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놀이치료가 정서 및 행동장애 아동과 부모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선우현 ( Woo Hyun Su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부모와 자녀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자녀의 건강한 정서 ? 행동발달을 촉진시킨다는 보고에 따라 다양한 치료 접근 중에서 가족놀이치료가 부모와 정서 및 행동장애 아동과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놀이치료에 의뢰된 6명의 아동들과 그 가족들을 대상으로 가족놀이를 통한 치료의 효과를 얻고자 8회기의 가족놀이치료를 계획하였으며, 가족놀이치료의 경험이 부모와 의뢰아동과의 상호작용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가를 사례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가족놀이치료에서 놀이의 사용은 부모들의 이해력 및 자기지각을 촉진시키고, 부모- 자녀 간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향상되어 더욱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갖는데 도움을 주었으며, 이로 인해 아동의 문제행동이 감소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helping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cultivate parent-child relationship through the program of family paly therapy. During the process of family paly therapy understand about the parent-child interaction since children`s problems are affected much by the way of his being nurtured as well as his own cause. The program were six families of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in 8 cour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ent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 attitudes and understanding for their children. Family play therapy is effectual at affirmative change of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of child.

      • KCI등재

        (남북 및) 남남 갈등의 또 하나의 진원지로서 탈북자 집단: 조작적 대상으로서 탈북자 집단을 바라보는 정치 공학적 시선과 관련하여

        선우현 ( Woo Hyun Sun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8 No.-

        이 글은 전통적인 ‘남북 갈등’ 뿐 아니라 남한 사회 도처에서 벌어지고 있는 다양한 차원의 ‘남남 갈등’을 한층 더 확대.재생산하는 데 있어서 탈북자 집단이 또 하나의 새로운 진원지로 부상하게 된 결정적인 원인을 ‘실천철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했으며, 잠정적인 탐구 결과를 토대로 그에 대한 ‘철학적’ 처방책 및 대안을 모색해 보았다. 그러한 고찰 작업을 통해서는, 취약한 통치 권력의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지배 전략의 일환으로 ‘의도적인’ 갈등 유발 책략을 구사하는 과정에서, 탈북자 집단을 정치적·이념적 조작 대상으로 간주해 활용하려는, 남한 내 일부 보수 지배 세력 및 이념 집단의 ‘정치 공학적’ 시선에서 비롯된 것임을 비판적으로 드러내 보여주고자 했다. 특히 최근 일부 탈북자 단체의 ‘현실 권력 연계적인’ 행보가, 표면적으로는 ‘국민 대통합’을 주창하면서도 실제로는 ‘두 국민 정책’을 통해 현 정부에 대한 지지 세력과 비판 세력으로 양분하여, 후자는 배제하고 전자만을 통합의 대상으로 삼아 추종 세력의 결집을 통해 지배 권력을 공고히 하려는 현 집권 세력의 통치 전략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비판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했다. 다음으로, 탈북자 집단의 ‘정치색 짙은’ 현실 참여 행태로 인해 남한 내 사회적 갈등이 심화.확산되는 사태를 차단하고 극복하기 위해 ‘사회철학적’ 관점에서 모색해 본 타개책으로는 다음과 같은 실천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즉 모든 사회 구성원들이 자각된 시민의 자격으로 공론장에 모여 현 갈등 사태의 근본적 문제점을 인식하여 그에 대한 비판적 공론을 형성하고, 그에 기초해 강건한 ‘민주적’ 의사소통적 권력을 구성한 뒤 이를 바탕으로 갈등 조장 및 분열적 통치 전략을 구사하는 현 정권의 부당한 권력 행사에 맞서 ‘강력한’ 정치적 압력을 행사해야만 한다. 명색이 ‘민주화된’ 오늘의 한국적 상황에서는 그렇게 함으로써만, 규범적 정당성이 결여된 정치 공학적 책략과 기도 아울러 그로부터 이끌려 나온, 이데올로기적 도구로서 탈북자 집단을 바라보고 활용하려는 뒤틀린 시선과 기도를 포기토록 하는 데 ‘현실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In this article, I intend to investigate critically the main causes for North Korean Defectors to emerge as ‘another new source’ to expand and reproduce South-South conflicts still more everywhere and in various dimensions of Korean society, from the point of view of ‘practical philosophy.’ And on the basis of temporary results of that study, I try to seek the ‘philosophical’ solutions and alternatives to such problems. In the first place, through such investigation, I attempt to disclose critically the fact that North Korean Defectors are utilized effectively as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objects of manipulation by specific conservative ruling powers and ideological groups in Korean society, in the course of making use of the tactics of ‘intentional’ social conflicts induction as a part of the strategics for governance to fortify the ground of vulnerable sovereign power. Especially I make considerable efforts to reveal critically that the collective practical behavior ‘involved in current political authority’ of some organizations of North Korean Defectors are have to do with closely the strategics of governance of present ruling clique in Korean society to solidify ruling power by gathering the force of supporters for the current regime which professes ostensibly ‘National Cohesion’ but in reality attempt to embrace only the support group on the present regime after dividing by support group and critical group through ‘two-nation policy.’ In the second place, from the practical philosophical point of view, I tries to seek practical measure to interrupt and overcome the state of affairs that social conflicts deepens and spreads more increasingly due to participatory practical behavior ‘related to actual ruling powers’ of some organizations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Korean society. It is as in the following: That is to say, we all the members of Korean society should participate in the various public spheres in the capacity of awakened citizen and form critical public opinion about the nature of present social conflicts situation, and then construct the powerful communicative power on the basis of such pubic opinion. And subsequently we should put sturdy political pressure which is founded upon that democratic power on the present regime to give up the conflicts-promoting and divisive strategics of governance. In a so-called democratized Korean social situations, only by doing so, we all are able to exert meaningful influence realistically on our current conservative government to retreat political technological tactics devoid of normative justification, to abandon the distorted view and attempt to regard and utilize North Korean defectors as ideological means.

      • KCI등재

        논문 : 일민주의 철학의 정립자, 이승만인가 안호상인가 -자생적 실천철학의 맹아적 형태 여부에 관한 “시론적(試論的)” 탐구-

        선우현 ( Woo Hyun Su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5 시대와 철학 Vol.26 No.4

        ‘일민주의의 정립자는 누구인가?’의 물음은, 무엇보다도 ‘일민주의를 정립하게 된 근본 동기나 의도가 이승만 통치 집단의 정치적 필요성에 따른 것인가? 아니면 철학자 안호상의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진 실천철학적 구상과 사유를 실제 현실에 구현해 보고자 하는 철학(자)적 욕망에서 비롯된 것인가?’를 보다 명확히 갈라보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런 한에서, 이 문제는 ‘일민주의는현실 권력의 요청에 따라 즉흥적으로 구성된, 철학적 실체는 없고 허울만 그럴듯한 단지 이데올로기적 외피에 불과한 것인가? 혹은 안호상 본인의 독창적인철학적 문제의식과 성찰적 사유를 심화.발전시켜 수립한 고유한 자생적 실천철학의 맹아적 형태로서 볼 수는 없는가?’를 비판적으로 확인하여 판별해 볼 것을 촉구하는 물음이기도 하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 상황을 염두에 두고, 일민주의 철학에 대한 ‘본격적인’ 철학적 고찰 작업을 수행하는 도정에서 맨 먼저 직면하게 되는 난제인 ‘일민주의의 정립자는 누구인가?’의 문제를 주된 논구 대상으로 삼아, 이를 둘러싸고 이루어지는 몇 몇 철학적 쟁점과 이론적 논란을 소개하고, 그에 대한 보다설득력 있는 납득할만한 해명을 제공해 보고자 기획되었다. 특히 이러한 기획을 통해 새롭게 반성적으로 논구하여 규명해 보려는 주된 ‘사회철학적 사안’은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그 하나는 일민주의를 이승만 정권의 지배 이데올로기로만 보려는 시각에서 탈피하여, 나름의 고유한 철학적 문제의식과 그것의 현실화 기획을 함유하고 있는 자생적 실천철학의 단초적 형태로 간주할 수 있는 여지 내지 가능성을 보다 진지하게 검토해 보는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설령 일민주의 철학을 자생적 실천철학의 맹아적 형태로서 적극 해석할 수 있다고 해도, 과연 그것이 ‘진정한 의미’에서 자생적 실천철학의 자격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있는가의 여부에 관해 보다 정밀하게 검토해 보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지면상의 제약 등으로 인해, 첫 번째 사안만을 다루고 있다. 덧붙여 이 글에서 수행되는 이 같은 시도는, 안호상 철학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 작업을 ‘완결 짓지 못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제약과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런 만큼 이 글은 일민주의 철학을 자생적 실천철학의 맹아적 형태로 볼 수 있는지의 여부에 관한 ‘시론적(試論的)’ 탐구에 머무르고 있다. In this article I intend to try to shed light on some philosophical controversial issues and interpretative problems centering around the question ‘Who is the founder of Ilminism, Lee or Ahn?’, providing more convincing and acceptable explanations about them. The social philosophical matters which I hope to reveal critically and illuminate reflexively through this critical work are approximately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I try to examine critically and more earnestly the possibility to regard and interpret Iliminism as an embryonic form of spontaneous practical philosophy which contains proper and original philosophical critical mind and its project of realization, departing from the narrow viewpoint to consider Ilminism as a ruling ideology completely. In the next place, I try to examine critically and minutely whether Ilminism satisfies the qualifying conditions of spontaneous practical philosophy ‘in its truest sense’ or not, even though Ilminism can be construed more positively as an embryonic type of spontaneous social philosophy. By the way In this article I deal with only the first matter owing to limited space and so on. In addition to this, I confess the fact that my trial has not a few limits and problems on the ground that it is carried on with the overall investigation on Ahn`s philosophy not completed. For that reason, this article remains in its essay state about the interpretation-possibility of Ilminism as an embryonic form of spontaneous practical philosophy.

      • KCI등재

        논문 : 신보수주의의 철학적 기초 -자유지상주의와 공동체주의를 중심으로-

        선우현 ( Woo Hyun Su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0 시대와 철학 Vol.21 No.4

        새로운 보수주의 유형으로 등장한 신보수주의는 그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미국사회 전역을 ``수구 반동``에 가까운 보수적인 체제로 만들어 가고 있다. 물론 보수주의 그 자체가 반드시 부정적인 함의를 지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작금의 미국사회에서의 전면적 보수화는 혁신적·발전적 방향이 아닌 역사 퇴행적인 반동적 방향으로 사회가 전개해 나가고 있다는 점에서, 개악적인 형태로 미국사회 구조가 재편되어 나가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렇지만 신보수주의에 대한 비판적 규명 작업에서 가장 주목해야할 점은, 신보수주의 및 그것의 양대 구성적 입론인 고전적 자유주의와 전통주의를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고 이념적 타당성을 부여하는 ``철학적 정당화 논리체계``로서 기능하고 있는 것이 다름 아닌 ``자유지상주의``와 ``공동체주의``라는 사실이다. 즉 두 철학사상은 각각 고전적 자유주의와 전통주의의 이념적 지향점과 합치하면서, 두 입론의 논지와 논리를 강화하고 정당화시켜 주고 있으며, 그 결과 두 구성적 입론을 양대 축으로 삼아 정립된 신보수 주의를 이론적·실천적으로 뒷받침하고 옹호하는 철학적 토대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실상은, 그간 우리 철학계에서 자유주의나 자유지상주의, 공동체주의와 관련된 주제들이 ``자유주의/공동체주의 논쟁`` 등에 초점을 맞추어 ``순수 학술적 차원``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다는 점에 대한 반성적 인식이 필요함을 일깨워주고 있다. 동시에 미국의 사회 현실을 고려하면서, ``사회 변혁적·실천적 차원``에서 공동체주의를 비롯한 주요 미국 사회철학 체계들에 대한 새로운 ``비판적 독해``가 요구됨을 말해준다. 게다가 미국 사회의 전면적 보수화는 미국 내 시민들이 맹목적 애국주의 같은 대중주의적 정서에 지배되어 제대로 된 이성적 판단을 수행할 수 없는 사태로 이어지는 바, 이는 남북한 구성원들의 생존과 직결될 수 있는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이 부당한 사유에 의해 추진될 시 그것의 강행에 제동을 걸 수 있는 유일한 주체인 ``미국 내 비판적 시민세력``의 부재를 가리키는 것이라는 점에서도, 신보수주의와 그것의 철학적 토대에 관한 비판적 고찰은 필수적이다. 이 글은 바로 이러한 상황을 염두에 두고, 신보수주의의 실체적 본질을 비판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했으며 그에 따라 신보수주의의 근본적인 철학적 토대가 다름 아닌 자유지상주의와 공동체주의라는 사실을 비판적으로 폭로해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이제 우리에게 주어진 새로운 철학적 과제는, 신보수주의로 인한 미국 사회의 전면적 우경화가 우리의 실존적 삶에 미치는 부정적 결과와 관련하여, 공동체주의와 자유지상주의를 비롯한 주요 미국 사회철학의 본성과 실상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하고, 그로부터 우리에게 닥칠 최악의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실천적 방안을 모색 강구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In this paper, I am intended to investigate and reveal critically the substantial essence of Neoconservatism. Accordingly, I concentrate my efforts on disclosing the fact that the fundamental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Neoconservatism is comprised of Libertarianism and Communitarianism. Therefore taking this fact into consideration, the two new social-philosophical tasks to carry out are given out to Korean social philosophers. One is to examine basically the real character and original nature of the principal social philosophy types in America including Libertarianism and Communitarianism, in connection with the negative effect which the full-scale rightward shift of American society due to Neoconservatism has on the Korean existential lives. Considering such an negative result that can be caused by Neocnonservatism, the other task is to find out the practical plan and alternative to prevent such the unhappiest and worst situations in Korean society that can be caused by Neocnonservatism from occuuring.

      • KCI등재

        특집논문 : 한국인 속의 한국인 이방인 -국내 탈북자 집단의 인권 문제를 중심으로-

        선우현 ( Sun Woo Hyun ) 한국동서철학회 2012 동서철학연구 Vol.64 No.-

        국내 탈북자 집단은 ‘소수자’로서 남한 사회의 정부 및 주민들로부터 다양한 차별적 대우와 자존감 훼손, 인권 침해 사태를 겪고 있다. 하지만 국내 탈북자 집단이 남한 사회로부터 당하고 있는 무시와 차별, 배제와 인격적 유린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그들은 남한 주민들, 곧 한국인들과 동일한 민족적 정체성을 지녔으며 엄연히 법적으로 내국인과 동등한 권리와 자유를 부여받은 ‘북한 출신’의 한국인임에도 불구하고, 정치적·이념적 차원에서 선별적인 ‘통합적 배제’ 혹은 ‘배제적 통합’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그들만의 고유한 정체성과 인권을 비롯한 기본권과 자유의 향유에 적지 않은 침해와 제재가 가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비소수자적 위치에 놓인, 한민족의 일원이자 엄연한 북한 출신 한국인임에도 불구하고, 남한 사회 내 진보 진영과 보수 세력 간의 무차별적인 이념적 대결 구도로 인해 야기된, 국내 탈북자 집단의 정체성 훼손 및 인권 침해 상황은, 그러한 사태의 해결과 극복을 위한 실천 방안의 마련을 위해서는 ‘소수자 문제의 시각’ 이외에 또 다른 접근방식과 문제 분석의 틀이 요구됨을 말해준다. 그러므로 이러한 사정을 감안할 때, 국내 거주 탈북자 집단의 인권 침해 및 정체성 훼손의 문제에 관한 접근 방식과 해결 방안의 모색은, ‘소수자 문제의 관점’과 ‘민족적·이념적 통합 문제의 관점’에서 동시적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The North Korean defectors in Korean society are regarded as minorities at present. And on the grounds of minorities, they receive the various forms of unfair and discriminating treatment, suffer from the damage of self-respect, and their human rights are frequently violat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residents of Korean society. In the second place, the North Korean defectors in Korea share the same "pedigree" and language, and the national identity with South Koreans, and besides they are legally acknowledged and treated equally as Koreans ``from North Korea``, compared with South Koreans. But nevertheless they are reduced easily to the objects of selective ``integrated exclusion`` (or`exclusive integration)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residents. As a result, the defamation of their proper identities and human rights violations are frequently meted out to them. Considering these situations, the groping and search for the approach and the solution for the problems, that is, the disregard for identities and the infringement on individual rights of North Korean defectors should be made simultaneously from the point of view of both ``minority`` and ``national ideological integration proble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 성향 아동 가족의 가족놀이치료 단일사례연구 : 양육효능감, 뇌파, 가족놀이평가의 변화

        염창(Chang Hyun Yeom),박재훈(Jae Hun Park),선우현(woo Hyun Sun)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스펙트럼 성향 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놀이치료 개입에 따른 부와 모의 양육효능감, 아동의 뇌파, 가족의 상호작용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단일 사례연구이다. 그 결과 가족이라는 친숙한 존재를 활용해 놀이라는 안전한 방법으로 가족놀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경우 첫째, 부와 모의 전체 양육효능감은 증가하였고 둘째, 자폐스펙트럼 성향 아동의 세타파, 알파파, 저-베타파(L-β) 증가를 통해 정서적 안정감, 즐거움, 집중력을 경험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셋째, 가족놀이평가에서도 긍정적 상호작용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가족놀이치료 대상을 자폐스펙트럼 성향 아동으로 확대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지만 단일사례라는 한계점과 이에 따른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single case study conducted to find out the changes in parenting efficacy, child's EEG, and family interaction according to family play therapy intervention for families with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tendencies. As a result, when the family play therapy is conducted in using a safe playing with the familiar existence of family; First, the overall parenting efficacy of father and mother increased. Second, emotional stability, pleasure, and concentration are experienced through the increase of the theta waves, alpha waves, and low-beta waves in child with autism spectrum features. Third, positive interactions are also experienced in family play evalu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existing family play therapy target is expanded to child with autism spectrum features, bu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imitations of a single case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 아동보호전문기관 심리치료사의 치료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강소민(So-Min Kang),선우현(woo Hyun Sun) 한국통합치료학회 2021 통합치료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experiences psychotherapists working in child protection agency have and what their roles are. To this end, two psychotherapists with 8 and 10 years of experience in psychotherapy at a child protection institution we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sampling and the collected data were explored and described based on the interview details of the participants and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ers.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modified based on the advice of a reviewer with 15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and 6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s and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interview. As a result, the psychotherapists of child protection agencies were frustrated by the unfamiliarity of cases of abused children, the low participation of involuntary clients, sluggish progress and termination, and the unchanging parenting environment. However, through the processes of supervision, personal analysis, and self-care, psychotherapists stimulate the growth of children and grow together, and the psychotherapists themselves play the role of providing warm and firm tools as a complete therapy too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role and meaning of a psychotherapist in a child protection institution were newly discovered. 본 연구는 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일하는 심리치료사들이 어떤 경험을 하고 그들의 역할은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의 심리치료 경력이 각각 8년과 10년인 심리치료사 두 명을 목적 표집하여 선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참여자들의 인터뷰 내용과 연구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탐구하여 기술하였다.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상담경력 15년, 6편의 질적연구 경험이 있는 감수자의 조언과 예비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인터뷰를 하였다. 그 결과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심리치료사들은 학대피해아동 사례에서 오는 낯설음과 비자발적 내담자의 낮은 참여도와 지지부진한 진행과 종결, 변화되지 않는 양육환경으로 인해 좌절감을 느끼기도 했다. 그러나 심리치료사들은 슈퍼비전, 개인분석, 자기 돌봄 등의 과정을 통해 아동의 성장을 돋고 함께 성장하며 심리치료사 스스로가 온전한 치료의 도구로 따뜻하고 단단하게 담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보호전문기관 심리치료사의 역할과 그 의미를 새롭게 알게 되었다는 점에서 연구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