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빈기범 ( Binh Ki Beom ),박재성 ( Park Jaesung James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4 지역산업연구 Vol.47 No.2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impact of COVID-19 on industries in Busan by applying the event study method using sales data by compan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revenue loss due to COVID-19 is about KRW 4.8 billion per company, which amounts to KRW 13 trillion for all Busan companies. Second, the Manufacturing,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Accommodation and food service activities recorded revenue losses, while Transportation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ecorded excess revenue. Third, by region, Jung-gu was the only region with excess sales, while other regions showed losses. Fourth, the longer firm ages, the more negatively affected by COVID-19. Fift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upply of financing by industry, with counter-cyclical financing prevailing in non-manufacturing industries. This study provides a detailed assessment of the impact of COVID-19 on industries and regions at the firm level and provides a starting point for further in-depth analysis of the impact of COVID-19 in the future.
빈기범(Ki Beom Binh),서은숙(Eunsook Seo) 한국경제연구학회 2010 한국경제연구 Vol.28 No.4
‘투자자예탁금(舊 고객예탁금)’은 투자자가 유가증권의 매매 등을 위해 투자매매업자 또는 투자중개업자에 예치한 현금이다. 이를 예탁받아 관리ㆍ운용하는 기관은 투자자의 예탁금 유출입규모를 정확히 예측하여 투자자예탁금에 대한 급작스런 대량 인출요구에 대비함과 동시에 운용수익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투자자예탁금 유출입의 정확한 예측은 단지 예치기관의 건전성과 수익증대뿐만 아니라 금융시스템의 안정 및 실물경제로의 중장기 자본공급의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투자자예탁금 유출입의 통계적 특성을 파악하고, 위험관리분야의 대표적 기법인 VaR를 이용하여 투자자예탁금 유출입규모 및 이에 따른 투자자예탁금 변화를 예측하는 계량경제학적 방법론을 제시하고,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사후검증(back-testing) 관점에서 실증분석 결과, 증권사 투자자예탁금의 유출입간 상관관계를 고려하되 그 시간가변성을 허용하지 않는 다변량 CCC모형이 단일변량 GARCH모형, 다변량 DCC모형에 비해 VaR 측정에 있어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VaR 산출모형으로서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조건부적 위험 흡수성 검정(conditional coverage test)을 기준으로 CCC모형의 적합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를 투자자예탁금에 대하여 강제되는 유동성 지표를 산출하는 현행 규제방식과도 비교ㆍ분석하였다. 그 결과 증권현물신탁에 있어 현행 규제방식은 CCC모형에 비해 인출요구 위험을 과대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증권선물신탁에서는 그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One important role of Financial institutions that manage the investor's deposit, which is "cash" or "money" that he put into any investment trader or investment broker to trade securities listed in Korea Exchange, is to predict the net cash flows into the deposits. This accurate prediction prepares the sudden bulks of withdrawals. Futhermore, it helps to improve asset-side returns from the management of institution for deposits and contribute the stability of financial system and the supply of mid-long term capital into real economy. This study finds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the net cash flows for investors' deposits, suggests econometric methodologies for the prediction of the net cash flows and volatility for the deposit size using VaR, and evaluates the usefulness of this methodology. Empirical analyses using the back-testing technique show that CCC model as a multi-variate GARCH,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ime-invariant correlations among the investor's deposits of individual investment companies, is more useful in computing the VaR for investors' deposits than univariate GARCH or DCC under the conditional coverage test. In addition, this is compared with the methodology for calculating the required liquidity liabilities forced by regulator. This methodology for the required liquidity liabilities seems to overrate for possibility of investors' withdrawals in the spot trusts of securities. In the future trusts in securities, the result is the reverse of the previous one.
빈기범(Ki Beom Binh),서은숙(Eun Sook Seo) 한국증권학회 2013 한국증권학회지 Vol.42 No.4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비상장 외감 중소법인)을 대상으로 예비적 동기의 현금 보유가 지니는 가치를 측정하였다. 중소기업은 대부분 상당한 “금융제약(financial constraints)”에 직면해 있다. 이들의 예비적 동기에 따른 현금 보유의 목적 중 하나는 미래에 발생 가능한 위기 사태를 대비(방어), 즉헷징(hedging)하는 것이다. Holmstr0m and Tirole(2001)은 현금의 이러한 기능이 보험이나 풋옵션과 다르지 않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평상시 현금 보유는 미미한 수익률로 인해 기회비용을 발생시키는데, 이는 일종의 보험료나 옵션 프리미엄을 납부하는 것과 같다. 이러한 예비적 동기의 현금 보유가 가치를 지니려면 실제로 위기 사태에 기업 생존을 방어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어야 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기업 생존을 위협하는 강력한 신용경색사태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자연실험(natural experiment)” 소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 설계를하여, 기업이 보유하는 현금이 위기 시 기업 생존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30,000개 이상의 기업을 포함하는 방대한 DB를 이용하여 이중차분법, 성향점수 및 일반화 성향점수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현금의 위기 방어 기능은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만, 경제적 유의성까지 보장하는 정도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이 예비적으로 보유하는 현금의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전적으로 위기 해결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value of cash holdings under the precautionary motive for SMEs in the private sector having non-listed obliged external-auditing. Such SMEs often face financial constraints, so their cash holdings can help protect or hedge against potential crisis in the future. Holmstr0m and Tirole (2001) discuss the functions of corporate cash and show its similarity to insurance or put options. Cash holdings generate little gains in normal operations so can be seen as an opportunity cost. This can be regarded as a payment of insurance premium or option premium. For the precautionary corporate cash holdings to have value, it should have an essential role in protecting and shielding the firm, thereby contributing to its survival. For example,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2008 GFC) was a threat to the survival for SMEs. In this paper, we employ the 2008 GFC as a natural experiment and empirically investigate whether corporate cash helped firms` survival under the crisis. To do this, we use a large database comprising of more than 30,000 firms. Using difference- in-difference, propensity score and generalized propensity score method, we find that the protection role of cash against the crisis had a strong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only little economic significance. Hence, we argue that corporate cash can help protect a firm from negative shock due to a credit crunch, but is not a complete solution for future potential crises.
빈기범(Ki Beom Binh) THE KOREAN ECONOMIC SOCIETY 2005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Vol.16 No.2
이 논문에서는 확산과정 추정 방법론을 전반적으로 서베이한다. 이산적 자료로부터 연속시간 모형인 확산과정을 추정할 때 중요하게 대두되는 "이산화 편의"의 문제를 줄이기 위한 추정 기법들, 특히 다양한 시뮬레이션 기반 추정 기법들을 중점적으로 논의한다.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주요 방법론으로는 시뮬레이션 최우법, 중요추출함수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최우법, 베이지안 MCMC 기법 등이 있다. 기존 문헌에 따르면 시뮬레이션 최우법에 등장하는 중요추출함수와 베이지안 MCMC 기법에 등장하는 후보생성분포가 다소 혼동스럽게 사용되고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두 개념간의 본질적 차이를 명확하게 설명한다. 이에 덧붙여 이 논문은 확산과정 추정기법들을 각 특성에 따라 분류한다. 이러한 분류는 거의 모든 확산과정 추정기법들을 포괄한다. 이로부터 기존 확산과정 추정기법들간의 연관성 및 차이점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향후 확산과정 추정기법 연구의 방향을 예측해 볼 수 있다. This study comprehensively investigates the state-of-the-art estimation theory of diffusion processes. In the econometrics literature, there are now a number of important works on diffusion process estimation. In particular, statistical methods for minimizing the discretization bias in diffusion estimation continues to be an active area of research, which is another main issues addressed in this study.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diffusion process estimation theory is presented as well as a review and comparison the most recent estimation techniques. The rapid progress of the modern computer has accelerated simulation-based estimation techniques, which is discussed thoroughly in this study. The simulation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SMLE), including its variant that uses importance sampling, as well as the Bayesian Markov chain Monte-Carlo (MCMC) technique have become important tools in simulation-based estimation. Many existing literatures tend to confuse the function of importance samplers in SMLE that use importance sampling with the proposal distribution of the Bayesian MCMC, both of which are mistakenly thought to be similar concepts. In this pap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explicitly explained. In addition, a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diffusion process estimation techniques is proposed. From which, the relationship and difference between the established diffusion process estimations are categorized, and suggestions on future research on diffusion process estimation is inferred.
Managerial Entrenchment and Valuation Effects of Toehold Acquisitions
빈기범(Ki Beom Binh),정무권(Moo Kwon Jung),윤정선(Jeong Sun Yun) 한국증권학회 2011 한국증권학회지 Vol.40 No.2
이 논문은 한국 주식시장에서 발판매수에 대한 시장 반응을 분석하여, 해당 기업의 주가 반응이 그 기업의 우선주 발행 여부 또는 재벌 그룹 소속 여부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밝힌다. 또한, 그간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발판매수에 대한 의결권 프리미엄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우선주를 발행하지 않은 기업은 발판매수 사건 주변에서 재벌 소속 여부와 무관하게 양의 누적초과수익률을 나타냈다. 하지만, 우선주 발행 기업은 재벌 그룹에 속하지 않은 기업의 경우에만 양의 누적초과수익률을 나타냈다. 나아가, 우선주를 이용하여 의결권 프리미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발판매수 주변에서 의결권 프리미엄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발판매수자에 의한 감시의 강화 또는 경영권 관련 사건의 발생이 예상되면서 기업의 본질가치가 상승하여 발판매수가 양의 초과수익률을 시현한다는 기존 연구와는 상반된다. 한편, 본 연구는 발판매수는 경영권 관련 사건 발생의 예상과는 무관하게 해당 기업주주 부에 기여하지만, 이러한 효과는 기존 경영진이 효과적으로 경영권 도전에 저항할 수 있을 때 상쇄된다는 실증적 증거를 제시한다. This paper examines stock market reactions to toehold acquisitions in the Korean stock market to determine whether they depend on factors related to the ownership structure of the target firms such as the issuance of the dual-class stock and the affiliation with chaebols. We also examine the voting premium responses to toehold acquisitions for targets with no-voting preferred stocks which has largely remained unexplored. We find that whereas single-class targets show positive cumulative abnormal returns regardless of chaebol affiliation, dual-class targets with no-voting shares exhibit positive cumulative abnormal returns only if they are not affiliated with chaebols. Furthermore, dual-class targets exhibit an increase in the voting premium. Our findings contrast with existing research emphasizing that the positive market reactions to toehold acquisitions reflect the anticipation of an increase in the fundamental value of the target firms as a consequence of monitoring or control- related events by toeholders. We argue that although anticipated control-related or noncontrol-related events contribute to the shareholder value of the target firms, these effects are countervailed when the incumbent management can effectively resist those challenges.
역내외 현물환, 선물환 및 NDF 거래에 의한 원화 가치 가격발견에 관한 연구
빈기범 ( Ki Beom Binh ),이상민 ( Sang-min Lee ),이원섭 ( Won Seop Lee ) 한국파생상품학회 2016 선물연구 Vol.24 No.2
Using Hasbrouck`s (1995, 2002) information share method, we examine the mutual price discovery dynamics among Won/Dollar spot, forward, and NDF exchange rates in on- and off-shore FX markets. Our findings include : (i) During the entire period, the mutual price discovery between on-shore FX market and off-shore NDF market are significantly led by on-shore Won-Dollar spot and forward exchange rates. (ii) Within the period around the global crisis, NDF exchange rates have mutual influence on the price discovery, which is expecially greater than the any other period. The results show Won-Dollar spot exchange rate fluctuations during the global crisis are greatly affected by external factors of the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s. Not only that, but off-shore NDF trading promptly reflects the price information of KRW on the factors.
빈기범(Ki Beom Binh),서은숙(Eunsook Seo),송민규(Min-Kyu Song) 한국경제연구학회 2007 한국경제연구 Vol.19 No.-
본 연구에서는 기업 현금성 자산 보유현상을 진단하고, 그 요인을 분석하며, 현금성 자산 보유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우리 나라 기업의 현금성 자산 보유규모는 추세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1999년 금융업을 제외한 유가증권시장 상장 12월 결산법인의 현금 및 현금등가물과 단기금융상품의 규모가 각각 약 10조 원과 12조 원에서 2005년 현재 각각 29조 원과 22조 원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순자산 대비 현금성 자산의 비율인 현금보유성향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원확률효과오차성분모형을 이용한 패널자료 분석결과, 자금조달제약 기업에 있어 과다 현금보유는 기업가치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자금조달비제약 기업의 경우에는 매우 유의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 기업에 대한 기존 실증연구 결과와는 달리 자금조달비제약 기업의 경우에도 현금의 현금흐름 민감도가 양(+)의 값으로 나타난 것과 일맥상통한다. 이러한 결과들은 최근 전개되고 있는 기업의 재무정책, 배당정책, 투자정책에 대한 논쟁에 대한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determinants of corporate cash holding and the effect of it on corporate value. In recent years, we see that Korean firms have been increasing their cash and cash equivalents as well as their marketable securities. Non-financial companies, which were listed on the KRX and settled their accounts in December, reported a total of 29 trillion won of cash and cash equivalents, and 22 trillion won in short-term financial instruments at the end of the fiscal year 2005. These jumps of 11 trillion won and 12 trillion won, respectively, from the end of fiscal year 2000 are significant. In addition, the cash holding propensity, which is computed as cash holding over the net asset, is also increasing over the recent period. Our empirical study says that if a firm is not constrained financially, excess cash holding of the firm has no effect on its corporate value, but otherwise it holds a negative effect on it. This empirical result is consistent with an empirical test showing that the cash flow sensitivity of cash of financially-constrained firms is higher than that of non-constrained firms. The results comply with the agency cost theory while the related research for the US firms does not. Our research has implications on the debate for the corporate policies of cash management, dividend, and investment.
Some Useful Models for Failure Time Under Stochastic Monotonicity
Ki Beom Binh(빈기범),Keunkwan Ryu(류근관) 대한산업공학회 2018 대한산업공학회지 Vol.44 No.5
We propose some useful models for hitting time under stochastic monotonicity assump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underlying shock process is governed by a Poisson process or a Brownian motion, on whether each shock has a deterministic impact size or a random impact size, and on whether failure is defined by a threshold crossing or by a hazard rate, we develop various “failure” time models. We then explain how to utiliz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failure time to make inferences on the underlying model parameters which characterizes shock processes and the impact sizes. Real life applications are briefly mentioned.
빈기범(Ki Beom Binh),정무권(Mookwon Jung),조성순(Seongsoon Cho) 한국증권학회 2015 한국증권학회지 Vol.44 No.5
전환사채(convertible bonds: CB)는 주식과 채권의 성격을 모두 지닌 하이브리드 증권(hybrid security)으로 실무적으로는 물론 학문적으로도 중요한 연구대상이다. CB에 관한 다수의 기존연구가 있으나, CB의 일별 유통가격 자료의 희소성으로 국내에서는 물론 국외에서도 CB의 일별가격 움직임에 관한 실증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CB에 관한 광범위한 유통시장 자료를 이용하여 CB의 일별 가격움직임에 발행회사의 주가는 물론 (채권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시장금리가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패러티(parity), 주가와 이자율의 상호작용, 발행사의 신용등급, CB의 잔존 만기 등의 역할도 실증적으로 살펴본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주가와 금리가 CB 가격에 미치는 민감도가 패러티 수준에따라 다르다는 점을 적절히 포착하기 위해 선형스플라인 회귀모형(linear spline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실증분석 결과, CB 가격은 발행회사 주가 및 국채 가격과 양(+)의 관계가 있으며, 패러티가 높을수록 발행회사의 주가에 그리고 패러티가 낮을수록 국채 가격에 보다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가와 국채 가격 그리고 주가와 신용등급(투자등급 더미)의 상호작용은 패러티 수준에 따라 간섭효과(interference effect) 또는 강화효과(reinforcement effect)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전반적인 실증분석 결과는 전환권이라는 옵션의 가치를 지닌 CB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적 예측과 부합 한다. 이는 국내 CB 거래시장의 전반적인 유동성 부족에도 불구하고 CB 가격의 형성이 어느정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추가로 본 연구는 CB의 국내법적 실질을 유사증권과 비교하여 명확히 논의한다. The convertible bonds (CBs) are so-called hybrid securities with the properties of both equities and debts. It has been an important subject in academic schloars as well as in practitioners. This paper primarily examines the dynamics of CB price using the secondary market CB data that are hard to obtain. More specifically, we investigate whether and how the stock price of issuing firm and the market interest rate affect the movement of CB price. We also control for the parity of CB, the interaction between stock price and bond price, credit ratings of issuing firm, and the maturity of CB. Above all, we use the linear spline model to capture the different responses of CB price (on stock and bond price) depending on the range of parity. We find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ock and CB prices and between government bond and CB prices. The response of CB price on stock price is more sensitive as the parity level is higher, but the response of CB price on bond price is more sensitive as the parity level is lower. Moreover, it turns out that the interactions between stock and bond price and between stock price and credit ratings show reinforcement or interference effects depending on the parity level. The overall empirical findings in this paper seem to be consistent with the theoretical prediction for CB in which an option (conversion right) is embedded. Moreover,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domestic CB market is still efficient in spite of real-world incompleteness, such as an illiquid trading. Additionally, we discuss the legal and actual substantiality of CBs, as well as the policy implications of our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