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lozapine 투여 후 경련성 발작을 보인 환자 1례

        서만길,김도관,김이영,Seo, Man Kil,Kim, Doh Kwan,Kim, Eyong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9 생물정신의학 Vol.6 No.1

        The authors described a case of male schizophrenia who developed myoclonic jerk repeatedly and one episode of convulsive seizure during the treatment of clozapine. According to literatures and reported cases, myoclonic jerks induced in a small amount of clozapine may precede and predict the development of a convulsive seizure. Therefore clinicians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a myoclonic jerk during the administration of clozapine. They may decrease the dosage of clozapine step by step at first in the convulsive state, and observe EEG changes of patients frequently.

      • KCI등재

        바이오피이드백 치료에서 나타나는 신체변수(EDR, EMG)의 특성

        서만길,한우상,이경규,유범희,이유리,김이영,김현우,Seo, Man-Kil,Han, Woo-Sang,Lee, Kyung-Kyu,Yu, Bum-Hee,Lee, Yu-Ri,Kim, E-Yong,Kim, Hyun-Woo 대한수면의학회 1999 수면·정신생리 Vol.6 No.1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피이드백 치료를 받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바이오피드백 치료시 측정 변수인 피부긴장도(EDR)와 근 긴장도(EMG)가 장기적 및 단기적 치료 집단 간에서 보이는 특징을 관찰 하고자 하였다. 또한 바이오피드백 치료 중 지속적인 치료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치료를 지속 해야할 최소한의 횟수를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바이오피드백 치료로 환자군의 불안증상에 변화가 있는지와 초기 치료시 신체변인의 변화로 장기치료에 대한 예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피험자는 바이오피드백 치료를 한 남녀 130명 중 자의적으로 4회 이상의 치료를 진행한 3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바이오피드백 치료방법 순서에 따라 중압감(heaviness) 훈련을 마친 5회이하 치료군과 온화감(warmth)훈련을 마친 $6{\sim}9$회 치료군, 10회 이상 치료군으로 구분하였다. 치료방법은 Basmajian등이 제시한 자율훈련(autogenic training)프로그램에 기초한 12회 바이오피이드백 치료 지침서를 기준으로 하였다. 각 치료 횟수마다 기본 준비시간과 본 치료시간을 구분하여 피부긴장도와 근긴장도를 측정하였고 치료 횟수마다 평균값과 최고-최저 차이 값을 구했다. 또 10회 이상 환자군중에서 바이오피이드백 치료에 따른 불안 증상의 호전 정도를 불안척도(Hamilton Anxiety Rating Scale)와 자가이완설문지(Self-Relaxation Inventory)로 측정하였다. 결 과 : 1) 첫치료 시간동안의 EDR, EMG변화를 관찰한 결과 mEDR이 장기치료를 한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2) 초기 4회 동안 세 집단의 mEDR, mEMG와 deltaEDR, deltaEMG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를 통해서 장기치료를 할 것인지 결정할 수 없었다. 3) 10회 이상 치료한 환자군 14명에서 EDR, EMG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mEDR만이 환자의 치료경과를 잘 표현해주고 있었고, 나머지 신체변인은 치료경과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4) 치료 전후 바이오피드백 효과를 10회 이상 치료군 14명중 자의적으로 최종 설문평가가 가능하였던 8명에서 측정한 결과 치료 전후 Hamilton 불안 척도 값과 자가 설문지 값이 각각 T-value=10.93, p<0.01/T-value=2.726, p<0.01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결 론 : 1) 초기 첫 시간동안 경험하는 신체적 이완의 폭이 클수록 장기치료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 2) 초기 4회 치료 시간동안 EDR, EMG과 같은 신체변인의 변화로는 치료에 대한 예후를 결정할 수 없다. 3) 바이오피드백 치료를 시행하는데는 내적 신호 경험을 형성하기 위해 mEDR이 급격하게 변화를 보이는 5회 이상의 치료시간이 필요하며, 이 과정을 거쳐야만 장기적 치료 및 치료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 4) 바이오피드백 치료를 통해서 환자들의 이완 및 불안 상태가 완화됨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저자는 바이오피드백 치료에서 초기에 성과가 없다고 빠른 종결을 하지 말고 지속적인 치료를 권장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는 바이다. Objectives: We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physiological variables such as electrodermal response(EDR) and electromyography(EMG) in patients with insomnia, panic disorder, and other anxiety disorders. we aimed to decide the minimum sessions in biofeedback treatment to make the treatment effective and examine the effects of long-term biofeedback treatment by measuring the physiological variables. Methods: Thirty seven outpatients who received biofeedback treatment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number of biofeedback sessions(patients who received 4-5 sessions, who received 6-9 sessions, and who received more than 10 sessions). We measured mean and delta values of EDR and EMG levels, and the Hamilton Anxiety Rating Scale(HARS), and Slef-Relaxation Inventory(SRI) in all patients.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The mean and delta values of EDR and EMG level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3 groups during the first 4 biofeedback sessions. However, patients who received more than 10 biofeedback sessions had higher baseline mean EDR value(F=2.233, p=0.036) in the first session, compared with other patients. In patients who received more than 10 biofeedback sessions, mean EDR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5^{th}$ session(F=10.41, p<0.01). The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RI scores at 12th biofeedback session(t=2.726, p<0.05) and in HARS scores at $6^{th}$(t=3.10, p<0.05) and $12^{th}$ biofeedback session(t=10.93, p<0.001). Conclusions: Wesuggest that patients should receive more than 5 biofeedback sessions to experience internal cues and get a good clinical response to biofeedback treatment.

      • KCI등재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콜린아세틸전이효소(ChAT) 유전자 다형성과 갈란타민 치료 반응도 간의 연관성 연구

        이영민(Young Min Lee),서만길(Man Kil Seo),김도관(Doh Kwan Kim)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08 노인정신의학 Vol.12 No.1

        Cholineacetyltrasnferase (ChAT) is a key enzyme that facilitates synthesis of acetylcholine affecting the memory, learning, awakening and sleep process of the cerebrum.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ChAT-gene 2384G>A (rs3810950) polymorphism is associated with Alzheimer's disease (AD) susceptibility, and galantamine response. To elucidate a genetic predisposition of AD, we studied ChAT-gene 2384G>A (rs3810950) polymorphism in 52 AD patients in 93 normal controls. We also examined the association of this polymorphism and galantamine therapeutic response in 52 AD patients who received a 24-week galantamine treat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otype or allele frequency of the ChAT polymorphism between the AD and control groups. However, we found that the allele-carrier distributions, allele frequency for the ChAT polymorphism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The frequency of A-allele carriers (GA+AA) was higher in responders than in non-responders (χ2=4.282, df=1, p=0.039), as was the A-allele frequency (χ2=5.216, df=1, p=0.022).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AT-gene 2384G>A (rs3810950) polymorphism is associated with galantamine therapeutic response.

      • KCI등재

        Risperidone 약물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주의력 및 정보처리 기능에 미치는 영향

        우종민,강동우,김이영,김도관,서만길,손성은,홍경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5

        연구목적 : 비정형 항전신병약물의 약물 역동학적 특성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양성, 음성 증상 뿐 아니라 인지기능에도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8주간의 risperidone 약물치료가 주의력과 정보처리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것이 임상 증상의 변화와 연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는 것이다. 방 법 : 연구 대상은 정신병적 증상의 발현 혹은 악화 상태에 있는 29명의 정신분열병 환자와 정상 대조군 25명이었다. 임상 증상은 치료 전후로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linical Global Impression 및 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치료 전후의 환자군과 대조군에 대해 전산화 인지기능 검사인 Vigilance Test, Continuous Attention Test, Reaction Unit Tests, Motor Performance Tests를 시행하여 경계력(vigilance), 지속적 주의력, 시각/청각 자극에 대한 정보처리력 및 미세운동 조절능력을 평가하였다. 결 과 : 치료전 환자군은 경계력과 지속적 주의력, 미세운동 조절능력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저하된 성적을 보였으며, 시각/청각 자극에 대한 반응 결정속도도 저하된 경향을 보였다. 8주간의 risperidone 약물치료 후 임상 증상은 양성척도, 음성척도 및 일반정신병리척도에서 모두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치료 후 환자군은 시청각 복합 자극에 대한 반응 결정 속도의 유의한 향상을 보였는데, 이는 임상 증상의 호전 정도와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단순 자극에 대한 반응결정 속도, 주의력, 미세운동 조절기능 등은 치료 전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Vigilance Test의 반응시간은 지연되었다. 치료 후 추체외로 증상 정도와 상관성을 보이는 인지기능 검사 항목은 없었다. 결 론 : 정신분열병 환자는 경계력, 지속적 주의력 및 미세운동 조절기능의 결함을 보이며, 이들 결함은 risperidone 약물치료로 임상증상이 호전된 후에도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는바, 질병 고유의 특성임이 시사되었다. 치료 후 시청각 복합자극에 대한 반응 결정속도가 향상되었는데, 이는 임상 증상 호전과는 무관한 약물 역동학적 기전에 의한 직접적 효과임이 시사된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risperidone on attention and information-processing in schizophrenic patients after 8 weeks of treatment and to determine whether any improvement on cognitive function relates to improvement in psychopathology. Methods : The subjects were 29 schizophrenic inpatients with active psychotic symptoms and the controls were 25 normal volunteers. Pre- and post-treatment clinical symptoms were assessed by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linical Global Impression and 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 Vigilance, continuous attention, the speed of information-processing and fine motor coordinations were assessed by standardized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s. Results : At baseline,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poor vigilance and continuous attention than normal controls and these functions were not improved after treatment.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and the general psychopatholog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e only item of cognitive task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reatment was decision time to complex audio-visual stimuli in information-processing task. This improvement was not related to the improvements in psychopathology. The level of extrapyramidal symptoms was not related with any of the cognitive function tests items. Conclusions : Treatment with risperidone appeared to exert a favorable effect on the speed of information-processing and this appeared to be due to a direct pharmac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drug.

      • KCI등재

        전측두엽 치매 3례

        김이영,김재경,이유리,서만길,우금석,장용이,김지혜,서연림,김상은,김도관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6

        전측두엽 치매는 치매의 흔한 원인이며 알쯔하이머병과 구별되는 질환이다. 하지만 임상증상에서 인지기능의 현저한 장애가 나타나기 전에 사회적 기능과 인격의 붕괴가 서서히 일어나기 때문에 다른 정신과 질환으로 진단될 수도 있다. 저자들은 3례 전측두엽 치매를 보고하였다. 이 증례들은 전측두엽 치매를 임상 진단으로 고려할 만한 병력과 증상을 가지고 있고, 신경심리학 검사, 대뇌의 자기공명영상과 18F-FDG양성자방출단층촬영술 등의 검사에서 전형적인 전측두엽 치매의 소견을 보였다. 이러한 병력과 임상양상 그리고 객관적인 소견들은 임상에서 전측두엽 치매에 주의를 기울이고 적절하게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Frontotemporal dementia is a common cause of dementia and distinguished from Alzheimer`s disease. Because its clinical symptoms are characterized by slow progressive social breakdown and change of personality before cognitive impairments become prominent, it may be diagosed as other psychiatric disease. We have presented three cases of frontotemporal dementia. They had typical clinical histories and symptoms which deserve to be considered frontotemporal dementia. They showed appropriate findings of frontotemporal dementia in the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brain imaging study with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18F-FDGpositron emission tomography. Their clinical histories and findings are thought to be helpful for clinician to give attention to and diagnose frontotemporal dement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