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EEE 802.11p PER 성능향상을 위한 다중 수신안테나 기반의 MRC 패킹 채널 추정 기법

        백승환(Seunghwan Baek),한승호(Seungho Han),임성묵(Sungmook Lim),강도욱(Do-Wook Kang),오현서(Hyun Seo Oh),송창익(Changick So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18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

        Recently, due to the evolution of autonomous driving car,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V2X(Vehicule-to-Everything) communication syst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channel estimation scheme based on multiple receive antennas so as to minimize the packet error rate (PER) performance of the Wireless Access Vehicular Environments (WAVE) system in a high speed mobile environment. The proposed scheme first obtains the data pilots utilizing initially estimated channels and maximum ratio combining (MRC), and then iteratively estimate the channels in each antenna through the MRC packing process. Finally, we demonstrate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scheme based on the link-level simulation results.

      • 상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Sliding Mode TCS 제어기의 성능평가

        백승환(Seunghwan Baek),이창석(Changseok Lee),윤득선(Duksun Yun),송정훈(Jeonghoon Song),김흥섭(Heungseob Kim),부광석(Kwangsuck Boo) 한국자동차공학회 2009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09 No.11

        This paper evaluates traction control system (TCS) by using sliding mode control (SMC) method. The designed SMC only control braking force, an engine torque control is not considered in this research. SMC is a type of variable structure control where the dynamics of a nonlinear system is altered via application of a highfrequency switching control. Validation of the designed controller has been performed by using commercial vehicle dynamics analysis program, it can be used to simulate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vehicle on various driving conditions. The results show that performances of designed SMC are in good accordance with those of the commercial software on various road conditions. The designed SMC provides more available steering angle on uniform slippery road, and if an engine TCS is used, the yaw rate and the lateral offset are larger than those obtained results.

      • 차량 자세제어 장치를 위한 ECU in the Loop System 개발

        백승환(Seunghwan Baek),박용섭(Yongsub Park),조봉근(Bonggun Cho),전재환(Jaehwan Jeon),정인용(Inyong Jung),김흥섭(Heungsub Kim),송정훈(Jeonghoon Song),부광석(Kwangsuck Boo) 한국자동차공학회 2007 한국자동차공학회 지부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In this research, we have developed a system for ECU in the loop simulation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vehicle dynamics controller which is a kind of active stability control units to control wheel slip and to improve steering stability of a vehicle on the road under rainy and snow conditions by controlling brake pressure and engine torque. To operate the VDC module, wheel speeds, a steering angle, master cylinder pressures, a yaw rate and a lateral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nd engine operation conditions are necessary as input information, then the brake pressures of each wheels could be calculated for keeping the vehicle stability in the module. The performance test of the developed system has been done according to JASO rules. We can get satisfied results of the developed ECU HILS through a series of experiments.

      • 상용 차량동역학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Sliding Mode TCS의 성능평가

        백승환(Seunghwan Baek),이창석(Changseok Lee),윤득선(Duksun Yun),김흥섭(Heungseob Kim),부광석(Kwangsuck Boo) 한국자동차공학회 2010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0 No.5

        This paper evaluates traction control system (TCS) by using sliding mode control (SMC) method. The designed SMC control is considered braking force and engine torque. SMC is a type of variable structure control where the dynamics of a nonlinear system is altered via application of a high-frequency switching control. Validation of the designed controller has been performed by using commercial vehicle dynamics analysis program, it can be used to simulate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vehicle on various driving conditions. The results show that performances of designed SMC are in good accordance with those of the commercial software on various road conditions. The designed SMC provides more available steering angle on uniform slippery road. Also, the yaw rate and the lateral offset are larger than those obtained results.

      • KCI등재

        흄에게서 자아 형이상학

        백승환(Baek, Seunghwan)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21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7

        필자는 본고에서 흄의 자아 형이상학 체계에 대한 적절한 진단과 처방을 꾀한다. 흄은 『인성론』 1권, 4부, 6절 논의(“인격의 동일성에 관하여Of Personal Identity”)에서 자신이 앞서 이미 확립한 관념 연합의 원리에 기대 이룩되는 자아론의 정당성을 설파한다. 하지만 그는 이후의 논의(“부록Appendix”)에서 이내 그렇게 세운 자아론에 흠결이 보이기 때문에 자아 문제는 재차 논구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물론 이러한 흄의 고백이 의미하는 내용은 문제되는 흠결이 무엇인지 밝혀지면 자연스레 드러날 것이지만, 전거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그가 주목하는 흠결을 규명하기 위한 작업에는 해석적 노력이 수반된다. 필자는 이 요구를 줄곧 염두에 두는 가운데 이제 다음과 같은 순서로 논의를 전개할 것이다. 첫째, 가장 먼저 『인성론』 1권, 4부, 6절 논의에서 표면화된 흄의 자아론의 주요 특징들을 개괄한다. 둘째, 이어지는 부록에서 표출되는 흄의 불만이 자아 문제에 특히 집중되는 상황을 고려해서 여타 문제들과 차별화된 특수성을 지니는 자아 문제를 그가 뒤늦게 자각하기 때문에 그 문제를 재검토할 필요성을 역설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셋째, 포겔린의 해석적 노력을 보완해서 흄의 자아론이 결국 칸트적 통찰을 일정 정도 수용한 논의로 거듭나는 모습을 드러낸다.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proper prescription and treatment of Hume’s metaphysical system of the self. In Bk. 1, Pt. 4, Sec. 6, “Of Personal Identity” of A Treatise of Human Nature, Hume proclaims with confidence the validity of his theory of the self on the basis of the already previously established principles of association of ideas. In the Appendix, however, suddenly, he expresses his complaint about his former views and wishes to revisit them once again. We need to figure out what has plunged Hume into despair. But because of the limited textual evidence, any attempt to understand it becomes a matter of interpretation. First and foremost, I provide an overview of central features of Hume’s theory of the self that appears in Bk. 1, Pt, 4, Sec. 6. Second, I argue that Hume’s despair in the Appendix is due to his belated realization of the peculiarity of the problem of the self. I defend this doctrine by showing in particular that Hume’s despair exclusively concentrates on the problem of the self and does not point to other matters of fact at all. Third and finally, I close this paper by supplementing Fogelin’s interpretation with some Kantian insight, which will make Hume’s theory of the self more convincing.

      • KCI등재

        칸트에서 동시 인과 문제

        백승환 ( Baek Seunghwan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21 철학연구 Vol.- No.64

        본고는 칸트가 자신의 인과론을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살피는 동시 인과 문제에 대한 체계적 검토를 목표로 한다. 우리는 보통 구별된 두 사건들이 원인과 결과로 연결되는 상황을 하나의 인과 관계로 새기며, 그러한 관계에서 시간상 원인 사건은 결과 사건에 항상 앞서는 것이라고 믿는다. 칸트의 인과론은 대체로 이러한 보통의 믿음에 어긋나지 않는다. 하지만 칸트가 자신의 인과론과 관련해서 언급하는 동시 인과적 상황, 즉, 원인과 결과가 서로 아무런 시간 차이 없이 동시에 존재하는 상황은 분명히 그의 인과에 대한 주장의 핵심을 일정 정도 벗어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나름의 해명이 필요해 보인다. 필자는 이 요구에 대한 칸트의 답변을 보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논의를 진행할 것이다. 첫째, 『순수이성 비판』 제2 경험의 유추를 통해 이룩된 칸트의 가장 원숙한 인과 논의를 살핀다. 둘째, 칸트가 비판철학적으로 구축한 인과 논의의 큰 틀 안에서 별반 무리 없이 동시 인과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음을 보인다. 셋째,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일상에서 빈번히 목격되는 동시 인과는 결국 칸트의 인과론에 위협이 된다기보다는 오히려 보다 치밀한 인과 논의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게 된다는 사실이 밝혀질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a systematic examination of the problem of simultaneous causation with which Kant deals when completing a series of proofs of his theory of causation. People commonly believe that causation consists in the two distinct events related as cause and effect, and that in such a relation, a cause-event is always temporally prior to an effect-event. All in all, Kant’s theory of causation does not seem to betray this belief. But since the examples of simultaneous causation in nature, i.e., those in which cause and effect coexist without any lapse of time, which Kant first appears to mention in the course of his discussion of causation, seem to obviously run counter to what he has said thus far concerning causation, some explication is required. This paper will proceed as follows. First and foremost, I explore Kant’s most mature theory of causation that appears in the Second Analogy of Experience of the Critique of Pure Reason. Second, I show that simultaneous causation is a legitimate case within Kant’s framework of causation critical-philosophically established. Third and finally, it will be concluded that Kant’s discussion of simultaneous causation contributes to making his theory of causation more thorough than before and is not a threat to it at all.

      • KCI등재

        칸트의 제3 경험의 유추가 지닌 의의와 한계

        백승환 ( Baek Seunghwan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철학연구 Vol.0 No.62

        본고는 칸트가 _순수이성비판_에서 <제3 경험의 유추>(A211-218 / B256-265)라는 이름 아래 펼친 논증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에 그러한 논증이 보이는 의의와 한계를 함께 짚어내는 것을 목표한다. 이를 위해, 첫째, 제3 경험의 유추의 가장 핵심이 되는 논증을 추려 단계별로 구조화해 나타낸다. 둘째, 그렇게 제시된 논증은 빈 공간의 실질적 배제를 결코 보이지 못하기 때문에 제3 경험의 유추가 꾀하는 상호성 도식의 현상에의 적용 가능성을 세우는 작업에는 균열이 생길 수밖에 없음이 지적될 것이다. 셋째, 이러한 문제가 칸트의 경험 구성 기획에 끼치는 체계 내적 영향을 살피는 가운데 필자는 제3 경험의 유추가 앞선 제1 경험의 유추와 제2 경험의 유추에 관계되는 방식을 드러내며 논의를 마무리할 것이다. 필자가 지금껏 수행한 작업이 틀리지 않다면, 칸트의 경험 구성 기획은 제3 경험의 유추의 논의를 제대로 끝맺는 데 성패가 달렸음이 분명해질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examine Kant’s argument in the Third Analogy of Experience from the Critique of Pure Reason and then to assess its significance and limits. For this aim, firstly, I reconstruct Kant’s argument in a progressive step-by-step manner. Secondly, it will be argued that because the argument so presented is powerless to establish what I call the nonempty space thesis, the Third Analogy of Experience cannot ground the applicability of the schema of community to appearances. Thirdly, I wish to close this paper by evaluating how then the project of constituting experience proceeds in the face of it and how the Third Analogy of Experience relates to the first two Analogies of Experience. If what I have discussed so far is correct, it turns out that the success of the constitution of experience indeed depends on bringing Kant’s argument in the Third Analogy of Experience to completion.

      • KCI등재

        김효명 교수의 칸트 인과론 해석에 대한 검토

        백승환(Baek Seunghwan)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1 철학논집 Vol.64 No.-

        본고는 김효명이 바라보는 칸트의 인과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국내영국경험론 연구의 기초를 마련한 저술인 『영국경험론』 제7장 제4절 논의를 통해 김효명은 칸트가 흄의 인과론에 맞서 제시한 인과론의 핵심을 재구성해 살피는가운데 흄에 대한 칸트의 진단은 결국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이른다. 이러한 평가의 온당성 여부는 흄의 인과론에 대한 칸트의 논증을 먼저 김효명의눈을 통해 구조화한 후에 칸트의 논증에 대한 김효명의 비판을 체계적으로 살피는과정을 거치면서 판별될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될 것이다. 첫째, 흄의 인과론에 대한 칸트의 비판적 대응을 김효명이 제시한 해석을 따라서기술한다. 둘째, 김효명이 일관되게 지적하는 칸트의 인과론에 내재한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헤친다. 셋째, 칸트의 인과론에 대해 김효명의 비판이 갖는 의의와 한계를 살핀다. 필자의 해석이 옳다면, 칸트의 인과론을 공격하는 김효명의 논증은 몇몇 중대한 칸트적 사유를 대체로 간과한 채로 비판을 꾸미기 때문에 좀 더 보완될필요가 있다. 물론 그의 훌륭한 논의가 필자를 포함한 대다수의 독자들이 인과 문제에 보다 올바르게 접근하는 데 커다란 기여를 했음은 두말할 필요도 없지만 말이다. The main aim of this paper lies in critically examining Prof. Hyo-Myung Kim’s Kant on causation. In Ch. 7, Sec. 4 of his book, British Empiricism, a monumental achievement of Korean British Empiricism scholarship, Kim argues, on the basis of his reconstruction of Kant’s argument for causation that purports to refute Hume’s theory of causation, that Kant’s diagnosis of Hume on causation is defective. Since this claim will be able to be justly evaluated only after going through Kim’s reconstruction and carefully exploring its critical details, this paper will proceed as follows. Firstly, following Kim’s reading, I present Kant’s critical response to Hume’s theory of causation. Secondly, I try to uncover the problems that Kim finds in Kant’s theory of causation. Thirdly, I appreciate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Kim’s criticism of Kant on causation. If what I have shown so far is right, Kim’s critical appraisal of Kant’s theory of causation is imperfect and requires some supplements in that it ignores several important Kantian points, although his masterful discussion has enormously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the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of caus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