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정주 시의 치유성 연구

        서덕민 ( Deok Min Seo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1

        우리나라에 소개된 문학치료 이론은 문학작품을 상담의 부수적 자료로 파악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문학치료에서 활용되는 텍스트, 또는 문학치료 과정에서 생산되는 텍스트의 문학적 성취도는 고려의 대상이 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흔히 이해되고 있다. 결국 이는 문학치료 현장에서 민족어의 정수를 담고 있는 우리 문학 자산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본 논의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문학치료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우리 문학 자산의 치유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논의가 주목하고 있는 텍스트는 서정주의 시편들이다. 서정주 시의 치유성은 ‘반복과 리듬’ 그리고 ‘성찰-극복의 재현 구조’라는 테마를 통해 명확히 드러난다. ‘반복-리듬’이라는 테마를 통해 살펴본 작품은 「行進曲」과 「내리는 눈발 속에는」등이다. 이들 작품을 비롯해 서정주 시 전반에서 발견되는 반복과 열거는 간혹명령, 청유, 협박 등의 어조를 통해 대상에 대한 공포감을 물리치거나 내면 깊숙이 잠재된 욕망을 해소하는 원형적, 자구적 치유 행위를 재현하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성찰-극복의 재현 구조’라는 테마를 통해 살펴본 작품은 「自畵像」과 「무슨꽃으로 문지르는 가슴이기에 나는 이리도 살고 싶은가」등이다. 이들 작품은 사회적 주체가 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그려내는 문학의 근원적이고 심층적인 재현 구조가 치유성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의에서는 ‘성찰-극복의 재현 구조’를 <현실인식>, <변화를 위한 모색>, <능동적 수용>이라는 단계로 구분하고 이를 통해 서정주 시의 치유적 성격을 분석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Healing Effects of Seo Jeong-ju`s poems. The healing effects are revealed through the themes of ``repetition-rhythm`` and of ``the structure of reemerging introspection and overcoming``. First, the theme of repetition-rhythm can be seen in three poems, including March. Repetition-rhythm is the element which beautifies Seo Jeong-ju`s poems. Seo Jeong-ju repeatedly presents poetic words to create nuances of command, request, and intimidation, etc. Readers are able to experience deep inner healing to relieve latent desire, or to conquer fear as they read Seo Jeong-ju``s poems. In literary therapy theory, it is thought that works which draw out the process of the main character solving problems, are effective on healing. The poetic narrator who wisely solves problems appears frequently in Seo Jeong-ju`s poems. Two poems are exemplified by the theme of ``the structure of reemerging introspection and overcoming``, one of which is Self-Portrait. ‘Awareness of a reality`` of the poetic narrator who affirms life, ``seeking change``, and ``active acceptance`` of universal healing activities, are well exposed. This paper is meaningful because it examines the Healing Effects throughout Seo Jeong-ju`s poems in the aspect of rhetorics and semantics. Also the study is worthwhile considering that it inquires about a way to apply Seo Jeong-ju`s poem to a practical field.

      • KCI등재

        읽기(독서)에서의 교육 내용 위계화 : 문학 전문가를 위한 교육 내용의 구조화 -신춘문예 제도와 문학교육의 역학-

        서덕민 ( Deok Min Seo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1 No.-

        본 연구는 문학 전문가를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신춘문예의 상관관계에 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대학의 문학교육 과정을 ``교양으로서의 문학교육``과 ``문학 전문가를 위한 문학교육``으로 구분하였다. 90년대 중후반을 기점으로 문예창작학과 신설이 확대되며 대학의 문학교육은 심화된 단계로서의 창작교육을 시행할 수 있는 본격적인 장을 마련하였다. 신춘문예는 한국의 근대문학성립 과정에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시행되어온 문학행사이다. 신춘문예는 특별한 인준절차를 거쳐 문인 동아리를 형성한다는 목적성에 기반을 둔 문예활동으로, 대학의 문학 전문가 육성 프로그램에서 가장 먼저 고려하는 사안이다. 본 연구는 신춘문예의 시행 형태를 고찰하고, 신춘문예를 위한 문학교육프로그램의 실제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신춘문예 제도는 문학예술활동이 전문가집단에 의해 평가되고, 이러한 평가 시스템이 문학의 생산과 유통과정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많은 비판에 직면해 있다. 본 논의는 대학의 문학교육이 신춘문예 제도에 대응하는 양상에 주목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programs and a literary contest in spring for professional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first, college literature courses were divided into "literary education as a liberal education" and "literary education for the literary professionals". Starting from the mid to late 90s, there was a boom in foundation of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and the full-scale place was provided to carry out the creative education as a deeper level. A literary contest in spring is an event to be steadily enforced from when Korea`s modern literature was established until today. A literary contest in spring is a literary activity based on the purpose of which literary circles are formed through special confirmation procedure, which is the first issue to consider in literary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 at University. This study examines the implementation form of a literary contest in spring and presents the actual model for literary education program for a literary contest in spring. Even if a literary contest in spring has internal contradictions, it plays a special role in structuralization of literary education at University.

      • KCI등재

        현대시에 나타난 혁명의 공간 - 김수영의 시 「사랑의 變奏曲」을 중심으로

        서덕민(Seo, Deok-Min)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2 No.2

        이 논문은 김수영의 시 「사랑의 變奏曲」에 나타나는 공간과 혁명의 문제를 탐구하고 있다. 「사랑의 變奏曲」은 ‘자연-방-도시’로 이어지는 일련의 시적 공간을 통해 혁명이 도래하는 과정의 환희(자연), 혁명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성찰(방), 혁명의 실천적 가치와 의미(도시)를 보여주고 있다. 작품의 전반부 해당하는 1-16행은 민중의 내적 역량이 갖추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도래한 혁명을 광대무변한 자연으로 은유하고 있다. 혁명의 원형적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는 공간으로서 자연의 의미는 4.19의 양상이 충실하게 반영된 「祈禱」와 같은 작품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평범한 大自然의 法則을 본받아 / 어리석을 만치 素朴하게 성취한 / 우리들의 革命을”과 같은 시구를 통해 혁명의 공간으로서 자연의 의미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17-28행에 이르는 부분은 혁명에 대한 내적 성찰과 방법론적 탐구가 진행되는 공간으로서 방(房)이 제시되고 있다. 김수영의 시에서 방은 물리적 공간으로서 間斷, 단절, 어둠 등의 이미지로 묘사된다. 21-24행에 걸쳐 손자와 할머니가 각각 기거하는 방을 특정하고 있는 것은, 방이 각 세대의 가치를 담고 있는 공간이며, 개인의 신념이 저장된 공간이라는 점을 강력히 시사한다. 이 작품에서 방은 세대, 역사, 사상을 담고 있는 개별적 공간의 갱신과 각 공간의 단절을 극복해야 하는 소명을 가진 곳으로 제시되고 있다. 작품의 후반부인 29행부터 마지막 행은 도시가 시적 공간으로 제시되며, 혁명의 가치가 생활세계 속으로 침투하기를 기원하는 화자의 열망이 나타나고 있다. ‘봄베이, 뉴욕, 서울’과 같이 시·공간적으로 인접해 있지 않은 도시가 열거되는 것은 사랑-혁명의 보편적 가치를 드러내고자 하는 의도로 파악된다. 특히 주목할 수 있는 것은 “都市의 疲勞에서/ 배울거다”과 같은 진술이다. ‘피로’와 ‘배움’이 나란히 한 문장 안에 놓이면서, ‘도시’라는 생활세계 속에서 혁명의 문제가 검토될 필요가 있다는 변증법적 성찰의 태도를 확인할 수 있다. 「사랑의 變奏曲」은 혁명의 도래와 전개 그리고 혁명에 대한 반성적 검토가 순차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작품으로서 공간의 구체성을 통해 혁명이라는 역사적 대변혁의 순간을 포착해내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space in Kim Soo-Young"s poetry “Variation s of Love” and the problem of revolution. Through a series of poetic spaces of ‘Nature-Room-City,’ his work shows joy in the process in which the revolution arrives (Nature), the reflection on the revolutionary successes and failures (Room) and the practical value and meaning of the revolution (City). The former part of the work, Lines 1-16, uses the revolution that arrived in a situation where people"s inner capacity has not yet been prepared as a metaphor for nature. The meaning of nature as a space that contains an archetypal image of revolution can also be seen in the work like “Prayer,” which faithfully reflects the aspects of the April 19 Revolution. Through the lines, such as “Following the rule of fair mother nature / Ridiculously simply achieved / Our revolution,” we can clearly understand the meaning of nature as a space of revolution. Lines 17-28 presents a room as a space where self-reflection and methodological inquiry on the revolution are conducted. In Kim Soo-Young"s poetry, the room is a physical space described as disconnection or darkness. Lines 21-24 specify two rooms where a child and a grandmother reside. This strongly implies that the room is a space that contains the value of each generation and space that keeps personal beliefs. The latter part of the work, Line 29 through the last line, presents the city as a poetic space. This part shows the desire of the speaker who wishes that the value of the revolution would penetrate the lifeworld. Cities such as ‘Bombay, New York, and Seoul’ which are not a djacent temporally and spatially are listed to emphasize the universal value of Love-Revolution. Especially, what draws attention includes the statement like “From the fatigue of the city / We will learn.” As the words, ‘fatigue’ and ‘learning’ are put side by side in one sentence, the speaker’s attitude can be noted: The problem of the revolution should be reviewed in the life-world of ‘City.’ “Variations of Love” is a work in which the arrival and development of the revolution and the reflective review of the revolution go on sequentially, which captures a moment of a historical change of the revolution through the concreteness of space.

      • KCI등재

        김종삼 시의 언술 구조와 치유성에 관한 연구

        서덕민(Seo, Deok-Min)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9 No.1

        이 연구는 김종삼 시의 치유적 성격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김종삼 시의 언술 구조를 검토했다. 김종삼 시의 언술구조의 특징은 은유에서 찾을 수 있다. 김종삼 시가 보여주는 은유는 수사적 차원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다. 김종삼의 비유는 형식의 과잉을 통해 의미를 축적하고 확장해내고 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본 논의는 『북치는 소년』, 『앙포르멜』, 『나의 本籍』, 『음악』, 『어부』와 같은 작품을 통해 김종삼 시의 특별한 언술 구조와 그 구조가 촉발하는 치유성의 문제에 주목하고 있다. 이들 작품에 나타난 은유는 시적주체가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을 감각적이고 경험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특히 중층적 은유 구조를 통해 삶의 건전성을 회복하려는 시적 주체의 모습을 그리고 있는 『어부』와 같은 유형의 작품 군은 은유와 환유의 축이 상보적으로 나타나며, 삶에서 직면할 수 있는 문제와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특별하게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수 있다. 주체를 끊임없이 다른 형태로 호명하려는 노력을 통해 삶과 세계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려는 노력은 김종삼 시의 가장 특징적인 면모중 하나로서, 내담자가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인식의 전환을 이룩할 수 있게 한다는 측면에서 치유적 성격이 발견된다. This study was written to reveal the healing nature of Kim Jong-Sam literature. This study has made a lot of research results in the field of human therapy. In particular, I refer to a lot of information that explains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analogy. In order to reveal the healing character of Kim Jong-sam"s poetry, I studied it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I studied Kim Jong Sam"s metaphor. Kim Jong-sam found out that he uses metaphor to omit and abstraction. They also found that through analogy, they built up meaning and expanded meaning. Second, I analyzed some literature by selecting Kim Jong-sam. The target works are "Anformael", "My Birthplace", "Music", "Fisherman". Third, I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of metaphor and healing in Kim Jong - sam "s works. The metaphor in Kim Jong - sam "s literary works helps express" me" in various forms. Patients can broaden the way they read Kim Jong-sam"s works and understand the world. And help them to change their perception and think positively.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글쓰기 윤리"의식 제고 방안

        서덕민(Seo, Deok-min)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7 No.2

        대부분의 글쓰기 윤리 교육은 학술적 글쓰기 과정에서 일어나는 표절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학술적 글쓰기가 아닌 창의적 글쓰기에서 일어날 수 있는 글쓰기 부정행위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들과 차이가 있다. 우선 창의적 글쓰기에서 ‘글쓰기 윤리’ 교육의 효과를 제고하려면 다음 사항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을 언급했다. 첫째, 학습자 스스로가 ‘글쓰기 공동체’의 구성원이라는 점을 어떻게 인식할 수 있는가? 둘째, 인터넷 등과 같은 현대적 글쓰기 환경은 창의적 글쓰기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셋째, 패러디, 오마주, 몽타주 등 상호 텍스트성을 기반으로 하는 문예학적 글쓰기와 글쓰기 윤리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 연구에서는 창의적 글쓰기 과정에서 윤리의식 제고를 위해 두 가지 교육 방법을 제안했다. 첫 번째 방법은 글쓰기 공동체를 구성하여 학습자가 표절과 창조의 경계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학습자들에게 같은 주제로 된 세 개 이상의 텍스트를 제시 2) 모둠을 만든 후 토의 과정을 거쳐 글감 만들기 3) 개별 글쓰기 4) 완성된 글을 서로 비교하기(같은 문장 찾기, 같은 서술방식 찾기, 비슷한 이미지 찾기 등) 5) 창의적 글쓰기와 표절에 관한 토론 두 번째 방법은 하나의 텍스트를 두 가지 방법으로 모방하는 프로그램이다.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텍스트의 형식만을 모방하기 2) 텍스트의 내용과 형식 모두 모방하기 3) 두 개의 텍스트 비교하기 4) 창작의 자율성과 윤리 문제 탐구하기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방법은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글과 이미 존재하고 있는 글이 어떠한 영향관계에 있는지를 이해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교육은 학습자 스스로가 글쓰기의 윤리적 가이드라인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how to improve the effect of writing ethics education. Most of writing ethics educations aims to prevent plagiarism in academic writing.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exploring how to prevent cheating, which may occur in creative writing, not in academic writing. For improving the effect of "writing ethics" education in creative writing, there is a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ollowings. First, it is required to help writers recognize well that they are members of "writing community". Second, writing ethics education, which i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modern writing environments like the internet, is needed. Third, it is required to help in broadening an understanding of literary writing that is based on intertextualities such as parody, hommage and montage. (It is required to help learners escape from obsession that they must "create something new".) This study suggests two education methods for ethics improvement in creative writing. The first method is to make learners experience the boundary between plagiarism and creation by organizing a writing community. The order is as follows; 1) Show more than three texts with the same topic to learners. 2) After grouping, make materials for writing through a discussion. 3) Individual writing. 4) Compare complete writings to each other. (Find the same sentences, the same description methods, similar images, etc.) 5) Discuss creative writing and plagiarism. The second method is a program to copy one text in two ways. The order is as follows; 1) Copy the form of text only. 2) Copy both content and form of text. 3) Compare two texts. 4) Explore autonomy of writing and ethical problems. The education method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focused on helping learners underst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ir writings and existing writings by themselves. This education is meaningful by helping learners set an ethical guideline of writing on their own.

      • KCI등재후보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의 문예 텍스트 활용 방안

        서덕민 ( Deok Min Seo ) 영주어문학회 2012 영주어문 Vol.23 No.-

        This study inquires into the plan to make the most of literary text in the actual field of Korean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That the method of involving literature in language teaching should be made by offering adequate literary text to the actual field of education is the basic concept of this argument. Further research was made to find out the degree of literary text being used at the chalkface. According to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literary text, which is used at the actual field of Korean education, comprises ancient stories and poems. Ancient stories, particularly, are widely used due, in large part, to their features that the Korean culture can be easily conveyed to foreign students, and also are being "rewritten" in diverse respects in the actual field of Korean education. In case of the poem, it is used extensively, on account of its short texts that can be easily compiled by textbook. A remarkable thing about the poem is that the most of literary texts exploited in the actual field of Korean education were made in 1920-30``s, which best represents the attitude of education settings that intends to use the texts verifi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order for the literary texts to be used in the actual field of Korean education, specific attention needs to be drawn to the following issues. Firstly, the texts created in around modern era must and shall be "rewritten" to lighten the burden of language teaching settings. Secondly, the texts, which may draw attention from foreigners, must and shall be selected and suggested. "Multi-cultural novel", which deals with the lives of foreigners, shall be considered to be a good option. Thirdly, the method of standardizing the texts must and shall be 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beginner to intermediate learners in terms of adaption of literary texts.Provided that the literary texts are extended to the actual field of Korean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it is expected to form a basis that the literature can take part in the language teaching settings for foreingers. The particulars of method and procedure of processing recent texts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are not dealt with in this study. In addition, it seems practically difficult to answer the questions of to what degree the texts can be processed, and of how they can be used to introduce Korean literature. These parts shall be reinforced through further studies in a foreseeable future.

      • KCI등재

        ‘멀티포엠’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법 연구

        서덕민(Seo Deok-min)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5 No.1

        This thesis is about teaching poems utilizing digital media. The poem that is written utilizing digital media is called multipoem on this thesis. First of all, we did the study about how multipoem is produced and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it has. As a result, we reached the following three conclusion. First, multipoem has a wide range of expression since we can use both visual and auditory elements with it. Secondly, multipoem makes writers and readers feel free to exchange of their views. Third, it is easy to present works compared to printed media. Next, this thesis describes writing poems using the advantages of multipoem. The method is divided into five stages. 1. The teacher explains about multipoem to students. 2. Make them come up with media that can be utilized when writing poems. 3. Make them find materials. 4. Make them produce poem. 5. Make them present and evaluate it. Multipoem is effective to the students who think it difficult to write poems. Also, any students who don’t have talents in writing can easily get involved. Making mutipoem, they come to realize that poem is not that difficult. With these merits, multipoem would apply to writing poems wid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