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다목적실용위성 3A호 Side-Slither 영상을 활용한 SNR 측정 알고리즘 개선

        서유경(Seo, You-Kyung),이동한(Lee, Dong-Han),최석원(Choi, Seok-Weon),진경욱(Jin, Kyong Wook),유대훈(Yoo, Dae-Hoon),정재헌(Jung, Jae-Heon),서두천(Seo, Doo-Chun) 한국측량학회 2021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1 No.11

        본 논문에서는 다목적실용위성 3A호 Side-Slither 영상 내에서 균일한 영역 탐지를 통하여 추출된 최적의 샘플을 이용하여 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를 측정한다. DN 별 Local SNR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영상의 SNR 및 KOMPSAT-3A SNR 결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Side-slither 영상을 통하여 얻은 SNR 결정계수는 향후 일반촬영 모드 영상 SNR 측정 결과에 대한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청각장애학생들의 정서표현어휘 이해능력과 얼굴표정 읽기능력의 관계 탐색

        서유경 ( Seo Yoo-kyung ),서중현 ( Seo Joong-hyun ),안성우 ( Ahn Seoung-wo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4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청각장애학생들의 정서표현어휘 이해능력과 얼굴표정 읽기능력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청각장애 중,고등학생 26명, 건청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3명, 건청 중학교 3학년 학생 31명, 총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서표현어휘 이해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들이 만든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얼굴표정 읽기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눈에 깃든 마음읽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청각장애학생들의 정서표현어휘 이해능력은 건청학생들에 비하여 열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얼굴표정 읽기능력은 건청학생들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정서표현어휘 이해능력을 통제하였을 때 청각장애학생들의 얼굴표정 읽기능력은 건청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표현어휘 이해능력과 얼굴표정 읽기능력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청각장애학생이 건청학생보다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청각장애학생과 건청학생의 정서표현어휘 이해능력과 얼굴표정 읽기능력은 상관관계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d a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lated word knowledge and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Method: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26 hearing impaired students in middle or high school, 43 normal hearing 6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nd 41 normal hearing 3rd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Emotion related word knowledge task and Reading the Mind in the Eyes for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were conducted. Results: First, hearing impaired students` emotion related word knowledge was inferior to that of hearing students. Second, hearing impaired and normal hearing students showed similar performance for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Third, hearing impaired students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6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on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task after controlling emotion related word knowledge. Forth, emotion related word knowledge and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were correlated significantly. Conclusion: Th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of correlation between emotion related word knowledge and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of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숙향전>의 정서 연구

        서유경 ( Seo Yu-ky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1 고전문학과 교육 Vol.22 No.-

        이 논문은 <숙향전>에 나타난 정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숙향전>은 대부분의 서사가 숙향이 고난을 겪고 극복해 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러한 과정에 정서가 표현되고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숙향이 겪는 고난의 경험과 해소 과정에서 어떠한 정서가 어떻게 구조화되고 있는지를 경판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숙향전>에서 정서는 숙향을 중심으로 한 슬픔이 전체 서사 내에서 고난의 연결 관계로, 대비적 공간의 교차로, 관계의 단절로 표현, 심화되어 나타나면서 결말에 이르는 동안 해소되는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다. <숙향전>에서 고난은 연쇄적으로 일어나면서 숙향이 반복적으로 슬픔에 빠지게 하고 다시 고난을 겪었던 공간을 확인하면서 치유하게 하는 방식으로 구조화되어 있다. 그리고 <숙향전>에서 지상계와 천상계라는 서로 단절되어 있으면서도 연결되어 있는 공간의 교차에서, 또한 숙향과 다른 인물들이 맺었던 관계가 끊어졌다가 회복되는 과정에 숙향의 정서가 표현되고 있다. 이러한 정서 표현은 슬픔의 정서가 지닌 다양한 맥락을 아우르면서 보편성을 지니고 있다는 데에서, 인간이라는 존재가 지닌 근원적 한계에 대한 통찰을 보인다는 것에서, 슬픔의 경험과 해소 과정이 구원을 향한 노정으로 구조화되어 있는 것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숙향전>은 결말 구조로 볼 때에는 행복한 이야기일 수 있지만, 그 행복한 결말에 이르는 과정이 매우 험난하고 서사의 대부분이 그러한 고난이라는 점에서 슬픔을 중심으로 정서를 다루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고전소설과 같은 서사문학 작품에서 정서의 표현을 분석하는 것은 독자와의 소통, 나아가 고전소설교육의 기초를 제공하는 의의를 지니리라 기대한다.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the emotion in < Sukhyangcheon >. In this thesis, the majority of the narrative in < Sukhyangcheon > is composed that Sukhyang undergoes the hardships and overcomes the difficulty, so the emotion is represented in such process. Therefore it is analyzed that what kind of emotion is organized through Sukhyang's hardships and overcoming process on Kyungpan version. The emotion expressed in < Sukhyangcheon > is Sukhyang's grief from the hardships connected relation, crossing of the comparative space, and the rupture of the relationship with Sukhyang, and then the grief is gotten rid of passing through the narrative. As the hardships in < Sukhyangcheon > occurs in chain, Sukhyang falls into grief repeatedly, and finally Sukhyang is cured from grief. Secondly, the emotion of Sukhyang is expressed in crossing of the disparate and connected space. And Sukhyang's emotion is revealed in the process of the recovery from separated relation with other people. We can find the meanings of this expressed emotion as follow; the emotion of the grief has the universality putting together various context in < Sukhyangcheon >, the emotion of grief is the discernment about the fundamental limits that human has, the emotion of grief is represented as the route to the relief. Although < Sukhyangcheon > has the happy ending, but the process to the happy ending is very rough, so it is possible to find the emotion of the grief in < Sukhyangcheon >.

      • KCI등재
      • KCI등재

        개별 논문 : <전우치전> 읽기의 문화적 확장 탐색 -<전우치전>과 <브루스 올마이티>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서유경 ( Yu Kyung Seo ) 한국독서학회 2008 독서연구 Vol.0 No.20

        이 연구는<전우치전>의 도술적 성격과 삽화 나열적 구성이 이야기 향유에서 나온 특성이라 보고, 이를 문화적으로 확장하여<브루스 올마이티>읽기로 나아가 보고자 하였다. 이는 <전우치전>을 하나의 완결적 구조로 창작된 예술 작품이라기보다는 당시 향유층의 취향과 요구에 의해 집단적으로 만들어지고 향유된 이야기로, 향유자에 따라 새로운 이야기 요소의 추가나 변형이 가능한 열린 구조로 보는 관점이다. 고전소설<전우치전>을 영화<브루스 올마이티>와 관련지어 보고자 한 것은<전우치전>의 특성이 고전소설 읽기의 의미를 현대 대중문화로서의 영화 읽기로 확장할 수 있는 계기를 준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전우치전>과<브루스 올마이티>는 고전소설과 영화, 고전과 현대라는 차이가 있지만 비교해 볼 만한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 두 작품은 인물 이야기로서 소망 성취 구조를 공통적으로 보여주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서로 다른 시대에 만들어지고 향유되었지만 대중적으로 향유되는 이야기의 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고전 소설과 영화라는 서로 다른 시대의 다른 매체, 다른 양식임에도 불구하고 비교하여 볼 수 있는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이를 위해 우선<전우치전>에서 전우치의 도술 행위, 즉 영웅적 행위가 어떠한 목적으로 실현되는지, 그래서 전우치라는 인물이 어떻게 형상화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그 의미를 향유 문화적으로 해석하고, 현재의 문화와 관련지어<브루스 올마이티>와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전우치전>과 <브루스 올마이티>는 도술적 능력과 전능성, 주관적 정의 실현과 개인적 욕구 충족, 한계 인식과 깨달음을 통한 자아 성장으로 대비할 수 있었다. 이러한 탐색이 고전소설 읽기를 현대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보편적 향유 방식을 도출하고 고전과 현대를 더욱 활발히 관련짓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eonUchi-Cheon is Taoist magic and the arrangement of various episodes, so it is possible to read CheonUchi-Cheon in relation to Bruce Almighty with culturally expanded view. This viewpoint is regarding CheonUchi-Cheon as the open structure narrative enjoyed collectively by the taste and demand of the reading group rather than the created work of art. The reason of reading Korean classical story CheonUchi-Cheon in relation to the movie Bruce Almighty i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eonUchi-Cheon has the opportunity of expanding Korean classical novel to the contemporary popular culture. CheonUchi-Cheon and Bruce Almighty have something in common as well as the differences. These two works have the similarity that is one person`s story and showing the structure of accomplishing his desire. And these are enjoyed collectively narrative as same although produced and accepted in different age, so it is meaningful to compare these two works. For this purpose, it was analyzed that why CheonUchi act Taoist magic, what is puorpose of CheonUchi and how CheonUchi figured to the hero, and next researched the meaning of them with cultural view. And finally, it was compared CheonUchi-Cheon and Bruce Almighty and the result is as follow; power of Taoist magic to almightiness, enforcement of the subjective justice to sufficiency of the personal desire, and recognizing the limitation of the power to growing by the illumin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like this should expand the boundary of reading Korean classical novel and relate Korean classics and our present age more actively.

      • KCI등재

        과거의 독서 공간과 독서 방식

        서유경 ( Seo Yukyung ) 한국독서학회 2018 독서연구 Vol.0 No.48

        독서 공간의 문제는 독서 주체, 독서 방식, 책의 발달 등과 관련하여 달라졌다 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독서 공간은 외형적으로 존재하는 모습이 달랐고, 독서 주체에 따라 독서 공간에 대한 인식도, 독서의 방식도 달랐던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과거에 독서 주체에 따라 달랐던 독서 공간과 독서 대상, 독서 방식 등을 살피고, 그 의의를 살피고자 하였다.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볼 때, 독서 공간은 독서의 방법과 목적에 따라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독서 공간의 유형에 따라 누릴 수 있는 독서주체 역시 달랐던 것으로 보인다. 독서 주체의 다양함은 독서하는 이에 따라 읽을 수 있는 문자의 차이, 즉 성별이나 계층에 따라 달랐던 문자 문식성의 차이와 관련된다. 과거 우리의 문자 생활을 기준으로 할 때 독서의 주체는 사대부 남성, 사대부가 여성, 평민 남성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독서 공간을 1) 이상적으로 독립되어 존재하는 독서 공간, 2) 일상생활 속에 사적으로 존재하는 독서 공간, 3) 집단적이면서도 유희적 독서가 이루어지는 공간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독서 공간은 그 존재 양상에 따라 독서 주체와 독서 방식이 달리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독서 매체의 변화와 함께 독서 공간도 달라지면서 독서 방식도 달라졌음을 알 수 있다. An issue of reading areas has been changed depending on who read, how to read, and development of books as media. In light of Korean history, the reading areas - were physically changed, such as interior decoration - as well as the reading patterns were changed by who read. This research studies the reading areas depending on who read, purpose of reading, and target people who would read in the past, particularly the Joseon Dynasty period. Based on these investig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the reading patterns by the reading areas.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reading areas could be categorized by method and purpose in reading. And the categories could be varied by people who would read. The diversity of people who would read is related to literacy difference by people for reading which means assorted literacy, such as different characters by gender or hierarchy. In reviewing Korean literacy life in the past, people to read c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gentry men, women in gentry family, men who belong to common people. This classification divides the reading areas into 1) ideally separate rooms, 2) private space in daily rooms, and 3) rooms for enjoyment as a group. These categorized reading rooms influenced change of people who would read and method in reading. And through change of books as media, the reading rooms were changed when the method in reading was chang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고전소설교육 설계

        서유경 ( Seo Yu-ky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5 고전문학과 교육 Vol.10 No.-

        This study focused on the digital storytelling as an important factor of digital culture, and researched how we can apply it to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s well as what the digital storytelling is. In this paper, the design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means designing contents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Digital storytelling is worth to pay attention in the point of view that it inherits traditional culture of literature, that is the storytelling, and is linked to the digital culture arisen from new technology. So this paper seeks to find the way how to apply digital storytelling to the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nd try to estimate what is possible and what is impossible. The process of research construct following matters : the core concept of digital storytelling, the characteristic of contents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and the limits, the structure and pattern of developing contents, the method of applying digital storytelling to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The essential part of digital storytelling is 1)multimedia, 2)hypermedia, 3)the nature of narrative. And we can design contents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using digital storytelling as follows : in the viewpoint of knowledge education, education for enjoying classical literature, reproduction and creative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