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예비유아교사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관한 연구

        변윤희,홍정민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선행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유아교육과 학생들은 성지식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고, 성태도에서는 상대적으로 비개방적인 성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후 유아교육현장에서 성교육을 실시할 때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는 것을 예견하고 있다. 따라서 예비유아교사의 성지식을 높이고 올바른 성 가치관을 갖게 하기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개발 및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시각적 수사학의 문화적 차이 연구 : 영국과 한국의 그림책을 중심으로

        변윤희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0 No.4

        Picture books are an art medium. Authors of picture books can convey their thoughts and emotions through interacting words and pictures in the picture books. When picture books are translated and published in another language in another country, the words could be translated and modified in consideration of cultural and linguistic background, but the pictures are published in the original versions of picture books. To know what picture books are really about, readers have to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cultural differences in visual rhetoric. S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difference of visual rhetoric in Korean and British picture books, such as Soo-Ji Lee’s Mirror and Anthony Browne’s Through the Magic Mirror. Also,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visual rhetoric in the aforementioned works through reviewing books and articles about visual rhetoric and through examining psychological studies and cultural anthropological ones on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East and West. As a result, there are the significant cultural differences in using visual rhetoric, such as (1) indirect communication vs. direct communication, (2) individualism vs. collectivism, (3) the theory of human nature vs. the theory of situations (4) analytic thinking vs. intuitive thinking, (5) interpretation of nothingness. 그림책은 글과 그림이 상호작용하면서 작가의 생각을 전달하는 예술매체이다. 그림책은 글보다는 그림이 더 큰 역할을 담당하기에 그림책 읽기에서 그림의 해석은 매우 중요하다. 그림책을 번역하여 출판할 때 글은 언어와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번역되지만 그림은 원본 그대로 출판된다. 이렇게 출판된 그림책의 그림은 문화의 특성을 반영하기에 그 해석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이를 위해 시각적 수사학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영국의 그림책을 중심으로 시각적 수사학의 문화적 차이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거울을 소재로한 같은 한국어 제목을 가진 이수지의 [거울속으로]와 앤소니 브라운의 [거울속으로 Through the Magic Mirror]를 선택하였다. 시각적 수사학에 대한 문헌 연구 및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에 대한 심리학과 문화인류학의 연구들을 토대로 두 작품 속 시각적 수사학의 문화적 특징을 분석하였다.그 결과 (1) 암시적 의사소통과 직접적 의사소통, (2)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3) 본성과 상황, (4) 분석적 사고와 직관적 사고, (5) 여백으로 이야기하기와 여백 채우기 의 시각적 수사학의 문화적 차이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그림책을 통해 동서양의 문화와 다른 문화의 시각적 수사학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다문화교육과 예술교육에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문화인지 관점에서 본 영국의 독서 교육

        변윤희 한국문화교육학회 2016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1 No.1

        According to the culture theory, an individual’s values and world views formed by his or her social relationships will affect the behaviors and attitudes of the individual. Therefore, reading education is not in the private and personal sphere but in the cultural sphere related to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In this context, historical-cultural anthropology suggested by Wulf (2013, 2007, 2006, & 2004) offers a new approach in understanding the British reading education. According to him, core mechanisms to explain cultural cognition are systematized by the five components: physical characteristic, mimesis, performance theory, rite, and image. They can serve as a useful tool to analyze the British reading educa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British reading education using Wulf's five core mechanisms as an analytic frame. To achieve this goal, the library reading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ere observed and recorded using a camera, and field notes were used as data collection procedure for 14 weeks from 15 September 2014 to 19 December 2015. Especially, group reading activities were more closely observed. Cultural scenes observed and recorded for thirty eight times, which took about twenty hours of observation. These data are analyzed by the method of analytical phenomenology.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there are the five elements as follows: (1) physical characteristic: the pleasure of literature embodied through wordplay (2) mimesis: emulating people reading books in the library, (3) performance theory: activities performed with literature (4) rite: Summer Reading Challenge as a ritual, and (5) image: book images through conversations with authors. 문화이론에 의하면 개인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가 개인의 세계관과 가치관을 형성하고 이 세계관과 가치관이 개인의 행동과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독서교육은 개인적 영역이 아닌 개인이 일생동안 가지는 경험과 사회문화적 환경과 관련된 문화적 영역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Wulf가 제시하는 신체성, 미메시스, 연행성, 의례, 이미지의 다섯 가지 문화인지 체계는 영국의 독서교육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Wulf의 문화인지 이론을 기초로 영국의 독서교육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4년 9월 15일부터 2014년 12월 19일 사이 14주 동안 도서관 안에서 이루어지는 영유아대상의 독서교육 활동을 관찰하고, 카메라와 현장노트를 활용하여 그들의 독서교육 장면을 다각도로 기록하였다. 이 기간 동안 관찰·기록한 문화적 장면은 38건이고, 시간상으로는 약 20시간에 해당한다. 그리고 모아진 연구 자료를 문화인지 관점에서 해석학적 현상학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말놀이를 통해 체화된 문학의 즐거움, (2) 도서관에서 책을 읽는 사람들 모방하기, (3) 연행적으로 이루어지는 문학 연계 활동, (4) 의례로서의 Summer reading Challenge , (5) 작가와의 대화를 통한 책의 이미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문맥적 단서와 은유의 종류에 따른 아동의 운유 이해의 발달

        변윤희,최경숙 한국인간발달학회 2000 人間發達硏究 Vol.7 No.1

        본 연구는 5세, 7세, 9세 각 40명씩 충 120명을 대상으로 연령, 문맥적 단서의 유무, 은유의 종류(속성적 은유,관계적 은유)에 따라 은유 이해 발달 경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단계의 문장 선정과정을 거쳐 12개의 은유문장을 선정, 보완하고, 문맥을 제작하여 아동에게 들려준 후 그 이해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은유 이해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속성적 은유 이해에는 문맥적 단서가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관계적 은유 이해에는 문맥적 단서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적 은유보다 속성적 은유를 더 잘 이해하였다. 또 속성적 은유의 경우 5세와 7세 사이에 크게 발달하나 관계적 은유의 경우에는 급격한 발달시기 없이 고른 발달을 보였다. 이는 5세 7세 9세 아동의 속성적 은유와 관계적 은유의 발달 추세가 다르다는 것과 맥락적 단서의 영향이 은유 종류에 따라서 다르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기호학적 관점에서 본 그림책의 글과 그림 읽기

        변윤희,현은자 한국유아교육학회 2002 유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호학적인 관점에서 그림책의 글과 그림의 역할과 글과 그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유아의 그림책 읽기에 대한 교육적 함의에 대해 살피기 위한 것이다. 그림책에서 글과 그림은 "고정"과 "중계"의 역할을 한다. 그림책에서 글은 시간의 흐름을 직접적으로 나타내고 공간을 함축적으로 나타내고, 그림은 시각적인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공간을 직접적으로 나타내고 시간을 함축적으로 나타낸다. 기호학적인 관점에서 그림책의 글과 그림은 "변환중재(transmediation)"과 이코노텍스트(iconotext)"로 개념화될 수 있으며, "대칭", "보충" 그리고 "대위와 대조"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기호학적 관점에서 그림책의 글과 그림의 역할과 관계에 대한 해석은 그림책의 의미를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아에게 문학적 즐거움을 가르치며 올바른 독서태도를 갖도록 도와 줄 수 있다. This study describes the role of words and pictures in picture book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using semiotic theory and suggests the importance of educating children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se roles and relationships. The role of words and pictures is anchoring and relaying. Words arranged and read in a linear, forward motion move us forward in time and imply space. Pictures provide visual information. Though they inhabit a partial plane and are viewed at a single moment in time, pictures convey the passing of time. Many theorists have differently conceptual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s and pictures: iconotext and transmediation. This study reorganizes the three general categories of relationships between words and pictures: symmetrical, enhancing and complementary, and counterpoint and contradiction. In further classifying the relationships, symmetrical relationship can be divided into two sub-categories: reduction and elaboration. Enhancing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 has three sub-categories: amplifying, complement, and alternate progress. The counterpoint and contradiction relationship has two sub-categories: irony and counterpoint. A semiotic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ds and pictures in picture books help children understand the story and find pleasure in reading. Children who know the pleasures of picture books have an increased capacity for verbal and visual literacy and form better reading habits.

      • KCI등재

        유아ㆍ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유아교사 핵심역량 개발 연구

        변윤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敎員敎育 Vol.3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core competency model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teachers that reflects the 2019 Nuri Curriculum. For the study, four steps of research were carriedout. In step 1, core competencies were derived b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latedto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in step 2, core competencieswere improved and modified by interviewing the hea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11),kindergarten teachers (13) and university (4). Subsequentl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50 EarlyChildhood Education teachers in B, U and G provinces on the need for core competencies, and 124of these were analyzed without any missing answers. In step 3,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Borich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ese results, core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ere finally determined. In step 4, facial validitywas verified by experts. Following the facial validity, eight core competencies: teaching ethics,communication skills, understanding and guidance of young children, teaching and learning for youngchildren,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educational evaluations, operation of early childhoodeducation institutions,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artistic sensitivity were confirmed.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놀이 중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할 때 필요한 유아교사 핵심역량을 개발하여 이를 유아교육과의 교육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위해 총 4단계의 연구절차가 수행되었다. 1단계에서는 영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관련된 국내ᆞ외문헌을 분석하여 핵심역량을 도출하였고, 2단계에서는 영유아교육기관 원장(11명), 대학교수(4명),유치원 교사(13명)을 인터뷰하여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과 학과의 특성화방향을 반영하여 핵심역량을 개선하고 수정하였다. 이후 3단계에서 B시, U시, G도의 영유아교사150명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의 필요도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이 중 누락된 답변이 없는 124부의 요구도가 분석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Model을 분석하였고, 각 분석에서 제시된 핵심역량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10개의 핵심역량을 선정하였다. 이후 유아교육과의 인재상과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유아교사 핵심역량으로 교직윤리,의사소통, 영유아이해 및 지도, 영유아교수학습, 교육평가의 이해 및 활용, 영유아교육 기관 운영,창의적 문제해결력, 예술적 감수성의 8개 핵심역량을 확정하고 전문가 안면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 8개의 유아교사 핵심역량을 선정하였다.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변윤희,현은자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그림책의 통합 예술적 특징과 Arts PROPEL을 활용하여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그림책의 글 읽기, 그림 읽기, 글과 그림의 관계 파악하기를 통하여 그림책에 담긴 다양한 예술영역의 풍부한 내용을 파악하고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둘째, 자신의 표현 및 제작 활동을 통하여 다양한 예술 영역에 대한 경험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셋째, 평가와 반성의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작품을 수정함으로써 더욱 창의적인 작품으로 표현 할 수 있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를 통하여 그림책과 관련된 언어, 미술, 신체, 음악의 내용을 선정하였으며, 수업모형은 Arts PROPEL의 지각, 제작, 반성의 과정으로 추성하였다. 그리고, 만 5세 유치원 유아 111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61명과 비교집단 50명으로 나누어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언어, 미술, 신체, 음악 영역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사전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영역별 유아창의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10주간의 처치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영역별 유아창의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개발된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언어, 미술, 신체, 음악 영역에서 유아의 창의성을 증진시키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develops an Arts Education Program with Picture-books(AEPPB) for young children and examines its effects on creativity. The AEPPB was designed and develop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6th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existing arts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and Arts PROPEL which was developed by Winner and his associates (1991) and features an entire process from perception, to production and reflection, as derived from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he AEPPB in this study includes educational programs for music, fine arts, and literature. Picture-books are the primary medium for instruction. After completion of the design of this program it was applied to a preschool classroom to examine its effect on children's creativity for arts. This study was experimentally design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s many as ill young children residing in Seoul and Kyonki Provincial area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ntrol. As many as 61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scheduled to participated in the AEPPB using various instructional activities with picture books, while 50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had the existing program. Children in both group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or 10 weeks. K-CCTYC, a test for creativity in language, fine arts, and body expression, as well as MCSM, a test for creativity in music were administrated as pre- and the post-tests.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 AEPPB was effective in enhanc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in the subject areas of language, fine arts, body expression, and music. The results of the K-CCTYC and MCSM tests reveal that the pretests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hile the post tes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on creativity in all four areas of language, fine art, body expression, and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