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탄성파자료 속도분석에 관한 연구

        서만철,이원국 공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2 論文集 Vol.30 No.1

        A study on seismic velocities was carried out through theoretical calculation and interpretation of real seismic shot records acquired in the Yellow Sea region. Seismic data were recoreded for 5 seconds using a tuned airgun array of about 1830 in3 and a 3250 m long marine streamer. Theoretical studies shows that stacking velocity becomes larger than both root mean square velocity and average velocity for a given subsurface model. This implies that velocity data driven from the velocity analysis program of seismic data processing package should be diminished for the use of those velocities in migration process and depth conversion of seismic sections. Velocity data computed using seismic refraction method represent the existence of a major velocity discontinuity at a depth of about 566 m below sea level. Velocities of the upper and lower units are 1639m/sec and 2273m/sec, respectively. The upper layer is interpreted as an unconsolidated sedimentary layer and the lower unit as a consolidated clastic sedimentary layer. The prominent velocity discontinuity is interpreted as the mid-Miocene regional unconformity of the Yellow Sea region.

      • KCI등재

        등록문화재 제233호 ‘공주 중학동 구 선교사가옥’의 유래와 보존현황

        서만철,김성배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8 보존과학회지 Vol.34 No.1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origin and preservation status of the 'Gongju Junghakdong old missionary house',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No. 233, reveals that the building was approved on October 23, 1921, and missionary Alice H. Sharp was living in the building until her retirement from her missionary life of 39 years in Korea in 1939. In order to review internal and external preservation status of the building, condition of wood material, the composition of the window, the damage of the wall, and the leaning of the building were examin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window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restore it to the original upper and lower sliding window.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the preservation status of the external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restore the original shape of the staircase and a deck of the building on south western side and the well.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non-destructive diagnosis of the ground revealed that the building was built on uneven surface layer of 2-5 m thickness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surface layer and the upper part of the weathered rock is inclined following geomorphology. This phenomenon shows that when the water content of the ground increases in the rainy season, the bearing capacity of the ground is lowered,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uneven subsidence. Especially, landslides may occur in case of heavy rain.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install a masonry facility at the southwest boundary of the site, and it is recommended to install a drainage facility to ensure rapid drainage. 등록문화재 제233호 ‘공주 중학동 구 선교사 가옥’의 유래와 보존현황에 관한 연구결과 건축연대는 1921년 10월 23일이 합당하며 일제 강점기 말기 최후 거주자는 그동안 Amendt 선교사로 알려져 왔으나, 1939년 작성된 Williams 선교사의 편지 및 새로운 증언에 의해 Alice Sharp 선교사가 1939년 은퇴시까지 사용하였던 건물로서 독신 여선교사들의 주거는 물론 여학교역할도 하였던 건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 문화재의 명칭도 ‘공주 여선교사 기념관’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문화재의 내・외부 보존현황 조사 결과 건물 벽체의 기울기에는 이상이 없으나 내부 목재상태가 상당부분 열화되어 있어 안전진단 후 전체적인 보수가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된다. 특히, 창호시설의 경우 본래의 상하 미닫이 창호로 복원할 필요가 있으며, 건물의 남서측 계단과 데크 및 우물의 원형복원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문화재의 하부지반의 안전성에 관한 지반 비파괴진단결과 이 선교유적이 2~5 m 두께의 불균등한 표토층 위에 건축되었으며 표토층과 그 하부의 풍화암과의 경계면이 지형경사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현상이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우기에 지반의 함수비가 증가하면 지반의 지지력이 저하되는 바 부등침하발생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집중호우가 발생한다면 산사태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건물 부지의 남서단 경계부에 석축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신속한 배수가 되도록 배수시설 설치가 필요하다.

      • 경북 포항시 일월동 택지개발지구의 지반상태 파악을 위한 탄성파탐사

        서만철,Seo, Man Cheol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1999 지구물리 Vol.2 No.1

        경북 포항시 일월동 지역에서 482 m 길이의 동서 방향의 측선에 대한 탄성파 굴절법 및 반사법탐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에서 지오폰 간격과 오프셋은 각각 2 m로 설정하였으며, 발파는 끝점 발파 배열 방법을 이용하여 한 발파점마다 24채널을 기록하였다. 발파 간격은 2 m로 하여 측선의 전구간에서 탄성파 자료를 취득하였다. 굴절법탐사 자료의 해석은 수평다층구조 이론을 적용하여 실시하였으며, 반사파 자료 처리는 트레이스 편집, 이득조절, 공심점 분류, 수직경로시차 보정, 뮤트 과정을 거친 후 동일 오프셋 모음을 취하여 단일중첩 탄성파 단면을 작성하고 필터링을 거친 후 해석에 이용하였다. 굴절법탐사 자료 해석결과 조사 측선 구간의 천부지반은 크게 2층으로 구분되는데, 상부층은 267∼566 m/s 의 P파 속도 분포를 보여 대체로 미고결 퇴적층이며, 하부층은 1096∼3108 m/s 의 P파 속도 분포를 보여 풍화암∼경암의 암반으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부 미고결층은 수평적으로 큰 변화를 보이고 있는 바, 측선의 동측 구간에는 평균 400 m/s 의 P파 속도를 보이는 미고결 사암층이 3∼5 m 두께로 발달되어 있으며, 측선의 서측 구간은 평균 340 m/s 의 P파 속도를 갖는 매립토층이 8∼10 m 두께로 발달된 것으로 해석된다. 반사파 단면도에서 조사구간에 3개의 고각의 단층대가 분포하며, 이들 단층대를 경계로 기반암이 나누어져 있으며 단층대 사이의 구간은 비교적 안정된 지반으로 해석된다. 대형 건물의 위치는 단층대를 피하여 안정된 지반 구간에 위치해야 함을 고려할 때, 그 기초를 3∼10 m 깊이 하부에 위치하는 기반암 내에 설치되도록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Seismic refracrion and reflection surveys were conducted along an E-W trending track of 482 m long in Ilwall-dong, Pohang. End-on spread was employed as source-receiver configuration with 2 m for both geophone interval and offset. Seismic data were acquired using 24 channels at every shot fired every 2 m along the track. Refraction data were interpreted using equations for multi-horizontal layers. Reflection data were processed in the sequence of trace edit, gain control, CMP sorting, NMO correction, mute, common offset gathering, and filtering to produce a single fold seismic section. There are two layers in shallow subsurface of the study area. Upper layer has the P-wave velocities ranging from 267 to 566 m/s and is interpreted as a layer of unconsolidated sediments. Lower layer has P-wave velocities of 1096-3108 m/s and is interpreted as weathered rock to hard rock. Most of the lower layer classified as soft rock. Upper layer has lateral variations in both P-wave velocity and thickness. The upper layer in the eastern part of the seismic line is 3-5 m thick and has P-wave velocity of 400 m/s in average. The upper layer in the western part is 8-10 m thick and has P-wave velocity of 340 m/s in average. The eastern part is interpreted as unconsolidated beach sand, while the western part is interpreted as infilled soil to develop a construction site. Three fault systems of high angle are imaged in seismic reflection section. It is interpreted that the area between these fault systems are relatively safe. Large buildings should be located in the safe ground condition of no fault and footings should be designed to be in the basement rock of 3-10 m deep below the surface.

      • Hawaii 동남부 심해저 분지에 대한 지구물리학적 연구 : 중력, 자력 및 탄성파 탐사

        서만철,박찬홍 한국해양학회 1991 韓國海洋學會誌 Vol.26 No.1

        A multi-disciplinary geophysical study including gravity, magnetic, and seismic reflection profiling was carried out in the area between the Clarion fracture zone and the Clippertone fracture zone o the northeastern equatorial Pacific basin. There are small free-air gravity anomalies of less than 20 mgal over seamounts and the east-west trending abyssal hills. The negative residual gravity anomalies over seamounts may indicate the existence of low density seamount roots compared to surrounding oceanic crust. Non-existence of magnetic lineations and the magnetic anomalies of small smplitude with no polarity change in the east-west direction support that the study area belongs to the Cretaceous magnetic quite zone. Positive magnetic anomalies over seamounts offset 100 km in the east-west direction in the southern part of the study area suggest a possibility of left-lateral movement of those seamounts along unknown fractures. The sedimentary section in the study area can be divided into three units (Unit I, unit IIA, and Unit IIB) n the basis of reflection characteristics. the total thickness of sedimentary section varies from 200 to 400 meters and the sedimentary section is thicker in the southern area of rough topography near the seamount belt than in the northern flat area. Manganese nodules are abundant in the southern part of the study area where the ridges are developed and the Unit I layer is thicker than 100 meters.

      • KCI등재

        충남지역 초염기성 암체의 지구물리학적 연구: 탄성파 속도 특성

        서만철,우영균,송석환,Suh, Man-Cheol,Woo, Young-Kyun,Song, Suck-Hwan,Tianyao, Hao 한국지구과학회 200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1 No.3

        충남 일원에 분포하는 초염기성 암석과 이에 수반되는 각섬암, 편암, 편마암에 대해 탄성파 및 밀도가 실험실에서 측정되었다. 밀도측정 결과 사문암은 2.6${\sim}$2.86g/cm$^3$, 활석은 2.25${\sim}$2.81g/cm$^3$, 변성암류는 2.74${\sim}$3.07g/cm$^3$의 범위를 갖는다. 이 결과 활석은 사문암으로부터의 변성과정으로 사문암 및 각섬암보다 넓은 범위를 보였다. P파와 S파의 속도는 사문암에서 각각 5719${\sim}$6062m/s, 2898${\sim}$3351m/s 이고, 활석에서 4019${\sim}$5478m/s, 2241/${\sim}$2976m/s, 각섬암에서 5375${\sim}$6372m/s, 3042${\sim}$3625m/s, 편암에서 5290${\sim}$5499m/s, 2968${\sim}$3137m/s, 편마암에서 4788m/s, 2804m/s를 보였다. P파의 속도는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S파의 속도보다 1.47배 빠르게 증가하였다. 탄성파 속도와 밀도 사이에 비례관계가 성립하며, 특히 밀도에 따른 P파 속도 증가율이 S파 속도증가율보다 약 1.47배 크게 나타났다. 탄성파속도의 이방분석결과 편리와 직각 방향의 속도값이 평행방향의 값보다 높았는데, 특히 변성암이 더 큰 차이를 보이는바, 이는 변성암의 형성이 지체구조성 압력의 영향으로 인한 광역변성작용에 의한 것임을 시사한다. 압력의 변화에 따른 탄성파속도 변화분석 결과 대체로 압력이 20 MPa에서 70 MPa로 증가함에 따라 변성암의 탄성파속도 증가가 다른 암석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재계산된 탄성파속도는 각섬암이 이 지역 하부 지각에 대한 탄성파 특성을, 편마암류 및 편암은 상부지각 암석의 탄성파 특성을 지시한다고 생각된다. 한편 사문암의 측정치는 높은 사문암화 정도를 반영하기는 하지만 상부 맨틀의 암석에 대한 탄성파의 특성을 지시한다 볼 수 있다.

      • KCI등재

        무령왕릉의 보존을 위한 지반공학적 고찰

        서만철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1999 보존과학회지 Vol.8 No.1

        백제시대의 대표적 문화유적인 무령왕릉의 보존대책을 제시하기 위한 벽체 거동 관측, 지하 수관측, 비파괴 물리탐사 등의 지반공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무령왕릉의 구조거동은 전체적으로 전실쪽인 남쪽방향으로 일어나며 동측 벽 및 서측 벽은 바깥쪽으로 미약한 거동을 보여 구조안전에 무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왕릉의 구조거동은 우기에는 그 변위가 건기의 약 2배에 달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지반이 침투수에 노출되는 우기에는 고분의 구조안전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무령왕릉의 벽체 거동의 현저한 반응은 왕릉내부의 온도변화와 강수에 기인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왕릉 부지내로의 침투수를 방지하여야 하며 또한 고분내부를 항온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주된 강우의 침투경로는 왕릉상부의 누수방지용 강회다짐의 균열현상 때문으로 확인되므로 효과적인 누수 방지층의 보강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무령왕릉 상부의 누수방지층에서 발견되는 다수의 균열은 주로 북서쪽과 남동쪽에 집중되어 일정방향의 장력의 존재를 지시하며 이는 무령왕릉의 벽체거동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구조 변형에 대한 대책이 없는 한, 새로운 시공을 하여도 균열이 재발될 것을 예측케한다. 무령왕릉의 보존을 위한 보수대책은 남쪽 방향으로의 벽체 거동을 저지하는 구조안전대책과 누수방지대책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므로, 무령왕릉의 관람용 전실을 원래대로 복구하여 구조변형 요인을 제거한 후 누수방지층의 보강공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