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선병삼 동양철학연구회 2012 東洋哲學硏究 Vol.69 No.-
本論文爲了理解양明學的本質探討了三個主題:第一, 양明對未發工夫之看法。 第二, 在致良知工夫, 如何理解良知的主宰性。 第三, 對批判良知不是普遍性原則的辯論。 具體而言, 양明對朱子學的主要批判可以槪括爲"卽物궁理"和"未發存養"。 卽在<大學>的解釋中, 朱子爲了학立普遍道德而主張卽物궁理, 反而양明爲了奠定道德主體而主張誠意。 幷且, 朱子爲了학保工夫可能之心體而提出未發工夫, 相反, 양明提出致良知而主張不分未發已發之工夫, 認爲未發工夫會流于斷멸禪定。 第二, 一般硏究者着眼于良知是本體, 致良知是工夫的模式, 往往以致良知誤爲致良知只是恢復良知之本然 可是양明所說的致良知是은從良知之命令而확充良知之力量。 第三, 朱子學反駁致良知工夫只是在心覺工夫, 不能학保道德行爲的客觀性原則, 只是主觀性原則而已。 對此, 我們可以通過양明所主的"眞誠惻달"的深刻理解, 定爲良知之主觀性相通于客觀性。
월천 조단의 이학사상 연구: 「태극도설술해」와 「통서술해」를 중심으로
선병삼 한국유교학회 202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88
Cao Duan(1376-1434) is a one of greatest scholars in the early Ming Dynasty. He isn’t well known to the Korean academic world studying Confucianism, but he is always mentioned in many books and essays dealing with Confucianism in the early Ming Dynasty. He is appreciated as the founder of Confucianism in the Ming Dynasty. He is also regarded as a Zhou Dunyi(周敦頤) in the Ming Dynasty, who is appreciated as the founder of Confucianism in the Song Dynasty. In this paper, I do a comprehensive review on Cao Duan’s Lixue analyzing his tai ji tu shuo shu jie(太極圖說述解) and tong shu shu jie(通書述解) which are the commentary Zhou Dunyi’s great works of tai ji tu shuo(太極圖說) and tong shu(通書). The first, in the tai ji tu shuo shu jie(太極圖說述解), I lay a stress on two aspects to confirm the stereotype of Cao Duan’s Lixue. One is tai ji(太極) is li(理) not qi(氣). the other is tai ji(太極) is huo li(活理) not si li(死理) analyzing his work of bian li(辨戾) in which he asks a question of Zhu Xi(朱熹)’s comments about tai ji dong jing(太極動靜). The second, in the tong shu shu jie(通書述解), I focus to discovering his cultivation theory of zhu jing(主靜), which is mentioned in tai ji tu shuo(太極圖說) by Zhou Dunyi. Most Neo-Confucian scholars know that zhu jing(主靜) is akin to Taoism and Buddhism’s self-discipline theory, so replacing it with ju jing(居敬). Cao Duan is using the expression of dong gu jing(靜固靜) and dong yi jing(動亦靜) to articulate his notion of self-discipline theory. 월천(月川) 조단(曹端, 1376-1434)은 한국 학계에 많이 알려진 인물은 아니지만 명대 전기 이학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역대로 조단은 명대 이학의 종장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명대의 주돈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본 논문은 조단의 이학사상을 「태극도설술해」와 「통서술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태극도설」과 「통서」가 주돈이 이학사상의 정수를 담고 있는 것처럼, 「태극도설술해」와 「통서술해」는 조단 이학사상의 핵심을 보여주는 저작이다. 첫째로 「태극도설술해」는 두 부분으로 구분된다. 태극도 그림과 태극도설 문자의 술해이다. ‘도(圖)’ 술해는 주자의 태극도 해설 원문을 그대로 차용하고, 조단 자신의 생각을 소주로 밝혔다. ‘설(說)’ 술해는 주자의 주해를 부분적으로 차용하면서 조단 자신의 견해를 기술했다. ‘태극은 리’라는 입장과 ‘태극은 활리(活理)’라는 입장을 중심으로 논했다. 둘째로 「통서술해」는 ‘통서총론’, 「통서」에 대한 술해, ‘통서후록’으로 이루어져있다. ‘통서총론’은 「통서」와 「태극도설」에 대한 전현들의 평을 전재하여, 조단 자신이 「태극도설」과 「통서」를 이해하는 방식을 간접적으로 밝힌다. ‘통서후록’에서 조단은 이정이 주돈이의 이학을 계승했다는 구체적인 증거들을 제시한다. 이는 송대 이학의 종장으로 주돈이를 확립하는 문제에서 상당히 중요한 자료가 된다. ‘성(誠), 천도와 인도의 일관’에 관한 입장과 ‘주정(主靜) 공부’에 관한 입장을 중심으로 논했다.
선병삼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2 儒敎文化硏究(中文版) Vol.0 No.17
In this paper, we generally understand that the fulfillment of Innate Knowledge of Goodness(致良知) is an ultimate theory of Yangming’s thought. For example, through chronological record(年谱), we can find that he has proclaimed the fulfillment Innate Knowledge of Goodness since his fifty. Meanwhile, although Yang-Ming's disciples are all based on the theory of fulfillment of Innate Knowledge of Goodness, they are diversly understood their master's ultimate thought, practically related to the self-cultivation theory(工夫论). For this problem, we can answer by studying the dual structure of Yangming's idea on the fulfillment of Innate Knowledge of Goodness. It can be understood like this: the former takes a stress on the spontaneity of Innate Goodness[良知]. This idea can be called as Gongfu of Benti (本体工夫), which means that self-cultivation is based on the spontaneity of Innate Goodness(良知); the latter takes a focus on the refrainment of the environment. This thought could be called as Gongfu of Benti, which means that self-cultivation needs artificial efforts to revive Innate Goodness. 阳明五十岁前后提倡致良知说以后,他讲学的宗旨便是致良知三个字。可是,《明儒学案》的著编者黄梨洲却说阳明晚年提倡致良知,未暇给弟子们充分发扬致良知的要义而去世,故引起阳明弟子对致良知的分歧,甚至有误会。其实,致良知的不同理解就会产生阳明弟子的分化。并且在阳明弟子中,最初对致良知的分歧的端倪在于钱绪山和王龙溪之争论,所谓“天泉问答”。此问答围绕如何理解四句教而进行的。但是,仅分析“天泉问答”,不能充分解释致良知里存在的二重结构,因为记载“天泉问答”的三种记载中,较接近于原貌的《传习录(下)》的记载里阳明分明地说他有两种教法,可就王龙溪的“四无说”来说,仍然不给予肯定。故我参考“严滩问答”的内容进行补充。历来“严滩问答”不如“天泉问答”受到瞩目,但我却认为,“严滩问答”是研究阳明工夫论时不可缺少的资料。现在学术界对于“天泉问答”的理解,即关于“天泉问答”里的钱绪山与王龙溪的立场的理解,存在有些倾向:钱绪山着重于工夫,王龙溪着重于本体。此种说法不无道理,应该讲清楚,否则容易造成误解。因此,仅以本体和工夫的构造,解释钱绪山和王龙溪之致良知说,不能充分说明两贤之不同点,也不能充分解释致良知的二重结构。故本论文采用“积累”和“彻悟”的构造,试图说明两贤之不同点,同时要解释致良知的二重结构。
선병삼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3
Cao Duan(1376-1434) isn’t well known to the Korean academic world concerning Confucianism, but he is all mentioned in many books and essays studying on the early Confucianism in Ming Dynasty because he is appreciated as a founder in Confucianism in Ming Dynasty. In this paper, I do a comprehensive review on Cao Duan’s Lixue in terms of practical aspects and theoretical aspects. The first, I lay a stress on his life and the estimation by other scholars in terms of practical aspects.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consideration two factors such as his times of the early stage of Ming Dynasty and his occupation of a master in regional school. The second, I focus on his understanding on Zhou Dunyi’s Lixue in terms of theoretical aspects. He is recognized as a first person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Zhou Dunyi’s Lixue completing his notes of tai ji tu shuo shu jie(太極圖說述解) and tong shu shu jie(通書述解). Furthermore, it is inevitable task how to connect Cao’s Lixue into Yangmingxue, because he is a descendant of Zhuzixue and recognized as a founder of neo-Confucianism in Ming Dynasty also. 월천(月川) 조단(曹端, 1376-1434)은 한국 학계에 많이 알려진 인물은 아니다. 그러나 조단은 명대 전기 유학사를 다룬 저서들이나 개괄적인 논문들에서 반드시 언급되는 학자이다. 역대의 평가가 말하듯 조단은 명대 유학의 정초자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조단의 이학사상을 실천적 측면과 이론적 측면으로 나누어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첫째, 실천적 고찰은 조단의 생애와 그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조단의 생애를 살필 적에 그가 활동한 명대 건국 초기 상황과 평생 유학학정으로 봉직하면서 유생들을 교육한 점은 특기할 만하다. 둘째, 이론적 고찰은 주돈이 이학사상과의 연관성 속에서 살펴보았다. 조단은 「태극도설술해(太極圖說述解)」와 「통서술해(通書述解)」를 지어 주돈이 사상을 명대에 본격적으로 현창한 첫 번째 인물이다. 본 논문은 명대 유학의 정초자라는 평가를 중심에 두고, 조단 이학사상의 주자학적 본질과 심학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명대 이학 특히 명대 심학의 시대정신과 방향성과의 연속성 위에서 고찰한 본 연구가 향후 소위 창신(創新)보다는 법고(法古)의 흔적이 농후한 조단 이학사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하는 촉매제가 되기를 기대한다.
선병삼 한국양명학회 2023 陽明學 Vol.- No.68
Before dealing with Zhi-Liag-Zhi cultivation theory, it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meaning of Zhi-Liang-Zhi. I concluded that Zhi-Liag-Zhi is acting in obedience to the commandment of Liang-Zhi in the research paper (2017). In this follow-up paper, I try to answer the question that how to practice Zhi-Liag-Zhi in obedience to the commandment of Liang-Zhi in everyday life. It is divided practically into two questions: First, how does moral consciousness, Liang-Zhi, manipulate the consciousness. Second, how does the agent control the consciousness to work moral consciousness well. In chapter two, I investigate the works of Gangtien Wuien and Mou Zhongsan who are best-well-known scholars in the field of Yangming Studies in terms of the practical approaches to practice Zhi-Liang-Zhi cultivation theory. In chapter three, I try to give a general description to practice Zhi-Liang-Zhi: First, whenever it comes to deal with matters, the agent needs to practice acting in obedience to the commandment of Liang-Zhi. Second, every single day without dealing with matters, the agent always contemplates Liang-Zhi as a ruler of one’s moral behavior. Third, the agent must get rid of ego to be transformed into a sage. Fourth, it is important to modify one’s mindset toward Liang-Zhi. 치양지 공부론을 논하려면 먼저 치양지의 의미를 확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주제는 2017년에 논자가 「왕양명 치양지론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주자의 성 본체론과 대비하여」라는 논문으로 다뤘다. 결론을 말하면 치양지는 ‘양지대로 하는 공부’라는 것이다. 본 논문은 후속 연구로서 ‘그렇다면 양지대로 하는 공부는 구체적으로 어떻게 한다는 것인가?’ 하는 물음에서 시작되었다. 두 가지로 세분하면, 첫째는 양지는 도덕의식으로 모든 도덕행위를 주재하는데, 도덕의식인 양지가 일반의식 전체를 주재하는 것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하는 물음이고, 둘째는 양지는 의식(생각) 활동을 통해 발현되는데, 양지가 주재하려면 우리의 의식(생각)을 어떻게 유지해야 하는가? 하는 물음이다. 2장에서는 치양지 공부를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실천적 물음에 중점을 두고, 강전무언과 모종삼의 저작을 성찰적으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먼저 기본공리를 확인하는 차원에서 치양지 실천을 큰 틀에서 설명했다. 첫째는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 때에 여러 해결방안(생각)들을 떠올릴 텐데, 그때마다 그 생각이 과연 양지의 생각인가를 따져보는 훈련이고, 둘째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은 평시에는 늘 양지를 묵상하는 훈련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어서 실천원리로 자아를 없애는 것과 마인드셋(사고방식, 태도)을 논했다. 치양지는 성인이 되기 위한 실제적인 공부론인데, 성인이란 도덕적으로 완성된 새로운 나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늘 깨어있으면서 지금의 나(고정된 자아상)을 없애는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양지는 신의 계시 또는 내면의 신비한 소리가 아니므로 내가 양지를 기준으로 어떤 상황을 판단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사고방식이나 태도가 객관적인 상황을 받아들이고 주체의 변화를 견인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양지에 기반을 둔 사고방식이나 태도를 내면화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퇴계(退溪)의 사칠론(四七論)에 대한 율곡(栗谷)의 비판은 정당한가?
宣炳三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5 No.-
율곡은 퇴계의 사칠론의 2가지 병폐로 “이기호발”과 “유중감외”를 거론하며 비판을 가하는데 “이기호발”은 이기불상리의 이기론에 근거하여 이발의 문제를 지적한 것이고 “유중감외”는 율곡이 정감의 작동 메커니즘에 착안하여 사단이 안에서 나온다는 퇴계의 논리를 비판한 것이다. 그러나 정감의 작동 메커니즘은 율곡의 비판과는 별개로 퇴계 또한 인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충분한 비판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결국 사단과 칠정이 두개의 정인가 아니면 하나의 정인가를 변론하는 데에 퇴계 사칠론의 뇌관이 자리하고 있다. “성발위정”이라는 성리학 심성론의 기본문법과는 달리 사단과 칠정은 소종래와 혈맥이 다르다는 퇴계의 주장은 두 개의 정을 인정하는 혐의가 농후하기 때문이다. 퇴계의 사칠론은 사단과 칠정은 소종래와 혈맥이 다르면서도 하나의 정이라는 것을 증명해야만 성립되는 것이고 율곡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본 논문에서는 율곡의 비판이 정당한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사랑을 표현한 다양한 언어 중에서 아가페적 사랑과 에로스적 사랑이라는 용어를 차용하여 일종의 사고실험을 해 보았다. 이를 통해 퇴계가 주장한 사칠론이 충분히 성립가능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李栗谷把李退溪四七論的弊病概括爲“理氣互發”和“由中感外”,即就“理氣互發”而言,栗谷根據於理氣不相離的理氣論,批評理發之主張;就“由中感外”而言,他按照情感作用的機制,反對四端由中之主張。 可是退溪也同意栗谷所主的情感作用的機制,所以栗谷對此問題的批評無有效力。 然則問題之核心在於:四端七情是一個情感,還是兩個情感的論爭。本來性發爲情是朱子學的基本原則,而退溪認爲,四端是理發,七情是氣發,四端和七情有不同的所從來和血脈,這種見解未免肯定兩種情感的嫌疑,很可能違反性發爲情的基本原則。 因此爲了辨證退溪四七論的妥當性,必須論爭四端七情是不同所從來的一個情感,栗谷堅持這種見解不能成理。本論文爲了評價關於李栗谷對李退溪四七論評價的正當性,在表達愛情之語言中,使用eros和agapē,實行一種思維實驗,得到如此的結論:退溪所主的四端七情是不同所從來的一個情感,故退溪的主張可以成理。
선병삼 한국동양철학회 2019 동양철학 Vol.0 No.51
It is generally understood that the three maxims of Yang-Ming Studies are Xin Ji Li(心卽理), Zhi Xing He Yi(知行合一), and Zhi Liang Zhi(致良知). Of course, Fulfillment Innate Knowledge of Goodness(Zhi Liang Zhi) is a ultimate theory of Yangming Thought which is based on Xin Ji Li. In this sense, it is the starting point of Yangming thought when Wang proclaimed Xin Ji Li through Long Chang Wu Dao(龍場悟道). Xin Ji Li can be understood by three dimensions, that is, Long Chang Wu Dao(龍場悟道), Xin Bian Shi Li(心便是理), and Xin Wai Wu Li(心外無理): The first one of Long Chang Wu Dao(龍場悟道): Wang himself realized that I can be a sage by cultivating myself through difficulty in Longchang. He pursued to be a sage from his early age. He finally understood how to be a sage in difficulty in Longchang. This enlightenment formed that everyone can be a sage, which is so called Wan Jie Sheng Ren(滿街聖人). It has a tendency of respect individuality which is the trait of modernity, stressing on the ordinally person on the street. The second one of Xin Bian Shi Li(心便是理): According to Zhuxi, Xing is Li, but Xin is Qi, not Li. It is the unchangeable in Zhu. However, Wang insists that Xing is Li, and Xin is Li too. Wang argued his idea using Four Beginings and Four Virtues in Mengzi, and he proclaimed that no Four Beingings, no Four Virtues. Afterwards, his disciple Ouyangde justified Wang’s idea by explaining Liang Zhi. The third on of Xin Wai Wu Li(心外無理): Wang criticizes that Zhu’s cultivation theory of Ji Wu Qiong Li(卽物窮理) is less focusing on moral practice. Zhu divided mind and principle into two, so Zhu’s theory urges to pursue knowledge of objects. Zhu’s cultivation theory of Ji Wu Qiong Li(卽物窮理) opens the door toward knowledge oriented habits in literati, lacking moral practice. it has a tendency of moral oriented spirit while Wang focuses on the moral practice. 본 논문은 양명학의 핵심 명제인 심즉리를 세 가지 방식으로 분류하여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바로 ‘龍場悟道’, ‘心便是理’, ‘心外無理’이다. ‘용장오도’는 왕양명이 심즉리를 깨닫는 그 상황 속으로 들어가 심즉리의 실존적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심변시리’는 심이 리라는 의미에 입각하여 분석하였고, ‘심외무리’는 심 밖에 리가 없다는 의미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심변시리’와 ‘심외무리’는 양명학의 도덕실천을 강조하는 입장에서 ‘용장오도’는 양명학의 개성존중을 강조하는 입장에서 검토했다. 본 연구는 왕양명의 심즉리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며 양명학이 지니고 있는 도덕 실천을 강조하는 특징과 개성 존중을 강조하는 특징을 통일적으로 이해하는 데에도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