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단따돌림에 대한 개입인식의 변화를 위한 학급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변귀연 한국아동권리학회 2005 아동과 권리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lass program which can cause the class member to change its perception of intervention into school bullying, analyzing its effectiveness. To this end, I constructed the program based up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all the members' change in the perception of intervention, that is, multi-dimensional change i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school bullying and its victim, is effective the school bullying. As a strategy, firstly, we educated the class members (student, parent, and teacher) to have correct knowledge on the school bullying. Secondly, we helped teachers and parents to actively supervise and take sanctions against the problem behavior. Thirdly, we induced positive intervention from peers. In addition, we trained teachers and parents for their easy intervention into students involved, and also held 2-hour sessions of preventive program for students four time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4-6 grade students with 3 classes each grade. Analytical framework was designed to compare the results between pre-program and post-program by questionnaire asking students of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intervention into the school bullying. Through this process, we found that the program causes a significant change in class members' perception of the intervention, and that there is difference in the change by grade and gender. 본 연구는 학급구성원 체계의 집단따돌림에 대한 개입인식의 변화를 위한 학급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여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구성원 전체의 개입인식의 변화라는 다차원적인 환경의 변화가 집단따돌림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이론적 배경에서 기초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전략으로서는 첫째 학급 구성원체계(아동, 부모, 교사)에 집단따돌림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교육하고, 둘째, 교사나 부모의 적극적인 제재와 감독을 하게하며, 셋째, 또래들의 긍정적인 개입인식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교사나 부모에 대한 연수 등을 통하여 교사나 부모가 쉽게 아동들에게 개입할 수 있는 방법들을 연수하여 활용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아동들에게는 집단따돌림 2시간씩 4회기의 집단따돌림 예방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6학년을 대상으로 학년별 3학급씩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한 연구설계는 아동들에게 집단따돌림 개입인식의 변화를 묻는 설문지를 통하여 사전사후비교설계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 각 구성원체계의 개입인식의 변화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또한 학년별, 남녀별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학급프로그램이 집단따돌림에 대한 학급 구성원체계의 개입인식의 변화를 위하여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 학교부적응 학생의 학교적응력향상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발연구

        변귀연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4 호남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Vol.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roup program to enhance the adjustability of students who find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school life (here in after shall be referred to as "the group program") The group program involves helping maladjusted students to establish positive self-image through consolidated art treatment, and educating them to gain interpersonal skill, thereby preventing them from dropping out of school. This sturdy dissertation would like to utilize the Model Development Method, which is presented as the most appropriate in early stage of developing practice model, as framework.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d on reviewing first what kind of contents and strategy the group program should include, and then how effective the program is in achieving its objectives of helping maladjusted students to reinforce their adjustability. To achieve the first task mentioned above, this study presents the purpose, contents, strategy and guideline, based upon the research on the literature. With respect to the second task,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program, this sturdy jointly use the qualitative research based upon the a variety of material as well as the evaluation results both before and after the group process. Furthermore, we actually applied the group program to the schools which the welfare center associated with us recommended. We went through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vising and supplementing it. In conclusion, the group program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effective in enhancing the self-image, adjustability in school life and satisfaction level. Most of the group program, subject to a phase-in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could be more widely applied as it is.

      • KCI등재

        집단괴롭힘 피해학생의 역량강화를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변귀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6 한국청소년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evelop a group program on empowerment for victim students of school bullying(here in after shall be referred to as “the group program”)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In this regard, this dissertation delineates what the contents and strategies of the group program should be, and how effective the group program is, as research tasks Based upon the research on the literature for the first task, intervention is required to mitigate the negative emotion involving a feeling of helplessness, depression and anxiety, which are typical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to improve their poor inter-personal skills, which are typic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shown by victim students. Therefore, this dissertation constructed the group program, which focuses on improving motivation, self-esteem, access to resources and mutual support. In relation to the second task, I recorded 10 sessions of group process and conducted contents analysis by sub-factor for the empowerment to review whether the group program contributes to the empowerment of the victim students effectively. I choose a sentence as an analysis unit. The contents analysis covers 4 categories except an problem solving technique out of 5 categories of motivation, self-esteem, resource access activity and mutual support defined as a product of the empowerment in this dissertation. The subject of this dissertation were interviewed and selected among the victim students of school bullying referred from OO middle school. I had meetings with a group of victim students 10 times with each meeting lasting one and a half hour once a week. In conclusion, the group program on the empowerment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enhancing, to a significant extent, the motivation, self-esteem, resource access activity, and mutual support for victim students suffering from school bullying. 본 연구는 집단괴롭힘 피해학생의 역량강화를 위한 집단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상정한 연구문제는 집단괴롭힘 피해학생의 역량강화를 위한 집단프로그램은 어떤 내용과 전략으로 구성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집단괴롭힘 피해학생의 역량강화에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문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살펴본 결과, 집단괴롭힘 피해학생들이 보이고 있는 정서적 특성인 무력감, 우울, 불안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완화하고, 행동적 특성인 빈약한 대인관계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집단 괴롭힘 피해학생의 역량강화의 산물인 동기화, 자아존중감, 자원접근활동, 그리고 상호지지를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두어 구성하였다. 연구문제2는 역량강화 집단프로그램이 피해학생의 역량강화에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집단과정 10회기를 녹음하여 기록한 자료를 역량강화 하위요소별로 내용분석 하였다. 분석단위는 문장으로 선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역량강화의 산물로 규정한 동기화, 자아존중감, 자원접근활동, 구성원의 상호지지 등의 네 가지 범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학교와의 연계를 맺고 있던 서울 강서구 OO중학교의 집단 괴롭힘으로 의뢰된 학생들 중 연구자의 사전면접을 통하여 선정하여, 주 1회 매회 1시간 반 동안 모임을 갖고 총 10회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집단괴롭힘 피해학생을 위한 역량강화 집단프로그램은 구성원의 동기화, 자아존중감, 자원접근활동, 그리고 집단의 상호지지의 유의미한 향상에 효과적인 개입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직무만족도 결정요인

        변귀연,오승환 한국아동권리학회 2009 아동과 권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which affect the job satisfaction in child protection workers. For the purpose, data was collected by 213 workers in 42 child protection centers nationwide. The following categories of factors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were examined:individual characteristics, agency characteristics, job related characteristics, human relationship, burnout and supervision. Frequency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the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was beyond mean and burnout sub-scales were reported a high degree of burnout. Second, whether of 1st licence in demographics, challenge in job environment, human relationship, emotional depletion and lack of feelings of achievement in burnout, and supportive supervision had effect on job satisfaction. Major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previous research findings. Several suggestion were made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child protection worker and for the future study of 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업무환경과 소진의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42개 아동보호전문기관에 근무하는 상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49명을 조사하였다. 연구변수로는 상담원의 인구학적 특성, 기관특성, 업무환경 요인인 승진, 보상, 편안함, 도전, 업무량, 역할갈등, 역할모호, 상사관계, 동료관계 등이 포함되었으며, 소진 요인으로는 정서적 탈진, 개인적 성취감 감소,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격화 등이 포함되었다. 연구 분석결과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직무만족도는 20점 만점에 평균 12.5점으로 중간정도의 점수를 기록하였다. 상담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 특성 요인을 살펴보면, 업무환경 특성, 인간관계 특성, 소진 특성, 슈퍼비전 특성이 상담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분석 모형 결과 상담원의 학력이 높을수록, 거점센터에 근무할수록, 담당사례가 적을수록, 업무에 대한 편안한 태도가 적고 도전의식이 높을수록, 정서적 탈진이 적을수록, 개인적 성취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담원의 업무량 조정과 개인적인 도전의식과 성취감 고취방안 그리고 정서적 탈진 예방책 등의 대책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의 전환과정에서 내재화 문제의 변화양상과 예측요인

        좌현숙,변귀연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0 학교사회복지 Vol.- No.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internalizing problem from late childhood to early adolecence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ssociated with internalizing problems. Five-wave data were drawn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a longitudinal panel stud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4th graders. The Sample consisted of 2,844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YPS. Latent Growth Curve Model(LGM) was used to analyze intraindividual changes in internalizing problem and interindividual differences in these changes. And AMOS 7.0 and SPSS 15.0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internalizing problem of adolescents has increased. And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initial level and the rate of change. Self-esteem, negative self-concept, child abuse, marital conflict, attachment to peers, school adjustment were associated with the initial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 And negative self-concept were associate with the rate of chang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전환되는 시기동안 내재화 문제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양상으로 변화하는지 발달궤적을 규명하고 이러한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발달적 맥락주의 관점에 기반하여 개인요인, 부모 및 가족요인, 친구 및 학교요인, 지역사회요인으로 예측요인을 상정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 1-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Curve Model)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이행되는 5년 동안 내재화 문제는 점차 증가하는 발달궤적을 보였다. 내재화 문제 초기값과 변화율의 상관은 부적관계를 보여, 최초 측정시점에서 내재화 문제가 상대적으로 높은 아동은 최초 측정시점에서 내재화 문제가 낮은 아동에 비해 시간이 지날수록 내재화 문제가 더 느린 속도로 증가했다. 내재화 문제의 초기값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은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개념, 부모 및 가족요인으로는 부부갈등, 자녀학대가 확인되었으며, 친구 및 학교요인과 지역사회요인에서는 또래애착, 학교적응이 확인되었다. 이 밖에 통제변인인 성별도 내재화 문제의 초기값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내재화 문제의 변화율에는 내재화 문제의 초기값과 부정적 자아개념, 성별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 후기에서 청소년 초기에 이르는 동안 내재화 문제의 발달궤적을 규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한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내재화 문제의 예방과 개입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고 후속연구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