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국제법상 공중타격 표적선정의 대상과 제한

        서영득(Young-Duk Suh) 大韓赤十字社 人道法硏究所 2006 人道法論叢 Vol.- No.26

        21세기를 맞이한 오늘날 공군력이야말로 국방력의 핵심요소이고, 전쟁의 최종적인 승리를 위한 공세적 전력임을 부인하는 이는 누구도 없다. 오늘날보다 정밀한 타격이 가능해지면서 공군은 과연 어떠한 표적을 우선적인 타격 목표로 선정하여 야할 것인지에 관한 문제를 떠안게 되었다. 통상 표적선정은 군사적 효용성에 기초를 둔 사실적인 전술판단에 기초를 두고 이루어지게 되지만 최근 국제사회와 국내여론의 ‘깨끗한 전쟁’에 대한 요구는 공군의 표적선정이 타당한 것인가하는 규범적 가치판단 문제 역시 전자 못지않게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공중전력을 이용한 무력충돌과정에서 어떠한 표적을 주된 타격 목표로 선정할 것인가하는 문제는 바로 공중전력의 존재의의 및 활용방침에 관한 근원적인 질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오늘날 공중폭격의 비인간성에 대한 반성적 고려, 기술발전으로 인한 정밀타격무기체계의 개선, 전쟁수행과정에서의 적법성 문제에 관한 인식 증대 등으로 말미암아 작전수행 과정에서 국제관습과 전쟁법에 의한 규제를 폭넓게 준수하여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우선, 1977년 제정된 1949년 제네바 제협약에 관한 제1추가의정서 제52(2)조를 보면 전쟁법이 인정하는 적법한 공격대상에 관하여 공격의 대상은 엄격히 군사목표물에 한정된다고 정하고 있으므로, 공중타격의 표적선정 역시 이러한 범위 내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위 추가의정서를 보면, 공중전력 표적선정의 적법성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을 성문화하여 제시하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1949년 제네바 제협약에 관한 제1추가의정서 제37조, 제 51(4)조, 제51(5)(b)조가 정하고 있는 구별(distinction), 비례(proportionality), 필요(necessity) 및 인도(humanity)의 원칙이다. 공군은 위 각 원칙을 준수하기 위하여 민간인과 여타 보호받아야 할 대상이 입게 될 피해를 최소한도로 줄이기 위한 예방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특히 군사목표물을 직접 타격하는 경우라도 예상되는 군사적 이익에 비하여 부수적인 민간인과 민간물자에 대한 피해가 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그러한 공격은 국제법상 인정될 수 없다. 국제법은 민간인에 대한 보호 외에도 특정 시설에 대해 보다 강력한 보호를 인정하고 있는바 특히 의료요원과 시설에 대해서는 특별한 보호가 인정되고 있다. 전쟁포로와 포로수용소 역시 공격의 대상이 될 수 없고, 적의 공격을 막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도 없다. 이 외에 환경에 대한 부수적인 피해 역시 민간인에 대한 부수적인 피해와 마찬가지로 타격 여부를 결정하는 이익의 비교형량과정에서 고려하여야 할 요소라 하겠다. 다만, 원자력 발전소나 댐 등과 같이 위험한 파괴력을 지니고 있는 건조물과 시설(works or installations containing dangerous forces)의 경우 이에 대한 표적선정과정에서 보다 엄격한 심사를 받아야 하는지 문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종교, 예술, 과학이나 자선을 목적으로 하는 건물과 역사적 유적에 대한 직접적이고 고의적인 공중폭격은 금지되어 있다. 표적선정과 관련하여 최근 대두되고 있는 핵심논점으로, 이중용도 목표물과 인간방패 문제를 들 수 있다. 우선, 이중용도 목표물이란 군사와 민간 용도 모두에 사용되는 핵심시설들을 의미하는바 이러한 표적에 대한 타격이 어느정도까지 허용될 수 있는지에 관하여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생각건대 효과기반 표적선정 전략은 위와 같은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부수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고, 적의 저항의지를 분쇄하기 위한 의도에서 이루어지는 이중용도 목표물에 대한 초기타격은 군사적 효용성이 인정되는 공격으로 적법하다고 본다. 다음으로, 공격에 대한 방패 역할을 하는 민간인에 대한 타격이 가능한지 문제될 수 있는데 그 답은 인간방패가 자발적인 것인지 아니면 비자발적인 것인지에 따라 달라야 한다고 본다. 자발적인 인간방패는 군사목표물을 방어하기 위해서 직접적으로 교전에 참가하는 것이나 다름없으므로, 공격의 대상에서 배제되지 않는다. No one can deny the fact that in the 21st century, the air force is the crucial element of the defense power and provides strategical advantages to win a war. Today, due to the ever-increasingly precise weaponry, one of the important issues that the air force is facing is target selection, i.e., how to prioritize the targets to strike. Such target selection used to heavily involve strategical factors, to be effective in the military terms. However, because of the recent demand for a "clean war"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domestic media, value-judgements are beginning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target selection. Such issues relating to target selection is at the core of defining the air force and its operational effectiveness, especially for armed conflicts with air power. Recently, due to the humanitarian tendency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mprovement of the precision target and attack system through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egal aspect of military operational procedure, certain consensus is being formed that the international law and customs on armed conflicts shall be conformed to in conducting any military operations. First of all, Article 52(2) of Additional Protocol I of the Geneva Convention restricts legally permissible targets to military objects only, and target selections for air strike shall be made within such restriction. The additional protocol provides legal standards for target selection, i.e., the principles of distinction, proportionality, necessity and humanity, as stipulated in Article 37, 51(4) and 51(5)(b). In this regard and in order to conform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s, the air force needs to prepare preventive measures to minimize damages that may be inflicted on civilians and other objects that should be protected. Especially, even if an attack is directed at a military object, if the collateral damages to civilians and civil objects are excessive in relation to the military benefits from the attack, then such attack is impermissible under the international law. It also provides extensive protection on certain objects and facilities, including medical personnel and facilities. The prisoners of war and their detention facilities may not be targets, and they cannot be utilized to defend the opponent's attack. In addition, environment factors are also an important element in determining whether the collateral damages from an attack are excessive in relation to its military benefits. Moreover, targeting certain works or installations containing dangerous forces, e.g., nuclear power plants or dams, may create additional issues of whether the international standard is to be more strictly enforced. Finally, direct or intentional air strikes on historical sites and certain religious, art, science or charity installations are prohibited. Today, the most critical issues relating to target selection are those of dual-use objects and human shield. As to the dual-use objects, they are objects/facilities with both military and civil importance, and there is an on-going heated debate on whether they are valid targets for attack. The effect-based targeting strategy may minimize the collateral damages involving such attacks and solve these issues. That is, certain initial and precise strikes for and in a manner to maximize the strategic benefits may probably be legally permissible. As to the human shield, whether a strike is permissible on such human shield depends on the voluntariness of the shield. A voluntary human shield is in fact participating in the conflict by defending military objects, and therefore it may be a permissible target for strike. On the other hand, if civilians are being forced to form human shields, then such civilians are to be protected under the international law and this shall be heavily considered in conducting the balancing analysis on collateral damages and military benefits. In this case, if such human shield is to be

      • KCI등재

        韓國防空識別區域(KADIZ)의 法的 地位와 問題點

        徐泳得(Suh Young-Duk) 한국법학원 2005 저스티스 Vol.- No.86

        최근 독도를 중심으로 관심이 고조되었던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에 대한 법적 지위와 문제점, 개선방안 등을 살펴보았다. 한국방공식별구역은 그 용어조차도 친숙하지 못할 정도로 법학연구대상에서 비켜 있었으나 그 국제법적 근거나 주변국과의 관계에서의 운용의 실제나 위반의 효과 등에 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방공 식별구역의 근거에 대하여는 여러 학설이 제기되었으나 최근 항공기의 급속한 발달과 국제테러의 발호에 따른 설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는 점에서 새로운 이론정리를 해 보았다. 한국방공식별구역에 있어서는 우리의 영공일부가 KADIZ 외곽에 위치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일본방 공식별구역내 위치하거나, 인천 FIR의 일부도 KADIZ 외곽에 있고 JADIZ와 중첩되어 주권 국가로서 또 국제법적 탐색 구조의무의 이행에 있어 큰 문제점을 갖고 있다. 한편 KADIZ와 영공 및 FIR의 일치문제만큼이나 KADIZ에 대한 국내법적 근거 규정이 필요하고, 이에 대한 입법(안)이 이미 성안되어 입법절차를 밟고 있으므로 그 점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군용항공기지법상 제1구역 침범에 따른 법적 문제 - 성남 탄천변 도로 신축과 관련하여

        서영득(Suh Young-duk) 한국토지공법학회 2006 土地公法硏究 Vol.31 No.-

          The Military Air Base Law establishes and defines certain specified areas as Flight Safety Zones for safety purposes of aircraft during landing and takeoff. Among the safety zones, Safety Zone I consists of the runway, shoulders and runway clear zones that are directly relevant to the landing and takeoff of aircraft and, thus, this area absolutely bars placement of any objects unless the objects are placed specifically for ensuring the safety of aircraft or for military purposes.   Despite such law and safety concerns, a local government along side of Tan-Chun has for convenience of the constituents constructed roads that interfere with the Safety Zone I of Seoul Airpor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whether such construction violates the Military Air Base Law and whether such roads are illegal flight obstacles that are absolutely disallowed to be placed in the area. In accordance with the Military Air Base Law, the national government (ROKAF) has demanded and ordered the local government to remove the roads already constructed and to immediately cease any further constructions. However, the local government has continuously refused to comply with the orders by claiming that constituents" complaints and budgetary problems hinder such compliance. This legal analysis has determined that the roads constructed by the local government are illegal obstacles that cannot be placed in the Safety Zone I.   In case disputes arise between the nation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there are two ways to resolve such disputes - through the Constitutional Court or Arbitrations. One can petition for Dispute Resolution of Authority to the Constitutional Court but this process is not proper in this specific case because this process is too time consuming. The other way is to request arbitrations for administrative discussions in accordance with the Local Government Act but this process is also not feasible to resolve this specific situation because of its lack of binding authority.   Even though this problem can be resolved through removal orders, criminal prosecution, or Supervisory Control Request against local government"s higher entity, this analysis has attempted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by the national government and whether the national government has standing to sue by closely examining the existing laws and revised laws. Furthermore, this analysis proposes possible resolutions through civil litigations. This analysis basically reviews and proposes currently available legal resolutions to the disputes between the nation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which are expected to rise in its number.   However, in order to minimize cost to the society and the citizens (constituents) it is imperative for the government to establish systematic ways to deal with this problem and to pass a law that specifically addresses this issue.

      • KCI등재

        軍 航空法의 眺望

        서영득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03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18 No.-

        항공법 개정에 따라 군용항공기의 운용에 관한 입법의 필요성이 제기 되어 군용항공기의 특징에 부합하는 입법 방향의 설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현행 군용항공기지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외국의 입법현황을 소개하며, 군관련 항공법의 제·개정시 필요한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군용항공기의 운용에 대한 입법적 지원과 전반적인 개선방향을 연구·검토해 보고자 한다. While the necessity of introduction of legislative enactment for military aircraft operation became more evident especially after the Aviation Law that has recently been revised, the prospects of such legislative action in which adopts the unique nature of aircraft need to come to life more than ever. Here lies our efforts to analyze the problems of Military Airbase Law, to introduce status of military-related legislations in other countries, and to examine lagislative support system and overall direction for the legislative enhancement by presenting and discussing necessary subject matters in an endeavor to enact or revise the military-related aviation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