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염성 비장 및 신장 괴사 바이러스(ISKNV)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소재 탐색 및 5-fluorouracil, ganciclovir, ethyl ferulate, saponin을 활용한 in vitro 평가

        백은진,최현덕,김광일 한국어병학회 2025 한국어병학회지 Vol.38 No.1

        Infectious spleen and kidney necrosis virus (ISKNV) is a major pathogenic iridovirus that causes high mortality and serious economic losses in farmed and ornamental fish. However, effective antiviral agents against ISKNV are currently unavailable. In this study, we screened 28 common and natural compounds to identify potential antiviral candidates using an in vitro cell infection model. Cytotoxicity assay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non-toxic concentrations of each compound. Based on both pre- and post-treatments, four compounds (5-fluorouracil, ganciclovir, ethyl ferulate, and saponin) showed significant antiviral activity. Notably, treatment with these compounds led to marked down- regulation of ISKNV MCP, ATPase, and DNA polymerase gene expression.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antiviral mechanism revealed that the compounds (5-fluorouracil, ganciclovir, ethyl ferulate, and saponin) interfered with the viral replication stage in dwarf gourami fin (DGF) cells. In particular, 5-fluorouracil interfered with internalization to replication stages. Additionally, viral titers measured in the culture supernatant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extracellular virus release in the com- pound-treated groups compared to the non-compound-treated control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elected compounds possess potent antiviral activity against ISKNV and may serve as disease control agents or immune-enhancing adjuvants against ISKNV infection.

      • KCI등재

        역대 초⋅중학교 사회과 및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영역’의 의미

        백은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4 교육논총 Vol.44 No.3

        본 연구는 2022 개정 초⋅중학교(공통) 교육과정에서 여러 뜻으로 사용되고 있는 ‘영역’이라는 용어를 개념적으로 구분하여 명료히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역대 학교급별 및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영역’의 용례와 의미를 분석하였고, 사회과와는 별도 교과인 도덕과 또는 국사과와의 관계를 고려해 필요에 따라 도덕과와 국사과 교육과정 내용도 포함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역사과 교육과정이 사회과 교육과정과 별도로 개발되지만 고시 단계에서는 역사과 교육과정이 사회과 교육과정에 포함되므로, 역사과 교육과정 내용도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사회과 교육과정 내에서 영역의 의미는 역대 교육과정 동안 여러 가지로 혼용되어 왔지만 그 의미를 범주화한 결과 주로는 세 가지 의미로 사용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것은 첫째, 교과가 기반한 학문과 그 하위 분야, 둘째, 초⋅중학교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관통하는 주제, 셋째, 성취기준을 묶는 주제이다. 전 교과 교육과정 내에서 여러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영역’은 특히 사회과의 경우, 국가 교육과정 문서뿐 아니라 시⋅도 교육청 지침, 학교 교육과정, 교수ㆍ학습 및 평가 계획표 등에서도 혼란스럽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국가 교육과정과 후속 연구에서 복잡다단하게 다뤄지는 사회과 교육과정의 ‘영역’을 세 가지 차원으로 범주화하고 분류하여 명료화하였 다. 둘째, 사회과 교육과정의 ‘영역’에 대한 시⋅도 교육청과 일선 학교의 혼선을 줄이는 데 기여함과 동시에 차기 교육과정 개정 시 대안적 용어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향후 ‘영역’의 대안적 용어들을 기반 학문이나 과목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자율성이 허용될 필요가 있다. 이는 교과 고유성과 이에 기초한 융복합적 내용 체계 구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역사수업 방법의 측면에서 본 역사수업 성찰 가능성 탐색

        백은진 한국역사교육학회 2019 역사교육연구 Vol.- No.35

        This paper examines the existing discussion on the history teaching method,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reflection on the history teaching method. In particular, the emphasis was on the reflection of lessons specific to history subjects. Among them, in order to reflect not only on the contents of teaching but also on the method, the questions which were meaningful and applicable to the history teacher were suggested. As a history teacher, reflection, which must be done as a history class, is a significant attempt to increas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history teachers. Therefore, rather than presenting the pros and cons of the specific teaching method, this paper deals with three aspects of the method of teaching history with specific examples. Three aspects are the educational intention of the history teac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text, and the way of history teacher explanation. Through this, it needs to be emphasized enough to reflect on whether the educational intention of the history teacher, the contents of the lessons, and the teaching methods are consistent. And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understand of the author, the source, the background of the historical text. Also,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revealing the concrete context of past facts when trying to explain it as an analogy that connects past and present facts in classroom. 본 논문은 역사수업 방법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역사수업 방법 성찰의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범교과적 수업 성찰의 영역보다는 역사교과에 초점을 맞추어 수업 성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그 가운데서도 수업의 내용뿐 아니라 방법의 측면에서도 역사교과로서의 특징을 살릴 수 있도록 역사수업을 성찰할 때 유의미하고 적용 가능한 질문들을 제안하였다. 역사교사로서, 역사수업이기 때문에 해야 하고, 할 수 있는 수업 성찰은 역사교사의 성장과 자기 수업 변화를 위한 유의미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수업 방법의 장단점이나 유의점을 제시하기보다는, 역사교사가 자신의 역사수업을 성찰할 때 역사수업 방법의 측면을 어떠한 물음으로 성찰할 수 있을지에 대한 세 가지 측면 ― 역사교사의 교육적 의도, 역사 텍스트의 특징, 역사교사의 설명 방식 ― 을 구체적 사례와 함께 다루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교육적 의도로서의 역사교육관과 가르칠 내용으로서의 역사적 사실이 수업 방법과도 일관성을 가지는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는 점, 수업에서 교재로 활용하고자 하는 역사 텍스트에 대해서 저자, 출처, 작성 배경 등에 대한 이해를 충분히 강조하고 반영하였는지를 성찰할 필요가 있다는 점, 수업에서 과거와 현재의 사실을 유추의 방식으로 설명하고자 할 때는 과거 사실의 구체적 맥락을 잘 드러내는 것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도입된 역사과 핵심역량 설정의 현황과 모순

        백은진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5 사총 Vol.86 No.-

        What ought to be the crucial goals of teaching history? This question demands collaboration of historical studies and pedagoy. There are plenty of issues whose satisfactory solutions cannot be achieved with one-sided approach: Which historical knowledge should students acquire? What should be learned from these historical facts? How to train students to practice the methods of historical research? How to guide students to fair understanding of historical texts? How to apply these lessons from the classes to students' real life? In light of these questions, General Guideline of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Key Competencies seems to have less common ground with the inquiries of history researchers and teachers than the needs of labor market. Moreover the Key Competencies of the history curriculum proposed by the draft of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merely follows that of General Guideline without bearing the context of recent discussions and researches in historical studies and pedagogy. What ought to be taught, and why? Researchers and educators have always sought meaningful answers to these questions. What kind of abilities should middle school students obtain through the curriculum? How history teaching is helpful to students' practical life? What can be learned in the history and cannot be learned in the subjects other than history such as language arts, foreign language training or art class? Without interfacing with these endeavors, the national curriculum and its detailed classification of knowledge and abilities will constrict the content and methods of history education.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지의 문제에 관해,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에서는 역사교과서 내용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역사학습 내용 선정의 원리, 역사교육 목적과 목표에 관한 논의, 그 가운데 특히 역사의식과 역사적 사고력에 대한 논의들을 발전시켜 왔다. 또한, 최근에는 역사 문해력이라는 개념에도 주목해 왔다. 그러나 2015년 9월에 고시될 예정인 2015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에서 등장한 역사과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에는, 앞서 말한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의 논의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내용들이 핵심역량으로 강조되었다.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은 국가교육과정의 총론 차원에 우선적으로 도입이 시도된 개념이다. 애초에는 노동시장에 필요한 능력을 가진 인력을 양성하는 데 목적이 있는 직업교육의 맥락에서 연구되어 왔다. OECD의 DeSeCo 프로젝트를 통해 확산된 역량 중심 교육과정 경향은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소홀히 할 수 있고, 역량이 발현되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간과하며, 이론적 지식보다 실제적 지식을 강조함으로써 이론적 지식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하며, 교육을 직업훈련교육으로 전락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그간 많은 연구가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이 총론 우위의 하향식 개발임을 지적해 왔듯, 이번 2015 국가교육과정 개발도 예외는 아니었다. 총론에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이에 맞춰 역사과 핵심역량을 설정하려는 시도는,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가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가’의 문제를 다뤄온 맥락과 별다른 접점을 이루지 못하였다. 게다가 핵심역량, 핵심 성취기준, 핵심개념 등이 왜 핵심적인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왜 중요한가? 이에 대한 물음에 대해 의미 있는 견해들을 내놓으려 하는 연구들은 계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이러한 기존 연구들과의 접점과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역사교사가 가르칠 내용과 방법을, 학생들이 배워야 할 필수적이고 핵심적인 지식과 능력을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선별한다면, 이 자체는 가르칠 내용과 방법에 대한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다.

      • KCI등재

        곡류 및 곡류 가공식품의 총비소 및 무기비소 오염 비교

        백은진,김명길,김현주,성진희,이유진,곽신혜,이은빈,김혜진,이원주,이명진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2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7 No.6

        본 연구는 유통 중인 곡류 87건 및 그 가공식품 66건을대상으로 발암물질인 무기비소의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높은 분리능과 감도를 가진 HPLC-ICP/MS를 이용하여 무기비소 As(III), As(V) 및 유기비소 MMA, DMA, AsB, AsC 를 분석했으며, ICP/MS로 총비소를 정량하였다. 모든 곡류에서 무기비소가 검출되었으며, 곡류의 총비소는 약 70- 85%의 무기비소와 약 10-20%의 DMA로 구성되었다. 곡류 분석 결과, 담수재배 종인 쌀과 흑미에서 높았고, 밭재배 잡곡은 오염도가 낮았다. 쌀의 평균 무기비소 농도는 쌀눈 0.160 mg/kg, 현미 0.135 mg/kg, 백미 0.083 mg/ kg으로 외피에 비소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곡류 가공식품은 원재료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무기비소 농도가달랐으며, 현미와 쌀눈 가공 제품에서 검출량이 많았다. 모든 시료는 기준규격을 초과하지 않았지만, 섭취 빈도가높으므로 식품 안전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무엇을 위한 역사교육이어야 하는가? ―국가교육과정, 정부의 역사교육 정책, ‘국가주의’ 비판 담론에 대한 분석

        백은진 한국역사교육학회 2015 역사교육연구 Vol.- No.22

        본 논문은 우선, 현행 국가교육과정이 무엇을 위한 역사교육이어야 하는가에 대해 어떠한 답을 제시하는지 검토했다. 현행 국가교육과정의 역사 과목들의 목표는 학습자가 특정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지녀야 할 정체성을 명시하고 이를 함양하기 위한 역사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해당 정체성은 각 과목이 다루는 역사적 사실의 시공간적 범주로 제한돼 있어 역사학습을 통해형성해야 할 정체성을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지 못하다. 다음으로 역사교육 정책을 추진하는 정부가 표방하는 역사교육의 목적과 방향성을 검토하였다. 최근 정부들은 역사교육 강화 방안을 내놓았는데, 이는 각종 시험에서 한국사를 의무화, 필수화하여 형식적 강제를 강화하는 방향이었다. 또한 우리 역사에 대한 ‘자긍심’과 ‘올바른 역사인식’을 기르게 한다는 목적 하에 기구를 신설하거나, 관련 기구의 권한을 조정하거나, 정부가 지원하는 사관과 일치하는 인물들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가르칠 내용과 형식에 대해 통제를 강화하였다. 더불어 역사학계의 소통과 논쟁, 역사학계나 역사교사들의 집단적 문제제기에 대해서는 거의대응하지 않았다. 이를 두고 역사학자나 역사교육연구자들, 역사교사들 가운데 일부는 정부의 역사교육 정책이 ‘국가주의’라고 비판하였다. 정부의 권한으로 역사교육의 내용을 통제하려 한다는점과, 정부가 강조하고 지원하는 사관이 ‘대한민국 사관’이라는 점을 비판하였다. 정부의 이러한 ‘국가주의’ 역사교육에 대한 비판 담론들도 살펴보았다. 국정교과서가 역사해석의 획일화를 낳고 역사해석의 다양성을 가로막는다는 담론은 국가주의 역사교육에 대해 영향력 있는 반론이다. 그러나 정부와 ‘뉴라이트’가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를 옹호하는 논리로도 활용한다는 점에서 그것만으로는 충분한 비판이 되기 어렵다. 이러한 약점을 ‘친일독재 미화’ 비판 담론이 일부 메워 상당한 지지를 얻었지만, 이는 무엇을위한 역사교육이어서는 안 되는가에 대한 답은 제시할 수 있어도 무엇을 위한 역사교육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은 제시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부분적 약점이 있다. 최근 민주시민양성을 위한 역사교육으로서의 민주주의 담론이 제기되었는데, 이는 무엇을 위한 역사교육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려는 노력의 일부로서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지향해야 할 민주주의의 가치를 현재 대한민국의 헌법적 가치나, 근대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보완의 의미로서의 참여민주주의로 한정한다면, 한 나라의 헌법이나 자유민주주의의 틀을 뛰어 넘은 세계사적 사건들에 대한 민주주의 관점의 해석과 상상력을 제약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우려가 있다. 그럼에도 민주시민양성을 위한 역사교육으로서의 민주주의 담론은 시민교육이 사회교과만의영역이라거나, 역사교육이 시민교육이나 가치교육을 지향하는 것은 역사교육을 정치수단화 하는것이라는 견해들에 대한 대안적 논리로 자리잡아 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발전 가능성을 가지고있다. This paper firstly examines the supposed purpose of the current national history curriculum of South Korea. The curriculum puts emphasis on developing learners’ awareness of being part of the national community. But that sense of community is shaped by rather limited spatial and temporal extent of historical facts, thus not dealt with comprehensively. This paper also reviews the direction the government is taking recently. The government presented a plan for reinforcing history education, which is mainly about making Korean history compulsory in various exams or tightening the mandatory education. Under the name of ‘promoting pride on our history and righteous historical awareness’, it tightened its control of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by adjusting related authorities, organizing new bodies and using its supporters of its historical view. Moreover, the government shut its ears to all the criticisms, suggestions and questions from various historians and history teachers. In response to this, some historians, history education researchers, history teachers criticized its ‘statist’ policy, control on educational contents and underlying ‘statist’ view of the history. The idea that the government-designated history textbook forces one view of history to learners and impairs diversity of interpretations is prevalent in the critical discourses on the government’s policy. But it has own weakness: the same logic can be used by the government and ‘New Right’ to support Kyohaksa’s Korean History textbook. Criticisms on justifications of pro-Japanese activities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and dictatorship became popular as making up for this weakness. These arguments suggest what should not be the history education is about. But this is not a satisfactory answer to what is teaching history for. Recently, the idea of ‘history education as cultivation of democratic society’ was proposed. It has its own significance as an attempt to overcome the weakness of the current trend. But it is still limited in its outlook, which mainly focuses on the existing constitutional values of South Korea or ‘participatory democracy’ as a complement to modern liberal democracy. This point of view can lead to failure to assess historical events on global scale that went beyond the scope of constitution of one county and the framework of liberalism. But it has a potential to be an alternative to the idea that civic education is exclusive property of social studies or accusations that civic-education-oriented approach uses education as political strategy.

      • KCI등재

        Adding enzymes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the Korean barley Gwangmaek wort during mashing

        백은진,권영안,홍광원 한국식품과학회 2016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5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the Korean barley Gwangmaek wort and compared them to those of the imported Pilsner.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Gwangmaek (52.13 mg/mL) was 13% lower than that of Pilsner. The filtration time for Gwangmaek (53 min) was 2.5 times longer than that of Pilsner. The α-amylase and amyloglucosidase treatments increased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Gwangmaek up to that of Pilsner. However, the filtration time (88min)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nzyme treatment. In terms of β-glucan contents measured during the mashing process of Pilsner, Gwangmaek, and α-amylase and amyloglucosidase-treated Gwangmaek, the enzyme-treated Gwangmaek had the highest at 232.23mg/L, followed by Gwangmaek (190.31 mg/L) and Pilsner (82.82mg/L). When β-glucanase was added during mashing, there was no change in reducing sugar content. However, the filtration time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88 to 29 min, and viscosity also declined from 1.78 to 1.42 cp.

      • KCI등재

        수입 냉동새우에서 검출된 YHV3와 IHHNV의 계통학 및 병원성 분석

        백은진,정예진,정민아,박지연,김광일,Baek, Eun Jin,Joeng, Ye Jin,Jeong, Min A,Park, Ji Yeon,Kim, Kwang Il 한국어병학회 2022 한국어병학회지 Vol.35 No.1

        Yellow head virus (YHV), Infectious hypodermal and hematopoietic necrosis (IHHNV), Taura syndrome virus (TSV), and Infectious myositis virus (IMNV) cause serious mortality to Penaeidae shrimp in the aquaculture. In this study, YHV, IHHNV, TSV, and IMNV were surveyed from imported frozen shrimps between 2019 and 2020 via molecular diagnostic assay. Among 10 shrimp groups, YHV (n=1) and IHHNV (n=4) were detected by RT-PCR and PCR, respectively. From the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partial ORF 1b region of YHV, YHV was classified into YHV genotype 3 (YHV3). And IHHNVs (n=2) detected from Litopenaeus vannamei belong to infectious IHHNV type 2. Although IHHNVs (n=2) identified from Penaeus monodon showed PCR positive results (MG 831F/R primer set), the sequences of ORF 2 and 3 were not amplified, suggesting that those samples might possess type A IHHNV related sequence of P. monodon. Furthermore, in the challenge test, even though PCR-detected isolates (YHV3/type A IHHNV related sequence or infectious IHHNV type 2) were not induced mortality to L. vannamei, viral genes were amplified suggesting that the viruses in the frozen shrimp could be non-pathogenic particles which are not enough to induce mortality.

      • KCI등재

        역사적 추론 학습에 대한 시사 - 초등 6학년생들이 연결하는 과거와 현재 -

        백은진 역사교육연구회 2024 역사교육 Vol.169 No.-

        In the process of drawing lessons by connecting the past and the present, historical analogy and presentism were explored as concepts applicable to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way students think that connects the past and the present can be said to be a type of analogical reasoning, or analogy, and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on students’ reading of documents, sociocultural identity, and understanding of history, the student’s present is related to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history. This is because its influence cannot be overlooked. In addition, based on this review, an empirical study targeting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designed, implemented, and analyzed. By analyzing the reading logs written by students and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seen in the way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nect the past and present. Through this, the implications of research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learning historical inferences were deri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