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역사도시경관으로서 세종대로 (구)국세청 별관 부지 설계

        서영애,Seo, Young-Ai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1

        서울시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일제 강점기에 지어져 최근까지 사용했던 세종대로 (구)국세청 별관을 철거하고 시민의 공간으로 재조성하고자 설계공모를 시행했다. 본 연구는 설계공모에 출품된 설계안 중 하나로 대상지의 역사 맥락을 통해 장소 특성을 분석하고 개념을 도출하여 설계 전략과 내용을 서술했다. 지침서상 광역 분석과 세종대로의 가치와 문화 유산과의 연계방안을 고려하여 과거와 현재, 미래로 이어지는 공간이 되도록 명시하고 있다. 세종대로는 조선 건국에서 대한제국기, 일제 강점기와 현대에 이르기까지 도로구조의 변화와 함께 중요한 사건과 활동이 일어나는 중심공간이다. 대상지 배후지역인 정동은 근대 태동기 문물이 도입되는 첨단의 장소였으며 인접한 덕수궁, 성공회성당, 서울시 의회건물도 많은 변화를 거치며 현재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역사도시경관 관점으로 광역 분석을 통해 길과 광장의 의미를 고찰했다. 정동과 대상지 주변의 변화와 현황을 분석하고 설계의 주요 개념을 공공성의 회복으로 설정했다. '리-퍼브릭'은 고종이 선포한 대한제국의 이념을 상징하는 중의적 개념이다. 대상지의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열림, 연결, 비움으로 설계 키워드로 주요 전략을 수립하여 대안 검토를 통해 8% 경사 광장을 계획했다. 대상지 현황을 반영하여 장애자, 노약자 등 누구나 편하게 접근 가능한 램프 구조로 계획하며 인접 대지와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도모했다. 성공회 성당 레벨의 테라스 광장과 보도에서 이어진 주 광장은 계단실 등과 같은 건축물의 신축 없이 완전히 비움으로써 열린 조망을 확보하고 다양한 현대 도시 활동을 담을 수 있도록 계획했다. 설계안은 고종이 지향하던 근대적 민주개념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으로 장소의 가치를 다시 공공에게 환원하는데 기여하도록 했다. 본 연구는 역사적 배경과 중층의 시간이 쌓인 대상지 설계에 대한 방향성을 제고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nounced an open design competition for reconfiguring the annex building of the National Tax Service Building site on Sejong-daero as a space for citizens to commemorate the 70th anniversary of Korea's liberation. The site, buil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s been in use ever since. This study, as one of the entries for the competition, described the strategy and design contents by drawing the concept and main points of the design through an analysis of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site. As the guidelines instructed to consider the value of the Sejong-daero area and the cultural heritage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this study specified the site as a place connect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Since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the Korean Empire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ejong-daero has been a main site for important events and activities along with the change of the city structure. Jungdong, to the rear of the site, was a place for adopting new culture during the beginnings of modern Korea, while adjacent places like Duksugung, the Anglican church, and the Seoul City Council building have also been historic urban landscapes of the historical layers of time as the city has changed. When Gojong announced the Korean Empire, the city structure was remodeled with this site as the center along with Sogong-ro, Wongudan and so forth. In this study, public interest stated in the guidelines was focused and the relevance of the road and the plaza was considered from the view of an historic urban landscape by a comprehensive analysis with Sejong-daero as the center. The restoration of public interest was to be drawn as the concept of the object site by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and the change around the site and Jungdong at the rear. Returning the site to the public is ambiguous with the relevance of the restoration of public interest and as the symbol of the idea of the Korean Empire by Gojong's announcement. The object site, having the characteristic of being returned to the public, must ensure public interest and therefore the design strategy has been established with the keywords of openness, connection and void. As a result of a review of the alternatives, a plan for a square has an 8% slope, just as the original site does, and provides ramps for convenient access for all, including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nd is connected to the grounds adjacent. No construction is allowed at the terrace square of the Anglican church level and the main square connected to the pedestrian street, so a variety of modern city utilization can be done. The value of the site at which this design is aimed shall be given back to the public with the concepts of modern democracy, independence, and the vision of Gojong by reinterpreting the space from a modern viewpoint.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cesses of establishing a main concept and strategy rather than the content of the design details, and the suggestion is meaningful in that the design for the object site with historic backgrounds and the layers of time can continue to be grown.

      • KCI우수등재

        남산 회현자락 설계 공모 출품작에 대한 역사도시경관적 분석

        서영애,Seo, Young-Ai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4

        본 연구는 남산 회현 자락 설계 공모에서 수상한 작품을 역사도시경관 관점으로 분석하여, 각 설계안의 역사도시경관 접근 특성을 분석하고, 한계와 시사점을 도출했다. 회현 자락은 남산에서 한양도성과 공원의 변화가 가장 많은 장소로서 최근 발굴을 통해 조선시대의 성곽 유구와 일제 강점기의 흔적이 확인된 바 있으며, 근 현대의 공원 시설이 공존하는 대상지다. 역사도시경관 개념과 접근 방법, 전문가 논의, 현상 공모 지침서를 토대로 분석의 틀을 도출하여, 분석 항목으로 장소성과 문화다양성의 이해, 시간적 층위의 인식과 설계 구현, 보존과 공원 이용 방법, 향후 관리 방안으로 구분하여 출품작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역사도시경관 관점에서 볼 때 각 출품작은 장소성과 문화 다양성을 이해하고, 시간적 층위를 독창적인 방식으로 설계에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보존 대상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선정하여 창의적인 개입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보존과 이용이라는 상반된 개념을 통합하는 면에서는 보다 실효성 있는 대안이 요구된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보존과 개발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접근 방식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역사적 층위가 중첩된 서울의 가치 있는 대상지의 보존과 관리를 위해서는 조사와 맵핑을 통한 역사경관 기본 계획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외된 지역 주민 참여, 민관 네트워크에 의한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가 확대되어야 한다. 본 연구가 앞으로 역사문화적 가치가 큰 대상지의 설계에 방향을 제고해 줄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tries at the design competition for the Hoehyeon section of Namsan from a perspective of the Historic Urban Landscape and made suggestions from them. Hoehyeon, located at the foot of Namsan, is the most changing site in the park and Seoul City Wall. Recent excavation of the old city walls of the Joseon Era has uncovered evidence of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making it a site where park faciliti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coexist. The frame analysis has been made by the concept of the Historic Urban Landscape, the methods of approach, specialists' discussion and the guidelines of the competition. The entries were analyzed by classification of the understanding of the spatiality and cultural diversity, the recognition of the periodic layers of time, and the design implementation, the preservation, the park plan, and the future management plan. From a perspective of an Historic Urban Landscape, this study has found that each entry placed priority on the objects for preservation and suggested creative involvement and comprehensive designs for the preservation and the park pla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spatiality and cultural diversity and the reflection of the periodic layers of time in the designs. This study provided two implications. Firstly, there was a possibility for new recognition and the methods of approach for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Secondly, the basic plan for the Historic Landscape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research and mapping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objects in Seoul having valuable historic variability. Further study for resident participation and the process by network from public to private should be taken. This study looks forward to the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for the design plans of places with historic and cultural value.

      • KCI등재

        이교원 조경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서영애,최정민,조경진,Seo, Young-Ai,Choi, Jung-Min,Zoh, Kyung-Jin 한국조경학회 2007 韓國造景學會誌 Vol.35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ee Kyo-Won's landscape architecture and add to the literature in this field. Also, the current status of and issues in landscape design will be dealt with through the lens of the individual landscape architect's worts. By adopting a critical analysis, this study will look closely into the background of his career and ideas regarding landscape design. The inherent nature of his coherent style in landscape design will be listed as follows: total design, design-build systems, experimentation with new kinds of plants and materials, and the pursuit of minimalism. His design domain covers various elements such as paving, street lamps, and clock towers, among others. He was often involved in managing outdoor sculpture and he also provided the total packaging of the design-build systems for most of his landscape projects. These are the main reasons why his landscape works can maintain their high end quality; through his craftsmanship, a fine quality of detail was achieved in his landscape design. This tell us the possible options that can be adopted such as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management or landscape architectural turn-key systems, which differ from the prevailing dual system between design and construction. However, his own particular system can not be replicated in ordinary situations because contemporary practices require us to coordinate the various stakeholders concerned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design. In general, it is fair to say that we can give him the credit for enhancing the status of landscape design as an independent, specialized field.

      • KCI우수등재

        일제강점기 광장의 생성과 특성 - 조선은행 앞 광장을 중심으로 -

        서영애,심지수,Seo, Young-Ai,Sim, Jisoo 한국조경학회 2017 韓國造景學會誌 Vol.45 No.4

        광장은 도시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공간이다. 광화문 광장과 서울 광장은 시민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출하는 대표적인 광장이다. 서울 도심 내 주요 광장들은 근대 도시계획이 시행된 일제강점기에 그 형태가 완성되었다. 그중에서 조선은행 앞 광장은 현재까지 '광장'이라고 부르지만, 광화문 광장이나 서울 광장과는 다른 특성이 있다. 일제강점기에 행정, 경제, 문화의 중심이었음에도, 이 광장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 본 연구는 조선은행 앞 광장의 생성 과정과 변화를 통해 광장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조선은행 앞 광장은 토지 매입과 설계 공모를 통해 완성된 기획의 결과물이다. 1910년대에 총독부가 도로의 폭을 넓히는 과정에서 조선은행 앞의 일곱 필지를 매입하여 광장의 공간적 기틀을 마련했다. 1930년대 후반에는 교통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순환식 회전교차로 시스템이 도입되고, 설계 공모를 통해 분수대를 설치하면서 현재의 광장형태가 완성되었다. 광장으로 기획되었으나, 점차 로터리로 변화했다. 둘째, 조선은행 앞 광장은 일제의 권력과 근대성을 과시하는 랜드마크이자 상징 광장이다. 자동차 중심의 교차로와 대형 분수대는 초점 경관을 형성했다. 서양식 대형건물로 둘러싸인 공간을 중심으로 상업 광고와 네온사인이 설치되었다. 조선은행 앞 광장은 당시 근대 도시문화를 체험하는 첨단의 공간이었다. 지배자의 권력을 과시하는 스펙터클한 경관은 경성의 대표 이미지로 소비되었지만, 피지배자에게는 낯설고 소외된 경관으로 인식되었다. 본 연구는 조선은행 앞 광장 자체에 집중하여 생성 과정을 추적하였고, 그 특성을 고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서울의 도시변화와 함께 정치 경제적 여건을 반영한 공간 연구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과제로 남긴다. A plaza represents the identity of a city, and that reveals a plaza's importance. Gwanghwamun Plaza and Seoul Plaza are two representative plazas where the citizens can freely express their opinions. Many major plazas in the center of Seoul were built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Among these, the plaza of Joseon Bank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n Gwanghwamun Plaza and Seoul Plaza. Even though this plaza was built in the center of the commercial, administrational, and cultural distric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esearch on this plaza has been limi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features of this plaza by analyzing its construction and transform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tudy's results outline how the plaza was constructed by the Japanese administration. The intention of the government is shown by the fact that it purchased land parcels and held a design competition. In the 1910s, the government purchased seven parcels of land during the expansion of roads as the place for the plaza. During the late 1930s, the government accepted a traffic circle to regulate the traffic and eliminate the conflict between crossing movements. In 1939, a fountain was built in the plaza's center, and its design was selected through a design competition. It was planned as a square, but gradually turned into a rotary. Furthermore, the plaza was a landmark and symbol of the power and modernity of Japan. As the main modal point of public transportation, the plaza became surrounded with largescale Western-style buildings, commercial advertising, and neon signs. The plaza became a place where people could experience the modern city. These spectacular displays showed that Japanese imperialism was perceived as a strange and peculiar landscape to the majority of Korean citizen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plaza, focusing on its beginning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 of its form. As to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it does not consider political and economic contexts within the transformation of Seoul and in relation to this plaza. Instead, that research remains for a future study.

      • KCI등재

        영화 배경으로서의 도시 공간의 특징과 의미 해석 - 1960년 이후의 한국영화를 중심으로 -

        서영애,조경진,Seo Young-Ai,Zoh Kyung-Jin 한국조경학회 2006 韓國造景學會誌 Vol.34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meanings of urban spaces which are the background of the Korean films, and to capture the interactions of ordinary culture and urban spaces. By reading urban spaces through film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variety of experiences that are hardly captured with direct eyes, specific and vivid urban images, and various events formed by the interactions of spaces and people. The scope of the study is the urban spaces revealed in Korean films portraying cities after the 1960's as their settings, and the total of 18 films was selected with every $4{\sim}5$ films for each time stage. With the selected films, analytical meanings were developed with considering three aspects; 1) phylogenetic meaning that simply reflects social-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2) the outer strum meaning that concerns the situation of special background and film scene, and 3) metaphorical and metanymic meaning on films. According to the appearance frequency, spatial backgrounds of film scenes are mainly alleys, main streets, railroad, loft, and riverside. And then the connection between spaces and meaning clusters was grasped, and reflected meanings were derived for every spaces. And the meaning of urban space in films was analyzed based on the meaning of developments and outer stratum.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and feelings of people in media such as films are more emphasized than in real world. Urban space is not considered as a simple visible shell, but is recognized as 'a real situation' created by people. The intension of this study was to open the possibility of the various views of urban spaces. The construction of the urban space should be approached from a perspective of creating new places at where the space and human beings interact with considerations of stories of various human lives. I hope new vistas can be opened up for the research subjects and methodologies about the hereafter study of urban spaces through the mutual communications with various adjacent regions including films.

      • KCI등재후보

        국어기본법과 한국어교원 자격제도에 관한 제언

        서영애(Seo, Young-a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 No.8

        세계 속에서 경제 강국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한국은 국력과 더불어 그 존재를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다. 정부의 노력과 한류 열풍 또한 한국을 세계 여러 나라 속에서 부각시키는 데 한몫하고 있다. 그에 따라 2000년대 이후에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들이 급속하게 증가하여 왔다. 한국어를 세계에 보급하려는 정부의 노력은 한국어 교육의 확대로 이어지면서 국어기본법 제정 및 한국어 교육 운영지침,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 등을 제정하고 정비하는 성과를 가져 왔다. 그러나 한국어교육 기관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해외로까지 확장되고 있기는 하지만 한국어교육을 담당하는 한국어 교원의 자격과 처우에 대한 제도는 아직도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어기본법 제정과 2000년대 이후 급격한 증가 추세에 있는 한국어 교육 및 한국어교원자격제도 등에 대해 고찰해 보고, 미비한 점에 대한 보완과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South Korea, which is rapidly growing into an economic powerhouse in the world, clearly shows the presence of various aspects along with its national strength. The institutional efforts of the government and the increase in global popularity of Korean Wave are also contributing to highlighting Korea. Due to this phenomenon, foreigners who have tried to learn Korean since the 2000s have been expanding quantitatively. The government s efforts to spread Korean language to the world have led to the expa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s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the Fundamental Law of Korean Language, Guidelines for the Oper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Teacher Qualifications System, etc. In spite of such as policy improvements, and also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and continually expanding overseas, however, the qualifications and treatmen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surroun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cluding teacher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viewpoint of fundamental law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education after 2000 s, and to suggest supplementary and improvement measures.

      • KCI등재
      • KCI등재

        영화에 나타난 센트럴 파크의 문화 경환 해석 - 우디 앨런 영화를 중심으로

        서영애(Young-Ai Seo),조경진(Kyung-Jin Zoh)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8 문화 역사 지리 Vol.20 No.2

          경관은 공동체적인 삶의 흔적이 누적되면서 형성되므로 단지 물리적인 요소와 그것들의 조합되는 방식으로만 이해될 수는 없다. 본 연구는 뉴욕 센트럴 파크를 문화 경관의 관점으로 조망한다. 센트럴 파크는 150여년 이상 그 가치를 인정받으며 한 도시의 특정 공원을 넘어 대형 도시 공원의 대명사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생생한 삶의 이야기가 누적되어 형성되는 센트럴 파크의 문화 경관을 포착하기 위해 오랜 시간 동안 뉴욕에서 꾸준히 작업하고 있는 우디 앨런의 영화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 영화, 소설, 풍경화 등의 재현 매체를 통한 경관 연구는 일상과 밀집한 경관의 의미를 찾아내는데 유용하다. 본 연구는 센트럴 파크의 물리적인 경관 특성을 고찰하고 영화 속에서의 주요 장소와 활동 의미에 대해 사례를 들어 분석한다. 우디 앨런의 영화를 통해서 본 센트럴 파크의 문화 경관은 첫째는 일상과 낭만의 장이라는 점이고, 둘째는 상징과 치유의 장이라는 점이다. 센트럴 파크는 낭만적인 공간으로 삶과 밀착된 일상의 장이며 도시를 상징하는 경관으로서 단순한 자연의 재현을 넘어 도시 생활의 역기능을 치유하는 문화 경관이다. 센트럴 파크가 오랜 역사 속에서 변지 않는 가치를 가질 수 있었던 가장 큰 원동력은 바로 도시 생활과 긴밀히 관계를 맺고 소통하면서 유연하게 진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The idea of landscape is formed by cumulating the communal life and ordinary experience. The essence of landscape cannot be explained by physical elements and its combination but by the people"s perception and colletive memory within it. This study aims at reading the cultural landscape of Central Park, New York by analysing Woody Allen"s films. With the help of films, we can get close to the reality which the park is consumed in the ordinary life. Especially, Woody Allen"s films were selected as the intermediate channel to capture how to use Central Park in everyday life based on several reasons.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Central Park represented in the films can be summarized into several categories. The park is portrayed as the place of everyday life and romantic. The park is also understood as one of the quintessential cityscape, especially New York. Lastly, the park is used as a therapeutic place through dialogue with people and contemplation by himself/herself Reading the cultural landscape of Central Park with the lens of films provides us with recognition of the diverse meanings of the park at present. Hence, we are ready to accept the fact that Central Park has evolved with city life beyond the mere representation of nature and it is widely consumed by various ways in ordinary life experience.

      • KCI등재

        RPC에 기반한 분산 시스템의 디버깅을 위한 이벤트 추적 기능의 설계 및 구현

        서영애(Young-Ae Seo),이은정(Eun-Jung Lee),박창순(Chang-Soon Park) 한국정보과학회 199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5 No.3

        분산 프로그램의 디버깅이 순차 프로그램의 디버깅보다 어려운 이유 중의 하나는 수행 중인 프로세스들 간의 통신때문이다. 비록 분산 시스템을 위해 구축된 디버거들이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세스들 간의 통신 이벤트를 효과적으로 디버깅할 수 있는 실용적인 수준의 디버거는 없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시스템의 개발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RPC 매커니즘을 이용한 프로그램 간의 통신을 효과적으로 디버깅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RPC 통신 이벤트를 디버깅 객체로 정의한 RPC 이벤트 모델을 제안하고, 이에 기초하여 RPC 이벤트 추적 기능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RPC 프로토콜을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메시지의 송 · 수신 이벤트를 라이브러리 함수의 호출과 자료의 값으로 기술하고 해당 라이브러리 함수의 호출이 발생한 위치를 인지함으로써 모든 통신 이벤트의 발생을 탐지할 수 있었다. 제안된 RPC 이벤트 추적 기능은 현재 분산 디버거인 유니뷰 시스템에 구현되었다. 이벤트 추적 기능의 추가적 구현으로 인하여 유니뷰 시스템은 추적된 통신의 내용을 보면서 관련된 소스 코드를 보거나 프로그램을 제어하고, 원격 함수 호출에 사용된 매개변수의 값을 보는 등의 행위가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이벤트 추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별도의 라이브러리나 수행 환경이 요구되지 않음으로, 실제 분산 시스템의 개발 환경에 적용하기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One of the reasons that debugging distributed programs is much more difficult than sequential programs is the communication among processes. Even though there are many debuggers developed for distributed systems, so far no debugger provides an efficient way to debugging communicating events. This paper investigates a way to debug the RPC communication. To do this,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RPC event trace based on the RPC event models, which is proposed to accommodate communicating events into debugging objects. Analyzing the conventional RPC protocols, we formalize library function calls as corresponding actions to sending and receiving of messages. By recognizing the locations of library calls, the debugger can detect all occurrences of communicating events. This RPC event trace function is implemented on the distributed debugger UniVIEW system. The enhanced debugger could provide ways to navigate between programs along with the event communication, and retrieve the values of event related objects and so on. Our debugging system is practically very attractive, because the event debugging scheme requires neither source code modification nor special libr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