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 시대의 국어교육과 다문화 문식성 교육

        서혁(Suh Hyuk) 국어교육학회 2011 국어교육연구 Vol.48 No.-

        This study focused on the reconceptualisation of multicultural literacy including skilled literacy, sociocultural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I suggested also several ideas on how to develop the students' multicultural literacy, such as composing 2011 curriculum or some reading lists and programs.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will be more effective when the class are integrated with both general and multi-cultural students.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literacy of the whole group as well as personal literacy in a society. The multicultural condition of Korea is a little different from other countries such as USA, Australia and France, etc. Korea is relatively a small multi-cultural country compared to the above countries. So Korea needs to get adequate strategies for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in preparing 2011 curriculum and various reading programs.

      • KCI등재

        일반논문 : 호주의 ESL 교육과정 운영 사례 및 시사점

        서혁 ( Hyuk Suh ),권순희 ( Soon Hee Kwon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국어교육 Vol.0 No.146

        This research is an analysis on Australia``s education system, the purpose of its ESL program, the management method of its ESL curriculum, the main content and delivery of the ESL program, the support system of the ESL programs and its details on the basis of Australia``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Moreov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liver substantial data conducted from ESL classrooms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KSL programs conducted in South Korea. The ESL program in Australia is generally provided to students in primary school and high school whose mother tongue is not English. The ESL education program is offered to the public to secure equal education accomplishment and employment to immigrants and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for immigrants to effectively participate in various sectors of the Australian society. Australia``s ESL programs are not only conducted in public schools but also in secondary education facilities such as Intensive English Centres, English Centres, and Technical and Further Education Commissions, where the student qualification, education material and content, and evaluation is detail-oriented and systematic. The goal of ESL education is for ESL students, like any other Australian student, to focus on improving general skills and abilities which are connected to vocational education, to understand and contribute to the issue of equality, and to successfully participate in the various learning of the text that include the subject learning sphere. The students of the ESL programs learn the general curriculum through standard Australian English, learn how to use English critically and how to respond in English, and learn the structure of English (English grammar) while adapting to learn in the Australian education system. Through contemplation on the management and class cases of Australia``s ESL curriculum promotion system, the necessity of a KSL exclusive teacher training program, a tiered KSL system, a educator specialist training program, and a support system and policy for these programs can be regarded as implications.

      •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생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읽기 능력에 대한 사례 연구

        서혁 ( Hyuk Suh ),박지윤 ( Ji Yoon Park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6 No.-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사회문화적 배경이 읽기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사례연구와 관련된 것이다. 다문화가정의 주요 구성원(어머니와 그 자녀)에 대한 관찰, 분석, 심층 면담을 통해 다문화가정 학생의 어머니는 한국어 능력이 크게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은 대체로 자녀의 교육에 관여를 하고 싶지만, 자신의 한국어 능력이 뒷받침되지 않아 자녀의 교육을 돌볼 수 없는 상황이었다. 또한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한 읽기 지도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학습자들은 일정 부분 그 어머니의 사회·문화적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문화가정 학생은 어휘에 있어서 어휘의 양이 부족한 것도 있으나, 고유어, 동음이의어, 관용 표현 등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았고, 특히 한국의 문화를 알아야 이해할 수 있는 관용 표현에 대해서 어려워하고 있었다. 한 단락 수준의 중심내용 파악과 관련하여서는 대체로 "화재+평언" 형태의 거시명제 구성에는 큰 어려움이 없었으나, 개인적인 관심에 따라 생략 가능한 세부 정보들이 추가되고, 오히려 필수적인 구체적 정보는 생략하는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급증하는 다문화시대 속에서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그들에 맞는 교육을 통해 읽기를 잘 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비록 소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제한적인 사례연구이긴 하나,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겪는 읽기에서의 어려움을 파악하였고 어머니의 사회·문화적 변인과 관련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에 대한 국어교육 관련 연구와 관련하여 어휘력, 독해력, 읽기 능력과 사회·문화적 배경 등을 중심으로 한 국어 이해 표현 능력에 대한 좀 더 광범위한 조사가 요구된다. 또한 전술한 "험프티 덤프티 갭"에서와 같이 사회문화적 문식성의 기저에 해당하는 사회문화적 지식은 모어 화자의 수준에 동일하게 도달하기 어려운 측면이 존재한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읽기 지도에서는 사회문화적 배경을 고려하면서 다문화 문식성 교육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an qualitative case study which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 between reading abilities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regarding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y. We had an interview with 8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their parents. Most of the parents had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in Korean, so they had a great limitation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s studying. The students had some difficulties in reading comprehension due to the lack of socio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in particular Korean vocabulary, proper words, homonym and idioms. The students generally accomplished to wite a summary in the form of "Topic and Comments", but sometimes they had mistakes such as omitting main points or adding unnecessary detail informations. We observed some student`s lack of socio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during their reading texts, we named it as "Humpty-Dumpty Gap" in this paper. The gap is an obvious obstacle in reading comprehension. So when teachers try to teach reading for the student, they need a careful intention regarding sociocultural background knowledge.

      • KCI등재

        읽기(독서) 교육 체계화를 위한 텍스트 복잡도(Degree of Text Complexity) 상세화 연구 (2)

        서혁 (Suh, Hyuk ),이소라 ( So Ra Lee ),류수경 ( Su Kyeong Ryu ),오은하 ( Eun Ha Oh ),윤희성 ( Hee Sung Yoon ),변경가 ( Kyung Ga Byun ),편지윤 ( Ji Yun Pyeon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7 No.-

        본 연구에서는 읽기(독서) 교육 체계화를 위하여 텍스트 복잡도를 상세화하여, 텍스트 내적 복잡도 공식을 개발하였다. 기존 텍스트 복잡도 공식을 보완하기 위해 (1) 이독성 측정을 위한 등급별 어휘집 마련, (2) 문장의 복잡도 측정 체계 개발을 연구의 주요 내용으로 삼았다. 텍스트 복잡도 공식 개발에 사용된 독립변수는 본고에서 마련한 등급별 어휘 목록 A, B, C등급 및 그 이외의 서로 다른 단어들의 포함 여부와 문장 길이 및 문장 복잡도 측정 체계에 따른 문장 복잡도 평균이다. 또한 종속변수는 전문가가 판단한 텍스트의 적정 학년 평균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텍스트 복잡도 공식을 산출하였다. 이 중 초등에서는 어휘와 문장의 길이가, 중등에서는 어휘와 문장의 복잡도가 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초등과 중등 교과서의 텍스트 학년 수준의 적합성을 판별하기에 적절한 텍스트 복잡도 공식을 각각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초등 및 중등 수준의 텍스트 복잡도 공식은 다음과 같으며, 해당 공식은 초등 텍스트 학년 수준에 대해 75.2%, 중등에 대해 65.6%의 설명력을 지닌다. 초등 텍스트 학년 수준 = 7.438 - 0.391×(문장 수) + 0.032×(A등급 이외의 단어 수) + 0.016×(문장 수×A등급 이외의 단어 수) * R2 = 0.752 중등 텍스트 학년 수준 = -0.060×(A등급 단어 수) + 0.145×(C등급 이외 단어 수) + 0.110×(문장 복잡도) + 0.024×(문장 복잡도×C등급 이외 단어 수) + 9.075 * R2 = 0.656 본 연구에서 마련한 텍스트 복잡도 공식은 텍스트 내적 요인만을 중요 변수로 설정하였다는 점에서 일정 부분 한계를 지닌다. 향후 총체적인 텍스트 복잡도 공식 마련을 위해서는 텍스트 복잡도 외적 요인인 배경지식과 과제 요인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xt Complexity Formula more precisely. For this, we focused on complementing the list of words and elaborating the measurement of Sentence Complexity.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is Formula are graded vocabulary list and the figure of sentence complexity calculated by the length and structure of sentence.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determination on text of the appropriate grade level by experts using regression analysis. We suggested two Text Complexity Formular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which has the power of explanation of 75.2% about difficulties of texts in elementary level and 65.6% in middle school level. The Text Complexity Formula, we finally determined, is as follows. ETGL = 0.032uWa - 0.391S + 0.016uWaS + 7.438 * R2 = 0.752 ETGL = Elementary Text Grade Level uWa = The number of words except word list A S = The number of sentence uWaS = The number of words except word list A × The number of sentence STGL = - 0.060Wa + 0.145uWc + 0.110C + 0.024uWcC + 9.075 * R2 = 0.752 STGL = Secondary Text Grade Level Wa = The number of words in word list A uWc = The number of words except word list C C = Degree of Sentence Complexity uWcC = The number of words except word list C × Degree of Sentence Complexity This Text Complexity is only focused on the quantitative features of the internal texts. 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for supplementing the formula through including the qualitative factors of the text like Reader variables(reader`s background knowledge) and Task variable.

      • KCI등재
      • KCI등재

        국어과 교수ㆍ학습 방법 개선을 위한 평가 체제 연구

        서혁 ( Suh Hyuk ),이도영 ( Lee Do-young ),임미성 ( Lim Mi-seong ),신권식 ( Shin Kwon-sik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9 No.-

        이 연구는 국어과 교수ㆍ학습 모형(방법)에 대한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수ㆍ학습 모형들의 실제 적용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국어과 교수ㆍ학습 방법의 개선 방안을 마련해 보자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제7차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되어 있는 국어과 교수ㆍ학습 모형의 적용 실태를 분석한 후, 현장 교사들의 활용 실태를 설문 조사하였다. 아울러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수ㆍ학습 모형들을 실제 적용한 국어 수업들을 분석 검토한 후 그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나 학교 현장에서는 대체로 매우 제한된 유형의 교수ㆍ학습 모형만을 활용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활용 면에서도 여러 가지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교 현장에서 국어과 교수ㆍ학습 모형들이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다양한 교수ㆍ학습 모형들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할뿐만 아니라, 국어과 교수ㆍ학습 모형이나 기법 등의 통합적 적용 능력이 크게 요구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evaluating criteria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discussed the current issues on teaching -learning methods, for this we examined 7 methods which introduced already by KICE or researchers, focused on its characters, steps and some issues concerning KLE. We investigated the guidebooks for teachers, focusing on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guidebooks give some ideas of class to teachers, but our survey shows that most of teach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 pattern of the methods applied in the guidebooks, even though they are satisfied with the guidebooks generally. What the most of teachers want are various methods applied in the textbook and showing them how to use the methods in detail. We suggested that the principles of integrating methods and techniques in various ways. We suggested evaluating criteria for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hen applied it to analyze the classes used the most common 7 methods such as Direct Instruction, Response Oriented Method, Problem-solving M., Jigsaw, Role-play, Creativity Development M. and Value Education M. We also suggested some ideas to overcome the current issues on teaching methods and to develop them. One of them is to integrate the model(s) and technique(s) considering the variables such as teacher, learner, aims and contents, surroundings and conditions.

      • KCI등재

        세계화와 국어교육 ; 한국어교육과 국어교육의 관계 설정 -상호 발전과 세계화를 위한 과제-

        서혁 ( Hyuk Suh )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30 No.-

        한국어교육은 기존에 국어학과 국어교육의 하위 학문 분야로 설정되었다가, 2002년에 교육부의 학문분류체계에서 독립된 영역으로 인정되고, 2004년도부터는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분류에서도 독립 영역으로 설정되고 있다. 국어교육의 목표가 창의적 국어사용(활동) 능력, 국어적 사고력, 문화 창조로 요약되는 반면에 (외)한국어교육의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과 기본적인 문화 이해에 초점이 놓인다. 이는 학습 대상자의 목표 언어에 대한 능력, 문화적 지식과 경험의 차이에 기인한다. 2007년에 개정된 영국의 자국어 교육과정에서는 ``의사소통(Communication), 창의성(Creativity), 문화 이해(Cultural Understanding), 비판적 이해(Critical Understanding)``의 4C를 기본 목표로 하고 있다. 반면에 미국의 외국어 교육 기준에서는 ``의사소통(Communication), 문화(Culture), 교과 연계(Connection), 비교(Comparison), 다문화 사회 참여(Communities)``의 5C를 강조하고 있다. 자국어 교육과정에서는 의사소통과 문화를 넘어서서 ``창의성, 비판적 이해``와 같이 사고력 부분을 훨씬 더 강조하고 있다. 기존에 한국어교육의 성격을 논의한 관점들이 대체로 국어학 중심의 제한된 접근을 보여 주고 있다. 앞으로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은 모두 한국학이라는 광의의 범주에 속한다는 점, 다문화적 접근과 학습자의 다양성에 대한 고려, 문화 콘텐츠의 적극적 개발과 활용, 교원의 양성 등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상호 공조와 협력이 요구된다. 특히 기존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접근과 관련하여 다문화의 개념을 지나치게 협소하게 해석하거나 동화에 초점을 둔 열등주의 패러다임에 따르고 있는 것은 아닌지 교육 정책, 연구, 현장 실천 차원에서 모두 반성이 요구된다.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hereafter KLF) has been classified as an independent disciplinary field from 2002 by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rom 2004 by Korean Research Foundation. KLF was considered as a sub-field of Korean education or Korean linguistics before 2002. 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ative speakers (hereafter KLE) are to develop abilities of creative communication, thinking skills and creating culture, while KLF focuses on the fluent communication and cultural understanding. We can see the similar characteristics comparing English National Curriculums, which is for native speakers, to Standards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in USA. Key Stage 3 and 4 of National Curriculum 2007 which was announced by QCA, DCSF(Department of Children, Schools and Families) of England stress 4 key concepts, i.e. Communication, Creativity, Cultural Understanding, Critical Understanding, while the Standard for FLL of USA emphasizes 5Cs, i.e. Communication, Cultures, Connections, Comparisons, Communities. KLE and KFL hav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characteristics. Researchers have to consider re-conceptualizing multi- cultural education,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and training teachers regarding both KLE and KSL with cooperation.

      • KCI등재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능력 평가 방안

        서혁 ( Hyuk Suh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국어교육 Vol.0 No.14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dvanced research about Assessment Tools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and suggest directions. There is a great need to develop a Assessment Tools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considering their cognitive levels, learning purposes, residence periods in Korea, cultural background of students etc. For this flexible running, It would be useful to develop a standard form like "record sheet of observation or portfolios of the students` levels. We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strictly and approach Korean Language Proficiency level and question level easily. Also, It is important to build up the legal system and provide an institutional strategy for Assessment Tools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For this institutional management, There is also a need to operate department of municipal ministry of education or special institution like a tentatively named "Korean Language Assessment Center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