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자인 담론에 나타난 개념어 연구 : 1970년대 이후 한국 디자인 담론을 중심으로

        서민경(Seo Min-kyung),오창섭(Oh Chang-sup) 한국디자인학회 2011 시그포럼 Vol.1 No.-

        본 연구는 1970년대 이후 한국디자인 담론의 흐름을 단행본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있다. 이를 통해 5가지 주요 담론의 개념어를 추출하였는데, 디자인국부론, 디자인경영, 디자인문화, 공공디자인, 디지털미디어디자인이 그것이다. 한국 사회에서 1970년대가 국가중심의 디자인 담론 형성기였다면, 1980년대는 기업 중심의 디자인 담론이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 들어서도 기업중심의 디자인은 여전히 지배적이었지만, 디자인문화 담론이 등장하면서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 내었다. 2000년대는 그동안의 담론들이 복잡하게 공존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새로운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대한 담론과 공공디자인담론의 출현이 주목할 만한 현상이었다.

      • KCI등재SCOPUS
      • 디자인 담론 : 1970년대 이후 한국 디자인 담론을 중심으로

        서민경(Seo Min Kyung),오창섭(Oh Chang Sup) 한국디자인학회 2010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10

        This dissertation aims to ascertain the Korea design discourse since 1970s, and makes clear notion of design discourses. This study is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design discourse in the context of The Wealth of Nations, Design Management, Design within Culture background, Public Design/Design Policy and Digital Media Design. In doing so, it would be meaningful to illustrate an overview of design history. It signifies and specifies a new point of view when it comes to discover brand-new aspect of design.

      • KCI등재

        온·오프라인 병행 수업 환경에서의 법교육 실천 사례 연구 - 정치와 법 과목을 중심으로 -

        서민경 ( Min-kyung Seo ) 한국법교육학회 2021 법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전염병 확산으로 인해 온라인 개학이 갑작스럽게 시행된 상황에서 면대면 교실 수업을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을 탐색하였다. 연구자가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수업이 이루어지는 수업 환경에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형태로 한 학기 수업을 설계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겪은 시행착오를 통해 법교육(Law-related Educaton)에서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온라인으로 수업을 전환한다는 것은 면대면 수업에 맞추어 설계된 수업 목표, 수업내용, 교수·학습전략, 평가 등 수업의 전 과정을 온라인 학습 환경에 맞게 재설계하는 활동이다. 이때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도 법교육에서의 성취기준 및 교과 역량이 달성될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자가 실천한 수업 사례를 통해 온라인 학습 환경의 특성을 반영하여 설계한 블렌디드 수업은 오히려 학생들의 능동적인 탐구 활동을 촉진하는 환경이 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하나의 수업 실천 사례로서 온라인 수업을 준비하는 교사들에게 하나의 설계 자원으로서 의미 있게 활용되어 법교육에서의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로 이어지기를 바란다. The COVID-19 pandemic prompted an implementation of online schooling, which posed difficulty in shifting from face-to-face lessons in classrooms to online lessons at home. This study aims to explore implications about Law-related Education learned from the progress in designing and practicing blended learning, in which online classes and face-to-face classes go in parallel during one semester. Shifting to online classes requires redesigning all components of a lesson including goals,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evaluations which once designed simply for face-to-face classes. Under such circumstances, creating proper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s essential to reaching achievement standards and developing subject competencies in Law-related Education. Cases of the researcher’s actual classes showed how online features of blended learning promotes the students’ active inquiry activitie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연구논문 : 서울특별시 소재 보육시설과 유치원 종사자의 식품위생,영양 인지도 및 수행도 조사

        박나윤 ( Na Yoon Park ),박희경 ( Hee Kyung Park ),박희진 ( Hee Jin Park ),서민경 ( Min Kyung Seo ),임혜란 ( Hye Ran Im ),임환희 ( Hwan Hee Lim ),정진헌 ( Jin Hyen Jung ),윤기선 ( Ki Sun Yoon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1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7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mployee food-hygiene and nutrition awareness and performance and to study the current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at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Republic of Korea. A self-evaluated type of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foodservice employees and teachers using a five-point Likert scale. Employees with an employment history of <1 year and who were <30 years old had tile lowest scores for food-hygiene and nutrition awareness and performance. Employees with a cooking license had a higher awareness score regarding cross-contamination than those without a license. Higher nutritional awareness and performance scores were also observed for employees who had more experience as cooks and who had received a nutrition education than those who did not. Approximately 94% and 76.4% of the employees had experience in sanitation and nutrition education, respectively. Most teachers responded mal food sanitation-nutrition education for children seemed necessary in a child-care center; however, only 63.9% of the teachers actually taught sanitation-nutrition education to children. The biggest limitation to conduct food sanitation-nutrition education was the "lack of professionalism" of teachers, because only 48.1% of teachers had received a sanitation-nutrition education. Thus, a food sanitation-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foodservice employees and teachers must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actively to improve the quality of food service and nutrition education in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 서울 지역 여자대학교 집단에서 월경전기 증후군 및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의 유병율

        정범석,이철,이지현,서민경,한오수,김창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4

        연구목적 : 가임기 여성의 75%가 하나 이상의 월경전기 증상을 경험하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경우도 3∼8%에 이르지만 한국 여성을 대상으로 한 월경전기 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 : PMS)및 월경전 불쾌기분장애((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 PMDD)에 대한 역학 조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자들은 한국에서의 유병율, 증상의 양태 및 삶에 미치는 정도 등의 역학 조사를 통해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임상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르 시행하였다. 방 법 : 6개의 서울 소재 4년제 여자대학교에서 무작위 군집표본 추출로 선택된 4개 학교의1∼3학년 학생 중 무작위 군집표본추출을 통해 선택된 14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DSM-IV진단기준을 근거로 저자들이 제작한 6점 척도의 설문지가 사용되었으며, 난포기에 비해 황체기에 75%이상 악화된 경우 증상이 있다고 판정할 경우의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의 유병율을 조사하였다.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과 증상은 있으나 진단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월경전기 증후군 집단으로 나누어 증상 양태, 식습관 변화, 생활에 미치는 영향 정도 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 : 부적절한 자료 198명(13.9%), 주요 신체 혹은 정신질환을 앓은 경우 등 선정 배제 기준에 속하는 경우 348명(24.5%)을 제외한 873명이 최종 분석되었다. 873명 중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의 유병율은 5.0%이었으며, 월경전기 증후군의 유병율은 83.3%이었다. 가장 흔한 증상은 월경전기 증후군 집단의 경우 신체증상(54.6%)이었고,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의 경우 '지속적으로 짜증난다'(95.5%)이었다.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의 88.6%에서 증상 때문에 한 달에 1∼2회 이상 일이나 공부에 지장이 초래되었다. 결 론 : 한국 여자대학생 집단이 경험하는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의 유병율과 증상 양상은 외국과 비슷하다. 아울러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은 월경전기 증후군 집단에 비해 기분 증상이 더 흔하고 심하는 점에서 월경전 불쾌기분장애는 월경전기 증후권과 구별되는 하나의 질환 상태임을 시사한다. Objects : More than 75% of women have been reported to experience premenstrual symptoms and three to eight percent of them suffer from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PMDD). But little is known about prevalence of premenstrual syndrome(PMS) and PMDD and PMS in Korean women who sttended universities at the time of survey. Methods : One thousand four hundred and nineteen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with cluster sampling methods among four women's university in Seoul. We measured the severity of premenstrual symptoms using six-point rating scale developed by the author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criteria for PMDD in DSM-IV. Premenstrual worsening of symptoms was defined as increase in symptom scores of more than 75% from follicular to luteal phase score. And also, we compared characteristic symptoms, eating behaviors, and functional impairments between PMS and PMDD. Results : After excluding inadequate data according to our exclusion criteria, 873 of 1419 subjects(61.5%) were included in the estimation of the prevalence of PMS and PMDD. Each prevalence rate of PMS and PMDD was found to be 83.3% and 5.0% on the basis of 75% change method respectively. The most frequent symptom was physical symptoms such as headache or breast tenderness(56.4%) in PMS and 'felt irritable'(9.5%) in PMDD. Of the 44 subjects with PMDD, 39(88.6%) reported to have experienced the impairment in work or school at least once per month because of premenstrual symptoms. Conclusions : Our results indicate that prevalence and symptoms of PMDD in Korean university women are similar to those in western culture. The finding that mood symptoms were more frequent and severe in PMDD than in PMS implies that the former may be a disordered condition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latter physiologic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