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련해독탕 추출액의 각막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효과

        김인수,서진종,김광곤,하동룡,신민구,김의수,전상윤,Kim, In-Soo,Seo, Jin-Jong,Kim, Kwang-Gon,Ha, Dong-Ryong,Shin, Min-Koo,Kim, Eui-Su,Jeon, Sang-Yun 대한한방내과학회 2014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5 No.3

        Objectives: The goal of this project was to measure the antibacterial effectiveness of Hwangryunhaedok-tang (barberry root decoction for detoxification) and its constituents. All of the active ingredients including the final product were prepared using high-pressure sterilization for use as medicinal eye drops. The varying forms of Hwangryunhaedok-tang (barberry root decoction for detoxification) were used to treat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d Enterococcus faecalis which are found in keratitis. Methods: The antibacterial effect was measured by observ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timicrobial activity when treated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Hwangryunhaedok-tang extract. The tests were performed using a dosage of $70{\mu}l$ dosages of 100%, 50%, 10% and 1% the extracted solution by the minimum growth inhibitory concentration measurement. Antimicrobial activity was measured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dosage strength and bacterial activity from $70{\mu}l$ to $10{\mu}l$ at the same concentration. Results: 1. Hwangryunhaedok-tang (barberry root decoction for detoxification), Phellodendri Cortex, and gardenia didn't show any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S. aureus, S. epidermidis, or E. faecalis. 2. Barberry root showed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S. aureus and S. epidermidis depending on the levels of concentration but didn't show any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E. faecalis. 3. Skullcap showed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S. aureus and S. epidermidis when a dosage of 100% extract $70{\mu}l$ was used. However, did not show any antimicrobial effects at all against E. faecalis. Conclusions: Hwangryunhaedok-tang (barberry root decoction for detoxification) and its constituents such as barberry root, phellodendri cortex, skullcap, and gardenia,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 medicinal eye drops to treat keratitis. However, further research on effective uses of and efficient extraction methods are needed.

      • KCI등재

        인진호 추출물의 식중독 세균들에 대한 생육억제 효과

        이종기(Chong-Ki Lee),서진종(Jin-Jong S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8

        천연 보존료의 개발을 위한 식품학적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인진호 추출물을 이용하여 9종의 병원균과 식중독균 Salmonella typhimurium에서는 80 mg/mL로 나타났으며, 측정된 48시간 동안까지 최소저해농도 이상에서는 균이 거의 생육하지 못하였다. 인진호 아세톤 추출물의 순차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 분획물이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Salmonella typhimurium, Vibrio parahaemolyticus에서,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Salmonella typhimurium에서 항균활성을 나내었으며, 헥산 분획물은 Bacillus subtilis에서만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같은 사실은 인진호 추출물의 항균성 물질은 특정 용매에만 용해되지 않고 다른 용매에도 용해되는 성분으로 단일 물질보다는 여러 성분일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천연물에 따라 항균력을 가지는 물질이 다양하여 추출용매의 선정이 항균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찾아내는데 중요하다고 생각되며, 또한 인진호에서 추출된 항균성 물질이 Staphylococcus aureus나 Vibrio parahaemolyticus 등 식중독균의 생육억제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solvent extracts of the aerial par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ed by using several solvents with different polarities were prepared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examined.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cell growth inhibitions were investigated to each strain with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the aerial part of Artemisia capillaris. Acetone extract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for each strain were appeared to 20 mg/mL at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subtilis, 40 mg/mL at Vibrio parahaemolyticus, and 80 mg/mL at Salmonella typhimurium. The cell growth inhibitions were shown on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Vibrio parahaemolyticus, and Salmonella typhimurium for 48 hours. The acetone extract was further fractionated sequentially with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butanol for purifying crude acetone extract. The solvent fraction of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butanol showed the different antimicrobial activity, respectively.

      • KCI등재

        황금탕 및 황금추출물의 식중독 세균들에 대한 생육억제 효과

        이종기(Chong Ki Lee),서진종(Jin Jong S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10

        각종 식중독의 원인균으로 중요시 되는 11종의 균주에 대해서 황금탕 및 황금 추출물의 항균력을 검토한 결과, 황금탕 추출물은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higella sonnei, Shigella flexneri,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Escherichia coli O111 및 Escherichia coli O126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황금 추출물은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higella sonnei, Shigella flexneri,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Escherichia coli O111, Escherichia coli O126 및 Escherichia coli O157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황금탕 및 황금 추출물 모두 항균력이 없었고, Escherichia coli O157에 대해서는 황금탕 추출물은 항균력이 없었으나, 황금 추출물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황금탕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Staphylococcus aureus와 Bacillus cereus에서 40 ㎎/mL, Shigella flexneri와 Salmonella Enteritidis에서 100 ㎎/mL이었고, 황금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Bacillus cereus에서 10 ㎎/mL, Staphylococcus aureus, Shigella flexneri 및 Salmonella Enteritidis에서 20 ㎎/mL이었으며, 황금탕 및 황금 추출물 모두 Staphylococcus aureus와 Bacillus cereus에 대해 48시간까지 배양하는 동안 최소저해농도 이상에서는 균이 거의 생육하지 못하였다. 이상에서 황금탕 추출물보다는 황금 추출물의 항균력이 더 강하며, 황금탕 추출물의 식중독 세균들에 대한 항균력은 황금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항균력이 확인된 세균으로 인한 각종 식중독에 황금탕의 사용가능성을 고려할 만하며, 황금 추출물에 대한 천연 식품 보존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The effects of Whangkumtang extract and Scu1tellariae radix extract on the microbial growth were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cell growth inhibiting effects were investigated to selected strain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Whangkumtang and Scutellariae radix extracts. Whangkumtang and Scutellariae radix extracts showed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n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higella sonnei, Shigella flexneri,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tidis, Vibrio parahaemolyticus, Escherichia coli O111 and Escherichia coli O126. Whangkumtang and Scutellariae radix extracts did not show the antimicrobial activity on Listeria monocytogenes. Scutellariae radix extract show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n Escherichia coli O157 but Whangkumtang extract did not.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of Whangkumtang extract for each strain appeared to 40 ㎎/mL on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 100 ㎎/mL on Shigella Flexneri and Salmonella enteritidis. The MICs of Scutellariae radix extract appeared to 10 ㎎/mL on Bacillus cereus, 20 ㎎/mL on Staphylococcus aureus, Shigella flexneri and Salmonella Enteritidis. Scutellariae radix extract showed the higher antimicrobial activity than Whangkumtang extract. The cell growth inhibitions by Whangkumtang and Scutellariae radix extracts were observed from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 repectively, during 48-hr incubation period.

      • KCI등재

        2000년-2009년 광주 광역시 지역의 급성설사환자의 분변에서 분리한 살모넬라 균주에서의 항생제 내성률 조사

        김태순,김민지,김선희,서진종,기혜영,정재근,김은선,문용운,하동룡,김민경,임숙경,남향미,Kim, Tae Sun,Kim, Min Ji,Kim, Sun Hee,Seo, Jin-Jong,Kee, Hye Young,Chung, Jae Keun,Kim, Eun Sun,Moon, Yong Woon,Ha, Dong Ryong,Kim, Min Kyeong,Lim, Suk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3 미생물학회지 Vol.49 No.2

        지난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간 광주광역시 지역의 급성설사환자로부터 분리한 총 596개의 살모넬라균주에 대하여 총 16종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내성빈도가 가장 높았던 약제는 ampicillin (43%), tetracycline (35.9%), nalidixic acid (31.5%), 그리고 chloramphenicol (26.2%) 순으로 나타났다. 혈청형 간에 항생제 내성률에 차이가 있었는데 S. Enteritidis와 S. Typhimurium이 각각 가장 높은 내성률을 보인 약제는 ampicillin (51.1%)과 tetracycline (77.9%)이었다. 총 89가지 내성패턴이 관찰되었으며, 26% (155/596)의 살모넬라 분리주는 검사한 16가지 약제에 모두 감수성을 보였다. 약 21% (127/596) 및 15% (87/596)의 분리주는 각각 한 개 및 두 개의 약제에 내성을 나타냈다. 그 외의 살모넬라 분리주(227/596, 38%)는 세가지 이상의 약제에 내성을 나타냈다(다제내성균). 다제내성균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난 혈청형은 S. Paratyphi B (76.5%), S. Typhimurium (58.2%), 그리고 S. Enteritidis (40.2%)의 순이었다. 가장 흔한 다제내성패턴은 ampicillin-chloramphenicol-nalidixic acid-ticarcillin (36/227, 15.8%)이었으며 이러한 패턴을 보였던 다제내성균의 대부분(35/36, 97.2%)이 S. Enteritidis이었다. Antibiotic susceptibility was examined for 596 Salmonella isolates from patients with acute gastroenteritis during 2000-2009 in Gwangju area in South Korea. Of 16 antibiotics tested, ampicillin resistance (43%) was the most commonly observed resistance among the 596 Salmonella sp. isolates, followed by tetracycline (35.9%), nalidixic acid (31.5%), and chloramphenicol (26.2%). Antibiotic resistance varied among serotypes: The highest resistance of S. Enteritidis and S. Typhimurium was to ampicillin (51.1%) and tetracycline (77.9%), respectively. A total of 89 resistance patterns were observed, and 26% (155/596) of Salmonella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all antibiotics tested in this study. About 21% (127/596) and 15% (87/596) of the isolates were resistant to one and two antibiotics, respectively. The rest of Salmonella isolates (227/596, 38%) were resistant to three or more antibiotic agents. The highest multi-drug resistance (MDR) was observed in serotype S. Paratyphi B (76.5%), followed by S. Typhimurium (58.2%), and S. Enteritidis (40.2%). The most common resistance pattern of MDR isolates was ampicillin-chloramphenicol-nalidixic acid-ticarcillin (36/227, 15.8%), most of which (35/36, 97.2%) were S. Enteritidis.

      • 소아 human bocavirus의 임상적 고찰

        최창선,박찬희,정권,이건,선규근,김은영,김경심,김용욱,서진종,정윤석,Choi, Chang Sun,Pak, Chan Hee,Jung, Kwan,Lee, Gun,Sun, Kyu Keun,Kim, Eun Young,Kim, Kyoung Sim,Kim, Yong Wook,Seo, Jin-Jong,Chung, Yoon-Seok 대한소아감염학회 2007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4 No.2

        목 적 : 호흡기 감염의 중요 바이러스 중에 하나인 보카바이러스는 2005년 8월, 스웨덴의 Allander 등에 의해 처음 보고된 이후 전세계적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국내 보고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입원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보카바이러스의 유병률 및 임상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2005년 4월부터 2006년 5월까지 광주기독병원에 입원한 호흡기 질환 환아 1,777명의 입원 중 비인두 흡인물을 채취하였고, PCR을 시행하였고, 보카바이러스가 검출된 84명의 환아들의 임상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이들의 검출률과 임상 증상 및 검사 소견을 조사였다. 결 과 : 총 1,777명의 의뢰 환아 중 84명(4.7%)에서 보카바이러스가 검출되었으며, 평균연령은 1세 7개월이었고, 2세 이하에서 전체 검출 84명 중 64명을 차지(76.2%)하였으며, 남녀비는 1.04:1로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4월에서 6월, 11월과 12월, 2006년 4-5월에 집중적으로 검출된 것으로 보아 겨울과 봄에 호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진단별로는 폐렴이 67.8%으로 가장 많았으며, 모세기관지염이 35.7%, 기관지염 27.3%, 급성 인두염 21.4%의 순으로 나타났다. 임상 증상으로는 기침이 94.0%, 가래 83.3%, 발열 78.5%, 콧물 69.0%, 인후통 27.3%, 호흡 곤란 및 빈호흡 22.6%, 설사 20.2%, 구토 9.5%, 이통 5.9%, 눈꼽 4.7%순 이었으며, 평균 발열 기간은 4.7일, 기침 지속 기간 15.5일, 평균 재원 기간 9.4일을 보였다. 신체 검사상 나음 65.4%, 천명 59.5%, 흉부 함몰 22.6%, 고막 발적 9.5%, 결막충혈 3.5%, 피부발진 2.3%이 나타났다. 흉부 방사선 소견상 상 폐문 주위 간질 침윤 58%, 과도통기 47%에서 보였으며, 말초 혈액 검사상 백혈구는 $9,400/mm^3$, 다핵구 41.7 (8.7-91)%, 림프구 44.3 (5-82.4)%, 적혈구 침강 속도는 33 (2-120) mm/hr, C반응 단백은 3.5 (0.1-10) mg/dL이었다. 결 론 : 보카바이러스는 소아 하기도 감염의 비교적 흔한 원인이며 위장관 및 피부 증상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입원이 요구되는 주로 2세 이하 영유아 호흡기 감염의 중요한 원인 바이러스 중 하나로, 겨울과 봄에 호발하며, 폐렴을 주로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낮을수록, 천식을 포함한 기저질환 동반시 증상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보카바이러스와 관련된 호흡기 및 기타 질환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더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Human bocavirus (HBoV) was recently identified world widely in clinical specimens from infants and children with respiratory tract illness, but the role of HBoV in respiratory tract illnesses is unknow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and the clinical manifestation of HBoV in pediatric patient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1,777 throat swab obtained between 2005 and 2006 from pediatric in-patients with acute respiratory tract diseases at the Kwang-ju Christian Hospital.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positive results were reviewed for demographic and clinical data of HBoV infections. Results : HBoV DNA was found in 84 (4.7%) of the 1,777 hospitalized children and the mean age was 19 months. The most common diagnosis were pneumonia (67.8%), bronchiolitis (35.7%). HBoV infections were found year-round, though most occurred in spring and winter months. Conclusion : HBoV is frequently found in hospitalized infants and children with acute respiratory tract diseases in Korea, but an association of HBoV with a distinct respiratory tract manifestation was not apparent. To clarify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HBoV, further evaluation of various age groups and clinical groups is need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천명이 동반된 급성 하기도 감염 소아에서 바이러스 RS, 라이노바이러스 그리고 보카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임상 양상의 비교

        신현욱 ( Hyun Wook Shin ),조하림 ( Ha Lim Cho ),유주희 ( Ju Hee You ),유은정 ( Eun Jung You ),김은영 ( Eun Young Kim ),김경심 ( Kyoung Sim Kim ),김용욱 ( Yong Wook Kim ),서진종 ( Jin Jong Seo ),조형민 ( Hyoung Min Cho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1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1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linical manifestations of human bocavirus (hBoV),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and human rhinovirus (hRV) in children with acute wheezing. Methods: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549 virus-positive throat swabs obtained between January 2006 and December 2008 from pediatric inpatients with acute respiratory tract disease at Kwangju Christian Hospital. Among them, 109 patients, who had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with wheezing,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positive results were reviewed for clinical data.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ith RSV was 7.15 months, 15.66 months in those with hRV, and 15.04 months in those with hBoV. The mean fever duration and frequency of patients with fever was 2.43 days and 47.9% for RSV, 2.86 days and 51.7% for hRV, and 3.75 days and 69.6% for hBoV. The frequency of patients with acute otitis media was 20.8% in the RSV, 20.7% in the hRV, and 13.0% in the hBoV groups. The frequency of lung infiltration on chest X-ray was 12.5% in the RSV, 20.7% in the hRV, and 47.8% in the hBoV groups. Conclusion: We compared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respiratory viral infections in infants and children with wheezing. However, further surveillance will be necessary to clarify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the viruses.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11;21:334-343)

      • Human bocavirus에 의한 세기관지염이 재발성 천명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조형민 ( Hyoung Min Cho ),나세린 ( Se Rin Na ),임봉칠 ( Bong Chil Im ),유주희 ( Ju Hee You ),유은정 ( Eun Jung You ),김은영 ( Eun Young Kim ),김경심 ( Kyoung Sim Kim ),김용욱 ( Young Wook Kim ),서진종 ( Jin Jong Seo ),정윤석 ( Yoo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0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0 No.4

        목적: 호흡기 감염의 중요 바이러스 중에 하나인 보카바이러스에 의한 세기관지염의 경험이 그 이후의 반복적인 천명과 아토피(atopy)의 발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 세기관지염의 증상의 중증정도 및 여러 위험인자와 천명의 재발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광주 기독병원 소아청소년과에 호흡기질환으로 입원하였던 2430명의 환자에서 호흡기바이러스 검사를 시행하여 보카바이러스가 RT PCR검사에서 양성을 보였던 112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61명에서 2008년 4월부터 2008년 6월 사이에 전화설문과 우편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또 이 기간 내에 병원에 내원하게 하여 알레르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환자들의 입원 당시의 병력지를 조사 하였고, 세기관지염 당시의 증상의 중등도를 호흡곤란지수에 의해 평가하여 경증, 중등도, 중증의 세집단으로 환자들을 분류하였다. 또한 세기관지염 감염 후에 천명의 재발 유무를 설문에 의해 조사하여 천명없음, 1-2회의 간헐적 천명 재발, 3회 이상의 빈번한 천명 재발을 경험한 군으로 환자들을 재분류해 보았다. 결 과: 천명의 재발은 26.2%에서 있었으며 증상의 중증 정도가 심할수록 천명 재발이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알레르기 검사 양성률도 증상의 중증도가 심한 군에서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의미는 없었으며 환자의 알레르기 질환 동반력 및 가족력, 육아시설 이용 유무, 나이 많은 형제의 유무도 천명의 재발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결론: 보카바이러스 감염은 천명을 동반하는 세기관지염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이 되며, 영아기에 보카바이러스에 의한 세기관지염을 경험한 것이 그 이후의 천명의 재발 및 알레르기 감작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천명의 재발에 있어 세기관지염 당시의 중등도가 중요함을 알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알레르기 검사를 많은 수에서 실시하지 못하여 제한점을 가지며 알레르기 질환의 동반력 및 가족력, 육아시설 이용 유무, 형제의 유무와 천명의 재발에 대해서도 좀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Excluding RSV, the relationship between bronchiolitis caused by viruses and the development of wheezing and atopy in childhood has not been well studied. We studied this relationship in children who had bronchiolitis caused by human bocavirus before 2 years of age. Methods: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2,430 throat swab obstained between January 2005 and December 2007 from pediatric in-patients with acute respiratory tract disease at the Kwangju Christian Hospital. Human bocavirus was detected in 112 patients. A total of 61 patients less than 2 years of age were finally enrolled in this study. Patients were followed up between April and June of 2008. We measured the frequency of wheezing and atopic status using (allergy skin-prick tests, CAP tests and MAST tests). Results: Of the 61 patients, 16 (26.2%) had recurrent wheezing. Of these 16 patients, 8 (13.1%) had Infrequent wheezing (1-2 wheezing episodes) and 8 (13.1%) had frequent wheezing (3 and over wheezing episodes). Of the total 61 patients, 18 (29.5%) completed allergy tests. Of the 18 patients, 10 (55.6%) were sensitized to at least 1 allergen. Recurrent wheez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bronchiolitis (mild vs. moderate vs. severe; 9.1% vs. 22.2% vs. 66.7%). Conclusion: Human bocavirus-induced bronchiolitis in childhood are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development of wheezing in childhood and may b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allergic sensitization.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for recurrent wheezing is the severity of lower respiratory tract illnesses.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10;20:247-25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