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관에서 기인하는 통일담론의 오류 극복 - 메타자각으로서 통일역량에 기반하여 -

        석자춘(Seok, Jachu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1

        본 연구는 통일담론과 관련하여 직관에서 기인하는 오류의 발생 기제를 탐색한다. 이러한 탐색을 바탕으로 그 오류를 극복하기 위한 통일역량을 탐구한다. 통일의 과정에서 남북한의 사회문화적 맥락은 유기적으로 얽히게 된다. 이때 상호 이질적인 표현형으로 자리 잡은 남북한 사람들 사이의 직관은 서로 충돌한다. 직관들 사이의 충돌에서 기인하는 오류는 소통의 장벽으로 구체화 된다. 직관은 자동적·습관적·무의식적으로 활성화되며, 인지적 추론의 작용보다 먼저 촉발된다. 그래서 직관들 사이의 갈등과 충돌을 논리적 합리성을 통해 직접적으로 조율하려는 시도는 난관에 직면한다. 그런데 심층마음에 기반한 메타자각을 통해, 직관으로부터 기인하는 오류에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고착된 마인드세트는 그 오류에 휩쓸리지 않고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성장 마인드세트로 탈바꿈된다. 따라서 메타자각으로서 통일역량은 남북한 사람들 사이의 온전한 소통에 기여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mechanism of the fallacy resulted from intuition in relation to unification discourse. Based on this exploration, this researcher probes into the unification competence to overcome the fallacy.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the socio-cultural contexts of the South and North Korea are organically intertwined. At this time, the intui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s, which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mutually heterogeneous phenotype, conflict with each other. The fallacies resulting from the conflict between intuitions are reified as barriers to intercommunication. Intuition is activated automatically, habitually, and unconsciously, and is triggered before the operation of cognitive reasoning. So, attempts to directly coordinate conflict and collision between intuitions through logical rationality face challenges. By the way, through Meta-awareness based on the Deep Mind, the Fixed Mindset that passively reacts to the fallacies originated from intuition transforms into a Growth Mindset that actively responds to the fallacies without being swept away by the fallacies. Therefore, unification competence as Meta-awareness can contribute to the whole intercommuni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s.

      • KCI등재

        나바에츠 통합적 윤리교육모형을 활용한 도덕교육 개선 방향

        석자춘(Seok Jachun),정창우(JEONG CHANG WO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4

        나바에츠는 윤리적 기술 혹은 윤리적 노하우의 체화를 인격교육의 지향점으로 설정한다. 윤리적 기술은 네오콜버그주의자들의 ‘공동의 도덕성’관점을 기반으로 ‘도덕 스키마’ 이 론을 점진적으로 발전시킨 결과물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점진적인 이론적 발전 과정을 거친 윤리적 기술에 대한 논의는 인지과학과 사회인지이론 등을 비롯한 다양한 경험과학의 연구 성과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사회적 기술 발달을 위한 윤리교육 모형을 구축하는 단계로 이 행하게 된다. 즉 윤리적 기술에 대한 이론 정립을 기반으로, 나바에츠는 윤리적 기술을 교수 하는 실천적 이론으로서 ‘통합적 윤리교육모형(IEE)’을 제시한다. 그리고 발달론적 관점에 서 신경과학에 기반을 둔 ‘삼층윤리이론(TET)’을 통합적 윤리교육모형의 이론적 토대로 설 정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포괄적인 이론적 배경에 기반을 둔 통합적 윤리교육 모형을 통 해 오늘날 우리 도덕교육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Darcia Narvaez's major interest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model to embody Ethical Skills or Ethical Know-How as a anchor point for 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Ethical Skills are the gradually developed outgrowth from Moral Schema, based on a viewpoint on Common Morality. The discussion on Ethical Skills accepts constructive criticism from empirical scientific research including cognitive science and social cognitive theories. Narvaez came up with the Integrative Ethical Education Model as a practical theory to instruct Ethical Skills. Narvaez also set up the Triune Ethics Meta Theory based on as neuroscience of the brain a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Integrative Ethical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developmental theory. This study tries to inquiry the compass of the improvement in moral education through applying Darcia Narvaez's Integrative Ethical Education Model based on the comprehensive theoretical basis.

      • KCI등재

        게오르그 린트(Georg Lind)의 도덕적 역량 및 측정 방법

        석자춘(Seok, Jachu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6

        본 연구는 콜버그 이후 전개된 도덕 심리학과 뇌 · 신경과학을 주축으로 하는 경험과학의 논의 흐름에 비추어 린트의 도덕성에 대한 규정과 도덕성 측정 방법을 논하고자 한다. 콜버그 이후 전개된 도덕 심리학에서 규정하는 도덕성과는 달리 린트는 도덕성을 일련의 구성 요소로 분할 불가능한 온전체로 파악한다. 아울러, 린트는 그 도덕성을 도덕적 지향과 도덕적 역량의 이중 측면으로 바라보면서, 도덕적 역량의 자율적인 역동성을 부각시킨다. 뇌 · 신경과학을 주축으로 하는 경험과학의 논의 흐름에 비추어 볼 때, 린트가 규정하고 있는 도덕성은 무의식적인 직관의 수준에서 활성화되는 도덕적 지향과 도덕적 역량, 도덕 교육에 의한 도덕적 역량 함양, 도덕 교육에 있어서 감정에 대한 섬세한 고려 등이 부각 된다. 뿐만 아니라, 린트의 도덕성 측정 방법인 MCT는 기존의 주류 도덕성 측정 방법(MJI, DIT)이 지닌 현상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이 돋보인다. 뿐만 아니라, MCT를 통해 도덕적 지향과 도덕적 역량을 일괄적으로 동시에 측정하는 메커니즘은 린트 자신의 도덕성에 대한 규정과 논리적 정합성을 지닌다고 평가할 수 있다. 나아가서, 그가 개발한 콘스탄츠 딜레마 토론 방법(KMDD)을 통해 도덕적 역량을 함양 시킬 수 있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definition of Lind"s morality and the measurement method of morality in the light of the discussion of moral psychology developed after Kohlberg and the flow of the experiential science focused on brain and neuroscience. In contrast to the morality defined in Kohlberg"s moral psychology, Lind recognizes morality as a whole, impossible to divide into a series of components. In addition, Lind sees the morality as a dual aspect of moral orientation and moral competence, highlighting the autonomous dynamics of moral competence. In light of the discussion of experiential science with the brain and neuroscience as the main axis, the morality defined by Lint is highlighted by the moral orientation and moral competence activated at the level of unconscious intuition, the cultivation of moral competence by moral education, and the delicate consideration of emotions in moral education. In addition, MCT, which is a Lind "s morality measurement method, striv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henomenalism of the existing mainstream morality measurement method (MJI, DIT). In addition, the mechanism that simultaneously measures moral orientation and moral competence through MCT can be evaluated as having a logical consistency with its own morality definition. Furthermore, we can develop moral competence through The Konstanz Method of Dilemma Discussion (KMDD) which he developed.

      • KCI등재

        도덕교육 방법 개선을 위한 하이트(J. Haidt) 도덕심리이론의 적용 방안

        정창우(Jeong, Changwoo),석자춘(Seok, Jachu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2

        본 연구는 하이트의 도덕심리이론이 지닌 장점을 변용하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도덕교육 방법을 탐구한다. 하이트는 도덕적 직관이 사회문화적 맥락과 맞물려 발현될 때 발생되는 인간성의 어두운 측면을 체계적으로 포착한다. 그 어두운 측면은 개인적·집단적 차원에서 드러나는 편향성과 그 편향성에서 기인하는 극단적 갈등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은 도덕적 직관이 활성화되는 일련의 메커니즘에 기반을 둔다. 따라서 대인간 관계증진·통일·다문화·시민교육과 관련하여, 도덕적 직관에서 기인하는 편향성을 성찰한다면, 소모적이며 극단적인 갈등 상황은 건설적인 논의가 가능한 국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하이트의 이론은 편향성에 대한 성찰의 방법과 편향성에서 기인하는 오류를 합당한 논리적 과정을 통해 논의할 수 있는 교육적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한계는 ‘하이트식 도덕적 통찰 모형’을 통해서 보완될 수 있다. 이 모형은 도덕적 직관에서 기인하는 편향성에 휩쓸리지 않고 유의미한 도덕적 자아를 향해 전념하는 실천적 노력을 지향한다. This study explores moral education methods that can transform the advantages of J. Haidt’s moral psychology theory and make up for its disadvantages. Haidt systematically captures the dark side of humanity that occurs when moral intuition is expressed through interlocking with socio-cultural contexts. The dark side is the bias revealed at the individual and collective level and the extreme conflict situation resulting from the bias. This situation is based on a set of mechanisms by which moral intuition is activated. Therefore, in relation to Interpersonal relations promotion․ Unification․Multiculturalism․Civic Education, if we reflect on the bias resulting from moral intuition, exhaustive and extreme conflict situations can be transformed into a phase in which constructive discussions are possible. Despite these advantages, Haidt’s theory has the limitation of not specifying how to reflect on bias and how educational methods can discuss fallacies resulting from bias through reasonable logical processes. This limitation can be supplemented through the ‘Haidt-style Moral Insight Model’. This model aims at practical efforts to dedicate oneself to meaningful moral self without being swept away by bias resulting from moral intu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