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주기적 영상교육이 혈액투석환자의 투석 관련 지식, 환자역할행위,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
석윤미,박종원,전만중,김창윤 기초간호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5 No.3
인구 고령화와 함께 고혈압 및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가 증가하면서 합병증으로 인한 만성 신질환 환자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에서 신대체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는 1990년 7,307명(인구 100만 명당 172.6명)에서 2011년에는 63,341명(인구 100만 명당 1,224.8명)으로 증가하였고, 이 중 복막투석환자는 7,694명, 신장이식은 13,051명, 혈액투석환자는 42,596명으로 전체 신대체 요법 환자 중 67.2%가 혈액투석환자이다(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12). 혈액투석은 1회 4시간 이상, 주 2-3회 투석 치료를 해야 생명연장이 가능하며(Chang et al., 2011), 혈액투석 치료는 신장의 배설, 조절, 합성, 대사기능 중 배설기능만을 대신하는 것이므로 신장의 조절, 합성, 대사기능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식이요법, 약물요법이 병행되어야 한다. 말기 신질환자가 혈액투석으로 생명을 유지하면서 합병증을 예방하고, 최상의 신체상태를 유지하며, 최적의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단백질, 적절한 영양 섭취와 같은 균형 맞춘 식이조절, 약물조절, 운동과 휴식, 동정맥루 관리를 통한 원활한 혈류 유지, 투석스케줄 지키기, 충분한 투석시간 유지하기 등의 환자 스스로 최상의 환자역할행위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Bae, 2005; Hong, 1999; Kim et al., 2012). 이를 위해 혈액투석환자에게 혈액투석과 관련된 내용 및 정보나, 환자역할행위에 대한 내용 및 정보를 적절한 프로그램으로 교육하여 관련 지식을 증진 및 향상시키게 되면, 환자역할행위 이행도도 증가한다고 보고하고 있다(Bae, 2005; Kim & Kim, 2008; Kim et al., 2012; Na, Lee, & Song, 2004). 또한 혈액투석환자들의 신체 상태를 평가할 때 혈중 칼륨, 혈중 인, 투석 간 체중증가량, 투석적절도와 같은 생리적 지표를 이용하여 평가하며, 적극적인 환자역할행위 이행이 생리적 지표를 향상시키고(Cho & Choe, 2007; Kang & Park, 2010; Kim & Kim, 1992; Kim & Kim, 2008; Park & Lee, 2010), 지속적인 생리적 지표의 향상을 위해서는 계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고하고 있다(Kim & Kim, 1992).
CD5-negative Blastoid Variant Mantle Cell Lymphoma with Complex CCND1/IGH and MYC Aberrations
석윤미,김주원,최종락,김유리,박서진,김수정,송재우,이경아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2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32 No.1
The coexistence of CCND1/IGH and MYC rearrangements in mantle cell lymphoma (MCL) is a rare finding associated with a very poor prognosis. In this study, a patient with blastoid variant (MCL) is reported. The disease was clinically aggressive and refractory to chemotherapy, and the patient only survived for 1 month following diagnosis. Conventional cytogenetic study, FISH, and multicolor FISH (mFISH) demonstrated the involvement of the BCL1/CCND1 locus in a complex translocation, t(3;11)(q25;p15)t(11;14)(q13;q32). In addition, subclonal abnormalities in the 8q24 region, manifested as a t(8;14)(q24;q32)/MYC rearrangement, were identified.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MCL case in Korea bearing these complex genomic aberrations.
일반연제(포스터) : P-18 ; AdvanSure CD real-time PCR법을 이용한 Clostridium difficile 독소 A 및 B 검출의 유용성 평가
권미정,김명숙,석윤미,이양순,김희정,정석훈,이경원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0 임상미생물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0 No.-
배경: Clostridium difficile은 주요 원내 감염균 중 하나로서 항균제 연관설사(antibiotic-associateddiarrhea), 위막성 대장염(pseudomembranous colitis) 등을 일으킨다. C. difficile 배양법은 민감도가 우수하지만 검사 소요시간이 길고, 독소를 생성하지 않는 균주도 배양되는 단점이 있다. C.difficile 독소면역시험은 민감도는 낮으나 검사 소요시간이 짧고, 방법이 간편하여 검사실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eal-time PCR을 이용한 독소 A 및 B 검출방법인 AdvanSureCD real-time PCR(LG생명과학, 한국)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6월부터 9월까지 세브란스병원 미생물검사실에 C. difficile 배양 및 독소검사를 의뢰한 303개의 설사변 검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C. difficile 배양, toxin B PCR, VIDAS ToxinA/B(bioMerieux SA, Mercy-I``Etoile, France) 및 AdvanSure CD real-time PCR의 방법으로 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체는 C. difficile 선택배지(Clostridium difficile selective agar, BD, USA)에 접종하여 35℃, 48시간 혐기성으로 배양하였다. 증식된 집락은 ATB rapid ID 32A(bioMerieuxSA)을 이용하여 동정하였고, C. difficile 균주는 toxin B PCR을 시행하였다. 결과: 대상 검체 중 44검체(14%)에서 C. difficile이 증식하였으며, 이 중 23주(7%)는 toxin BPCR 양성이었다. VIDAS Toxin A/B는 13검체(4%)에서 양성결과를 보였으며, 배양 및 toxin BPCR 결과와 비교할 때 민감도는 60%, 특이도는 99%, 일치도는 94%이었다. 한편 AdvanSureCD real-time PCR은 37검체에서 양성결과를 보여 민감도는 95%, 특이도는 94%, 일치도는 94% 이었고, 배양 및 toxin B PCR 결과와 불일치를 보인 12예의 환자 병력조사에서 3예는 위막성 대장염 환자이였다. 결론: AdvanSure CD real-time PCR은 VIDAS Toxin A/B에 비하여 민감도가 매우 높았고, C.difficile 배양 음성인 위막성 대장염 환자 3예에서 양성결과를 보였다. AdvanSure CD real-timePCR은 미생물검사실에서 C. difficile 독소 검출에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