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黙齋日記》를 통해서 본 16세기 婢夫ㆍ奴妻의 삶

        李蕙汀(Lee hey joung) 한국사연구회 2009 한국사연구 Vol.147 No.-

        Mook Jae(?齋), Lee Moon Gun(李文楗, 1492~1567) was a bureaucrat of the 16th century. He was posterity of a powerful family but sufferring collapsed his family from Gimyo(己卯), Eulsa(乙巳) massacre and ended his life in the place of exile. In 1545, Lee Hui, his nephew, was condemned to death as the principal of Eulsa massacre, Lee Moon Gun was also condemned to exile for involvement guilt. By analyzing The Diary of Mook Jae(?齋日記) which Lee Moon Gun wrote, this paper explores ordinary people's trusting their livelihoods to a higher man and living as the husbands or wives of slaves by marrying with slaves. Lee Moon Gun and his family was politically and socially fell dawn from long exile and was econmically not rich. After exile, he was increasing his property by harvesting public and private field and interests from the body charge from the slaves(身貢). But the body charge collected from the slaves was comparatively low in its ratio of collection. Lee Moon Gun and his family not only had slaves but also the husbands and wives of slaves by inter-marriages between a free man (or woman) and a slave(良賤交婚). husbands of female slave(婢夫) bear the responsibility for the wife's body charge, and their children become slaves. To support their livelihoods and avoid compulsory labour(國役), the ordinary people who had being ruined in the 16th century temporarily trusted their livelihoods to a higher man(投託). But these were their suvival strategies. Although they lived as the husbands or wives of slaves, the status of them were different from slaves. They were free to destroy their marriage with slaves. They temporarily trusted their livelihoods to a Yangban(兩班), but when things gradually improved, they tried to establish free and indepent lives for themselves.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지적 장애의 산과적 합병증 및 임상적 특성의 차이

        이슬,김지용,정희정,김성우,임우영,송정은,Lee, Seul Bee,Kim, Ji Yong,Chung, Hee Jung,Kim, Seong Woo,Im, Woo Young,Song, Jung-Eu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6 정신신체의학 Vol.24 No.2

        연구목적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진단을 위해 병원에 방문하는 영유아가 늘고 있고 조기 진단을 통한 조기 개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가 처음 병원을 방문하게 되는 주 문제가 대부분 발달 지연이기 때문에 지적 장애와의 진단적 구별이 어렵다. 본 연구는 1)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지적 장애 아동의 인구학적, 임상적 특성 및 산과적 합병증을 비교하고, 2) 초진 시 지적 장애로 진단을 받은 아동 중 재 방문 시 진단이 바뀐 아동과 진단이 유지된 아동의 특징을 비교하고자 한다. 방 법 2001년 5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발달지연클리닉에 내원한 아동 중 자폐스펙트럼 장애나 지적 장애로 진단된 816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 면담을 통해 인구학적, 산과적 합병증에 대해 조사하였다. 인지 평가를 위해 한국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와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를 시행했고 언어평가를 위해 영유아 언어 발달검사와 취학전 아동 수용언어 표현언어 발달척도I를 시행하였다. 1차 방문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지적 장애로 진단된 아동의 특성을 비교하였고, 1차 방문 시 지적 장애로 진단된 아동 중 2차 방문 시 진단이 자폐스펙트럼장애로 바뀐 아동과 지적 장애로 유지된 아동의 특성을 분석 하였다. 결 과 1차 방문 시 자폐스펙트럼장애와 지적 장애로 진단 받은 아동을 비교한 결과 자폐스펙트럼장애에서 남아의 비율이 높고 산과적 합병증은 적었다. 또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 지적 장애 아동에 비해 언어 평가상 전체 수행이 저조 하였고 특히 수용언어발달지수가 더욱 저조하였다. 1차 방문 시 지적 장애로 진단 받은 아동 중 2차 방문 시 진단이 자폐스펙트럼 장애로 바뀐 아동은 모두 남아였고, 지적 장애로 진단이 유지된 아동에 비해 발달 지연의 가족력(family history)이 많았다. 언어 평가 결과에서는 자폐스펙트럼 장애로 진단이 바뀐 아동에서 1차 내원 때 시행한 언어평가에서 수용언어지수가 더 낮은 점수를 보였다. 결 론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성별, 언어평가 결과, 산과적 합병증 여부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조기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Objectives : Since the awarenes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is growing, as a result, it is increasing numbers of infants and toddlers being referred to specialized clinics for a differential diagnosis and the importance of early autism spectrum disorders detection is emphasized. This study is to know the difference between ASD and intellectual disability(ID) from comparison of the demographics, clinical characters and obstetric complications. Methods : The participants are 816 toddlers who visited the developmental delay clinic(DDC)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Ilsan hospital. The number of toddlers diagnosed as ASD and ID was 324 and 492. 75 toddlers out of 114 who returned to DDC were diagnosed as ID at the first visit but 7 of them had changed diagnosis to ASD at the second visit. After compared ASD with ID from the first visit, we analyzed characters of toddlers who had the changed diagnosis to ASD at the second visit. Results : As a result, the comparison between ASD and ID at the first visit shows that the boys have higher ratio, lower obstetric complication and lower language assessment score in ASD. The toddlers who had the changed diagnosis at the second visit were all boys and they had more cases of family history of developmental delay and had lower score of receptive language developmental quotient.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ex,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obstetric complication could be useful in the early detection of ASD.

      • 흰점박이꽃무지분의 비해 검정에 의한 유기질 비료 개발

        정경희(Kyonghee Joung),이슬(Seulbi Lee),심현영(Hyunyoung Shim),허준영(Junyoung Heo),장다현(Dahyun Jang),유병만(Byungman Yoo),배성문(Sungmun Bea),이영한(Younghan Lee),장영호(Youngho Chang)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Protaetia brevitarsis larvae)은 갈색거저리 유충과 함께 2014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새로운 식품원료로 인정받은 식용곤충이며 2020년 전국 2,706개소의 곤충 사육 농가 중 약 46%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곤충이다. 이와 함께 식용, 사료, 약용, 기능성 물질 등으로 활용되는 곤충 자체의 이용성 확대 이외에도 현재 1,700 여톤으로 추정되고 있는 흰점박이꽃무지분을 유기질 비료 자원으로 활용키 위한 비해 효과를 검토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흰점박이꽃무지분의 이화학적 특성으로는 유기물이 약 50%, 질소전량이 1.71%, 유기물대질소비는 29.2였으며, 수분 45%, 99.97% 입상인 완전부숙물로 납과 구리, 비소 등의 유해중금속은 공정규격 이하 수준이었다. 경남 진주시와 창녕군 두 곳에서 상추, 고추 등 이식작물 2종과 무, 참깨, 시금치 등 파종작물 3종의 포트 시험을 통해 시용에 따른 비해 정도를 검토하였다. 두 지역에서 수행한 시험에서 이식작물인 상추와 고추는 정식 후 7일부터, 파종작물인 무, 참깨, 시금치는 발아 후 7일부터 1주일 간격으로 3회 이상 수행한 달관 조사에서 두 지역 모두 NPK만 시용한 처리구와 마찬가지로 NPK에 흰점박이꽃무지분을 기준량 (540 kg 10a<SUP>-1</SUP>)과 배량 (1,080 kg 10a<SUP>-1</SUP>)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반점, 엽의 변색, 생장지연 및 지하부 뿌리 등에 비해가 나타나지 않았다. 흰점박이꽃무지분은 비료로써의 효과 뿐 아니라 시용에 따른 피해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화학적 특성 분석결과 비료 뿐만 아니라 유기농업자재로도 등록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벼 이삭줄기의 유관속발육과 이삭특성과의 관계

        李東珍, 에스 벨가라, 자모라,金鳳九,蔡濟天 한국작물학회 1992 한국작물학회지 Vol.37 No.2

        본 실험은 수도이삭줄기의 유관속 발육을 증진시켜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위하여 1989-1990년에 국제벼연구소(IRRI)에서 인도형인 IR58과 인본형인 Unbong 7을 공시하여 실시하였다. 1. 주간의 절간위치별 유관속수는 상위로부터 제1절간(수수절간)은 제 2,3,4,5절간에 비해 현저하게 적었으며, 품종별로는 IR58이 Unbong 7보다 많이 발육되었다. 2. 수수절간의 유관속수 및 횡단면적은 주간이 1,2차 분얼경보다 많이 컸으며, 분얼의 발육순서에 따라 저하되는 경향이었고, IR58은 Unbong 7보다 대유관속의 수와 횡단면적이 많이 컸으나 소유관속은 적고 작았다. 3. 양분의 이동통로인 사부와 수분의 이동통로인 본부의 횡단면적도 분얼의 출현이 빠른 것이 늦은것보다 크게 발육되어 있어서 출현이 빠르게 분얼경이 양수분흡수 및 동화물질의 전류에 유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사료되었다. 4. 이삭당 수중 및 수량은 주간에서 가장 높았고, 1차분얼 2차분얼의 순서로 낮아지는 경향으로 분얼경의 출현순서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5. 수수절간의 대유관속수는 이삭형질인 1,2차 지경수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이는 대유관속이 지경수 및 영화수 분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되었다. 6. 일찍 출현된 분얼경은 늦게 출현된 분얼경에 비해 비교적 긴 생육기간을 가지고 있었으며, 양호한 유관속의 발육, 굵은 수수직경, 영화수 분화 및 등숙율을 향상시키고 나아가서 수량이 많아지는 특성을 나타냈다.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d the development of the vascular bundles in the peduncle of different tillers on its development in order to improve the vascular system and possibly increase grain yield. The development of the vascular bundle in the leaf, stem and panicle is an important aspect of assimilate translocation and differentiation of panicle characters. Two cultivars were used in this study: IR58, an indica type, and Unbong 7, a japonica type. The main culm(M) had more and bigger vascular bundles in the peduncle and those vascular bundle decreased with tiller order and tiller development. In the primary tillers, P1 had more large and small vascular bundles than P5 in both cultivars. IR58 developed more large vascular bundles compared to Unbong 7, but the small vascular bundle in unbong 7 was more than in IR58. The cross sectional area of phloem and xylem in large vascular bundle decreased with tiller order in both cultivar. Larger area of phloem and xylem in the early formed tillers more efficient transport of assimilates. The number of spikelets, the weight of panicle and grain yield per panicle were highest in the main culm followed by the order of their initiation or emergence. The number of primary and secondary branches to be positive associated with the number and area of vascular bundles. Furthermore, the number of vascular bundles in the peduncle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peduncle thickness which in turn was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primary and secondary branches on the panicle. These results showed tillers that are initiated early and have relatively ation usually have more vascular bundles, larger peduncle, more spikelets spike let filling and ultimately higher yield.

      • KCI등재

        도시민의 도시농업 경험이 농촌체험관광에 미치는 영향

        이인환,이효정,이슬,전인철,김용근,Lee, In-Hwan,Lee, Hyo-Jeong,Lee, Seul-Bi,Jeon, In-Cheol,Kim, Yong-Geun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6

        본 연구는 도시민 중 도시농업을 경험한 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집단 간의 농촌체험관광 참여의사와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로 도시농업의 경험유무를 구분하고 농촌체험관광의 참여의사, 참여이유, 불참이유, 긍정적 이미지, 부정적 이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도시농업의 비경험자와 경험자 간 비교분석을 하기위해 서울시 우수텃밭농장과 도심지 여가공간을 방문한 수도권 도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농업 경험자들은 비경험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농촌체험관광 참여의지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농촌체험관광이 가지고 있는 도시와 다른 자연환경과 자녀교육효과를 가장 큰 목적으로 두고 있다고 나타났다. 셋째, 바쁜 일상생활 때문이라는 응답이 농촌체험관광 불참이유의 대부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농촌체험관광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는 전반적으로 수긍하였고, 특히 집단 간 비교하였을 때 작물재배 및 도시와 다른 자연환경에 대한 인식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농촌체험관광의 부정적 이미지로 집단 간 낯선 환경, 흥밋거리 부족, 농촌마을을 방문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는 인식차이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민들이 생각하고 있는 농촌체험관광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시농업 경험 유무에 따라 참여의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the Y/N in participating the urban farming and to analyze the intention in farm village experience tourism, reason to participate and non-participation, the positive image and negative image between the urbanite group experience in urban farming and the other group that does not experience it. Questionnaire was implemented to the metropolitan urbanite who visited exemplary field farmhouse and urban recreation space to analyze the comparison of groups that experience or do not experience urban farm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experiencing urban farming are relatively less in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farm village tourism experience than those who do not experience it. Second, the largest reason to participate in farm village tourism experience is found to be the natural environment of farm village tourism experience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ity and the effect on children's education. Third, most answers on the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in farm village tourism experience is because of the busy daily life. Fourth, urbanite have positive image in general about farm village tourism experience. Especially, when the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was made, it was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understanding the crops growing and the natural environment difference in the city. Fifth, about the negative image on the farm village tourism experience, it showed the difference in understanding the unfamiliar scenery, shortage of eye catching and fun, and the necessity and cost between the groups. Consequently,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e recognition of the farm village tourism experience on urbanite were checked, it was revealed that Y/N experience in the urban farming made negative influence to the willing.

      • 새만금 간척지의 보리재배시 토양관리방법에 따른 비산먼지 저감효과

        현병근(Byung-Keun Hyun),류철현(Cheol-Hyun, Ryu),이슬(Sul-Bi Lee),이찬욱(Chan-Wook Lee),송요성(Yo-Sung Song),조유리(Yu-ri Cho)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비산먼지의 발생은 토양이 건조하고, 강한 바람이 불 때 발생한다. 비산먼지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건조한 토양을 습윤상태로 만들거나, 토양표면을 식생 등으로 피복하여 토양입자가 부유하여 이동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새만금 간척지는 2∼5월에 강한바람(4∼9m/s)이 발생할 때 비산먼지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저감하기 위해서 보리재배시 토양관리방법에 따른 비산먼지 저감 효과시험을 구명하였다. 새만금 간척지에서 보리재배시 ①관개용수의 염농도별(0, 3, 6 dS/m), ②보리의 파종시기별(2, 4, 6, 8, 10, 12월), ③시비방법 및 비종별(토양▪엽면 X 요소구▪유안구)로 구분하여 처리하였다. 비종은 요소구(요소-용성인비-염화가리)와 황산근(SO<SUB>4</SUB>)을 포함한 유안구(유안-용과린-황산가리)로 처리하였다. 비료시용은 보리의 밑거름/웃거름을 토양/토양, 토양/엽면, 엽면/엽면으로 처리하였다. 생육조사는 초장과 경수, 해당면적을 작물이 피복한 비율을 적용한 피복도(4회)를 조사하였다. 비산먼지량은 8회(10월∼6월)를 조사하였다. 비산먼지량 채취는 해당 시기에 플라스틱 컵(직경 7.4 cm)을 지면에 묻어 비산먼지가 채취된 량으로 평가하였다. 처리간 효과구명은 Duncan 다중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관개용수 염농도별로는 예년에 비해 2021년에 비가 자주 와서 처리간의 생육차이가 없었으며, 비산먼지 저감효과에도 처리간의 유의성이 없었다. 파종시기별로는 10월에 가까울수록 보리생육이 양호한 경향이었다. 그러나, 12월에 파종한 구가 동해(-17℃)를 입어 2월에 파종구 보다 초기에는 생육이 저조하였으나, 후기로 갈수록 회복되었다. 파종시기별 비산먼지 저감효과는 10월 > 2월≒12월 > 4월 순이었다. 6월과 8월은 생육이 거의 되지 않은 나지상태였다. 비료처리는 토양처리가 엽면처리보다 양호하였으며, 비종 간에는 뚜렷한 유의성이 없었으나, 유안구가 요소구에 비해 약간 양호한 경향이었다. 이를 종합하면, 풍속이 강한 새만금 지역에서 비산먼지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비종은 황산근 비종을 선택하고, 시비처리는 엽면보다는 토양에 직접 처리하며, 파종시기는 10월에 가깝게 파종되는 것이 바람이 강한 2∼5월에 표면피복상태를 양호하게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중량식 라이시미터에서 배추 재배에 따른 질소 용탈과 수지

        이예진 ( Ye Jin Lee ),옥정훈 ( Jung Hun Ok ),이슬 ( Seul Bi Lee ),성좌경 ( Jwa Kyung Sung ),송요성 ( Yo Sung Song ),이덕배 ( Deog Bae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7 No.3

        중량식 라이시미터를 활용하여 배추 재배 중 식양토와 사양토의 질소 용탈과 질소 수지를 평가하였다. 생육 초기인 9월 초 강우로 인해 식양토와 사양토 모두 토심 150 cm 이하로 배수가 있었다. 식양토는 점토의 수축 및 작물 뿌리 등에 의해 형성된 대공극을 통해 일시적으로 배수량이 증가하였으나, 사양토는 식양토와 달리 강우량에 따라 일정하게 배수량이 증가하고, 감소하였다. 토성별로 질소 용탈량을 분석한 결과, 식양토에서는 비료의 용탈이 거의 없는 반면, 사양토에서는 식양토에 비해 5배 많은 질소 용탈이 있었다. 질소수지에서 작물 흡수량에 비해 질소 용탈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적었으나 식양토에 비해 사양토에서의 용탈량이 많아 질소 수지산정에 토성에 따른 용탈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Nitrogen leaching depends on the drainage pattern and nitrate content, and those are influenced by soil hydraulic properties and fert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how soil texture contributed to leaching and balance of nitrogen, as well as to drainage. METHODS AND RESULTS: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undisturbed weighing lysimeters which were piled up with clay loam (Songjung series) and sandy loam (Sanju series) soils i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experimental field. Chinese cabbage was cultivated from August 30 to October 31, 2017. The application rates of N, P<sub>2</sub>O<sub>5</sub>, and K<sub>2</sub>O were 21.5, 7.8, and 15.0 kg 10a <sup>-1</sup> , respectively, and irrigation was supplied at -33 kPa in 30 cm soil depth. Drainage in clay loam was not noticeable, although it was increased by rainfall in early September. By contrast, the trend of drainage in sandy loam was strongly dependent upon rainfall pattern. Owing to different drainage patterns between both soil textures, nitrogen leaching was 5-fold higher in sandy loam than in clay loam. Nitrogen use efficiencies in clay loam and sandy loam were represented as 43% and 52%, respectively. CONCLUSION: The pattern of drainage and nitrogen leaching were greatly depended on clay content in soil. From this study, we carefully suggest that soil texture should be considered as an incidental factor to estimate nitrogen bal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