화의 중요성은 높아진다. 기술이전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축산업 분야의 기술이전 현상에 대한 심층분석은 거의 시도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기술이전을 받아 사업화를 진행한 축산업 후방연관산업에 종사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이전의 영향요인을 조사한다. 이 분야의 선행연구가 부족하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Strauss & Corbin(1990, 1998)의 귀납적 이론 정립 방식인 근거이론(Grounded Theory) 접근법을 사용한다. 분석대상인 연구참여기업으로는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을 통해 기술이전을 받은 축산업의 후방연관사업에 종사하는 8개 업체를 선정하였다. 근거이론의 이론적 표집(Theoretical Sampling)에 따라 추천받은 기업에 대한 면접과 분석과정을 거쳐 최종 참여기업을 결정하였다. QSR사의 NVivo10을 활용하여 면담자료의 개방코딩과 축코딩을 수행한 결과, 77개의 개념, 20개의 하위범주, 7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로‘축산업 분야 기술이전 현상’을 선정하고 이에 관한 이야기 윤곽으로‘기술이전의 동기’, ‘도입기술의 탐색여건’,‘기술이전 결정시 고려요인’,‘후속개발 영향요인’의 4가지 범주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개념, 범주, 범주간의 관계 등은 후속연구를 위한 중요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근거이론 접근법을 이용한 소셜벤처 갈등에 대한 창업교육 연구
설병문 한국산업경영학회 2023 경영연구 Vol.38 No.4
한국에서 소셜벤처는 사회혁신 주체로서 가능성을 인정 받고 있으나, 혁신을 확산하고 사회변화를 만들기까지는 어려움이 있다고 평가 받는다. 그동안 양적 확산에 집중해온 현상이 질적 성장을 어렵게 한다는 분석이다. 본 논문은 소셜벤처의 질적 성장을 위하여 요구되는 창업교육을 근거이론 접근법으로 분석한다. 소셜벤처의 창업교육을 분석하기 위하여 Blenker et al.(2011) 등의 창업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Strauss &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이론 접근법을 적용하여 자료 수집과 분석을 하였다. 연구자료의 개방코딩 과정을통해 개념 68개, 하위범주 29개를 도출하고, 최종 추상화 과정을 통해 범주 14개를 도출하였다. 본 논문은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이윤의 동시 추구에 의한 소셜벤처 갈등이 기업 외부환경과 함께 내부환경에도 영향을 주는 현상을 보았다. 외부갈등은 가치와 이윤 추구 간에 발생하는 수익성 문제로 발생하며, 내부갈등은 창업팀과 조직 구성원 간에 나타난다. 소셜벤처는 내외부 갈등 해결을 위한 역량강화 목적의 창업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분석결과, 교육내용으로 사회적 가치, 사례 ‧ 멘토링, 기업가정신, 관리역량에 관한 교육수요가 도출되었다. 관리역량은 세부 교육으로 협력관리, 기술관리, 인력관리, 실무관리, 자금관리 교육을 포함한다. 연구결과는 소셜벤처 교육 및 지원 기관의 정책에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Korea, social ventures are recognized for their potential as agents of social innovation. They are evaluated as having difficulty spreading innovation and creating social change. The focus on quantitative expansion makes qualitative growth difficult. In this paper, the discussion on social ventur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based on the four perspective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esented by Blenker et al. (2011). This paper analyzes the phenomen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social venture startups. Data analysis applied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suggested by Strauss & Corbin (1998). Through the open coding process, 68 concepts, 29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were derived. This paper shows that the conflict structure of social ventures pursuing both social value and profit in the growth stage exists in the internal environment as well as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company. External conflict arises from profitability issues that arise between the pursuit of value and profit, while internal conflict occurs between the founding team and new personnel after the start-up.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quired for growth-stage social ventures is analyzed as an improvement in the ability to resolve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As for educational content, demand for education on social values, case mentoring,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capabilities is derived. Th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for the policies of social venture education and support organizations.
근거이론 접근법을 이용한 소셜벤처 창업 현상에 관한 고찰
설병문,김영락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 벤처창업연구 Vol.18 No.1
The social venture start-up phenomenon is found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enterprise and for-profit enterprise. This study aims to fundamentally explore the start-up phenomenon of social ventures from these two perspectives. Considering the lack of prior research that researched both social and commercial perspectives at the same time, this paper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approach of Strauss & Corbin(1998), an inductive research method that analyzes based on prior research and interview data. In order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eight corporate representatives currently operating social ventures were interviewed and data and phenomena were analyzed. This progressed to a theoretical saturation where no additional information was derive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147 concepts and 70 subcategories were derived, and 18 categories were derived through the final abstraction process. In the selective coding, 'expansion of social venture entry in the social domain' and 'expansion of social function of for-profit companies' were selected as key categories, and a story line was formed around this. In this study, we saw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cademic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competitive factors required for companies that pursue the values of two conflicting relationships, such as social ventures, to survive with competitiveness. In practice, concepts such as collaboration with for-profit companies, value combination, entrepreneurship competency and performance improvement, social value execution competency reinforcement, communication strategy, for-profit enterprise value investment, and entrepreneur management competency were derived. This study explains the social venture phenomenon for social enterprises, commercial enterprises, and entrepreneurs who want to enter the social venture field. It is expected to provide the implications necessary for successful social venture startups. 본 연구는 최근 늘어나고 있는 소셜벤처 창업 현상을 사회적기업의 관점과 영리기업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두 가지의 상이한 또는 대립적이기도 한 관점에서 공통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 소셜벤처의 창업 현상을 근원적으로 탐색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소셜벤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회적기업과 영리기업의 두 가지 관점에 기반하여 접근한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는 연구 방법으로 선행연구와 인터뷰 자료를 바탕으로 현상을 분석하는 귀납적 연구 방법인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하여 현재 안정적 매출이 발생하고 있는 소셜벤처기업의 대표 8인을 인터뷰하고 현상 분석을 진행하였다. 인터뷰는 추가적인 정보가 도출되지 않는 이론적 포화상태까지 단계적으로 진행하였다. 근거이론 접근법을 사용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방코딩과 축코딩의 결과 개념 147개, 하위범주 70개가 도출되었으며, 최종 추상화 과정을 통해 범주 18개를 도출하였다.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로‘사회적 영역의 소셜벤처 진출 확대’와‘영리기업의 사회적 기능 확대’를 선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스토리라인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소셜벤처와 같이 두 가지의 갈등관계의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이 경쟁력을 갖추고 생존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경쟁요인에 대한 학문적 연구와 분석이 필요함을 보았다. 실무적으로는 영리기업과 협업, 가치 결합, 창업자 역량 및 성과 개선/사회적 가치 실행역량 강화, 소통전략, 영리기업의 가치 투자, 창업자 경영역량 등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소셜벤처 창업 현상에 대한 고찰은 소셜벤처 영역에 진입하고자 하는 사회적기업과 영리기업, 그리고 소셜벤처 창업자에게 현상의 사회적 맥락을 설명하고, 성공적 소셜벤처 창업 유인과 활성화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Random Walk Test on Hedge Ratios for Stock and Futures
설병문,Seol, Byungmoon The Korean Society of Business Venturing 2014 벤처창업연구 Vol.9 No.2
주식과 선물간의 헤지비율의 시계열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KOSPI200과 S&P500의 주식과 선물 지수를 이용하여 한국과 미국, 두 금융시장의 헤지비율에 대한 시계열 안정성을 연구한다. Coakley, Dollery, and Kellard(2008)는 1995년부터 2005년의 S&P500 현물을 대상으로 시계열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시계열 안정성이 검증된 기간을 분석기간에 포함하여 두 시장을 분석함으로써 연구결과의 강건성을 얻고자 한다. 한국시장의 분석기간은 주식선물시장이 개설된 1996년부터 2005년이다. S&P500은 1982년부터 2004년을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BEKK and diagonal-BEKK을 사용하여 헤지비율을 구하며, 시계열 안정성 검증을 위하여 R/S와 GPH 방법을 사용한다. 분석결과는 시장효율성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랜덤워크가설을 지지하지 않는다. 이 결과는 헤지비율을 이용한 위험관리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설병문,Seol, Byung-Moon 한국벤처창업학회 2012 벤처창업연구 Vol.7 No.2
This paper integrates elements from the theory of agency,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start-up policies.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demanded to enhance success of business candidate for business establishment and to increase start-up survival. Three researches are made by this study. First of all, Educational performance is measured and it explains why linked policies is needed. To explain linked performance, this paper introduces several hypothesis. These are about a rate of start-up failure caused by agency problem and a rate of education effect decreasing agency problem. Secondly, operation performance of it can be increased by linking among policies and should be for the original goals of start-up policies. Finally, several ideas including start-up certification is proposed. Start-up certification has role of contact point of different entrepreneurship policies. As a result, level of satisfaction of policies will increase and specially of education program by linked effects.
벤처기업 특성이 정부지원금과 차입비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기업 유형과 성장단계를 중심으로
설병문,황이,김성환 한국산업경영학회 2024 경영연구 Vol.39 No.1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corporate traits such as R&D investment and corporate governance on the government subsidies and financial cost of venture firms focusing on venture types and their life stages, with the sample period from 2016 to 2021 using the Korean firm data set of the Ministry of SMEs’ survey on venture firms. In this study, in addition to the corporate status and financial characteristics of venture firms, the analyses are focused on their firm types and growth stages . We report that first, there is a positive (+) effect in all venture type groups, significant at the 1% level in the all firm group and technology evaluation guarantee firms, and the technology. It is also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evaluation loan firms, venture investment firm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firms. Second, it i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1% level in all firms and in the early growth period, and at the 5% level in the high growth and decline periods. The start-up shareholding ratio i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government subsidy, which is the dependent variable, at the 5% level only in the decline period. Third, government subsidies have an in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financial costs for all firms by type, and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10% level only for technology evaluation loan firms. Fourth, government subsidies have a statistically in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financial costs for all firms by growth stage, in the startup and high growth periods, and have an insignificant negative (-) effect in the early growth and maturity periods. Fifth, government subsidies do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financial costs for all firms by growth stage, in the startup and high growth periods, and do not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in the early growth and maturity periods.
근거이론에 따른 창업대학원 창업교육의 인식에 관한 고찰
설병문,박종복,박상혁,김상표 한국창업학회 2013 한국창업학회 Conferences Vol.2013 No.-
최근 창업교육 분야에서 정부주도의 양적 확산 현상이 전개되고 있다. 창업교육을 제공하는 대학 중심의 교육기관들은 교육의 목적과 방법, 대상에 맞는 교육체계 정립을 진행하고 있다. 바야흐로 창업교육에 대한 정의와 교육방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을 받는 수요자 입장에서 교육을 살펴보고 정의한다. 교육기관의 공급자관점에서 간과될 수 있는 부분을 논의 대상으로 끌어내고자 한다. 연구는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진행한다. 연구결과는 창업교육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토대 마련에 기여하고, 창업교육을 제공하는 교육기관과 정책기관에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