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OOC에서 사전 인출 연습과 피드백 유형이학업성취와 학업 지속 의향 및메타인지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

        서일보 한국교육공학회 2023 교육공학연구 Vol.39 No.4

        This research aims to discern the distinct impact of variations in weekly test scores, final exam scores, persistence intention, and metacognitive judgment in a MOOC learning environment, contingent on the utilization of Pre-Retrieval Practice and the types of feedback employed.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a control group, engaging in restudying with or without pre-retrieval practice, and an experimental group actively participating in pre-retrieval practice. The experimental group was further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based on the nature of feedback provided(Experimental Group 1: knowledge of results, Experimental Group 2: knowledge of correct response, Experimental Group 3: elaborated feedback). Learners underwent a five-week K-MOOC course under specified learning conditions. Persistence intention and metacognitive judgment were assessed through a survey post the last learning week, while the final exam was conducted one week thereafter. Key findings include th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2 in weekly pre-retrieval practice compared to Experimental Groups 1 and 3. Variations were also observed among groups in items retrieved and the mean of final exam scores. Persistence intentions and metacognitive judgments were found to exhibit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groups. These results offer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in the field.

      • KCI등재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사전인출연습이 학습성과 및 전이에 미치는 영향

        서일보,홍주영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learning activity conditions affect learning outcomes, transfer, and metacognitive judgments during the learning of four online learning contents of approximately four minutes per segment.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120 university students, and data from 112 students (pre-retrieval group: 37, relearning group: 37, no-test group: 38) who faithfully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process were used for analysis. The students in the study followed the activities assigned to each group while learning segments 1-4 and made metacognitive judgments at the end of the study. A final exam was administered three days after the end of the study s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1) the pre-retrieval and relearning groups outperformed the no-test group on the immediate test, (2) metacognitive judgments predicting performance on the final tes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learning group, and (3) the pre-retrieval group outperformed the no-test group on both memory and transfer questions on the final tes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e-retrieval with a high probability of failure before learning and then proceeding with the main learning can increase the degree of objectification of learning judgments and positively affect elaborated representations. This study has practical significance as it shows that pre-retrieval practice i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in online learning activ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분절 당 약 4분 정도의 온라인 학습콘텐츠 4개를 학습하는 동안 학습활동 조건에 따라 학습성과와 전이 그리고 메타인지적 판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무선할당 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통해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과정에 충실히 참여한 112명(사전시험 집단: 37명, 재학습 집단: 37명, 무시험 집단: 38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분절 1-4를 학습하는 동안 배정된 학습활동에 따라 학습을 진행하였고 학습 종료 시점에 메타인지 판단을 하였고 3일 후 최종시험을 치렀다. 연구 결과, (1) 즉시시험에서는 사전인출집단과 재학습집단이 무시험 집단에 비해 높은 학습성과를 보였다. (2) 최종시험에 대한 성적을 예측하는 메타인지 판단은 재학습을 한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3) 최종시험에서는 사전인출집단이 기억과 전이 문제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학습성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습 전에 실패 확률이 높은 사전인출을 한 다음 본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학습 판단에 대한 객관화 정도를 높이고 정교화된 표상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온라인 학습활동에서 사전인출연습이 효과적인 학습방법임을 보여준는 점에서 실제적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교수와 학생 인식 차이와 교육요구도 분석-A전문대학을 중심으로

        서일보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1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 차이와 교육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한 문항을개발하여 조사를 시행한 결과 22년 11월에 2주 동안 교수 33명, 재학생 502명이 응답하였다. 분석방법은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였다. 첫째, A전문대학의 교양교육에 대한교수와 학생 간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문항에서 교수와 비교하면 학생이 교양교육과정에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와 학생 모두 공통적으로 ‘교양교육 수준의 적절성’ 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문항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항목은 ‘개설 교과목수의 적절성’, ‘직업인으로 성장 도움’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리 대학의 교양교육과정의 교육요구도를Borich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로 분석한 결과, 교수는 ‘학습에 적합한 교수법으로 강의진행’, ‘학생과 충분한 의사소통’, ‘교양과목 선택의 다양성’을 학생은 ‘학습내용에 적합한 교수법으로 강의진행’을 최우선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판단했다. 셋째, 교양교육 구성내용에 관한 요구를 Borich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로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역량은 ‘의사표현’, ‘협상능력’, ‘자기관리’로 교양교육과정 개편 시 우선적으로 해당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과목 배치를 고려할필요가 있다. 이들 결과를 기반으로 더 나은 교양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양교육 선택의 폭을넓혀 주는 방안을 모색하고 대학의 교양교육 개편 시 전공에 따라 중요한 직업기초 능력을 도출한결과를 교양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 측면에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학과별 상이한재학 기간과 제한된 졸업학점으로 인해 교육수요를 온전히 반영하는 과정을 설계하는 데는 현실적인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학생들의 교육 개설 요구를 세밀히 분석하여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수요를 유연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온라인 수업에서 인출연습유형과 인출간격이 학습잡념과 메타인지 판단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서일보,강이철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in mind wandering, metacognitive judgments,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retrieval practices and retention intervals for online classes and to explore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retrieval practice type and retention interval. Participants studied online contents according to the assigned retrieval practice type and performed learning activities by conditioning. While learning according to the retrieval practice, subjects reported whether mind wandering occurred at each end of the learning phase and for metacognitive judgments after completing the last learning material. To assess the achievement, the experiment participants took the final test after 5 minutes or 7 day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retention interval.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trieval practice groups reported a relatively low level of mind wandering during learning compared to the group that conducted the restudy, indicating that they were thinking about the learning contents. Second, the pre- and post-retrieval practice group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the value of metacognitive judgments that predicte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the final exam when the retention interval was longer, unlike the restudy group. Third, there exists an interaction between the type of retrieval practices and the retention intervals, and this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인출연습형태와 인출간격이 학습잡념, 메타인지적 판단, 학업성취에 어떠한 차별적인 영향을 주는지 탐색하고, 지연 기억에 대한 인출연습유형과 인출간격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실험참가자는 배정된 인출연습유형(재학습, 사후인출, 사전인출)에 따라 온라인 콘텐츠를 학습하고 조건별 학습활동을 수행했다. 학습활동 중간에 학습잡념이 발생했는지 응답했고 메타인지적 판단을 측정하기 위해 학습자는 마지막 자료 학습 완료 후 이전 학습 내용에 대한 시험을 볼 경우 정답률을 예측하도록 했다. 학업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해 실험참가자들은 인출간격 조건에 따라 5분 또는 7일 후 최종시험을 쳤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출연습 집단은 재학습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학습잡념 수치를 보고하여 학습내용과 관련한 생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과정에서 인출연습 경험은 반복학습에 비해 학습과 유관한 생각을 하도록 유도하여 향후 장기기억과 파지를 더욱 향상시킬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재학습 집단과는 달리 사전인출연습, 사후인출연습 집단은 인출간격이 길어질 경우 최종시험의 정답률을 예측한 메타인지적 판단 수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과정에서 인출연습 경험은 성공적인 학습을 위한 중요 요인이며, 향후 기억력 및 메타인지적 판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인출연습유형은 인출간격과 상호작용하여, 학업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했다.

      • KCI등재

        교수역량 진단에 기반한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교육요구도 분석: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서일보,홍주영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3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6 No.4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the teaching competencies of professors at University A and to derive the priorities for a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based on this assessment. To diagnose the teaching competency at University A, a diagnostic tool was developed, ensuring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a review of preceding studies and two rounds of modified Delphi method. Utilizing this diagnostic tool, the teaching competency of 184 full-time faculty members at University A was assessed, among which data from 117 respondents were utiliz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non-responses and insincere data. For the educational needs analysis, Borich needs assessment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employed, with the results forming the basis for deriving the priorities of teaching competency and ongoing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s at University A.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diagnostic tool comprises 'Basic Competency,' representing the fundamental aptitudes required of a university professor, and 'Teaching Competency,' denoting the abilities necessary for conducting lectures. Basic competency consists of three sub-competencies and ten behavioral indicators, while teaching competency comprises five sub-competencies and twenty-two behavioral indicators. Secondly, as per the diagnosis at University A, the priority item in basic competency was identified as 'continuous research on specialized knowledge,' whereas, in teaching competency, priority items were 'setting teaching objectives,'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c planning considering students’ levels and characteristics,' 'complementing lecture contents and methods based on student feedback,' and others. Thirdly, based on the teaching competency diagnosis and ensuing educational needs analysis, the top-priority programs within the ongoing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at University A were identified as 'support for faculty research groups for enhancing professional competency,' 'understanding learning for successful university lectures,' 'course design and syllabus writing,' 'motivational strategies for lectures,' 'CQI and course portfolio workshops,' 'lecture recording and analysis/consulting,' and 'sharing expertise on excellent lectures.' These mainly encompassed competencies related to lecture preparation, evaluation, and feedback. Based on these analyses, suggestions and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competency of professors at University A were proposed.

      • KCI등재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도 교육프로그램 사용자 경험 분석

        서일보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2 독도연구 Vol.- No.3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Dokdo education program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The metaverse-based Dokdo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over two weeks from April 18, 2022 to April 30, 2022. The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user experience consisted of 15 questions in 10 areas, and a 5-point Likert scale applied. As for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using the metaverse, content memory,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and overall satisfaction were relatively high, but content understanding and location information were relatively low. In other words, education using the metaverse wa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its application to education 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learning and promoting learners' interest to enable immersive education. In order to further activate education applying the metavers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elect a metaverse platform suitable for the purpose and target of the class and conduct various types of empirical research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with a design that can achieve the learning purpose.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를 활용한 독도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메타버스 기반 독도 교육프로그램은 2022년 4월 18일부터 22년 4월 30일까지 2주에 걸쳐 진행하였다. K-MOOC 교과목인 ‘역사와 자연생태로 알아보는 독도 이야기’ 수강생 250명이 메타버스를 경험 후 128명이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 내용은 교육만족도와 플랫폼 사용경험이 포함된 사용자 경험설문으로 10영역 1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리커트 5점 척도가 적용되었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내용기억, 지속참여의향, 전반적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내용이해와 위치정보파악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플랫폼 사용경험은 유희성과 몰입감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인지적 어포던스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은 학습의 효율성 제고, 학습자의 흥미를 촉진시켜 몰입감 있는 교육을 가능하게 하여 교육에 확대 적용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메타버스를 적용한 교육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수업 목적과 대상에 맞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선정하고 학습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설계로 수업의 효과성을 살펴보는 다양한 형태의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중간시험이 학습잡념과 노트필기 및 학습 성취에 미치는 영향

        서일보 ( Ilbo Seo ),강이철 ( Echeol K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4

        이 연구는 분절 당 7-8분 정도의 온라인 학습콘텐츠 4개를 학습하는 동안 학습 과정 중 학습내용과 관련된 시험치기 학습활동이 학습 과정(학습잡념, 노트필기)과 학습 성취(즉시시험, 지연시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114명(실험 1: 45명, 실험 2: 69명)을 대상으로 무선할당 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통해 두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과정에 충실히 참여한 109명(실험 1: 42명, 실험 2: 6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1에서 중간 활동의 조건에 따라 분절 1-3 동안 강의 콘텐츠를 학습 후 중간시험을 치는 실험집단(n = 21)과 4번째 분절의 즉시시험만 치는 통제집단(n = 21)으로 나누어 진행했다. 실험 2에서는 분절 1-3 동안 재학습을 하는 실험집단 2(n = 23)를 추가하여, 연산 문제를 푸는 통제집단(n = 22)과 중간시험을 치는 실험집단 1(n = 22)과 같이 세 집단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피험자들은 중간 활동 조건에 따라 학습을 진행하면서 학습 단계가 끝날 때마다 학습잡념이 발생했는지에 대해 응답했고, 학습 종료 후 제공한 학습자료에 핵심내용을 작성하였는지 확인하였다. 학습 성취는 분절 1-3까지 학습을 하는 동안 집단 간 상이한 중간 학습활동이 분절4의 시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분절 4의 즉시시험과 2주 후 지연시험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험 1에서는 중간시험을 치는 실험집단이 연산 문제를 푸는 통제집단보다 낮은 학습잡념과 우수한 즉시시험, 지연시험 결과를 얻었다. 실험 2에서는 연산 문제를 푸는 통제집단의 학습잡념이 가장 높았고, 즉시시험에서는 재학습을 하는 실험집단 2와 중간시험을 치는 실험집단 1이 높았고, 2주 후 지연시험에서는 중간시험을 치는 실험집단 1이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는 온라인 학습 콘텐츠 내 중간시험 삽입이 학습잡념을 낮추고 학업 성취를 높여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polated testing on the learning process(mind wandering, note-taking) and academic achievement(immediate test, delayed test) while taking a video-recorded lecture that was divided into four segments(7-8 min each). A total number of 114(exp. 1 = 45, exp. 2 = 69) undergraduate studen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nd the data of 109(exp. 1 = 42, exp. 2 = 67) students who fully participated were used for analysis. In experiment 1, half of the students were tested after each lecture segment(experiment group = 21), and the other half were tested after the fourth lecture segment(control group = 21). The experiment 2 was conducted in three groups, as experiment group 2(n = 23) which re-studied during segments 1-3 was added to the control group (n = 22) that solves the arithmetic problems, and the experiment group 1(n = 22) that took the intermediate test. While learning according to the intermediate activity conditions, subjects responded to whether mind wandering occurred at each end of the learning phase and checked whether they wrote notes on the learning materials provided after the learning was completed. Learning achievement was compared with the immediate test of segment 4 and the delayed test after 2 weeks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fferent intermediate learning activities on the test of segment 4 when learning up to segments 1-3. As a result, in experiment 1, the experimental group(tested) obtained lower mind wandering and higher immediate test and delayed test results than the control group(non-tested). In experiment 2, the mind wandering of the control group(non-tested) was the highest, and in the immediate test, the experimental group 2(restudy) and the experimental group 1(tested) were higher. In the delayed test after 2 weeks, experimental group 1(tested) obtained excellent results. These two experiments demonstrate that the simple act of interpolating online lectures with memory tests can help students sustain attention to lecture content in a manner that discourages task-irrelevant mind wandering, and improves learning results.

      • KCI등재

        대학 비대면 교양수업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 차이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일보(Seo, Il Bo)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비대면 교양수업을 경험한 교수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실태 및 수업만족도 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온라인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비대면 교양수업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교수 81명과 수강한 경험이 있는 재학생 560명을 연구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내용은 학습경험, 몰입도, 성취도, 수업만족도, 지속수강의도, 그리고 향후 비대면 교육의 개선을 위한 보완점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첫째, 학습경험의 수업내용과 평가, 몰입도, 성취도, 수업만족도에서 교수와 학생 간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요인 중 평가를 제외하고 학생이 교수에 비해 비대면 교양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교수와 학생 각각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 다. 그 결과 교수자의 경우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취도, 상호작용으로 도출되었고 학생은 몰입도,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교수와 학생의 비대면 교양수업의 보완사항으로 교수는 상호작용이 결여된 수업 지행, 학생은 영상콘텐츠의 질 개선을 요구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비대면 교양 수업 개선을 위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online education in the future were derived by ide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educational status and class satisfaction of professors and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non-face-to-face liberal arts classes at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81 professors who have experience running non-face-to-face liberal arts classes and 560 current students who have taken such classes were the research subjects. As for the contents of the study, the learning experience, immersion, achievement, class satisfaction, continuing course intent, and supplementary points for the improvement of non-face-to-face education in the future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regarding class content, evaluation, immersion, achievement, and class satisfaction of the learning experience. appeared to have a positive perception (who appeared to have this perception?)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professor and student to derive factors affecting overall satisfaction. As a result, in the case of instructors, 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were derived from achievement and interaction, and for student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immersion, and inter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ird, as a complement to non-face-to-face liberal arts classe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the professors demanded that the classes be conducted without interaction, whereas the students demanded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video content. In this study, by synthesizing the above results, implicat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for the improvement of non-face-to-face liberal arts classes in the future.

      • KCI등재

        중등교육에서 학습전략과 과제수행동기의 산문파지 효과

        홍주영,서일보 한국교육방법학회 2023 교육방법연구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learning strategies on task performance motivation on retention in a passage comprehension task. The study employed two learning strategies, retrieval practice and repeated reading, and measured task performance motivation regarding task importance and task effort.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42 first-year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one using free recall and the other using repeated reading. The experimental treatment included two relearning sessions after the initial learning and the SOS measurement, and the final free recall test was conducted two days later. Task performance motivation was measured using the Student Opinion Scale (SOS), which comprised eight questions using a Likert 6-point scale. The results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tention between retrieval practice and repeated reading. There were differences in task performance motivation including task importance and task effort between the two learning strategies. The task performance motivation of students exhibited higher task performance motivation during repeated reading than during retrieval practice. The covariate analysis controlling for task performance motivation demonstrated that retention was higher for retrieval practice than for repeated reading. The subfactor that influenced retention between 2 strategies was task effort. These results confirm that retrieval practice is a more effective learning strategy than repeated reading, while the desirable difficulty of task effort is a crucial factor in predicting learning outcomes. This demonstrates that how learners exert effort during task performance is more important in academic achievement than simply valuing the task. This finding provides educational implications b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ask effort in learning outcomes. 이 연구의 목적은 산문 기억과제에서 학습전략과 과제수행동기가 파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학습전략은 인출연습과 반복읽기였으며 과제수행동기로 과제중요성과 과제노력을 측정하였다. 실험 대상자는 여자고등학교 1학년 42명이었으며, 두 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자유 회상방식의 인출연습을 하는 집단과 반복읽기를 하는 집단을 구성하였다. 실험처치는 초기학습 후 집단별 2회 재학습을 실시하고 SOS측정을 실시하는 것으로 설계하였다. 처치 2일 후 자유회상 방식으로 파지를 인출하는 최종시험이 있었다. 과제수행동기는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여 8개의 질문으로 구성된 학생의견척도(SO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인출연습과 반복읽기의 파지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과제중요성과 과제노력을 포함하는 과제수행동기에서는 두 학습전략 간 차이가 있었다. 참가자들의 과제수행동기는 인출연습보다 반복읽기에서 더 높았다. 과제수행동기를 공변인으로 분석한 결과는 반복읽기보다 인출연습의 파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수행동기 하위요인 중 학습전략 간 파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과제노력이었다. 이 결과는 인출연습이 반복읽기보다 효과적인 학습전략이며 과제노력의 바람직한 어려움이 학습효과 예측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사실임을 확인하고 있다. 이는 학습자가 과제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보다 과제를 수행할 때 노력을 어떻게 하느냐가 학업에 더 중요하다 사실을 증명함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