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독증 환자들의 한자어와어 읽기 비교

        백여정,박은숙,신지철,김향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1 No.1

        한자어는 음절별로 의미가 있어 분절화가 쉽기 때문에 음절별로 저장되어 있고, 고유어는 반대로 분절화가 쉽지 않아 단어별로 심성어휘집에 저장되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어증을 동반한 실독증환자 11명을 대상으로 소리내어 읽기 과제를 실시하여 한자어와 고유어 간의 읽기 정반응 수와 오류양상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한자어의 정반응 수가 고유어의 정반응 수보다 더 많았으며, 고유어에서는 음소단계의 오류가 많았고, 한자어에서는 음절단계의 오류가 많았다. 이는 한자어의 저장 및 인출은 음절단위로 이루어지고, 고유어의 경우는 단어 전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말을 구성하는 중요한 어휘유형인 한자어와 고유어가 심성어휘집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저장되어 있을 가능성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SCOPUS

        실독증 환자들의 한자어와 고유어 소리내어 읽기 비교

        백여정(Yeo Jung Baik),박은숙(Eun Sook Park),신지철(Ji Cheol Shin),김향희(HyangHe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2 No.1

        한자어는 음절별로 의미가 있어 분절화가 쉽기 때문에 음절별로 저장되어 있고, 고유어는 반대로 분절화가 쉽지 않아 단어별로 심성어휘집에 저장되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어증을 동반한 실독증환자 11명을 대상으로 소리내어 읽기 과제를 실시하여 한자어와 고유어 간의 읽기 정반응 수와 오류양상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한자어의 정반응 수가 고유어의 정반응 수보다 더 많았으며, 고유어에서는 음소단계의 오류가 많았고, 한자어에서는 음절단계의 오류가 많았다. 이는 한자어의 저장 및 인출은 음절단위로 이루어지고, 고유어의 경우는 단어 전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말을 구성하는 중요한 어휘유형인 한자어와 고유어가 심성어휘집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저장되어 있을 가능성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Korean vocabulary approximately consists of 24.5 % of Chinese-derivative words and 69.32 % of pure Korean words.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the mental lexicon of Chinese-derivative words is segregated from that of pure Korean words. In this study, when aphasics with dyslexia read aloud, their ability was better in Chinese-derivative words than in pure Korean words. Further, whereas there were more errors at the syllabic level in Chinese-derivative words, we observed more errors at the phonemic level in pure Korean words. The most common errors were nonword errors by replacing a syllable in the former and nonword errors by substituting a phoneme in the latt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orage and retrieval of Chinese-derivative words are processed in syllable units while those of pure Korean words are processed as whole words. Thus, this study supports the hypothesis for the segregation of these two kinds of Korean vocabulary in the mental lexicon.

      • KCI등재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여정,병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4년제 대졸자를 대상으로 취업 여부 및 대기업 정규직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항 로짓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취업 여부 및 대기업 정규직으로의 취업 여부에는 대학소재지, 전공, 대학시절 학점, 취업관련 대학의 지원활동에 대한 만족도, 졸업 전 구체적 취업목표 설정 여부, 어학연수에 지출한 비용 등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취업 여부에는 연령, 가정의 소득순위, 재학 중 근무경험이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기업 정규직 취업에는 여성에 비해 남성이 유리하며, 취업을 위해 별도의 사교육을 받는 것 또한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대졸 청년충의 노동시장 성과가 단순히 개인의 능력만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귀속적 요인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귀속적 요인의 효과를 완화하기 위해 대학이 노동시장수요에 부합하는 양질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임을 제언하였다. Using a sample from a 1st wave of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0MS), this study attempts to ascertain determinants of employment status of university graduates youth in labor market, In this article, employment status was measured by two aspects, whether employed or unemployed, and being full-time job at the large corporation or not. The results reveal that variables such as location of university, major, GPA,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providing services, whether setting a concrete career goal before graduating or not, and cost spent in language training abroa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abor market status (employed/unemployed, and being full-time job in large firms/part-time job) in common. Also, age and the household income level in those days of entering university exert an influence on probability of being employed. Likewise, those graduates who are male and have experiences of supplementary private education to be employed are advantageous than female and those who did not. These findings imply that employment status of university graduates youth is determined by not only individuals' ability but also inborn traits. From these results, the authors suggest that to alleviate the effects of inborn traits, we should make a lot of effort such as providing university students with various and good programs.

      • KCI등재

        대졸 임금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 분석

        병부,여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졸 임금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해당 요인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가정배경, 대학 만족도, 취업사교육, 직무매치를 설명변인으로 하여 제도적 일자리 만족도와 정서적 일자리 만족도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매치, 대학만족도는 제도적·정서적 일자리 만족도에 두루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취업사교육은 제도적 일자리 만족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가정배경은 취업사교육이나 대학교육의 질을 매개로 일자리 만족도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발휘함으로써, 노동시장 성과와 삶의 질에서 사회계층 간 격차를 심화시킬 개연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정규직과 비정규직 집단을 분리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 간에 일자리 만족도 결정 기제에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들의 일자리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질을 개선하고, 노동시장의 요구와 부합하는 교육·훈련을 제공함으로써 직무일치 수준을 높이도록 노력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더불어 이같은 노력을 바탕으로, 가정배경이 취업사교육 등을 매개로 일자리 만족도를 결정짓는 기제를 극복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Using a sample from a 1st wave of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this study attempts to ascertain determinants and their causal relationships of job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Emplo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authors builded up the research model that includes explanatory variables such socioeconomic status, satisfaction with their own college education, private tutoring experience for being employed, and job match, and final dependent variable such as job satisfactions with both institutional and emotional conditions. The results show that job match and satisfaction with college educ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institutional as well as emotional job satisfaction. Also, private tutoring for job-earning has an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with institutional conditions. Meanwhile, we found that socioeconomic status is likely to deepen gaps among social classes in labor-market performances and quality of life, because it affects job satisfaction by way of private tutoring and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which is measured by satisfaction with their own college education. In addition, we divided our sample into full-time and part-time wage worker, and analyzed each sample respectively. Through these analyses, we ascertained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causal relationships of determinants of job-satisfaction between full-time and part-time workers. From these results, the authors suggest that to improve wage workers’ job-satisfaction, we should a lots of effort such as reforming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and providing students with various and good programs which is matching with demands of labor-market.

      • KCI등재

        고교선택제가 배정결과만족도 및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병부,여정,성열관 한국교육사회학회 2012 교육사회학연구 Vol.22 No.4

        Despite growing interest in the school choice especially since 2010 when the high school choice policy was introduced in Seoul, few studies are performed to investigate on the outcomes of school choice. While most of the school choice researches have been limited to such topics as the effectiveness or pitfalls of the school choice itself, the effects of the school choice on students and parents has been rarely conducted.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chool choice on the level of assignment satisfaction and that of school satisfaction. Data was collected from 34 high schools in the city of Seoul. The multi-level modeling was employed as a major research method. As a result,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is more likely to grow when students and parents chose the high schools taking into account more on the commuting distance, chances of getting accepted into quality university, and learning atmosphere. Second, the more students could get into the preferential school option and chose the schools based on their own decision, the higher the level of school satisfaction is. Third, the level of assignment satisfaction and that of school satisfaction respectively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preference of particular high school. Finally, authors argue that the school choice policy is likely to deepen the gaps between the popular high school option and less preferred school. 2010학년도부터 서울 전역에 고교선택제가 도입되면서 학교선택제에 대한 관심이 재점화되었지만, 학교선택의 성과를 살펴본 연구는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그간 학교선택제에 관한 논의는 주로 선택제의 기대효과나 문제점에 대한 지적이 주를 이루었으며, 학교선택제가 학생ㆍ학부모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논의는 제한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배정결과만족도와 학교만족도를 준거지표로 설정하고 고교선택제가 학생ㆍ학부모가 체감하는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 교육청 관내 34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층모형(multilevel model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통학거리, 대학 진학 성과 및 학습분위기 등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학교를 선택할수록 학교만족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고, 우선적으로 지원한 학교에 배정될수록, 본인이 진학할 학교를 직접 선택할수록 배정결과에 대한 만족도가 제고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학교수준에서는 선호학교 여부가 배정결과만족도 및 학교만족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고교선택제가 기존의 선호학교와 비선호학교의 분화를 더욱 심화시킬 가능성이 큼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생의 유형별 학습시간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적 분석

        병부(Baek Byoung-Bu),여정(Hwang Yeo-J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시간의 배분 양상과 그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학습시간의 초기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는 이전 학업 성취와 교육포부 수준이 공통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학교학습 및 개인학습 시간은 부모 학력으로부터 일부 영향을 받지만, 가계 소득과는 크게 관련이 없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그러나 사교육에 투입한 시간은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대단히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이러한 현상은 학기 중 사교육 시간보다 방학 중 사교육 시간에서 보다 분명하게 드러났다. 아울러 가계 소득이 높고 학업성취가 우수한 학생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교육에 투입하는 시간을 줄이는 속도도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라 학습시간 사용 패턴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러한 차이는 학업성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학교학습 및 개인학습 시간에서 분명하게 드러났는데, 구체적으로 여학생들이 초기수준에서부터 더 많은 학습시간을 투입하고 있었으며,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는 속도도 더 빠른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each type of studytime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e major findings of ou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our research indicates that previous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educational aspiration constitute the main influence on the initial view of the value of study?time. Second, although household incom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tudy?time, the parental levels of education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study?time in school and home. Third, private tutoring time is closely related to household income. Further, this study reveals that this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private tutoring time is much stronger during vacations. Forth, students from high?income families and those with high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tend to decrease their private tutoring time more slowly. Finally, our research indicates that students' study?time allocation is related to the student's gender. Specifically, this difference is more prominent in self?study time and school?study time.

      • 창의적 체험활동 지역사회운영모형 개발연구 II

        김현철,여정,민경석,윤혜순,유선,이재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지역사회운영모형을 개발하고, 학교를 포함한 지역사회자원의 유기적 연계를 통해 창의적 체험활동 및 지역사회 내 청소년 체험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정책대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연구, 시범사업운영 및 평가, 설문조사, 국내외 사례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자문회의, 정책협의회, 세미나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서 청소년 체험활동 및 지역사회 연계가 동기형성 및 몰입과 같은 청소년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청소년의 참여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효과가 크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과 관련하여 적지 않은 부담을 느끼고 있지만 기대감도 크며, 특히 학교와 지역사회자원을 연계하는 코디네이터 기능의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체험활동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으며, 체험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자아존중감이나 몰입수준을 제고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례조사 결과, 학교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학교장의 의지와 교사의 열의가 중요하지만, 합리적인 업무분장과 유연한 조직 운영 등 창의적인 조직문화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며, 체험활동 효과에 대한 교사, 학부모, 학생의 기대감과 확신의 형성도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청소년기관이 지역사회 청소년 체험활동 활성화를 위한 코디네이터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시범사업을 통해서 청소년기관은 학교를 비롯한 지역사회로부터의 신뢰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청소년기관이 프로그램 제공자에서 네트워커로서 역할을 전환해 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네 가지 창의적 체험활동 지역사회운영 모형을 도출하였다. 운영주체의 주도성에 따라 학교 중심모형과 지역중심모형, 청소년들의 참여 수준에 따라 성인 주도형과 청소년 주도형으로 구분하여 학교중심-성인주도형, 학교중심-청소년주도형, 지역중심-성인주도형, 지역중심-청소년주도형의 네 가지 모형을 도출하였다. 가장 바람직한 모형은 지역중심-청소년주도형 모형으로, 이러한 모형의 사업이 활성화되기 위한 정책으로 교육과학기술부과 및 여성가족부 간의 유기적 협력, 청소년활동정책 전달체계 재정비, 코디네이터 역량강화, 교사 및 코디네이터의 업무경감책마련, 예산확보, 농어촌지역 지역 네트워크 지원방안 등의 정책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community-based operational model for creative hands-on activity of young people and thereby to provide a policy alternative that can help various community resources including school to make an organic network with one another in which creative hands-on activities as well as regular youth activities in the community are stimulated. Literature research, operation and evaluation of pilot projects, surveys, and case studies of both domestic and foreign attempts on the same theme were employed as the methods of study. Expert councils, policy consultations, and seminars were also hel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The reviewing of preceding studies revealed that young people get better motivated and experience a higher degree of flow when creative hands-on activities take place in the community context. Also, it was definite that the higher their engagement is, the more positive outcomes they are likely to achieve. The survey showed that schools, as having great expectations of creative hands-on activities, are aware that they are strongly in need of coordinators who can link schools to community resources because they find it to be a lot pressure to operate the project on their own without proper expertise. Students were generally positive about hands-on activities. The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activities was proved to lead them to have more self-respect and the higher degree of flow. Case studies demonstrated that in order to have a successful outcome from the project, priorities should be given to creating more open and transparent organizational culture in which rational allocation of work and flexibility inoperation counts although personal factors like principals’ determination and teachers’ passion, expectations and trust of all the parties involved, instructors, parents, and students, in the project still play a key role. Youth institutions in the community could build up trust as a coordinator for creative hands-on activities in the pilot projects designed for the institutions to function not so much as a program provider as a community networker. Through the research mentioned above were drawn four different operational models for creative hands-on activities depending upon who takes the initiative and the degree of youth’s engagement in the project. The matrix shows a school-and-adultbased, a community-and-adult-based, a school-and-youth-based, and a community-and-youth-based model, among which a community-and-youth-based one was proved to be the most desirable. We suggest that some policy alternatives should be considered to get this model invigorated. First, organic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agencies such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the restructuring of communication system among youth policy groups are very crucial in setting a unified direction of the project. A larger number of capable coordinators, means to relieve their workload as well as that of teachers, sufficient budget, and the building of the network in the rural areas are the ones required for the actual scenes of implementation.

      • KCI등재후보

        진행성비유창실어증을 보인 진행성핵상마비 환자 1예

        김희진,백여정,정지향 대한치매학회 2007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Vol.6 No.2

        Cognitive impairments and behavioral changes of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PSP) have been well-characterized. However, the comorbidity of PSP and progressive non-fluent aphasia (PNFA)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We report a 79-year-old man who presented with symptoms of PNFA followed subsequently by clinical features of PSP. The patient’s language disorders was characterized by marked decreased fluency, agrammatism, start hesitation, neurogenic stuttering but relatively preserved comprehensio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suggestive of PSP included parkinsonism, frequent falls, and vertical gaze limitation. Bran MRI showed prominent midbrain atrophy along with diffused cortical atrophy. Cognitive impairments and behavioral changes of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PSP) have been well-characterized. However, the comorbidity of PSP and progressive non-fluent aphasia (PNFA)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We report a 79-yr-old man who presented with symptoms of PNFA followed subsequently by clinical features of PSP. The patient’s language disorders was characterized by marked decreased fluency, agrammatism, start hesitation, neurogenic stuttering but relatively preserved comprehensio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suggestive of PSP included parkinsonism, frequent falls, and vertical gaze limitation. Bran MRI showed prominent midbrain atrophy along with diffused cortical atrophy.

      • KCI등재

        로고패닉 진행성실어증: 임상적, 신경 심리학적 연구

        김정은,강희진,백여정,최경규,정지향 대한치매학회 2011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ers Vol.10 No.2

        The logopenic variant of primary progressive aphasia (PPA-L), which has been known as the subtype of the primary progressive aphasia (PPA), prominently shows the decreases in speech speed and long sentence comprehension, while showing the relatively little damages in comprehension of single word or grammar. We report a patient who suffered from progressive aphasia diagnosed as PPA-L by clinical and neuropsychological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