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固型汚染의 再沈着에 영향을 미치는 諸因子

        裵玄淑,金성連 한국의류학회 1982 한국의류학회지 Vol.6 No.2

        The removal and redeposition of particulate soil occur simultaneously during the washing process. In order to investigate variables which affect on the redeposition of particulate soil, cotton lawn was soiled in the iron oxide black suspension using Launder-O meter. The amount of deposited soil was estimated by means of the spectrometric analysis of iron on the fabric after soil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resence of surfactants in suspension decreased the deposition of particulate soil and the most effective surfactant was soap and the descending order was NaDBS>CTAB> PONPE. 2. The influnce of temperature on soil deposition was considerable, soil deposition was gradually increased with elevating temperature in ionic surfactants solution suchas NaDBS and CTAB but that was decreased above 40℃ in nonionic surfactant solution. 3. The tendency of soil deposition was dwindled by adding electrolytes especially in case of polyvalent anions. 4.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redeposition of particulate soil was related with suspending power of surfactants and was influenced by factors varing zeta potential.

      • KCI등재

        상아모세포 분화과정에서 nuclear factor I - C 의 역할

        배현숙,김홍중,정문진,박민주,안성민,Gronostajski RM2,박주철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 2005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지 Vol.29 No.2

        Nuclear factor 1 (NFI) was discovered as a protein required for adenovirus DNA replication in vitro, but it is now clear that NFI protei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xpression of many cellular genes. NFI-C null mice demonstrated aberrant odontoblast differentiation, abnormal dentin formation, and thus molar lacking roots while other tissues/or gans in the body, including ameloblasts appear to be unaffected and normal.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mechanism of NFI -C function in odontoblast differentiation and dentin format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elucidate the molecular mechanisms of odntoblast differentiation, we examin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berrant odontoblast in NFI-C null mice. we also evaluate the expression of dentin sialophosphoprotein (DSPP) and bone sialoprotein (BSP) mRNAs in the MDPC-23 cells by northern analysis after over-expression and inactiγation of NFI -C into mouse MDPC-23 cells Odontoblasts of the NFI-C null mouse were round in shape, lost their polarity, organized as a sheet of cells, and trapped in osteodentin-like mineralized tissue. Abnormal odontoblasts of NFI-C null mouse revealed the absence of an intercellular junctional complex known as the t erminal webs. MDPC-23 cells started to express DSPP mRNA beginning from the postnatal day of 14 and showed a steady increase as differentiating into odontoblasts. Over-expression of NFI -C increased the expression of DSPP mRNA. Inactivation of NFI - C induced BSP mRNA 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NFI-C plays an important role in odontoblast differentiation in a cell-type specific manner and thus in dentin formation

      • KCI등재

        五臺山史庫本 實錄의 還收에 관하여

        裵賢淑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4 동국사학 Vol.57 No.-

        2006년 7월 일본 동경대학 도서관에 수장되어 있던 오대산본 ?朝鮮實 錄? 잔본 47책이 국내로 귀환되었다. 오대산본 ?朝鮮實錄? 잔본이 귀환된 것은 꿈과 같은 일이라고 할 수 있다. 1965년 한일 국교 정상화 과정에서 문화재를 선별해 귀중 문화재를 반환 대상에서 제외하고, 문화재 강탈을 보여주는 문서는 반환하지 않기 위해 조직적으로 은폐한 일본을 상대로 반환해온 것이다. 이는 慧門스님이 중심이 되어 전개한 朝鮮王朝實錄還收 委員會가 이룬 쾌거였다. 朝鮮王朝實錄還收委員會는 일본 총리에게 실록 반환요청서를 제출한 뒤 직접 동경대학과 접촉을 시도하였다. 이후 여러 과정과 난관을 거쳐 마침 내 오대산본 ?朝鮮實錄?은 귀환되었다. ?朝鮮實錄? 잔본 47책의 귀환 작 업이 모두 끝나자 文化財廳은 문화재위원회 국보지정분과위원회를 열어 국보 제151호에 추가하여 지정하였다. 오대산본 ?朝鮮實錄?의 환수에는 慧門스님의 진심어린 발원과 이를 실현하고자 하는 서원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고, 月精寺의 지원이 환수에 결정타가 되었다. 이외 국내 유력자, 북한의 朝鮮佛敎徒聯盟과 在 日本居留民團의 협조가 있어 가능한 일이었다. 그러나 오대산본 ?朝鮮實錄? 환수의 마무리 단계에서 몇 가지 문제가 노정되었음을 볼 수 있다. 그 문제의 단초는 서울대학교가 ?朝鮮實錄?을 “返還”이 아닌 “寄贈”받은 것에서 기인된다. 오대산본 ?朝鮮實錄?의 귀환은 조선시대 마지막 관리자였던 月精寺가 당사자로 나서서 ‘법정소송’을 불사하고, 동경대학을 압박한 것이 주효한 것이었다. 동경대학은 ‘일본 지 성을 대표하는 기관’에서 ‘문화재 약탈자’로 지목되어 법정에 선다는 것에 부담감을 가졌던 것이다. 이에 실록의 약탈을 자인하지 않을 수 없는 궁지 에 몰린 동경대학은 실록 반환 문제가 제기되자, 처음부터 출구전략을 세 우기에 골몰하였고, 마침내 자매대학이란 명분을 이용해 서둘러 서울대학 교에 ‘기증’이란 카드를 꺼내들었던 것이다. 이에 동경대학은 ‘기증’, 서울 대는 ‘반환’이란 용어로 포장한 것이다. 결국 ‘빼앗긴 민족의 자존심’을 살 리고, ‘기록된 역사의 정신’을 되찾아 오고, ‘민족사의 아픔’을 치유하면서 반환받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놓친 것이다.

      • KCI등재

        유희춘이 판각을 주도한 서적에 관한 연구

        배현숙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4 No.3

        본고는 조선조 중기의 관료이며 학자인 미암 유희춘의 일기를 통해 당시 서적 간행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미암 유희춘은 만년에 관직생활을 하면서 일기를 남겼으니 이 $\boxDr$미암일기$\boxUl$에 일상의 일이 매우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당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서적, 가정사까지도 알 수 있다. 본고는 이 일기를 통해 미암의 서적과 관련된 여러 일 가운데 미암이 주도적으로 간행하려고 노력한 서적을 밝혔다. 아울러 당시에 편성된 책판목록에 수록되었는지의 여부도 확인하였다. 미암이 개인적으로 간행하고자 한 서적은 2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외조부 금남 최부의 문집인 $\boxDr$금남집$\boxUl$과 중국기행문인 $\boxDr$표해록$\boxUl$이다. 다른 하나는 아동용 도서로 문해용의 $\boxDr$신증류합$\boxUl$과 도덕교육용의 $\boxDr$속몽구$\boxUl$이다. 이들 서적을 인출하기 위해 판각한 당시의 책판은 당대의 책판목록에 수록되어 있어야한다. 그러나 거의 대부분 누락되어 있다. $\boxDr$미암일기$\boxUl$를 통해 책판목록에 누락된 서적을 보완할 수 있으므로 $\boxDr$미암일기$\boxUl$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woodblocks which were engraved in the providences in the mid Chosun dynasty, especially ones engraved under the auspices of Yu Heui-chun(柳希春), but not listed in $\boxDr$Kosachwalyo 攷事撮要$\boxUl$. This could be done by the analyzing $\boxDr$The Diary of Miam 眉巖日記$\boxUl$ written by Yu Heui-chun. It is a book which recorded daily life of eminent scholar and official covering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books and family matters. There were two categories of books published under the auspices of Yu Heui-chun. One is the books written by his grandfather in law, Choi Bu(崔溥), which were $\boxDr$Keumnamjip 錦南集$\boxUl$ collective works of Choi Bu, and $\boxDr$Pyohaerog 漂海錄$\boxUl$, essays on travelling across China. The other is the books for children, $\boxDr$Sinjeung Yuhap 新增類合$\boxUl$ for teaching characters and $\boxDr$Sog Mong-gu 續蒙求$\boxUl$ for moral education. These woodblocks have to enlisted in the woodblock catalogs. The analysis shows that most of these woodblocks by Yu Heui-chun were not recorded in either of two $\boxDr$Kosachwalyo 攷事撮要$\boxUl$ editions published in 1575 and 1585. In this respect, $\boxDr$The Diary of Miam$\boxUl$ proved itself to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erms of bibliography studies.

      • KCI등재

        『朝鮮實錄』의 2019년 國寶 追加指定에 대하여

        배현숙 한국서지학회 2020 서지학연구 Vol.81 No.-

        『朝鮮實錄』은 국정을 행하면서 참고하기 위해 편찬한 사서가 아니고, 후세에 영구히 전승시키기 위해 편찬한 역사 서적이다. 실록은 국왕도 열람할 수 없었고, 오로지 국왕의 허가를 받은 사관만이 사고를 열람할 수 있었다. 그것은 군주조차 실록과 사초를 열람할 수 없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했기 때문인데, 이 점에서 실록의 진실성과 신빙성을 인정받고 있는 것이다. 실록은 전란을 통해서도 혼신을 다해 소개시켰으므로, 유일본이 전래될 수 있었다. 전후 안정기에 들자 유일본만 장치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생각하여 복본을 제작하여 분장하였다. 따라서 조선시대에 제작한 실록의 내용은 지금까지 온전하게 전래되고 있다. 이 실록은 6․25전쟁 기간에도 부산으로 소개시켜 위험에서 구출했었다. 전쟁의 참상이 어느 정도 복구되자 1973년 12월 31일 국보 제151호로 지정하였다. 1997년 10월 1일에는 유네스코의 세계기록유산으로도 등재시켰다. 그런데 2016년 12월 20일 연합뉴스는 박상현 기자의 보도로 『朝鮮實錄』 중 국보로 지정되지 않은 책이 60여 책이라 보도하였다. 이에 문화재청에서는 실록지정조사단을 구성하여 모두 9회에 걸쳐 조사한 후, 2019년 6월 26일 추가로 지정해 국보에 편입시켰다. 따라서 정족산본 1,187책, 태백산본 848책, 오대산본 75책, 적상산본 4책, 봉모당본 6책, 낙질과 산엽본 99책, 도합 2,219책이 국보로 지정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9차의 조사를 거쳐 국보로 추가 지정된 사정, 권수, 책 수, 현재 상태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浸濕으로 劣化된 실록의 복원을 위한 최근의 조치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러나 유네스코의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실록이지만 아직 적상산본에 대해서는 전모를 알 수 없는 실정이다. 프랑스에 있는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도 한국과 프랑스 공동으로 세계기록유산에 등재시킨 바 있다. 같은 맥락으로 평양의 적상산본도 전수를 조사해서 세계기록유산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록의 전모를 보다 자세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자손만대에 전승시켜야 할 것이다.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re historical documents not compiled for daily reference to state affairs, but for subsequent generations to utilize as reference forever. Even the Kings could not access The Annals ; only the officers who had been authorized by the King could read them. Because of this rule that even the king could not read The Annals and the manuscripts, the truth and credibility of The Annals are recognized. The Annals were evacuated by all means throughout the Japanese invasion, so at least one copy could be preserv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it was regarded that keeping only one copy would not be safe, so The Annals were republished, so that five sets of copies were kept intact until the end of Joseon Dynasty in the early 20th century. However, the country lost her sovereignty to Japan in 1910, and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were once again put into a great peril. The Korean Civil War in 1950 again put this preservation effort into danger. The Annals were evacuated to Busan in 1950 during the Korean War. After the war, when Korea recovered from the ruins of the war, The Annals were designated as the 151st National Treasure of Korea in 1973. And in 1997 it was listed in UNESCO’s Memory of the World registry. On December 20, 2016, The Yonhap News Agency reported that 60 books of The Annals were omitted from the National Treasure of Korea. An investigation team, formed by th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investigated this 9 times and added these omitted books to the National Treasure in 2019. Therefore, all together 2,219 books were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s, which include 1,187 books of Jeongjok Mountain, 75 books of Odae Mountain, 4 books of Jeoksang Mountain, 6 books of Bongmodang, 99 books of odd volumes and unaligned leaves. In this study, I reviewed the circumstances of how the omitted The Annals were added as National Treasures after 9 investigations, the number of the volumes and books, and their current state. In addition I also looked at the latest measures to restore the degraded booklets, which have deteriorated due to the leak of rainwater. Although The Annals were listed as UNESCO’s Memory of the World, the whole affair of The Annals stored at Jeoksang Mountain is still unknown. Jigji in France was also listed as a World Record Heritage jointly with Korea and France. In the same vein, it seems necessary that The second edition of the books of Jeoksang Mountain kept in Pyongyang should be examined in full and be included in the UNESCO World Record Heritage. We need to understand the state of The Annals in full detail, preserve them and pass them on to the future gene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