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이상학적 일원론 모델로서의 ‘예술가-형이상학’

        백승영(Baek, Sung-Yo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61 No.-

        예술가-형이상학은 『비극의 탄생』 전체의 뿌리이자 결정체다. 『비극의 탄생』이 선보인 다른 사유들, 즉 예술론, 비극론, 문화 및 시대비판론은 그것과의 연계 없이는 그 전모를 밝힐 수 없다. 그래서 예술가-형이상학에 대한 공정한 평가야말로 『비극의 탄생『의 정당한 이해를 위해 필요불가결하다. 이런 예술가-형이상학은 존재적-인식적 일원론의 시도로 이해할 수 있다. 그것은 예술가-형이상학이 ‘존재-생성’ 및 ‘참-가상’의 이원론을 극복하는 지점, 아폴론적 힘과 디오니소스적 힘의 모순성 및 비극성을 존재의 특징으로 주목하는 지점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예술가-형이상학이 이런 것이라면, 니체의 성숙한 후기 사유는 초기 사유의 발전적 완성이자 결실로 평가할 수 있다. 후기의 생기존재론 및 관점주의 인식론은 세계와 인간을 포함한 모든 것을 하나의 원리로 해명하려는 방법적 일원론, (초월적)목적론적-실체적-도덕적 사유방식과의 결별 같은 초기 사유의 단초와 방법론을 그대로 수용한다. 하지만 ‘존재와 생성’ 및 ‘참과 가상’의 이원적 구분에 대한 대립과정이나, 가상의 존재적-인식적-가치적 복권의 시도들은 예술가-형이상학에서는 불분명하게 드러나거나 비명시적인 형태로 숨겨져 있는 것들로서, 후기 사유는 이것들을 명시적으로 구체화시켜 완성시킨다. 물론 힘에의 의지라는 개념은 후기의 새로운 설명 장치로, 아폴론적 힘과 디오니소스적 힘이라는 개념을 흡수하고 모순성보다는 관계성을 주목한다. 하지만 그것 역시 사유의 단절이나 관점의 전환이라기보다는 발전의 지점으로 읽힐 수 있다. 해석이라는 개념을 통해 인식적 가상의 ‘완전한’ 복권을 수행하는 것 역시 마찬가지다. 예술가-형이상학을 이렇게 이해하면, 『비극의 탄생』은 후기 사유를 씨앗의 형태로 품고 있는 저작이 된다. Artisten-Metaphysik is both the root and crystallization of 《The Birth of Tragedy》. Of other thoughts presented in 《The Birth of Tragedy》, i.e., those on art, tragedy, and culture and age, we cannot gain a full picture without linking them to Artisten-Metaphysik. Thus, for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Birth of Tragedy》, it is indispensable to make a fair assessment of Artisten-Metaphysik. Artisten-Metaphysik can be understood as ontological-epistemological monism. This can be confirmed at the points at which Artisten-Metaphysik overcomes the dualism of ‘being-becoming,’ ‘truth-illusion’ and ‘reality-appearance’ and where the contradictoriness and tragicalness of Apollonian and Dionysian powers are regarded as the features of being. As far as Artisten-Metaphysik is understood in this way, we appraise Nietzsche’s late thoughts as the advanced completion and fruit of his early thoughts. His late ontology and perspectivism accommodate, as they are, methodological monism, which attempts to explicate the world and human beings by an identical ‘one’ principle, along with the idea and methodology which are separated from teleological-substantive-ethical thinking. However, the conflict process against dualism, and the rehabilitation process of appearance (becoming, illusion) are not clearly exposed, or hidden, in Artisten-Metaphysik. These are explicitly materialized and completed in his late thoughts. Clearly, the notion of will to power, as a new explaining device, absorbs Apollonian and Dionysian powers and focuses on the relationship itself rather than contradictoriness. However, it can also be read as a point of development rather than a severance of thinking or a change of view. The same is true with regard to the ‘complete’ rehabilitation of epistemological illusion through the concept of interpretation. If Artisten-Metaphysik is understood in this way, we can appraise 《The Birth of Tragedy》 as a work which broods upon his late thoughts in the form of a seed.

      • KCI우수등재

        가다머의 해석학적 미학. 그 미완의 기획

        백승영(Sung-Young Baek) 한국철학회 2006 철학 Vol.88 No.-

        가다머의 해석학적 미학은 해석학적 진리이론을 구축하려는 의도로 구성 되었으며, 텍스트 이해의 해석학으로서의 미학을 제공한다. 이 때 사용된 방법적 도구는 놀이 개념과 진리 개념의 결합이며, 이 결합을 위해 중간태 개념과 형성체 개념과 미메시스 개념 그리고 표현 개념을 사용한다. 그런데 해석학적 미학은 논거 구성이 발생시키는 사유의 비약과 불철저함, 지나친 환원주의 경향, 그리고 그것이 포함하고 있는 미해결 문제 등으로 인해 예술에 대한 수용 기능한 규범적 척도를 제공할 수 없다. 그것은 단지 해석학에 탁월한 철학적 위계를, 즉 미학의 문제영역 마저 해명할 수 있는 포괄적 이론이라는 위계를 부여해주려는 작업에 불과하다.

      • KCI등재

        니체의 여성-라비린스, 그리고 모성이라는 아리아드네의 실

        백승영(Baek, Sung Yo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 Vol.55 No.-

        여성에 대한 니체의 담론은 은유로 점철된 복잡한 라비린스지만, 그것은 ‘여성과 여성성’에 대한 직접적인 담론으로 읽힐 수 있다. 여성-라비린스가 ‘디오니소스적 모성’을 매개로 관점주의라는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모성은 정신적 수태와 분만과 양육의 전 과정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자 은유로서, 니체의 여성 은유의 핵심이다. 그리고 여성은 남성과 마찬가지로 위버멘쉬라는 실존적 과제를 수행하는 존재다. 니체의 여성-라비린스를 이렇게 이해하면, 첫째, 그것이 갖고 있는 혼란스럽고도 모순적인 표층이 일정정도 정합적인 구도로 편입된다. 둘째, ‘니체의 여성’은 생물학적 성정체성의 문제로 소급될 필요도, 그렇다고 기호학적 수사의 문제로 축소될 이유도 없다. 셋째, 여성에 대한 니체의 거친 수사학에도 페미니즘-안티페미니즘이나, 여성친화적-여성비하적이라는 이원적 구도를 적용할 수 없다. ‘니체의 여성’은 그러기에는 너무 은유적이고, 너무 디오니소스적이며, 너무 모성적이다. Nietzsche’s discourse on woman is a complex labyrinth of a series of metaphors but it can be seen as a straight discourse on ‘woman and the feminine.’ Indeed, the woman-labyrinth is composed by perspectivism via ‘Dionysian maternity.’ Maternity is a concept as well as a metaphor which includes pregnancy, birth, and rearing and it is the core of Nietzsche’s metaphor of woman. Like man, woman is a being who fulfills the existential goal of Ubermensch. If the woman-labyrinth is understood in this way, it can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s confusing and contradictory surface is incorporated in a somewhat coherent structure. Second, there is no reason why ‘Nietzsche’s woman’ ought to go back to the problem of anatomical sexual identity or reduce to the problem of semiotic rhetoric. Third, Nietzsche"s rough rhetoric on woman cannot be subject to the dualism of feminism vs. antifeminism or philogyny vs. misogyny. ‘Nietzsche’s woman’ is too metaphorical, too Dionysian, and too maternal to be so.

      • KCI등재

        미적 쾌감의 정체 -칸트와 니체-

        백승영 ( Sung Young Baek ) 한국미학회 2015 美學 Vol.81 No.3

        미학적 측면에서 ‘니체와 칸트’를 논하는 것은 정당한 일인가? 의미있는 일인가? 이성의 철학자 칸트와 의지의 철학자 니체는 -선험주의와 자연주의라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미학의 자율성을 확보하고, 미적체험이 이성과 감성의 조화로운 통일(칸트) 혹은 이성과 감성과 육체성의 조화로운 통일(니체)이라는 것을 보여주면서, 미적 체험의 합리성을 확보하려 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니체와 칸트’를 논하는 것은 그 이상의 이유를 갖고 있다. 물론 니체는 칸트의 『판단력 비판』에 대한 섬세하고도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지는 않는다. 하지만 그가 칸트미학에 대해 ‘섬세한 자기체험의 결여’로 지목했던 지점들은 칸트와 니체 사이의 차이를 만들면서도 그 차이를 칸트의 입장을 보완하는 경우로 이해하게 한다. 즉 칸트의 ‘무관심성 및 합목적성’이 ‘관심있는’ 합목적성일 가능성을 보여주고, ‘관조’라는 미적 상태가 다양한 미적 체험의 한 가지 -이성적- 증후라는 점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이성주의-선험주의 미학의 문제해결능력을 탈이성주의-자연주의 미학의 협조를 받아 강화시킨다. 물론 니체가 이런 시도를 의식적으로 구동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니체는 칸트의 주요 설명범주들을 배척해버리기보다는 그것들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부분적으로는 교정하여 발전시킨다. 이런 상황이기에 미학적 측면에서 ‘칸트 대 니체’가 아니라 ‘칸트와 니체’를 말하는 것은 정당하다. 또한 대립적인 관점도 활용하여 우리의 미적 체험과 예술체험에 대한 해명에 설명력을 높이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In aesthetic aspect, is it fair to say ‘Nietzsche and Kant’? Is it also meaningful? Kant, a philosopher of reason, and Nietzsche, a philosopher of will, establish the autonomy of aesthetics from the distinct perspectives of apriorism and naturalism, and the rationality of aesthetic experience by showing that aesthetic experience is the harmonic unification of reason and sensibility (Kant) or that of reason, sensibility, and bodiliness (Nietzsche). However, it has a reason beyond that to say ‘Kant and Nietzsche.’ Certainly, Nietzsche does not express delicate and persistent interest in Critique of Judgement (Kritik der Urteilskraft). But the points, which he spots as "lack of delicate self-experience" about Kant``s aesthetics, make a difference between Kant and Nietzsche and also make us understand it as complementing Kant``s standpoint. That is, they show that Kant``s ``disinterestedness`` and ``purposiveness`` can be ``interested purposiveness`` and that the aesthetic state of ``contemplation`` is ``one`` symptom of various aesthetic experiences. They fortify the problem-solving capability of rationalism-apriorism with the cooperation of naturalistic aesthetics. It is no doubt that Nietzsche does not intend to make this attempt. But rather than rejecting main explanation categories of Kant, Nietzsche develops them by partly accepting and partly correcting. For this reason, in aesthetic respect, it is fair to say ``Kant and Nietzsche`` but not ``Kant vs. Nietzsche.`` Moreover, it is meaningful to raise the explanatory power of analysis of our aesthetic experience and art experience by using the opposing perspectives.

      • 가다머의 실천철학 기획과 해석학적 계몽의 의미 ― 프로네시스, 필리아, 연대성 개념을 중심으로 -

        백승영 ( Sung Young Baek ) 한국해석학회 2005 해석학연구 Vol.1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n attempt to understand Gadamer`s hermeneutics as a project of practical philosophy and to examine its features and limitations. This paper consists of the following. First, it is argued that the project of the construction of practical philosophy necessarily follows because Gadamer considers the notion of Aristotle`s practical philosophy as the standard model for general humanities. Second, because Gadamer`s construction of his own hermeneutics largely depends on the notions of Aristotle`s practical philosophy, the extent of his project is a result of unified thinking of Aristotle and Gadamer. Third, this argument is supported by Gadamer`s explanation regarding understanding structure. He considers the hermeneutic understanding as a kind of knowledge and as a dialectic understanding. Fourth, Gadamer rehabilitates the tradition of classical practical philosophy through hermeneutics. And to accomplish this task, Gadamer uses Aristotle` notions of practical philosophy such as philia, solidarity, phronesis, and ethos. Fifth, he specifies the realization of goodness of community life of human beings as a task of practical philosophy, and asserts the soliarity construction as a way for its achievement, as well as calls for the phronesis of human beings to construct such solidarity. This project of Gadamer`s practical philosophy has an enlightening function for modern society. The contents of enlighten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very and enhancement of phronesis is sought for with a common good and solidarity presupposed. Second, to this end, the establishment of an appropriate ethos, which is the principle of practical choice, and its development are called for. Third, it should be recognized and admitted that everyone is already a philos to everyone else in society. In other words, the hermeneutic enlightenment leads our attention to the virtues which modern man as a community being should be equipped with and should accept. However, Gadamer thinks that, due to this enlightening function, hermeneutics is a `meaningful` criticism to modern civilization, because it makes modern man dispose of his dogmatism and acknowledge his limitations. Moreover, it is true to him that this is the only one possible way to make reason take a rational advance.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이해와 오해, 그리고 몰이해

        백승영(Baek, Sung-Yo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3 철학사상 Vol.49 No.-

        이 글은 니체철학에 대한 적절한 번역방법을 니체의 관점주의 속에서 찾아내는 실험을 한 후, 그것을 적용하여 한글판 니체 전집(KGW)의 번역원칙과 번역상황을 점검해보려 한다. 관점주의는 ‘이해’를 ‘오해’로, ‘번역’을 ‘반역’으로 규정하기에, 그 속에서 번역방법을 모색하는 것은 매우 역설적인 시도일 수도 있다. 하지만 관점주의는 동시에 ‘섬세함(Feinheit)’을 번역의 규준으로 요청한다. 그것은 ‘이해가 오해이고, 번역은 반역’이라는 필연적 한계에 대한 인정,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계를 넘어보려는 좋은 의지’와 삶에 대한 실천적 관심의 지속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그래서 이 시도는 니체 자신의 철학적 태도와 방식을 수용하여 그의 글을 번역하고 그 번역을 평가해보는 실험이며, 그렇기에 ‘소통’이라는 번역의 존재이유를 충족시키는 실험이다. 한글판 니체전집(KGW)이 제시한 번역원칙과 번역서들은 ‘섬세한 번역’의한 경우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주석의 최소화 원칙’은 섬세한 번역을 방해하는 방식일 수 있으며, 번역원칙을 따르지 않아서 발생하는 ‘번역서의 신뢰도 문제’는 섬세한 해석 자체에 대한 회의를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니체의 번역적 이상을 구현하기 위한 적극적인 논의의 장이 필요한 시점이다. The paper attempts to find an appropriate translation method for Nietzsche’s philosophy in his perspectivism. Then it is applied to examine the translation rules and translated state shown in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complete works of Nietzsche (KGW). Because perspectivism regards ‘understanding’ as ‘misunderstanding’ and ‘translation’ as ‘mistranslation,’ it can be considered as a very paradoxical attempt searching for an appropriate translation method in his perspectivism. However, it simultaneously requires ‘fineness’ as a translation rule. It admits the inevitable limitation that ‘understanding’ is ‘misunderstanding’ and ‘translation’ is ‘mistranslation,’ Nonetheless it contains the will to overcome the limitation and the continuation of practical interest in life. Thus it is an experiment of translating his works and evaluating their translation by accepting his philosophical attitude and mode. Consequently it satisfies a raison d’etre of translation, which is ‘communication.’ The translation rules, which are provided and executed in the Korean translation of Nietzsche, may fulfill the ‘fineness’ requirement. However, ‘minimal footnote rule’ may be dangerous in that it hinders fine translation. The problem of ‘translation credibility’, brought about by not observing the translation rules, casts doubt on the fine translation. Therefore it is time to make a place for discussion in order to achieve an ideal state of translation of Nietzsche.

      • KCI등재

        니이체가 제시하는 몸(Leib)으로서의 주체와 그의 이성

        백승영(Sung Young Baek) 철학연구회 1998 哲學硏究 Vol.43 No.-

        니이체의 `생성의 철학`은 주세의 죽음이나 주체의 가상적 성격만을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힘에의 의지가 수행되는 한 장소로서, 해석행위(interpretieren)의 담지자로서, 형이상학적 유(ens metaphysicum)가 아닌 몸(Leib)을 주체로 상정한다. 힘에의 의지라는 개념은 니이체가 자신의 생기존재론에서 인간을 포함한 존재하는 것들 일반과 제반 현상을 단지 이것 하나로만 설명하고자 하는 설명원리이다. 해석자로서의 몸(Leib)에게서 힘에의 의지는 몸(Leib)에 내재하는 선이성적(pra¨rational) 선험성이라는 성격을 띠며, 이것의 활동은 경험적 사실이다. 몸(Leib)의 제반 행위와 마찬가지로 인식행위 역시 해석행위이며, 이것은 힘과 생을 위한 유용성 전략하에서 수행된다. 몸(Leib)의 인식작용은 따라서 삶의 실천 차원에서 진행되며, 인식된 내용은 가치각인적(wertimpra¨gniert)인 해석이다. 니이체의 몸(Leib)을 주제로 상정하는 인식에 대한 논의는 이렇듯 가치와 사실과의 괴리를 해소하며, 가치 중립적인 중성적 인식을 인식론적 신화로 만드는 이유를 제시한다. 더불어 해석의 역사성과 다원성을 몸(Leib)의 존재적 구조에 의해 보증한다. 니이체의 몸(Leib)개념을 이렇게 이해하면 니이체의 철학적 주제인 `생성에 대한 철학적 정당화`와 그의 `이성비판`이라는 프로그램의 내적 연관성이 드러나며, 또 이 연관관계하에서 몸(Leib)적 주체의 이성성(Vernun¨ftigkeit)의 특징으로 해석행위와 반독단주의(Antidogmatismus)를 말하는 겸손함(Bescheidenheit)을 들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양심과 양심의 가책. 그 계보의 차이

        백승영(Sung-Young Baek) 한국철학회 2007 철학 Vol.90 No.-

        양심 및 양심의 가책에 대한 니체의 숙고는 『도덕의 계보』 두 번째 글에 집약되어 있으며, 그 숙고에 니체 자신이 ‘양심의 심리학’이라는 이름을 붙인다. 본 논문은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가설적이면서도 산발적 형태를 지닌 양심의 심리학을 부채 이론, 내면화 이론 그리고 약속 이론의 형태로 체계화시켜, 양심과 양심의 가책의 상이한 계보를 추적한다. 둘째, 양심의 심리학을 도덕이론이 아니라 인간학 이론으로 제시한다. 양심의 심리학이 제공하는 양심 및 양심의 가책의 계보는 다음과 같다. 양심의 가책은 ‘병든 원한 인간’이 경제적 계약관계를 맺으면서 그리고 공동체 결성 및 사회화 과정을 거치면서 발생한다. 반면 양심은 약속권리를 갖는 ‘건강한 주권적 개인’의 책임의식이자 자유의식이다. 이 내용은 ‘양심의 심리학’을 형벌이론, 국가 및 사회이론, 정의론의 연관으로 포함시키는 해석이나 혹은 단순히 도덕철학의 범주로 형식적으로 포함시키는 해석들과는 달리, 인간학으로 고찰할 수 있다는 주장을 가능하게 한다. 그 이론들이 인간에 대한 새로운 규정을, 즉 약속 가능한 동물(animal promissible)로서의 인간이라는 규정을 제시하고, 약속과 책임과 양심을 인간의 조건으로 설정하며, ‘주권적 개인-원한 인간’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인간 유형론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주권적 개인에게만 가책에서 자유로운 양심을 귀속시키면서, 주권적 개인이 되는 것을 인간 삶의 과제이자 인간 삶의 이상으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This paper has two goals. First, it traces the different genealogies of conscience and bad conscience by systematizing Nietzsche's 'psychology of conscience,' which is hypothetical and scattered, into the forms of debt theory, internalization theory, and promise theory. Second, the psychology of conscience is presented as philosophical anthropology beyond mere moral theory. The psychology of conscience presents the genealogies of conscience and bad conscience as follows. Bad conscience grows as the 'sick man of ressentiment' makes economic contractual relationships, forms communities, and goes through socialization. On the other hand, conscience is both the consciousness of responsibility and freedom of 'sovereign individual' who has the right to make promises. This exposition makes it possible to argue that the psychology of conscience should be firstly considered as philosophical anthropology in a different way from the interpretations which include it either in what is associated with theories of punishment, nation, society, and justice or simply in the category of moral philosophy. Indeed, Nietzsche's contemplation stipulates human being as an animal promissible, sets making promises, responsibility, and conscience as conditio humana, and provides a new theory of humankind, in terms of 'sovereign individual-man of ressentiment. Moreover, with imputing conscience free from qualms only to sovereign individual, he establishes being sovereign individual as both a task and an ideal of human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