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창의융합(STEAM)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상은영,김정원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dietary education program applying STEAM education which is aimed to enhance core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foster their competences needed in the future society. This dietary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to be practically taught to all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by considering STEAM approach, core competencies, as well as the core values of dietary education. It was applied to 84 elementary students in grades one, three and five in Seoul, as a ten-hour-program for five days, embedded in creative experimental activity curriculum.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former was measured by Likert scale, and the latter was examined by open-ended questions, observation of the students’ participation and analyses of students’ outpu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possible to develop and apply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ree core values of dietary education-environment, health and consideration of others-on the basis of STEAM education, in order for students to improve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results of students’ evaluation showed that the STEAM dietary education program has high validity for obtaining more than 4.00 in every items excluding ‘novelty (3.94)’. In addition, their evaluation in the ‘level of interest (4.59)’, ‘generalizability (4.58)’ and ‘result satisfaction (4.64)’ were high enough to expect that this STEAM program could improve their interest, confidence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serve as a model STEAM dietary education over every elementary school level, and it is expected that further programs in various dietary topics could be developed by follow-up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창의융합(STEAM)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창의융합적 접근과 핵심역량 강화 요소를 고려하여 초등학생 전 학년을 대상으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서울 소재 1, 3, 5학년 학생 84명을 대상으로 각 학년별 4차시씩, 총 12차시의 프로그램을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적용하여 개발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핵심역량(자기관리능력, 공동체의식, 의사소통능력, 창의융합 사고능력, 정보처리능력, 심미적 감성능력)을 길러 줄 수 있도록 창의융합 식생활 프로그램을 개발하되 바른 식생활교육이 추구하는 3대 핵심 가치인 ‘환경, 건강, 배려’를 반영한 초등학생 대상의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할 수 있었다.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 ‘참신성(3.94)’을 제외한 모든 항복에서 4.00이상의 평가를 받아 양호한 타당도를 보였다. 또한 본 프로그램이 ‘흥미도(4.59)’, ‘일반화 가능성(4.58)’, ‘활동 결과 만족도(4.64)’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창의융합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창의융합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은 실과 식생활 영역의 국가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 강화와 함께 바른 식생활교육 목표도 만족시킬 수 있는 모델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생 대상 지구시민교육의 효과 평가

        상은영(Eun-Young Sang),이지영(Jiyoung Lee),김정원(Jeong-Weon Kim) 한국실과교육학회 202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6 No.4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Earth Citizenship Education by a non-profit corporation on sixth-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from April to July 2023, education and campaigns were conducted, targeting one class of sixth graders at N Elementary School in Seoul, selected for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encompassing food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First, Food education covered three topics and a campaign promoting the right food practices. These include ‘nutrition balance and taste education,’ ‘food labeling education’, and ‘animal welfare education’. Similarly, environmental education covered three themes and school clean-up campaigns: ‘proper cleaning class,’ ‘blue ocean class’, and ‘virus and earth environment class’. Finally, social education focused on two topics: ‘cognitive domain and media literacy’, and ‘project design,’ emphasizing empathy education for fostering coexistence. Over ten weeks, professional instructors visited the school for 80 to 90 minutes each week to deliver experiential face-to-face lectures and organize practical missions. To assess the effect of Earth Citizenship Education,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al aspects related to each topic were surveyed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The first survey, aimed at capturing immediate effects, was conducted one week after the education, while the second survey was administered a month later to confirm the continuity of behavioral changes. The collected data underwent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21.0. Results reveal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ores across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al areas improved by 13.2, 23.0, and 10.0 points, respectively, post 1st and 45.1 post 2nd. The average scores stood at 86.4, 77.4, and 59.4 points post 1st and 94.5 points post 2nd. Environmental education recorded improvements of 9.6, 13.3, and 5.9 points post 1st, and 37.6 points post 2nd, with average scores of 76.2, 79.2, and 64.4 points post 1st, and 96.1 points post 2nd. In addition, social education showed improvements of 9.0, 2.7, and 6.1 points post 1st and 40.0 points post 2nd, with average scores of 84.0, 75.5, and 47.8 points post 1st and 81.7 points post 2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ressed high satisfaction with Earth Citizenship Education, especially the student-centered learning consisting of direct activities and experiences, with average scores of 84.9 and 75.2 points for food education, 83.0 and 75.6 point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80.0 and 75.0 points for social education. However, there remains room for improvement in the recommendation scores. In conclusion, the study confirms that Earth Citizenship Education provided by the local community effectively chang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ustained effect on behavioral change could be attributed to teacher intervention aligned with the school curriculum, such as subject-related campaigns, providing review materials, and activities in Practical Arts subjects. Consequently, continuous post-education intervention can effectively bring about changes in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through proper food, environment, and social practices in daily life. Furthermore, this study can potentially contribute to developing a customized educational model in Practical Arts subjects through collaborations between local communities and school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 비영리 공익법인의 지구시민교육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2023년 4월~7월에 걸쳐 바른먹거리교육, 환경교육, 그리고 사회교육으로 구성된 지구시민교육 프로그램에 선정된 서울 N초등학교 6학년 학생 1개 반을 대상으로 교육과 캠페인을 실시하였다. 먼저 바른먹거리교육은 영양균형과 미각교육, 식품표시교육, 동물복지교육의 3개 주제와 바른먹거리 실천캠페인을, 환경교육은 바른청소교실, 푸른바다교실, 바이러스와 지구환경교실의 3개 주제와 스쿨 클린업 캠페인을 진행하였고, 사회교육은 공존을 위한 공감교육으로 지식영역과 미디어리터러시, 프로젝트 디자인의 2개 주제에 대한 교육을 구성하여 총 10주(주별 80~90분)에 걸쳐 전문강사가 학교를 방문하여 학생들의 체험 중심 대면 강의와 실천 미션을 수행하였다. 교육 전후 매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지식, 태도 및 행동 영역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특히 행동은 변화의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교육 1주일 후 1차, 한 달 후 2차 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로 SPSS 21.0을 활용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바른먹거리교육으로 초등학생들의 지식, 태도 및 행동 영역별 점수는 100점 만점에 각각 13.2점, 23.0점, 10.0점(사후1차)과 45.1점(사후2차)의 향상을 보여 평균 86.4점, 77.4점, 59.4점(사후1차), 94.5점(사후2차)을 나타내었다. 환경교육으로는 평균 9.6점, 13.3점, 5.9점(사후1차)과 37.6점(사후2차) 향상되어 평균 76.2점, 79.2점, 64.4점(사후1차), 96.1점(사후2차)을 나타냈다. 또한 사회교육은 9.0점, 2.7점, 6.1점(사후1차)과 40.0점(사후2차)의 향상을 보여 평균 84.0점, 75.5점, 47.8점(사후1차), 81.7점(사후2차)을 나타냈다. 초등학생들의 지구시민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추천도는 바른먹거리교육이 각각 84.9, 75.2점, 환경교육이 83.0, 75.6점, 사회교육은 80.0, 75.0점으로 직접 수행하는 활동과 체험으로 구성된 학생중심 교육에 높은 만족을 나타냈으나 추천도는 개선의 여지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가 제공하는 지구시민교육이 초등학생들의 지식, 태도 및 행동 변화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주제 관련 캠페인, 복습 자료 제공 및 실과 교과 등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교사의 개입으로 행동 변화가 유지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실과교육 주제로 지역사회와 학교의 협력 교육모델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어린이 자립형 식생활 지도서 ‘스스로 뚝딱’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조리역량 향상

        김정원,상은영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3 實科敎育硏究 Vol.29 No.1

        이 연구에서는 어린이 자립형 식생활 지도서인 ‘스스로 뚝딱’을 활용한 조리교육이 초등학생들의 조 리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스스로 뚝딱’은 2021년 농림축산식품부와 식생활교육지원 센터가 개발한 조리실습 중심 식생활교육 지도서로써, 2022년 4월부터 10월까지 전국 7개 지역(강원, 광주, 서울, 울산, 충남, 충북, 경남)의 총 61개 기관(초등학교, 지역아동센터, 다문화센터, 청소년수련시 설), 129개 학급의 초등 3~6학년생 총 2,437명을 대상으로 식생활교육전문강사가 이 지도서를 활용한 조리교육을 수행하였다. 그 효과는 교육 전후 참여 초등학생 대상 식생활 태도, 조리준비 역량, 조리역 량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조리교육은 식생활교육강사가 ‘스스로 뚝딱’ 교재 및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동일 학생을 대상으로 총 5회 이상 시행하였고 1회 교육은 평균 80~90분이 소 요되었다. 교육 전후 3~6학년 학생 대상 설문문항은 식품의 생산·순환에 대한 이해와 식생활 태도 변화, 안전하고 위생적인 조리준비 및 처리 역량 변화, 조리역량 변화, 조리교육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만족도와 함께 조리교육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소감을 포함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총 2,257명의 초등학 생 중 교육 전후 유효한 설문지를 제출한 최종 2,183건을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조리교육 후 초등학 생들은 식품의 생산·순환에 대한 이해와 식생활 태도, 안전하고 위생적인 조리준비 및 처리 역량, 음식 조리역량에서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p<0.001). 밥 짓기부터 끓이기까지 6개 조리영역에 대해 평균 83.9%가 음식별 조리교육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고, 만들어 본 음식 중 애호박전과 떡볶이가 높 은 선호도를 보였다. 조리교육 수행 후 총 90.3%의 초등학생이 프로그램에 만족하며, 조리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으며, 주변에 추천뿐 아니라 향후 참여 의향을 밝혔다. 위 결과로부터 ‘스스로 뚝딱’ 교재를 활용한 초등학생 대상 조리교육의 높은 교육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초등학생들의 조리역량 신장 및 식생활 자립을 위해 전국적인 확대 교육이 실시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tend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oking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using ‘Self Cooking’ textbook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the Food Education Support Center in 2021. For this purpose, cooking education was conducted by professional food education lecturers from the April to October 2022 in seven areas (Kangwon, Kwangju, Seoul, Ulsan, Chungnam, Chungbuk, Kyungnam) of Korea. Total 2,43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3rd~6th grades of 129 classes in 61 institutions (elementary schools, local children’s centers, multicultural centers, training centers for adolesc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Cooking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at least 5 times of lessons, and one lesson was average 80~90 mi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surveys on the understanding and attitude on food production and circulation, safe and hygienic food preparation competency, food cooking competency, satisfaction and opinions on the program were conducted. Among the 2,257 respondents collected, 2,183 useful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After the cooking educati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nd attitude on food production and circulation, safe and hygienic food preparation competency and food cooking competency improved significantly (p<0.001). Average 83.9% students expressed their satisfaction in the six areas of cooking from rice cooking to boiling, and menus of high preference were green pumpkin Jeon and Ttukbokki. Total 90.3% of students expressed their satisfaction for the cooking program, answered it helpful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cooking competency, and expressed their will to recommend to others and participate it again. Above results proved the high educational effects of the cooking education program using ‘Self Cooking’ guidebook;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expand the program nationwide for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okimg competency.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을 위한 ‘식생활교실’ 플랫폼 구축

        김정원,이은주,상은영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0 實科敎育硏究 Vol.26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9년 식생활교육지원법이 수립된 이래 지금까지 개발된 식생활교육 자료를 선별하고 체계적으 로 분류하여 플랫폼에 탑재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플랫폼 ‘식생활교실’을 구축하였다. 주 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환경, 건강, 배려의 핵심 가치를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자료로 써 국가기관의 연구 지원에 의해 개발된 공신력 있는 것들만 수집, 선별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 1,067건을 확보하였다. 둘째,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콘텐츠 분류체계를 선행연구와 선진국 플랫 폼의 콘텐츠 분류체계를 참고하여 교육대상, 자료 형태, 핵심 영역, 관련 교과, 주제의 5개 영역으 로 구성하였다. 교육대상은 유아, 초등 저학년생, 초등 고학년생, 중학생, 고등학생으로 분류하였 고, 자료 형태는 교재, 교안, 교구, 영상 등으로 구분하였다. 핵심 영역의 경우 선행연구(김정원 외, 2018)에서 제시한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내용 체계를 활용하였다. 또한 학교 교육과정과 관 련되는 교과를 표시하였으며, 주제는 검색이 쉽도록 콘텐츠에 포함된 핵심 용어(keyword)를 수록 하였다. 셋째, 플랫폼에 탑재 가능한 형태로 콘텐츠를 가공하여 단위 수업 시간에 활용 가능한 형 태로 플랫폼에 탑재하였다. 넷째, 향후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플랫폼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전략 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구축된 ‘식생활교실’ 플랫폼은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으로의 패러다 임 전환에 발맞춰 선별된 교육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의 확산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platform for promoting sustainable food education. Since the Food Education Support Act was established in 2009, the food education materials developed so far have been selected and classified systematically, and loaded onto the platform to establish a sustainable food education platform, ‘Food Life Classro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otal 1,067 cases of sustainable food education material were secured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selecting only the credible materials developed by national institutions. Secon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sustainable food education content was composed of five areas including education targets, material types, core areas, related subjects, and topics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and content classification systems of advanced countries' platforms. The education targets were classified into preschooler, low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material types were classified into textbooks, lesson plans, teaching aids, and videos, etc.. For core areas, the content system suggested by Kim et al.(2018) was used. In addition, the subjects related to the school curriculum were displayed, and the keywords in the materials were suggested to facilitate searching by topics. Third, the contents were processed into a regular form that can be loaded onto the platform. Fourth, a strategy was suggested to activate a sustainable food education platform in the future. The ‘Food Life Classroom’ platform built through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spread of sustainable food education by increasing the access to education materials at any time in line with the paradigm shift toward sustainable foo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