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 現代文學批評史에 있어서의 詩批評理論 體系化作業의 한 樣相 : 1935-1950 년간의 I. A. 리차즈의 受容과 그 克服問題를 중심으로

        徐俊燮 韓國比較文學會 1980 比較文學 Vol.5 No.-

        1930's was the period when the Korean critics began to have interests in scientific critical theories. These concerns were aroused mostly by the critics who majored in foreign literature. Kim, Gi-Rim(1908-1950) is one of them. He is a poet-critic who majored in English criticism, and has led the modernism (=imagism) movement in Korean poetry. But from 1935 he arranges and estimates his endeavor in modernism, and publishes several books, "An Introduction to Literature" (1946), "Essays on Poetry" (1947), and "Understanding Poetry" (1950) as the results of his indulging in the establishment of critical theory based on I.A. Richards. Especially the "Understanding Poetry" has a great significance in many respects as a writing of systemized critical theory. Kim's way of establishing theory is to find a scientific critical the ory on the basis of psychology and sociology. In that, his reference to psychology is debted to Richard's theory. But Kim shows his unique critical theory, which is complementing Richards. The elements of Kim's critical theory are as following: (1) He tries to establish the principles of Korean literary criticism based on psychology as Richards has attempted in the "Principles of Literary Criticism" (1924) and "Poetry and Science" (1925). Kim asserts the understanding of poetic experience must be accomplished on the base of psychology like Richard's theory, which the poetic experience is not different from general experience and its communication is possible, and the use of poetic language is not scientific but emotional one. (2) While he borrows Richards' psychogical theory of criticism, he claims that sociological approaches are also requested, for a poem can not be understood enough only from psychological view point. (3) Kim criticized Richards' "separation of poetry from beliefs", and Richards' problems of relativism in psychological theory of value as many other western critics did after him. Kim says that the value of poetry must be estimated not only from views of poet's own beliefs on human society and his vision of the world, but also from views on moral elements above psychological level. (4) His sociology of poetry is the concern, cf what is called, sociology of literature. But his intention to study continuously on this subject s ended before enough accomplishments. Though his theory involves a problem of eclecticism, it is very imporant in the Korean literary criticism, in the respect that he attempted to found academic and scienific critical theory on the basis of foreign critical theory.

      • KCI등재

        염상섭의 『효풍』에 나타난 정부 수립 직전의 사회, 문화적 풍경과 그 의미

        서준섭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8 No.-

        이 논문은 정부 수립 전후의 시기에 당시 신문에 연재된 염상섭의 장편 효풍(1948)에 대한 문화론적 연구이다. ‘중간파’(중도파) 입장의 작가였던 그의 장편 효풍은 두 가족의 ‘혼사 장애담’을 다룬 소설이자, 그 안에 개인,가족, 민족문제를 아우르는, 미군정에서 정부 수립에 이르는 시기의 서울의 사회, 문화상을 생생하게 재현한 증언적 문화 텍스트이다. 문학적인 관심에서 볼 때, 이 작품은 개인의 일상생활 이야기, 가족 이야기, 혼사 장애담 등을 다루면서, ‘가족 이야기’를 그 중심에 두는 서사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 가족 이야기를 따라가 보면, 그 가족 내부의 삶의 문제가, 그 내부적 요인보다는 그 가족 외부의 요인 즉, 동시대 사회,문화적 제상황과 관련된 여러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 받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 작품에는 건국기의 문화적 분위기와 관련된 여러 가지 삽화나, 독특한 용어들이 많이 등장한다. 예를 들면, ‘영어, 청년단, 미국인, 결혼, 가족’ 등의 용어는 당시 정치와 문화적 풍경을 생생하게 대변해주는 문화적 코드이다. 이 작품에서 언급되는 잔류한 일본인과 미국인의 등장, 언어적 혼종성의 문제 등은, 인종 문제 및 언어적 분위기와 관련된 건국기의 독특한 서울 문화 풍경과 그 의미를 독자에게 전달해주기 위한 문학적 재현 장치이다. 이 작품은, 결혼을 앞둔 가족 내부의 균열 현상을 당시 사회,문화적 분위기와 관련지어 다룬다. 사회적 분위기에 휩쓸려 방황하던 남녀 주인공은 우여 곡절 끝에 재회하고, 두 가족은 화해하고 결혼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이야기는 끝난다. 약혼한 남녀 주인공의 결혼 장애와 이로 인한 두 가족 구성원 내부의 균열 문제는 가족 이야기인 이 작품의 중심적 의미의 하나이다. 가족들 내부의 균열 문제에 대해, 작가는 그것을 봉합하는 식으로 마무리하고 있다. 가족-문화의 ‘균열’, 균열의 ‘봉합’은 이 작품의 또 하나의 중요한 의미이다. 작가는 가족 이야기 안에서 당시의 민족 이야기(가족의 균열은 민족의 분열, 분단과 대응된다)를 우회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일상생활 이야기, 가족 이야기를 통해 당시 사회, 문화적 움직임을 재현하고자 하는 이 작품의 서사 전략은 이 작품 일관된 전략이다. Yeom Sang-seob’s Novel, Cold Wind at Dawn(1948) was written after his return from Manchuria to Seoul. At that time(1945-48), American military ruled Korean peninsular. Cold Wind at Dawn is not only one of famous works i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but also an important complex cultural text representing socio-cultural landscape in Seoul at that time. As a member of neutral writers group and a realist, Yeom’s intented to describe vivid socio-cultural atmosphere, and citizens’ every day lives, and their customs, and to criticize political situation in Seoul just before Korean Government was founded in 1948. Some themes in this work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Cold Wind at Dawn(1948) dealt with the problem of racial hybridity in Seoul. In addition to Korean characters, Japanese and American characters take important role in this story. After many Japanese had gone back to their homeland, Americans occupied Seoul newly as a government officials or businessmen. Second, ‘the hybridity in language‘ is another theme in the story. American government officials and businessmen needed an interpreter to communicate their opinions to people. Speaking English is one of important cultural codes in reading the meanings of this text. Third, the cracked Korean family-membership under American military rule is another theme of this work. In the story, an engaged couple are confronted with crisis-the woman meets new American boy friend(businessman) and the man falls in love with the journalist woman who is chased by policeman on a charge of fighting against American military rule-and this causes conflicts between their parents. This work is a story about two families confused by an interrupted marriage. Yeom Sang-seob wrote Cold Wind at Dawn in order to suggest to his readers that Korean people confronted social conflicts and experienced cracked family-membership due to a plot to perpetuate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work is a family story reflecting political and social conflicts in south Korea under American military rule.

      • KCI등재

        김시습의 『조동오위군신도』요해에 나타난 불교와 유교의 회통

        서준섭 한중인문학회 2015 한중인문학연구 Vol.49 No.-

        세조의 왕위찬탈을 보고 입산하여 승려 생활을 한 적이 있던 조선 시대 시인 김시습의 조동오위군신도 요해는, 중국 송대 조동종 선학의 독특한 방편인 '조동 오위'에 대한 중국 역대 선사들의 논평을 모아 편집한 한문본 문헌으로서 그 내용은 원문과 각 원문에 대한 김시습의 주해로 구성되어 있다. 조동종의 개조인 동산, 조산은 ‘정위, 편위’, ‘밝음(명), 어두움(암)’을 방편 삼아 선학을 지도하였는데, 조동 오위 즉 정중편에서 겸중도에 이르는 오위는 선학과 그 활용에서의 다섯 가지 위(마음 자리)를 의미한다. 이를 둘러싼 동산, 도륭, 단하 등 10-11세기 중국 선사들의 다양한 담론이 전하고 있는데, 김시습은 이들의 오위론을 주돈이의 ‘태극도’와 주자학의 창시자인 주희의 태극도설 해석과 연결시켜 유교적으로 해석하면서 조동 선불교와 유교 철학 사이의 심층적 유사성과 양자의 회통 가능성을 모색한다. 중국 선불교의 유교적 해석이야말로 김시습 ‘조동오위군신도 요해’의 핵심내용이다. 예를 들면 조동오위 중 일체의 사념이 끊어진 마음 자리를 지칭하는 겸중도(군신합도라고도 함)는 태극도의 ‘태극’에 대응되고, 정위 가운데편위, 즉 ‘정중편(군위)’은 태극도의 ‘만물화생’에 대응된다는 것이다. 김시습은 조동 오위에대한 선사들의 담론을 요해하면서 이 태극도(설)를 끌어와 태극 오위와 조동 오위를 서로 비교하고 양자의 오위 사이에는 유사성과 구조적 대응 관계가 있다고 해석한다. 조동 오위와 태극 오위를 서로 대응 시킨, 이 저서에 나오는 두 개의 도해(그림)는 김시습 조동 오위요해의내용을 요약한 핵심적인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유교와 선불교는 서로 다른 철학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양자의 형이상학은그 궁극적인 지점에서는 서로 유사하며 서로 회통되는 바가 있다는 것이 김시습의 조동오위군신도 해석에 나타난 주장이다. 김시습은 조동 오위에서 주자학의 태극 오위와의 어떤 구조적 유사성 발견하였고, 그런 생각을 그의 조동오위군신도 요해를 통해 구체화하였다. 이로보면 김시습은 세상을 등지고 비록 한때 승려가 되어 불교를 공부했으나 유교 국가였던 조선사회의 지식인의 일원이라는 사실을 잊지 않았고, 또 정치적으로도 당시의 지배적 이념인 유교 철학을 결코 부정하지는 않았음을 파악할 수 있다. 그가 선불교 텍스트를 주자 태극도와비교하고 유교적으로 재해석하면서 불교와 유교의 회통을 주장했다는 사실이 주목할 만하다. Kim Si-Seub's Caodong Ouigunsindo(조동오위군신도), published posthumously in the 15C, was an annotation of collected Chinese Zen masters' discourses published during 9 to 11C on “Caodong school”(조동종), “Zen Buddism doctrine,” and “Five mind Positions in Zen study”(조동오위). written during Song Dynasty. Kim, a monk-poet in King Sejo period, interpreted the structure and meanings of three Chinese Zen masters'(Doryung, Danha, Dongsan) discourses on Caodong school doctrine, and added his Neo-Confucianistic discussions through the annotation. According to Kim's annotation, there lies similarity between “Caodong five mind positions” in Zen and “Five ideas in Zhou Dunyi's Taekeukdoseol”(Taekeuk-the Great, yin and yang, five elements, man and woman, matters and things). For examples, gyumjoongdo(겸중도, 정위. the right position) and jongjoongpyun(정중편, 편위. the deviating position) in Caodong school doctrine correspond with Taekeuk-the Great and matters and things in Taekeukdoseol. Kim explain the meanings of Zen master's poetic discourses using the Chu Hsi’s (founder of Neo-Confucianism) idioms. such as Taekeuk, li and gi. Generally speaking, Buddism is different religion from Neo-Confucianism, and Kim Si-Seub, a monk, understood it well. He studied Zen Buddhism for a long time and wrote several books about Zen Buddism. Although he became a monk, he could not give up the philosophy of Neo-Confucianism, a dominant ideology of Joseon dynasty. Kim's Neo-Confucianistic interpretation on Buddhism in his Caodong Ouigunsindo implies that he could not ignore the culture and politics in his life world.

      • KCI등재

        석화 시에 나타난, 중국 시장 경제 이후의 조선족 문화 정체성의 위기 -시집 『연변』을 중심으로-

        서준섭 한중인문학회 2012 한중인문학연구 Vol.37 No.-

        중국 조선족 시인 석화(1958-)는, 중국 연변으로 이주한 한국인 이민 3세대에 속하는 유명한 시인으로서, 중국의 개혁개방, 시장경제 채택 후의 조선족 사회 경험을 즐겨 창작의 소재로 삼아온 시인이다. 그의 대표 시집 『연변』(2006)은 당시까지 쓴 그의 대표작과 신작을 함께 엮은 것으로서 현대 중국 조선족 독자의 사랑을 받고 있는 시집이다. 그의 시의 지속적인 주제는 농촌 지역 조선족 전통적인 문화에 대한 관심이었다. 그는 특히, 개혁 개방 후 연변 지역에 밀어닥친 시장경제의 영향에 따른 조선족의 사회문화적 현실을 서정적인 언어로 재현하는 작업에 주력해왔다. 그의 작품들은 1990년대 이전과 이후의 작품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이 시집에 수록된 최근작 <연변> 연작(2000년대 작품)에는 중국 정부의 개혁 개방 후 빠르게 변화하는 중국 사회속에서의 조선족 사회문화의 위기와 해체에 대한 불안이 다양한 작품 속에 나타나 있다. 그중에는 연변 문화가 ‘땅 속에 씨앗으로 묻히고 있다’는 시인의 위기의식이 드러난 작품도 있다. 그의 시는 조선적 사회의 ‘문화적 정체성’의 위기와, 변화하는 중국사회 속에서의 조선족사회의 전통적 문화에 남다른 애정을 기울여온 조선족 시인의 ‘문학적 정체성’의 위기를 동시에 드러내고 있다. 특히 2000년대 작품인 <연변> 연작에는 중국의 시장 경제 정책 이후 심화된 연변 조선족 인구의 다른 지역 대량 이주, 농촌 사회의 공동화, 전통적인 조선족 문화의 해체 위기 등으로 인한 연변 조선족 문화 전반의 위기의식이 지속적으로 표출되고 있어 주목된다. 그의 시가 곧 중국 조선족 시의 전부는 아니지만, 석화 시는 지구화 시대의 여러 소수 민족이 처한 문화적 정체성의 위기를 보여주는, 중국적 사례의 하나라 할 수 있다. Suk-hwa(1958-), a Korean-Chinese poet, is a third-generation immigrant from Korea to Yanbian in Northeast China. He has frequently employed for his creative works his experiences in the Korean-Chinese community in the era after the Chinese government's adoption of Reform and Open-Door Market Economy policy. <Yanbian>(2006), a collection of his poems, is attracting much of Korean-Chinese readers' attention. Themes of his poems have continuously been an interest in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Korean-Chinese residents in rural area. He depicts in lyrical words the socio-cultural realities of the Korean-Chinese community influenced by market economy that even rushed over to Yanbian. Many poems in <Yanbian> describe the sociocultural crisis of the Korean-Chinese community in Yanbian and his uneasy feeling toward the dissolution of the community, in the rapidly changing Chinese society in post-Reform/Open-Door era. The expression “being buried as a seed in earth” clearly reveals his consciousness of the crisis. His poems expose not only the crisis of ‘cultural identity’ of the Korean-Chinese community but also the crisis of ‘literary identity’ of the poet himself, who has written poems concerning the Korean-Chinese traditional culture in the Chinese society in transition. It is notable that in the middle of those crises lies the language crisis resulted from the dissolution of the Korean-Chinese society. Although Suk-hwa's poems are not the only Korean-Chinese poems, they are definitely one peculiarly Chinese example that shows the crisis of cultural identity of minor ethnic groups in the globalization era.

      • KCI등재

        同安常察의 『十玄談』의 세 가지 註解本에 대하여 : 淸凉文益과 金時習, 韓龍雲의 주해 텍스트를 중심으로 Comparative Reading of the text written by Buban Moonik(법안문익), Kim Si-seup(김시습) and Han Young-woon(한용운)

        서준섭 한중인문학회 2005 한중인문학연구 Vol.15 No.-

        10세기 중국 曹洞宗 문중의 동안상찰 선사가 지은 『십현담』은 중국과 한국에서 여러번 주해된 작품이다. 이 글은, 중국과 한국의 세 가지 주해 텍스트들을 주해사의 시각에서 서로 비교하여 읽고, 이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십현담'은 7언 율시체 형식의 모두 10편으로 구성되어있는 시작품이다. 문학적으로 뛰어난 걸작으로서, 조동종 선학의 요체를 압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래서 읽기가 난해하다. 이 작품이 국경과 시대를 넘어 중국과 한국에서 거듭 주해된 사실에 유의하여, 이 글은 세 주해본 사이의 차이, 주해자의 태도, 주해의 배경 등을 서로 비교해보되, 특히 청량문익(법안문익)의 주에 논의의 주안점을 두고 있다. 청량문익은, 이 작품을 최초로 주해하여 이 작품의 禪學的 가치를 부여하고 이를 선학의 자료로 삼고자 했던, 상찰과 동시대 인물이다. 그는 중국의 선종 5파 중에서 法眼宗의 개조가 된 유명한 선사이다. 그의 주해는, 각 篇名의 취지와 의미를 분명히 하고, '정위'와 '편위' 어느 곳에도 머물지 말라고 하는, 작품에 나타난 조동 선풍을 충실히 살리고 있다. 그의 기본 태도는, 작품에 숨겨진 조동의 가풍을 조동의 가풍답게 하는 것이다. 선학의 교육 자료로 널리 이용된 그의 주해본은, 동시대 중국의 선풍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그의 주해는 이후의 여러 주해형식의 표준을 제시한 것으로서, 그의 주해가 없었다면 이후의 주해도 나오기 어려웠을 것이다. 주해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주석이다. 15세기 조선 시대의 시인 김시습은, 문익의 주해를 읽고 자신의 독자적인 저술 『십현담 요해』를 완성하였다. 조동종의 선학에 관심이 있던 그는, 자신의 주해서에 문익의 주를 병기하였다. 그의 '요해'는 한국의 불가에서 널리 읽혔고 현대까지 전해지고 있다. 그는 한때 머리를 깍은 승려의 생활을 했으나, 절을 떠나 전국을 주유하며 많은 시작품을 남긴 시인이다. 그의 자유로운 삶은 그의 타고난 기질과 '십현담'에 나타난 '생활 禪'이의 영향이 크다고 생각된다. 20세기 승려 시인 한용운은 '3.1독립 운동' 실패 후 실의에 빠져있을 때, 우연히 김시습의 『십현담 요해』를 읽고, 자신의 독자적 주해서를 완성하였다. 그의 주해는 간명하고, 조동종의 선풍에 구속되지 않는, 현대적 주석이다. 김시습이 선행 주석을 자신의 주해서에 병기하였던 것과는 달리, 그는 모든 선행 주석을 삭제한 『십현담 주해』를 출판하였다. 세 주해본에 나타나는 주해의 차이점들은, 각 주해자의 신분, 관심, 사회적 상황이 서로 달랐던 데서 연유하는 것이다. 문익이 법안종의 개조가 되어 승려 생활을 지속했던 데 비해, 김시습과 한용운은 '非僧非俗'의 삶을 살았다. 한국의 주해자들은 각자가 처한 역경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삶을 찾기 위해 '십현담'을 읽고 또 주석하였다고 볼 수 있다. '십현담'은 '정위'에 안주하는 선학을 부정하고, 생활 속의 실천을 강조하는 선학의 나침반이다. 중국의 승려와 한국 시인에 의해 여러 번 주해되었다는 점에서 특기할만한 작품이다. Siphyundam, written by a Chinese monk-poet Dongan Sangchal (?-961), is a famous series of poems regarded as a standard textbook of Chodongzong(조동종) in China and Korea in the 10-15th century. As these poems were very hard to understand, three annotated editions were published for readers. Buban Moonik(885-958), a Chinese famous monk who was the founder of Bubanzong(법안종, Buban Zen School), is the first annotater of Siphundam. He published the first annotated edition of the work for using it as a textbook to teach monk the Chodong Zen traditions. He interpreted the poetic words and difficult figurative expressions in the text and explained the author's original intention in his annotation. He elucidated the aims of each poem, and the meanings of the each lines, and the structure of poems. Later, his edition was regarded as a standard form of annotated Siphuyndam. Kim Si-seup(1435-1493), a famous monk-poet in Chosun dynasty, and Han Yong-woon(1879-1944), a poet and one of the leaders for national independence campaig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published their new annotated editions in the 1475 and in the 1926 in Korea. Although they followed their previous annotater's standard form,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ir attitudes of interpreting Siphyundam. As Kim had studied Chodongzong Zen traditions for a long time, he wanted to interpret the meanings of the text. correctly through 'author's eyes', to revive the Chodongzong traditions in his age. He used his unique poetic words and expressions to remake a new Korean annotated edition. But Han wanted to be free from the Chodongzong Zen tradions. So he made a compact and modern style in his own edition, removing the two previous annotaters' notes on the Siphyundam. His aim was to recreate Siphyundam itself in the 20th with his own style, not to follow both the traditional Chodongzong Zen and the previous editors' annotations. He was interested in 'the doctrines about Jungui(정위)/Pyunui(편위)', which were indicated in the Sangchal's Sipyund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