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액티브 시니어의 온라인 공연에 대한 플로우 경험 과정: 선행, 상태, 결과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중심으로

        백보현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22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초고령화 시대를 앞둔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소비 계층이 될 액티브 시니어의 비대면 문화예술 관람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액티브 시니어가 온라인 공연을 관람할 때 느끼는 플로우 경험이 온·오프라인 공연 관람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플로우 이론의 경험 구조인 선행, 상태, 결과단계에 따라 연구 모형을 설계하고, 50~70대의 온라인 공연 관람 경험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술과 프레즌스는 다차원 플로우 경험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도전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플로우 경험은 온·오프라인 공연 관람의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온라인 공연이 액티브 시니어의 새로운 여가 서비스로 자리 잡을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온라인 콘서트 관람객의 심리적 경험 연구: HMIEM 모형을 기반으로

        백보현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22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5 No.2

        코로나19 이후, 공연예술의 범위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공연은 전통적으로 오프라인 기반이었기 때문에 펜데믹 종료 후 온라인 콘서트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학술적 논쟁이 분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SDT와 Flow 이론을 결합한 HMIEM 모형을 기반으로 온라인 콘서트 관람객의 심리적 경험을 분석하고, 그것이 온· 오프라인 콘서트 관람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또한 대중음악 장르의 특성을 고려하여 관람객의 팬 여부를 조절변수로 활용하여 집단별 관람 경험에 차이가 발생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관람객들은 자율성과 유능성이 충족될수록 플로우 경험과 온·오프라인 관람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관람객들의 관계성이 높을수록 플로우 경험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변수 분석 결과, 팬은관계성이 온·오프라인 관람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인은 관계성이 플로우 경험에 부의영향을 미쳤으며, 온라인 콘서트 관람이 오프라인 관람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온라인 공연 기반의 대중음악산업 생태계 발전방안: 서비스 가치 네트워크 모형을 기반으로

        백보현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2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2

        본 연구는 온⋅오프라인이 융합된 대중음악 공연 생태계를 분석하고 발전 방안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중음악 공연산업 현황과 특성을 도출하고, 대중음악 공연산업계 및 학계의 전문가 15명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를 서비스 가치 네트워크 모형에 적용하여 오프라인 기반 공연산업 생태계(As-Is)와 온⋅오프라인 융합 공연 생태계(To-Be)를 도식화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발전방안을 제언하였다. 연구결과, 대중음악산업에는 온라인 공연계의 새로운 가치행위자가 창작원천 단계를 제외한 모든 가치사슬에 새롭게 유입될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프라인 관람객 위주로 구성되었던 소비자의 범위가 온오프라인으로 세분화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 KCI등재

        정보자본에 따른 공연예술 소비자 행동분석: E-TPB를 기반으로

        백보현(Bo Hyun Baek),권혁인(Hyeog In Kwon) 한국경영학회 2019 Korea Business Review Vol.23 No.3

        본 연구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형성된 정보자본이 공연예술 소비자의 확장된 문화소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주목하였다. 이에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소비 행동을 정보소비, 콘텐츠소비, 정보생산으로 확장하고, 해당 변수를 계획된 행동이론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보소비가 증가할수록 공연예술 소비가 증가하였다. 공연예술은 전형적인 경험재로서 사전 정보 탐색이 필요하고, 이러한 정보소비 행동은 문화자본 축적에 밑거름이 되어 실제 콘텐츠 소비로 연결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또한 공연예술 소비가 증가할수록 소비자의 정보생산 활동 역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문화생산은 개인의 문화자본 재정립뿐만 아니라 온라인상의 문화자본 축적에도 기여하기 때문에 사회 전반의 문화소비와 직결된다. 본 연구는 문화자본의 이론적 논의를 가정 또는 학교에서 탈피하여, 정보자본에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을 가진다. 더하여 계획된 행동이론의 종속변수를 확장하여 소비자의 구체적인 행동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how information capital developed based on the internet affects the expanded cultural consumption by consumers of performing arts. Hence,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 extended cultural consumption behavior to information consumption, contents consumption, and creation of information, and then conducted analysis by applying these extended variables to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findings show that an increase in information consumption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consumption of performing arts. Performing arts are a typical experience good, which requires exploration for information prior to consumption, and such behaviors of information consumption serve as the basis of the accumulation of cultural capital, which takes a core role in leading up to the consumption of actual contents. Also, we found that an increase in the consumption of performing arts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activities of information creation on the part of the consumers. Cultural production contributes not only to the re-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capital of individual, but also to the online accumulation of cultural capital, and therefore it is directly linked to the overall consumption of culture in society. This paper holds implications in that it applied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cultural capital to information capital, in a departure from previous studies that have dealt with the family or the school. Additionally, this paper has significance in that detailed consumer behavior was analyzed by extending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KCI등재

        사회자본에 따른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K팝 참여문화 연구

        백보현(Bohyun Baek),송혁규(Hyukkyou S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본 연구에서는 참여문화이론을 바탕으로 소셜미디어 수용자의 행동을 소비와 생산으로 세분화하고, 해당 개념을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이론에 적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소셜미디어에서 축적된 사회자본에 따라 확장된 문화소비 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K-Pop 콘텐츠의 소비와 생산에는 주관적 규범을 제외한 개인적 동기 변수가 강한 영향을 미쳤으며, 욕망은 콘텐츠 소비의도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자본 조절효과 분석 결과, 고집단은 콘텐츠 소비의도가 생산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소셜 미디어 기반의 K-Pop의 지속 확산 가능성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In this study, the participatory behavior was divided into content consuming intention and content producing intention. These two variables were applied to an expanded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theory. This study also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how participatory behavior varies depending on the social capital accumulated in social media. The findings show that motivational variables except the subjective norm had a strong effect on the consuming intention of K-Pop content. The desire variable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content consuming intention. Furthermo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content consuming inten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ntent producing intention in the group with high social capital. This study holds implications in that it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participatory behavior of K-Pop content according to the social capital of social media users.

      • KCI등재
      • KCI등재

        혁신지향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백보현(Back, Bo-Hyeon),황호영(Hwang, Ho-You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6

        본 연구는 청년실업의 심각성으로 직업교육이 강조되는 공공직업교육기관 구성원이 지각한 혁신지향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혁신은 개인과 조직에게 꼭 필요하지만 신체적·정신적 부담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원의 혁신지향성과 직무소진의 관계를 검증하여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혁신지향성은 비인간화를 감소시키고, 프로세스 관리는 정서적 고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 중시와 전략 연계는 개인적 성취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배공정성은 프로세스 관리와 정서적 고갈·비인간화의 관계에서 긍정의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 중시와 비인간화의 관계에서는 성별·직렬의 조절 효과가 있으나 재직기간은 조절 효과가 없었다. 고객 중시에 따른 비인간화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교원보다는 사무직원에게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치열한 경쟁으로 고객 지상주의, 성과 만능주의가 강조되는 공공직업교육기관 구성원의 혁신지향성이 직무소진에 일정부분 영향이 있음이 밝혀졌고 직무소진을 조직공정성이 부분적으로 감소시키는 조절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지나친 외부 고객 중심의 혁신지향성은 내부 구성원의 성취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니 조직 차원에서는 내부 구성원에 대한 배려가 필요함을 암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orientation (customer focus, strategic linking, process management) and job-burnout(emotional exhaustion, dehumanization,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recognized by members of Korea Polytechnic Colleges. Korea Polytechnics which is a public vocational institute has been growing with high employment rate in the job market. First, customer focus, strategic linking and process management are positively related with dehuman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orientation and job-burnout. In addition, process management i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reduction in emotional exhaustion, and customer focus and strategic connection has been shown to reduce the personal accomplishmen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orientation and job-burnout, distributive justice affected positively in the moderation of 2 relationships –between process management and emotional exhaustion, and process management and dehumaniza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orientation and job-burnout, gender and series have a moderation effect - between customer focus and dehumanization. But tenure is not a moderation effec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